KR19990078138A - Feeding device for the sewing machine - Google Patents

Feeding device for the sew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8138A
KR19990078138A KR1019990009787A KR19990009787A KR19990078138A KR 19990078138 A KR19990078138 A KR 19990078138A KR 1019990009787 A KR1019990009787 A KR 1019990009787A KR 19990009787 A KR19990009787 A KR 19990009787A KR 19990078138 A KR19990078138 A KR 19990078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friction surface
drive
shaft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7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70573B1 (en
Inventor
비비할 파벨
Original Assignee
리보미르 푸크,프란티섹 하르다
미네르바 보스코비치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보미르 푸크,프란티섹 하르다, 미네르바 보스코비치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리보미르 푸크,프란티섹 하르다
Publication of KR19990078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1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573B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10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 D05B27/14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rotating discontinuously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3/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upplying or removing the work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02Mechanical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시 봉재(174)와 접하고 있는 봉재푸셔(pusher)(172;187)에 의하여 가변적으로 거의 연속적인 피드운동을 시행하기 위한 재봉틀(1)의 피드장치(189)에 관한 것이다. 크러치(55)에서는 피드운동과 왕복운동이 피드운동에 대하여 동일 주기의 진동으로 이루어 진다. 피드운동을 발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피드기어(24)는 이와 똑같이 침봉(11)을 안내하는 지지프레임(13)을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피드감속기(24)는 재봉틀(1)이 돌아가는 동안에 피드크기와 피드방향에 따른 가변적인 피드운동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 device (189) of a sewing machine (1) for variable and substantially continuous feed movement by means of a pusher (172; 187) which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bar (174). In the clutch 55, the feed motion and the reciprocation motion are made of vibrations of the same cycle with respect to the feed motion. The feed gear 24 used to generate the feed motion is used to drive the support frame 13 which guides the needle bar 11 in the same manner. The feed reducer 24 provides a variable feed movement according to the feed size and feed direction while the sewing machine 1 is rotating.

Description

재봉틀의 피드장치{Feeding device for the sewing machine}Feeding device for the sewing machine}

발명에 따라서 구동부의 운동을 종동부에 전달하기 위한 확실한 관계가 이루어 진다. 동시에 유리한 점을 든다면 종동부는 여하한 순간에도 방임되지 않으며 즉 언제나 제어된다. 이 결과 지장에 없는 지속적인 피드운동이 이루어 진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re is a definite relationship for transmitting the motion of the drive to the follower. At the same time, the advantage is that the follower is not allowed at any moment, ie always controlled. This results in a continuous feed movement that is unobstructed.

피드운동이 일어나는 경우 거의 마모가 없는 피드장치에 대한 일정한 관계가 유지된다. 특히 유리한 점은 그의 구조가 간단하다는 점과 일반적으로 3가지의 안정적인 형태의 주 구성부품이 한개의 공동축 주위로 움직인다는 점이다.When feed motion occurs, a constant relationship to the feed device with little wear is maintained. Particularly advantageous is the simplicity of its structure and the fact that the three stable forms of main components generally move around one coaxial axis.

청구항 2 내지 7 및 10의 제특징을 가진 피드장치의 형태는 제작이 간단하면서도 신뢰도가 큰 장치로 된다.The form of the feed device having the features of claims 2 to 7 and 10 results in a simple device and a high reliability.

청구항 8의 특징에 의하여 일정한 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간단한 유형이 제시되고 있다. 일체형의 부품은 유격없는 회전토크전달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스프링 특성과 일치된다.By the features of claim 8 a simple type for connecting certain components is proposed. Integral parts allow spring-free rotational torque transfer and match spring characteristics.

청구항 9의 특징에 따르는 개발형은 전달토크를 증대시켜 준다.The development form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claim 9 increases the transmission torque.

제 11항에 따르는 유형은 중첩공간 절약형이다. 청구항 12에 따르는 특징을 가진 장치의 개발로 회전토크전달에 소요되는 스프링하중을 일부 마찰면 상에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가 있어서 주요부품의 수명증대를 기할 수 있다.The type according to claim 11 is overlapping space savi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evice having the features according to claim 12, the spring load required for the rotational torque transmission can be evenly distributed on some friction surfaces, thereby increasing the service life of the main parts.

청구항 13 및 14에 따르는 특징들을 가진 또다른 유형은 가급적 큰 회전토크전달을 이루기 위하여 공간활용도가 증대된다.Another type with the features according to claims 13 and 14 has increased space utilization in order to achieve as large rotational torque transmission as possible.

청구항 15의 특징을 가진 개발유형은 밀폐로 인하여 외부영향을 받지 않는 구조로 되는데 당해 장치의 허용가능한 작동방법의 개선을 제공한다.The development type with the features of claim 15 has a structure which is free from external influences due to its closure, which provides an improvement in the acceptable method of operation of the device.

청구항 16 내지 20중의 제 특징을 가진 피드장치의 개발유형은 간단하면서 작동의 신뢰도가 큰 구조로 되어 있다. 청구항 21의 특징을 가진 유형은 주요부품의 제조공차를 보정하기 위한 간단한 설정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The development type of the feed apparatus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Claim 16-20 has the structure which is simple and has high reliability of operation. The type with the features of claim 21 presents a simple setting possibility for correcting manufacturing tolerances of main parts.

청구항 22에 따르는 개발유형은 간단한 운동전달을 제공한다.The type of development according to claim 22 provides for simple exercise transmission.

청구항 23의 특징에 의하여 침봉을 수용하는 지지프레임에 대한 구동의 간단한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로인하여 재봉틀은 적당한 커플링을 동시에 구동하는 부품을 갖게된다.The feature of claim 23 makes a simple connection of the drive to the support frame for receiving the needle. This results in the sewing machine having parts which simultaneously drive a suitable coupling.

청구항 24의 특징을 가진 피드장치는 재봉틀의 간편한 조작과 출력증대를 기한다. 청구항 25의 제 특징은 재봉틀의 이송능력을 제고시킨다.Feed device with the features of claim 24 provides for easy operation and increased output of the sewing machine. The first feature of claim 25 improves the conveying capacity of the sewing machine.

재봉틀의 피드장치에 있어서 마찰을 저감시켜주기 위하여 일정한 전달비에 의한 피드운동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order to reduce the friction in the feeder of the sewing machine to obtain a feed movement by a constant transmission ratio.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상위개념에 따르는 재봉틀의 피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er of a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higher concept of claim 1.

DE 22 23 202 C2(US-PS 3,844,234에 해당)에는 한가지 유형의 피드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에 의하면 크램핑 레버 대우형태의 왕복운동 구동부가 기어풀리의 종동재에 물리어 이러한 운동을 전달한다. 가변 피드 감속기에 의하여 크램핑레버 대우에 전달되는 운동은 또다른 감속기의 것과 중첩되어서 크램핑 레버 대우에의 개폐운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감속기의 단점을들면 이점에서 불안정한 관계가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일방적으로 보다 작은 모멘트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하나의 크램핑 레버대우와 여타 크램핑레버 대우도 기어풀리와 물리지 않으므로 전달수단으로 이용되는 기어풀리에 제어가 안되는 상태가 일어날 수 있다. 한편 양 크램핑레버대우는 순간적으로 기어풀리와 맞물리게되는 반대현상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과중한 마찰 하중을 받는 기어풀리는 정지된다. 추가로 두가지 현상은 결과적으로 피드운동에 영향을 주게된다.One type of feed device is known from DE 22 23 202 C2 (corresponding to US-PS 3,844,234), whereby a reciprocating drive in the form of a clamping lever treatment delivers this movement by being driven by the driven material of the gear pulley. The motion transmitted to the clamping lever Daewoo by the variable feed reducer overlaps with that of another speed reducer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to the clamping lever Daewoo. The disadvantage of such a reducer is that it can lead to an unstable relationship at this point. In addition, a smaller moment may occur unilaterally. In this case, one clamping lever treatment and the other clamping lever treatment may not be bitten by the gear pulley, and thus a state in which the gear pulley used as a transmission means may be out of control. On the other hand, both clamping lever treatments can cause the opposite phenomenon of momentary engagement with the gear pulley, so that the gear pulley under heavy friction load is stopped. In addition, two phenomena affect the feed motion as a result.

기타 단점으로서 감속기부품에 소요되는 부품의 개수인데 이에 의하여 개별운동(피드-및 왕복운동)이 발생되고 피드운동과 합성된다.Another disadvantage is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for the reducer component, whereby individual motions (feed-and-reciprocation) are produced and combined with the feed mo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재봉틀에 속하는 피드장치는 마찰감소시 일정한 전달비로 피드운동의 발생이 되도록 하기 위한 과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Feed device belonging to the sewing machin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problem to be the generation of the feed motion at a constant transmission ratio when friction is reduced.

본 과제의 해결은 청구항 1의 상위개념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이의 특징에 따라 이루어진다.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according to its features i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higher concept of claim 1.

본 발명 기타특징 장점 및 명세는 도면에 따른 한가지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다.Other features and spec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drawings.

도 1은 재봉틀의 전면약도1 is a front view of a sewing machine

도 2는 도 1의 절단선 Ⅱ-Ⅱ에 의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재봉틀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wing machine shown in FIG. 1 by the cutting line II-II of FIG.

도 3은 도 1의 절단선 Ⅲ-Ⅲ에 의한 단면 확대도,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

도 4는 도 3의 화살표 방향 Ⅳ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부분도,FIG. 4 is a partial view of FIG. 3 in the direction of arrow IV of FIG. 3;

도 5는 도 4의 절단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V-V of FIG. 4;

도 6은 도 1의 절단선에 따른 상세 확대도FIG. 6 is a detailed enlarged view according to the cutting line of FIG. 1. FIG.

도 7은 도 6의 절단선 Ⅶ-Ⅶ에 따른 축소단면도,7 is a reduc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VIII-VIII of FIG. 6;

도 8은 도 6의 절단선 Ⅷ-Ⅷ에 따른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부분의 시계방향으로 90°튼 축소도,FIG. 8 is a 90 degree turn down clockwise of the portion shown in FIG. 6 along the cutting line VIII-VIII in FIG. 6, FIG.

도 9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부품의 도 6의 화살표 Ⅸ 방향의 축소도,9 is a reduced view of the arrow 화살표 direction of FIG. 6 of the component shown in FIG. 6, FIG.

도 10은 도 6의 화살표 Ⅸ에 따른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부분의 시계방향으로 90°튼 축소도,FIG. 10 is a 90 degree turn down clockwise of the portion shown in FIG. 6 according to arrow VII of FIG. 6, FIG.

도 11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부분의 축소 상세도,11 is a reduced detail view of the part shown in FIG. 6;

도 12는 도 1의 화살표 XII에 따른 침봉의 지지도,12 is a support of the needle according to the arrow XII of Figure 1,

도 13은 도 12의 화살표 XIII에 따른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부분도,FIG. 13 is a partial view shown in FIG. 12 according to arrow XIII of FIG. 12;

도 14는 도 1의 화살표에 따른 재봉틀의 부분도14 is a partial view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arrow of FIG.

재봉틀(1)은 암(2), 스탠드(3) 및 베이스판(4)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판(4) 상에는 칼럼(5)이 고정되어 있다. 암(2), 스탠드(3) 및 칼럼(5)은 일반적인 구조에 있어서는 각기 중공체(中公體)로 구성되어 있다. 암(2)은 헤드(6)로된 자유단과 내부에 베어링(7 및 8)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안에서 압축(arm)(9)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암축(9)은 침봉(11)과 구동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헤드내 크랑크구동(10)에서 끝난다. 이것은 주로암축(9)에 대하여 직각으로 뻗어 있으며 그의 아래단부에서 침(12)을 구비하고 있다. 침봉(11)은 지지프레임(13)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베어링저널(14)로 되어 있다. 이것은 헤드(6)에 부착되어 있는 베어링(15) 내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수용되어 있다. 지지프레임(13)은 텐숀바(17)에 의하여 선회축(19)의 크랑크저널(18)과 프레시블 조인트(flexible joint)로 연결된 상단부(16)로 구성되어 있다.The sewing machine 1 is composed of an arm 2, a stand 3, and a base plate 4. The column 5 is fixed on the base plate 4. The arm 2, the stand 3, and the column 5 are each comprised from a hollow body in general structure. The arm 2 is composed of a free end of the head 6 and bearings 7 and 8 therein and is supported therein to enable rotation of the arm 9. The female shaft 9 ends in the crank drive 10 in the head which is connected to be driven with the needle bar 11. It extends at right angles to the arm axis 9 and has a needle 12 at its lower end. The needle bar 11 is movable in the support frame 13 and has a bearing journal 14. It is housed so that it can pivot in the bearing 15 attached to the head 6. The support frame 13 is composed of a crank journal 18 of the pivot shaft 19 and an upper end 16 connected by a flexible joint by a tension bar 17.

선회축(19)은 암축(9)과 병렬로 뻗어 있어서 암(2) 내에 구성된 베어링(20,21)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스탠드(3) 상부에서 선회축(19)은 크램핑 조인트(clamping joint)(23)에 의하여 피드기어(24)의 일부인 크랑크(23)와 연결되어 있다.The pivot shaft 19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arm shaft 9 and is supported to be able to rotate in the bearings 20 and 21 formed in the arm 2. In the upper part of the stand 3, the pivot shaft 19 is connected to the crank 23 which is a part of the feed gear 24 by a clamping joint 23.

다음은 도 3,4 및 5에 따르는 피드기어(24)의 구조를 설명한다. 피드기어(24)는 u-형 지지프레임(2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와 평행하게 서로 마주대하여 있는 다리(26,27)는 볼트(28,29)에 의하여 프렉시블 조인트형으로 취부되어 있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structure of the feed gear 24 according to FIGS. 3, 4 and 5. The feed gear 24 is composed of a u-shaped support frame 25 and the legs 26 and 27 facing each othe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re mounted in a flexible joint type by bolts 28 and 29. .

볼트(28,29)는 암(2)의 내부에 있는 베어링(30,31) 내부에 정치 수용되어 있다. 다리(26,27)의 자유단에는 압입되어 있는 핀(32,33)이 있으며 거기에서 회전할 수 있는 동일 길이의 조인트(34,35)가 수용되어 있다. 조인트(34,35)의 자유단은 텐숀바(tension bar)(38)의 일단(37)에 고정되어 있는 핀(36)을 회전할 수 있도록 잡고 있다. 핀(36)에는 그 사이에 텐숀바(38)의 단부(37)가 지지되어 있는 동일길이로 된 조인트(39,40)가 회전이 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조인트(39,40)의 자유단들은 크랑크(23)의 단부(42)에 고정되어 있는 핀(41)은 조인트(joint)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다리(26) 밖으로 나와 있는 핀(32)의 단부(43)에는 텐숀바(44)가 회전이 되도록 수용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히 설명이 안된 설정장치의 부분이며 지지프레임을 그의 회전상태 즉 그의 위치로 고정시킨다. 조인트(39,40) 사이에 있는 부분 단부(37) 및 구멍(42))을 포함한 다리(26,27) 사이에 수용되어 있는 조인트(34,35,39,40)의 위치 및 크기는 한쪽에서는 핀(32,33)을 중심으로 조인트(34,35)를 유격 없이 선회시키고 또 한쪽에서는 핀(36)을 중심으로 조인트(39,40)를 유격없이 선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동시에 다리(26,27) 사이에서 조인트(34,35,39,40)의 축방향에 따른 유격없는 안내가 같은 정도로 이루어 진다. 토숀바(38)는 베어링구멍(45)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압축(9)상에 고정된 캠(46)을 포함한다.The bolts 28, 29 are housed in the bearings 30, 31 in the interior of the arm 2. At the free ends of the legs 26, 27 there are pins 32, 33 which are press-fitted, and the joints 34, 35 of the same length which can be rotated therein are accommodated. The free ends of the joints 34 and 35 hold the pins 36 fixed to one end 37 of the tension bar 38 so as to rotate. The pins 36 are supported such that the joints 39 and 40 having the same length, in which the ends 37 of the tension bars 38 are supported, are rotated therebetween. The free ends of the joints 39 and 40 are fixed to the end 42 of the crank 23 by means of a joint. At the end 43 of the pin 32, which extends out of the leg 26, the tension bar 44 is accommodated for rotation, which is a part of the setting device which is not described in more detail and holds the support frame in its rotational state, ie its position. Let's do it.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joints 34, 35, 39, 40 accommodated between the legs 26, 27, including the partial ends 37 and the holes 42 between the joints 39, 40, The joints 34 and 35 are pivoted about the pins 32 and 33 without play, and on the other hand, the joints 39 and 40 are pivoted about the pin 36 without play. At the same time, the clearance free guid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joints 34, 35, 39, 40 between the legs 26, 27 is made to the same degree. The torsion bar 38 is constituted by a bearing hole 45 and includes a cam 46 fixed on the compression 9.

상기 피드기어(24)는 선회폭과 선회방향에 관한 피드운동을 변화시켜 준다. 당해 피드기어(24)는 이에 따라서 조정기어라고도 하는데 이 조정은 재봉틀의 조정상태와 작동하에서도 조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유형의 조정기어는 DE 30 00 831 C2(US-PS 4 347 797)에 공지되어 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본 문헌을 참조한다.The feed gear 24 changes the feed motion with respect to the swing width and the swing direction. The feed gear 24 is also referred to as an adjustment gear accordingly, and this adjustment is possible even under the adjustment state and operation of the sewing machine. Adjustment gears of this type are known from DE 30 00 831 C2 (US-PS 4 347 797). See this document for more details.

크랑크(23)에서 또 하나의 구멍(47)은 그안에 압입되어 있는 핀(48)을 가지고 있으며 그 위에 조인트 베어링(49)이 지지되어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볼소케트조인트(ball socket joint)라 함은 일종의 볼베어링이며 컵베어링이라고도 한다. 볼소케트조인트(49)는 한 상단부에서 파이프로 제작된 토숀바(50)로 구성되어 있다. 토숀바(50)는 암축(9)의 인근에 있는 피드기어(24)로 부터 스탠드(3)를 거쳐서 밑으로 베이스판(4) 영역에 뻗어 있다 (도 1). 여기에서 토숀바(50)는 자유단에서 재차 볼소케트조인트(51)로 되어 있다. 이것은 핀(52)에 지지되어서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핀(52)은 크러치(55)의 제 1 구동부(54)의 구성부인 포크(53)를 관통한다.Another hole 47 in the crank 23 has a pin 48 pressed therein and a joint bearing 49 is supported thereon and fixed axially. A ball socket joint is a kind of ball bearing, also called a cup bearing. The ball socket joint 49 is composed of a torsion bar 50 made of a pipe at one upper end. The torsion bar 50 extends from the feed gear 24 in the vicinity of the arm shaft 9 via the stand 3 to the area of the base plate 4 (FIG. 1). Here, the torsion bar 50 is a ball socket joint 51 again at the free end. It is supported by the pin 52 and fix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pin 52 penetrates through the fork 53 which is a component of the first drive unit 54 of the clutch 55.

선회축(19)상에는 구멍(59)을 가진 암(58)으로 되어 있는 크램핑조인트(56)에 의하여 고정된 크랑크(57)가 있다. 구멍(59) 내에는 압입된 핀(60)이 들어 있으며 그 위에 볼소케트조인트(61)가 지지되어 축방향에 따라 고정되어 있다. 볼소케트조인트(61)은 상단에서 파이프로 제작된 토숀바(62)로 되어 있다. 토숀바(62)는 암축(9)에 접해 있는 피드기어(24)로 부터 스탠드(3)를 통하여 아래의 베이스판(4) 영역에 뻗어 있다(도 1). 여기에서 토숀바(62)는 그의 자유단에서 재차 볼소케트조인트(63)로 구성되어 있다. 토숀바(50,62)는 도 1에서 단선에 의하여 약도로 나타나 있는 구동조인트(64)를 형성한다.On the pivot shaft 19 is a crank 57 which is fixed by a clamping joint 56 which is an arm 58 with a hole 59. In the hole 59, a press-fitted pin 60 is contained, on which a ball socket joint 61 is supported and fix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ball socket joint 61 is a torsion bar 62 made of a pipe at the upper end. The torsion bar 62 extends from the feed gear 24 in contact with the female shaft 9 to the area of the base plate 4 below through the stand 3 (FIG. 1). Here, the torsion bar 62 is composed of the ball socket joint 63 again at its free end. The torsion bars 50, 62 form a drive joint 64, which is shown in the outline by the broken line in FIG.

다음에는 크러치(55)의 구조를 도 6,8,9,10 및 11에 의하여 설명한다. 볼소케트조인트(63)는 레버(67) 구멍(66) 내에 고정되어 있는 핀(65)에 지지도이 있다. 레버(67)는 구멍(표시되어 있지 않음)과 크램핑조인트(68)로 구성되어 있다. 레버(67)는 구멍내에 고정되어 있는 중공축(69)과 연결되어 있다. 도 6에 따라 중공축(69)은 좌단부에서 전면(70)과 우단부에서는 프렌지(71)로 구성되어 있어서 여기에 3개의 반경방향에 따라 외부로 뻗어 있는 캐리어(72,73 및 74)가 들어 있다. 캐리어(72,73 및 74)는 주위에 걸쳐서 균일하게 즉 120°간격으로 마주하여 배열되어 있다. 캐리어(72,73,74)는 그의 외곽에서 각기 마찰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평탄하게 즉 평면상에 뻗어 있으며 환형의 일부와 일치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서 캐리어(72)는 마찰면(75)을 캐리어(73)는 마찰면(76)을 캐리어(74)는 마찰면(77)을 가진다. 요컨대 마찰면부분(75,76,77)은 추가로 정해야 할 제 2의 구동부(78)의 마찰면(75/76/77)(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형성한다. 레버(67) 및 중공축(69)은 이에 부수되는 캐리어(72,73,74)와 함께 크러치(55)의 제 2 구동부(78)를 형성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clutch 5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8, 9, 10 and 11. The ball socket joint 63 is supported by the pin 65 which is fixed in the hole 66 of the lever 67. The lever 67 is composed of a hole (not shown) and a clamping joint 68. The lever 67 is connected to the hollow shaft 69 fixed in the hole. According to FIG. 6, the hollow shaft 69 is composed of a front face 70 at the left end and a flange 71 at the right end, so that the carriers 72, 73, and 74 extending outward in three radial directions are provided. Listen. Carriers 72, 73 and 74 are arranged uniformly across the circumference, i.e. at 120 [deg.] Intervals. Carriers 72, 73 and 74 are each formed as a friction surface on the outside thereof. They are flat, i.e., flat, and have a shape coincident with part of the annulus. Accordingly, the carrier 72 has a friction surface 75, the carrier 73 has a friction surface 76, and the carrier 74 has a friction surface 77. In short, the friction surface portions 75, 76, 77 form a friction surface 75/76/77 (not shown) of the second drive portion 78 to be further defined. The lever 67 and the hollow shaft 69 together with the carriers 72, 73, 74 form the second drive 78 of the clutch 55.

후크(hook)(53)는 구멍 내부에 압입된 베어링부시(bearing bush)(80)를 가진 크랑크(79)의 일부이다. 크랑크(79)는 냄비형 하우징부(81)에 걸쳐 있는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원통형 중공실(82) 주위로 뻗어 있는 프렌지형 모서리(83)를 가지고 있다. 모서리(83)는 120°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3개의 돌기로 되어 있는데 그중에서 도 10에서는 돌기(84 및 85)들 만이 도시되어 있다. 돌기(84,85)및 제 3의 도시되어 있지 않은 돌기는 각기 나사구멍으로 되어 있다.The hook 53 is part of the crank 79 with a bearing bush 80 pressed into the hole. The crank 79 is composed of components spanning the pot-shaped housing portion 81 and has a flange-shaped edge 83 extending around the cylindrical hollow chamber 82. The edge 83 has three protrusions arranged at 120 ° intervals, of which only protrusions 84 and 85 are shown in FIG. 10. The projections 84 and 85 and the third unshown projections are respectively screw holes.

하우징부(81)는 나사조임면(88)을 가진 커버(87)로 덮여 있다. 더욱이 커버(87)는 그의 주위에 120°간격을 두고 배열된 3개의 돌기(89,90,91)로 되어 있으며 여기에 각각의 관통구멍(92)이 뚫려 있다. 구멍(92)과 나사구멍(86)은 일렬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다. 하우징부(81)와 커버(87)는 나사(93)로 고정되는데 이 나사는 구멍(92)와 나사구멍(86) 내에 들어 있다. 예컨대 이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The housing portion 81 is covered with a cover 87 having a threaded surface 88. Furthermore, the cover 87 is composed of three projections 89, 90 and 91 arranged at 120 ° intervals around the respective through holes 92. The holes 92 and the screw holes 86 are in positions facing each other in a line. The housing portion 81 and the cover 87 are fixed by screws 93, which are contained in the holes 92 and the screw holes 86. This is shown, for example, in FIG.

커버(87)는 조임면(88)에 대하여 돌출한 전면(94)으로 되어 있으며 그의 외곽 주위의 모서리(95)는 하우징부(81)의 홈(도시되어 있지 않음) 안으로 튀어나와 있어서 부품의 조합시 하우징부(81) 및 커버(871)에 가이드를 형성한다. 전면(94)에는 안으로 뻗어나 있는 3개의 마찰면 부분(96,97,98)이 들어 있는데 서로 120°각도로 배열되어 있다. 요컨대 마찰면부분(96,97,98)은 제 1 구동부분(54)의 마찰면(96/97/98)(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형성한다. 마찰면부분(96,97,98)은 모서리(102,103,104)와 이어져 하나의 홈(105)을 포함하는 모서리(99,100,101)에 의하여 경계를 이룬다. 도 8에 따라서 마찰면 부위(96,97,98)의 경계는 모서리(99,100,101)에 의하여 홈(105)안에 들어 있는 프렌지(71)는 캐리어(72,73,74)와 충분한 자유공간을 가지고 있어서 약 23°정도의 상대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 cover 87 is a front face 94 protruding with respect to the tightening surface 88 and the corners 95 around its periphery protrude into the grooves (not shown) of the housing portion 81 so that the combination of parts is achieved. Guides are formed in the housing portion 81 and the cover 871. The front face 94 contains three friction surface portions 96, 97 and 98 extending inwardly and arranged at 120 ° angles to each other. In short, the friction surface portions 96, 97, 98 form the friction surface 96/97/98 (not shown) of the first drive portion 54. The friction surface portions 96, 97, 98 are connected to the edges 102, 103, 104 and bounded by edges 99, 100, 101 including a groove 105. According to FIG. 8, the boundary between the friction surface portions 96, 97, and 98 is formed in the groove 105 by the edges 99, 100, and 101 and has sufficient free space with the carriers 72, 73, and 74. The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of about 23 ° is possible.

홈(105)은 커버(87)의 마찰면 부위(96,97,98)가 캐리어(72,73,74)의 마찰면부위(75,76,77)와 평행할때 약 2㎜의 유격(106)으로 떨어져 있다. 커버(87)는 유격을 가지고 중공축(69)을 포함하는 베어링구멍(107)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6)The groove 105 has a clearance of about 2 mm when the friction surface portions 96, 97, 98 of the cover 87 are parallel to the friction surface portions 75, 76, 77 of the carriers 72, 73, 74 ( 106). The cover 87 is composed of a bearing hole 107 having a clearance and including a hollow shaft 69 (FIG. 6).

중공축(69)내에는 중공축(108)이 있어 회전이 가능하며 현저한 유격없이 지지되어 있다. 중공축(108)은 한 단부에 숫나사를 가지며 자유단에는 프렌지(110)를 가지고 있다 (도 9 및 11) 프렌지(110)는 4개 구멍(111)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의 프렌지(110)에는 컵스프링(112)이 구멍(111)과 평행한 구멍(114)을 가진 내부(113)와 함께 배열되어 있다. 컵스프링(112) 내부(113)와 플렌지(110)는 구멍(111,114)을 통하여 뻗어 있The hollow shaft 69 has a hollow shaft 108 is rotatable and is supported without significant play. The hollow shaft 108 has a male thread at one end and a flange 110 at the free end (FIGS. 9 and 11). The flange 110 is formed of four holes 111 and has a front flange 110. Cup springs 112 are arranged with an interior 113 having a hole 114 parallel to the hole 111. The cup spring 112 inside 113 and the flange 110 extend through the holes 111 and 114.

는 리벳(115)에 의하여 서로 고정연결되어 있다.The rivets 115 are fixedly connected to each other.

컵스프링(112)은 또한 4개의 다리(leg)(117)에 의하여 내부(113) 및 외부(118)와 연결되어 있는 링(116)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리(117)는 서로 마주대하여 각각 90°로 편위되어 있으며 직경 방향에 따라 마주대하고 있는 다리는 내부(113) 및 외부(118)와의 결합을 이룬다. 외부(118)에는 마주대하여 돌기(119,120)가 그안에 각기 2개의 구멍(121)을 가지고 있다. 링(122)에는 구멍(121)에 평행한 나사구멍(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있다. 링(122)은 2개의 돌기(119,120)로서 4개의 나사(123)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링(122)은 예컨대 접착제로 링(122)과 고정되어 있는 마찰판(124)으로 되어 있다. 마찰판(124)의 자유단면을 마찰면(125)이라 한다.The cup spring 112 also consists of a ring 116 which is connected to the inner 113 and outer 118 by four legs 117. Legs 117 are opposed to each other are shifted by 90 ° and the legs facing in the radial direction are combined with the inner 113 and the outer 118. On the outside 118, the projections 119, 120 have two holes 121 therein, respectively. The ring 122 has a screw hole (not shown) parallel to the hole 121. The ring 122 is fixed with four screws 123 as two projections 119 and 120. In addition, the ring 122 is, for example, a friction plate 124 fixed to the ring 122 with an adhesive. The free end surface of the friction plate 124 is called a friction surface 125.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컵스프링(112)은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내부(113)가 외부(118)에 대하여 약 2.5㎜ 정도의 거리 a 만큼 편위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컵스프링(112)은 두께가 약 1.0㎜인 탄성스프링 강으로 되어있다. 컵스프링(112)은 두께가 약 1.0㎜인 탄성 스프링강으로 되어 있다. 컵스프링(112)의 상기 성형에 의하여 한쪽에서 중공축(108) 회전운동의 회전고정 전달이 마찰판(124)에 가능하게 된다. 한편 중공축(108)에 마찰판(124)을 가진 링(122)의 축방향에 따른 탄성변형이 컵스프링(112)의 하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중공축(108)은 그에 고정된 부품을 포함하여 종동부(126)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 11, the cup spring 112 has a shape in which the inside 113 is biased by a distance a of about 2.5 mm with respect to the outside 118 without being stressed. Cup spring 112 is made of an elastic spring steel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 mm. The cup spring 112 is made of elastic spring steel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 mm. The shaping of the cup spring 112 enables rotationally fixed transmission of the hollow shaft 108 rotational movement on one side to the friction plate 124. Meanwhile, the elastic deforma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ring 122 having the friction plate 124 on the hollow shaft 108 enables the load of the cup spring 112. The hollow shaft 108 includes a component fixed thereto to form the follower 126.

하우징부위(81)와 카버(87)와 같이 서로 나사체결이 된 부품은 폐쇄된 하우징(127)을 형성함으로 마찰면(75/76/77 및 96/97/98 및 125)으로 되어 있는 부품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Parts screwed together such as the housing portion 81 and the cover 87 form a closed housing 127 to form a friction surface (75/76/77 and 96/97/98 and 125). It will prevent contamination.

도 6에 따라서 중공축(108) 상에는 또한 다음에 설명할 리프팅기어(lifting gear) 부품이 수용되고 축방향에 따라 숫나사(109)와 물린 넛트(129)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넛트(129)는 또한 로크넛트(lock nut)로 되어 있어서 로크넛트(130)가 예로 도시되어 있다. 로크넛트(130)는 한편 넛트(129)가 자연히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또한편으로는 중공축(108)을 변형 시킴으로서 그안에 수용된 축(131)과 단단히 결합되도록 한다.According to FIG. 6, on the hollow shaft 108, a lifting gear component, which will be described next, is also received and fixed by a male screw 109 and a bite nut 129 along the axial direction. Nut 129 is also a lock nut, so locknut 130 is shown as an example. The locknut 130, on the other hand, prevents the nut 129 from naturally loosening and also deforms the hollow shaft 108 on the one hand so as to be firmly engaged with the shaft 131 accommodated therein.

축(131)과 베어링부시(80)는 그의 접촉부위에서 베어링(80/131)을 형성한다. 중공축(108)과 그 위에서 회전이 가능하고 축방향에 따라 슬라이딩이 되는 제 2 구동축(78)은 그의 접촉부위에서 회전-슬라이딩-베어링(108/69)을 형성한다 (도 6).The shaft 131 and the bearing bush 80 form bearings 80/131 at their contacts. The hollow shaft 108 and the second drive shaft 78 which is rotatable thereon and slid along the axial direction form a rotation-sliding-bearing 108/69 at its contact (FIG. 6).

축(131)은 베이스판(4) 내에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132,133)안에서 지지되어 있다. 축(131)은 이하 축(134)이라고 하는 회전축을 가지고 있다. 도 6에 따라서 제 1구동부(54), 제 2 구동부(78) 및 중공축(108)은 모든 마찰면(75/76/77, 96/97/98 및 125)을 포함하며 축(134)에 대하여 동심이다.The shaft 131 is supported in the bearings 132 and 133 formed in the base plate 4. The shaft 131 has a rotating shaft called the following shaft 134. According to FIG. 6, the first drive part 54, the second drive part 78 and the hollow shaft 108 include all friction surfaces 75/76/77, 96/97/98 and 125 and on the shaft 134. Concentric about.

다음에는 도 6과 7에 따라 리프팅기어(128)를 설명한다. 베이스판(4)은 베어링(135,136)으로 되어 있으며 그안에서 축(137)이 지지회전 된다. 축(137)은 암축(9)과 평행하며 기어벨트구동(138)에 의하여 변속비 1:1로 구동이 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기어벨트구멍(138)은 암축(9) 상의 기어벨트풀리(139), 축(137) 상의 기어벨트풀리(14) 및 기어벨트(141)로 되어 있다.Next, the lifting gear 128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The base plate 4 consists of bearings 135 and 136 in which the shaft 137 is supported to rotate. The shaft 137 is parallel to the arm shaft 9 and connected by a gear belt drive 138 to be driven at a gear ratio of 1: 1. The gear belt hole 138 consists of a gear belt pulley 139 on the female shaft 9, a gear belt pulley 14 on the shaft 137, and a gear belt 141.

축(137) 상에는 텐숀바(145)의 베어링구멍(144)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로크너트(142) 고정캠(143)이 설치되어 있다. 텐숀바(145)는 그의 자유단에서 2개의 다리(146,147)로된 포크형인데 그 사이에 홈(148)이 경계를 이루고 있다. 다리(146,147)는 면들(149,150) 및 추가로 키형상으로 되어 있는면(151,152)으로 형성되어 있다. 면(149,151)은 좁은모서리(153)에서 끝나며 또다른면(150,152)은 좁은 모서리(154)에서 끝난다. 이에 따라서 다리(146,147)는 그의 면(149, 151 및 150,152), 2개의 키(155 및 156)를 형성한다. 도 6에서 키(155)는 그의 단면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다른 키(156)도 동일하게 도시되어 있다.On the shaft 137, a lock nut 142 fixing cam 143 which is rotatable by the bearing hole 144 of the tension bar 145 is provided. The tension bar 145 is a fork with two legs 146 and 147 at its free end, with a groove 148 bounded therebetween. Legs 146 and 147 are formed with faces 149 and 150 and further with keys 151 and 152 in shape. Faces 149 and 151 end at the narrow edge 153 and another face 150 and 152 end at the narrow edge 154. Legs 146 and 147 thus form faces 149, 151 and 150, 152 and two keys 155 and 156. In Figure 6 the key 155 is shown in dashed lines in its cross section. Another key 156 is shown the same.

중공축(108)은 디스크(157)의 구멍을 통하여 뻗어 있으며 디스크는 중공축(108)상에서 유격없이 회전이 된다. 디스크(157)는 전면(158)을 가지고 있어서 중공축(69)의 전면(70)과 접해 있다. 또다른 전면(158)에 평행한 디스크(157)의 전면(159)은 너트(129) 홈(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구멍에 끼워져 있는 디스크(160)의 한축과 접해 있다. 디스크(160) 곁에 또하나의 디스크(161)가 있어서 구멍에 의하여 동시에 너트(129)의 상기 홈에 끼워져서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The hollow shaft 108 extends through the hole in the disk 157 and the disk is rotated freely on the hollow shaft 108. The disk 157 has a front surface 158 and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70 of the hollow shaft 69. The front face 159 of the disk 157 parallel to the other front face 158 abuts one axis of the disk 160 which is fitted into the hole of the nut 129 groove (not shown). Next to the disk 160 is another disk 161 which is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nut 129 by a hole and supported in the axial direction.

디스크(157)는 2개의 면(162,16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평면상에서 키형의 윤곽면(151,152)에 따라서 뻗어 있다. 면(162,163) 사에는 돌기(164)가 있으며 여기에 이미 언급한 전면(158)이 존재한다.The disk 157 is composed of two surfaces 162 and 163 and extends along the key-shaped contour surfaces 151 and 152 on one plane. There are protrusions 164 on facets 162 and 163 and there is a front face 158 already mentioned here.

조립상태(도 6)에서 너트(129)는 마찰면(125)이 마찰면 부위(96,97,98)에 접하여 컵스프링(112)이 초기응력을 받는 유사한 면을 가지도록 중공축(108)의 숫나사(109)와 조여진다. 이 결과 마찰면(125)이 스프링(112) 하중에 의하여 마찰면(96,97,98)에 접하게 된다. 동시에 스프링(112) 하중은 한편으로 하우징(127)이 하우징부위(81)의 베어링부시(80)와 더불어 프렌지(110)의 자유단에서 이에 대응하는 반력으로 장치와 접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순간에서 동시에 캐리어(72,73,74)의 마찰면 부위(75,76,77)가 중공축(108)의 마찰면에 접해 있다.In the assembled state (FIG. 6), the nut 129 has a hollow shaft 108 such that the friction surface 125 is in contact with the friction surface portions 96, 97 and 98 so that the cup spring 112 has a similar surface subjected to initial stress. Is tightened with a male screw (109). As a result, the friction surface 12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riction surfaces 96, 97, and 98 by the load of the spring 112. At the same time, the spring 112 loa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device on the one hand with the corresponding reaction force at the free end of the flange 110 together with the bearing bush 80 of the housing portion 81. At the moment shown in FIG. 6, the friction surface portions 75, 76, 77 of the carriers 72, 73, 74 are in contact with the friction surface of the hollow shaft 108.

축(131)에는 스포리킷(sprocket)(165)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에 무한 롤러체인이 감겨 있다. 롤러체인(166)의 자유단은 칼럼(5)내 베어링(167)에 지지되어 있는 스프로킷(168)에 수용되어 있다. 스프로킷(165 및 168)이 동일한 치수를 가지고 있으므로 체인구동(169)은 변속비가 1:1이다. 스프로킷(168)은 치고가 1㎜ 정도인 치를 가진 치차(170)와 고정결합되어 있다. 치차(170)는 베어링(171)에 지지되어 있는 이에 상응하는 치를 가진 상위 치차와 물려 있다. 상위 치차는 하위 봉재푸셔(172)를 구성하는데 이는 칼럼(5)에 고정된 침판(173)의 홈(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통하여 상부(도 14)로 약간 돌출되어 있어서 항시 봉재(174)와 접하게 된다.A sprocket 165 is attached to the shaft 131 and an endless roller chain is wound thereon. The free end of the roller chain 166 is accommodated in the sprocket 168 supported by the bearing 167 in the column 5. Since the sprockets 165 and 168 have the same dimensions, the chain drive 169 has a gear ratio of 1: 1. The sprocket 168 is fixedly coupled to the tooth 170 having a tooth having a tooth of about 1 mm. The tooth 170 is meshed with the upper tooth with the corresponding tooth supported on the bearing 171. The upper gear constitutes the lower bar pusher 172, which projects slightly through the groove (not shown) of the needle plate 173 fixed to the column 5 to the upper part (FIG. 14) so that it is always with the bar bar 174. You will come across.

축(131)에는 스프로킷(175)이 설치되어 있어서 무한 기어벨트(176)가 걸려 있다. 베어링(178,179)에 지지되어 있는 축(180)상의 스포로킷(177)은 기어벨트(176)의 자유단을 감고 있다. 스프로킷(175 및 177)은 동일한 치수를 가지고 있으므로 기어벨트구동(181)의 변속비는 1:1로 되어 있다.The sprocket 175 is attached to the shaft 131, and the endless gear belt 176 is hung. The sprocket 177 on the shaft 180 supported by the bearings 178, 179 winds the free end of the gear belt 176. Since the sprockets 175 and 177 have the same dimensions, the speed ratio of the gear belt drive 181 is 1: 1.

재봉틀헤드(6) 내에는 수직(도 1)으로 설치된 축(182)이 베어링(183,184)에 지지되어 있다. 축(182)은 제 1 베벨구동(185)과 제 2베벨구동(186)에 의하여 하나의 치차와 구동결합이 된다. 치차는 그의 주위에서 하위봉재푸셔(172)와 유사하게 물려 있어서 상위 봉재푸셔(187)를 구성한다. 상위 봉재푸셔(187)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암(188)에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암(188)은 공지되어 있는 방법대로 상위 봉재푸셔(187)가 봉재(174)를 하위 봉재푸셔(172)에 압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sewing machine head 6, a shaft 182 provided vertically (FIG. 1) is supported by bearings 183 and 184. The shaft 182 is driven and coupled with one tooth by the first bevel drive 185 and the second bevel drive 186. The tooth is bitten around the lower bar pusher 172 and constitutes the upper bar pusher 187. The upper bar pusher 187 is supported by the bearing arm 188 to allow rotation. The bearing arm 188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bar pusher 187 presses the bar 174 to the lower bar pusher 172 in a known manner.

상기 봉재푸셔(172 및 187)는 각기 휠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항시 봉재와 접하여 있다. 이와 동일하게 밴드, 벨트 또는 체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봉재푸셔로도 가능하다.The bar pushers 172 and 187 are each formed in the form of a wheel and are in contact with the bar at all times. Similarly, it is possible to use a bar pusher composed of a band, belt or chain.

피드구동(24), 리프팅기어(128), 크러치(55) 및 봉재푸셔(172,187)를 포함한 이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부품들이 피드장치(189)를 구성한다.Feed components 24 and driving components connected therewith, including feed drive 24, lifting gear 128, clutch 55, and bar pushers 172 and 187, constitute feed device 189.

피드장치(189)의 작동방법은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feed device 189 is as follows:

암축(9)이 한 회전하면 텐숀바(44)의 캠(46)이 운동을 전달하게 되는데 베어링프레임(20)에 위치한 조인트(34 및 39,40)에 의하여 크랑크(23)에 진동을 부여함에 따라서 진동축(19)으로 전달된다. 베어링프레임(25)의 위치에 따라서 진동운동은 그의 진폭이 영(0)과 최대치 사이에서 무단으로 가변적이며 그의 진도방향(위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방향으로 가변적이다.When the arm shaft 9 is rotated one by one, the cam 46 of the tension bar 44 transmits the motion, and the vibrations are applied to the crank 23 by the joints 34, 39, and 40 located in the bearing frame 20. Therefore, it is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shaft (19).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bearing frame 25, the vibratory motion is variable in amplitude between the zero and the maximum endlessly and in its progressive direction (phase forward or backward).

진동축(19)의 진동은 크랑크저널(18)과 텐숀바(17)에 의하여 베어링프레임(17)에 의하여 베어링프레임(13)에 전달되는데 이에 따라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암축(9)의 회전운동과 더불어 똑같이 침봉(11)의 상하운동이 크랑크구동(10)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The vibration of the oscillation shaft 19 is transmitted to the bearing frame 13 by the bearing frame 17 by the crank journal 18 and the tension bar 17, thereby reciprocating. Along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arm shaft (9),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needle bar (11) is made by the crank drive (10).

크랑크구동(10)에 대하여 캠(46)을 위상에 따라 정확한 설정을 하면 바늘(12)은 침봉(11)의 상하운동이 크랑크구동(10)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크랑크구동(10)에 대하여 캠(46)을 위상에 따라 정확한 설정을 하면 바늘(12)은 침봉(11)의 상하운동과 베어링프레임(13)의 왕복운동으로부터 소위 침의 이송운동을 한다. 동시에 침(12)의 하단은 순간적으로 재봉판(173) 내에 있는 긴구멍형의 탬홀내로 들어간다.When the cam 46 is correctly set according to the phase of the crank drive 10, the needle 12 is vertically moved by the crank drive 10 by the needle bar 11. When the cam 46 is correctly set according to the phase with respect to the crank drive 10, the needle 12 performs the so-called needle feeding movement from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needle bar 11 and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bearing frame 13. At the same time, the lower end of the needle 12 enters into the long hole-shaped tamhole in the sewing plate 173 instantaneously.

크랑크(23)와 진동축(19)과 연결되어 있는 크랑크(57)는 텐숀바(50 및 62)의 상하운동을 하게 됨으로 제 1 구동부(54)와 제 2 구동부(78)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축(131) 주위로 회전하게 된다.The crank (57), which is connected to the crank (23) and the oscillation shaft (19), moves up and down the tension bars (50 and 62), so that the first drive unit (54) and the second drive unit (78) are in opposite directions. It is rotated about the axis 131.

회전운동은 캐리어(72,73,74)가 마찰면(97,97,98)을 가진 커버(87) 영역에 대하여 각기 충돌하지 않고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rotational movement is such that the carriers 72, 73 and 74 can move without colliding with respect to the area of the cover 87 having the friction surfaces 97, 97 and 98, respectively.

암축(9)의 회전과 더불어 기어벨트구동(138)에 의하여 축(137)의 회전이 이루어짐으로 텐숀바(145)의 캠(143)은 진동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서 텐숀바(145)에 형성되어 있는키(155,156)는 반경방향에 따라서 축(131) 방향의 왕복 피드운동을 유도한다. 이와 동시에 기타 발생하는 디스크(157)를 포함하는 키(155,156)의 축(131)을 중심으로 한 왕복회전 운동은 이때 중요하지 않다.As the shaft 137 is rotated by the gear belt driving 138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arm shaft 9, the cam 143 of the tension bar 145 transmits vibration. Accordingly, the keys 155 and 156 formed on the tension bar 145 induce a reciprocating feed motion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131 along the radial direction. At the same time, the reciprocating motion about the axis 131 of the keys 155 and 156, including the other occurring disks 157, is not important at this time.

키(155,15)의 운동은 디스크(157)에서 왕복운동으로 전환됨으로서 중공축(108)상의 프렌지(71)는 컵스프링(112)의 하중작용에 반하여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캠(143 및 46)의 상호 위상보정을 한다는 가정하에서 왕복회전운동과 축운동의 중첩이 이루어짐으로 캐리어(72,73,74)가 리프팅(lifting) 운동을 하게된다. 이에 따라서 캐리어(72,73,74)는 때로는 제 1 구동부(54) 및 때로는 제 2 구동부(78)와 구동이 되도록 연결이 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일정시간 중의 일부 기간중에 도 6(122)의 마찰면(125)은 캐리어(72,73,74)의 마찰부문(75,76,77)과 접하며 또다른 일부 기간에서는 커버(87)의 마찰면부문(96,97,98)과 접하게 된다. 컵스프링(112) 하강작용에 따라서 각각 마찰에 의한 회전토크의 전달이 된다.The movement of the keys 155, 15 is converted to reciprocating motion in the disk 157 so that the flange 71 on the hollow shaft 108 reciprocates against the loading action of the cup spring 112.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cams 143 and 46 are mutually phase-corrected, the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and the axial motion are superimposed so that the carriers 72, 73, and 74 carry out a lifting motion. Accordingly, the carriers 72, 73, 74 are sometimes connected to be driven with the first driver 54 and sometimes with the second driver 78. More specifically, during some period of time, the friction surface 125 of FIG. 6 122 contacts the frictional sections 75, 76, 77 of the carriers 72, 73, 74, and in some other periods the cover 87 ) Are in contact with the friction surface sections (96, 97, 98). In accordance with the cup spring 112 lowering action, the rotation torque is transmitted by friction.

도 6에서 리프팅유동으로 인한 링(123)의 반작용을 하는 시점이 제시되어 있으며 이때 마찰면(126)은 순간적으로 모든 기타 마찰면(75,76,77)과 (96,97,98) 접하게 된다. 구동부(54,78)에서의 발진운동은 이순간에 바로 그의 운동방향을 반전한다는 점에서 허용이 된다. 약간의 공차를 도외시하면 이에 따라서 링(123)의 반작용이 주로 일순간에 일어나며 이때 구동부(54,78)의 회전속도는 영값(0)을 취한다.In Fig. 6, the time of reaction of the ring 123 due to the lifting flow is presented, in which the friction surface 126 instantaneously comes into contact with all other friction surfaces 75, 76, 77 and 96, 97, 98. . The oscillation motion in the drive sections 54 and 78 is allowed in that it reverses its direction of movement immediately at this moment. Neglecting a small tolerance, the reaction of the ring 123 occurs mainly in one moment,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unit 54, 78 takes a zero value (0).

설명한 작동방법으로 일정한 방향에 따라 펄스(pulse)회전운동이 축(131)에서 행해진다. 이로부터 회전운동의 전달은 체인구동(169)에 의하여 한측으로 하부 봉재푸셔(172)에 전달된다. 기어(170)의 개입으로 회전의 반전이 이루어짐으로서 하부 봉재푸셔(172)가 봉제품(174)을 화살표방향(190)으로 밀어준다. 마찬가지로 베벨구동(185,186)은 그의 변속비에 따라 봉재푸셔(172,182)에 대한 암축의 매회전달 피드거리가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한다.In the operation method described, a pulse rotational motion is performed on the shaft 131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is, the transmission of the rotary motion is transmitted to the lower bar pusher 172 to one side by the chain drive (169). As the rotation is reversed by the intervention of the gear 170, the lower bar pusher 172 pushes the bar 174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190. Similarly, the bevel drives 185 and 186 allow the feed shaft feed distance of the arm shaft to the bar pushers 172 and 182 to be the same size according to the speed ratio thereof.

지지프레임(13) 구동과 봉재푸셔(172,187) 구동과의 구동결합에 의하여 침(12)은 구동부(54,78)의 하나가 작동중 화살표(190) 방향에 따라서 침의 이송운동을하며 구동부(54,78)중 다른 구동부의 작동중에는 화살표방향과 반대쪽으로 움직인다.By driving coupling between driving of the support frame 13 and driving of the pusher pusher 172 and 187, the needle 12 moves the needle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190 while one of the driving units 54 and 78 is in operation. 54, 78)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during operation of the other drive unit.

이에대한 유리한 점을 들면 하나이며 동일한 슬라이딩 기어(sliding gear)(24)에 의하여 전달됨으로서 서로 부합된다. 이는 지지프레임(25)의 조정이 동시에 지지프레임(13)의 왕복운동과 봉재푸셔(172 및 187)의 회전운동에 영향을 주게된다.An advantage for this is one and is matched to each other by being transmitted by the same sliding gear 24. This is because the adjustment of the support frame 25 affects the reciprocation of the support frame 13 and the rotation of the bar pushers 172 and 187 at the same time.

끝으로 또한 부연할 것은 봉제품(174)을 화살표방향(191)에 따라서 반송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프레임(13)의 조정도 할 수 있다는 점이다.Finally, it should be further noted that the support frame 13 can also be adjusted to convey the finished product 174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191.

일정한 변속비에 따른 피드운동을 부여하여 마모를 감소시켜줄수 있는 재봉틀의 피드장치로 사료된다.It is considered to be a feed device of a sewing machine that can reduce wear by giving a feed motion according to a constant speed ratio.

Claims (25)

다음 즉Then - 봉제품(174)과 항상 접하고 있는 봉재푸셔(172 ; 187)A bar pusher (172; 187) that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bar (174) - 제 1 구동부(54)와 제 2 구동부(78)에 가변 왕복운동을 주기위한 피드기어(24)A feed gear 24 for giving a variable reciprocating motion to the first drive 54 and the second drive 78. - 구동부(54,78)는 마찰면(96/97/98,75/76/77)으로 형성되어 있으며-The driving parts 54, 78 are formed with friction surfaces (96/97 / 98,75 / 76/77) - 종동부(126)는 마찰면(125)으로 구성되어 봉재푸셔(172 ; 187)와 구동연결되어 있으며-The driven part 126 is composed of a friction surface 125 is connected to the driving pusher (172; 187) - 구동부(54,78)와 종동부(126)사이에서 상대운동에 의하여 왕복운동을 시켜 주기위한 왕복기어(128)Reciprocating gear 128 for reciprocating by relative movement between drive section 54 and 78 and follower section 126 - 이때 제 1 구동부(54)의 마찰면(75/76/77)과 왕복운동의 일부를 수행하며 제 2 구동부(78)의 마찰면(96/97/98)과 왕복운동의 기타부분을 수행하는 중에 마찰에의하여 결합가능한 것들의 특징들을 가진 재봉틀(1)의 피드장치에 있어서,At this time, the friction surface 75/76/77 of the first drive unit 54 performs a part of the reciprocating motion and the friction surface 96/97/98 of the second drive unit 78 performs other parts of the reciprocation motion. In the feed device of the sewing machine (1)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that can be engaged by friction during - 구동부(54,78)와 종동부(126)는 베어링(80/131,108/69)내에서 한 축(134)에 대하여 동심이며,Drive 54, 78 and follower 126 are concentric about one axis 134 in bearing 80/131, 108/69, 이때 구동부(54,78)에서 피드운동은 반대방향의 회전-진동-운동 으로서 그리고 종동부(126)에서는 축(134)주위로 동일 회전-운동이 가능하며,At this time, the feed motion in the drive unit 54, 78 is the rotation-vibration-movem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same rotation-movement around the axis 134 in the follower 126, - 베어링(80/121,108/69)은 축(134)의 종방향에 따라 왕복은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회전-슬라이드-베어링(108/69)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장치.Fee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rings (80/121, 108/69) have a rotation-slide-bearing (108/69) for carrying out reciprocating movement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134).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구동부(54,78)와 종동부(126)는 축(134)을 둘러싼 축(131)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장치.The feeder (54, 78) and the follower (126) is provided on the shaft (131) surrounding the shaft (134).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베어링(80/131,108/69)은 축(131)상에서 직접 수용되어 있는 베어링 부시(80)와 축(131)상에 고정적으로 수용되어 있는 중공축(108)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장치.Fee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ring (80/131, 108/69) has a bearing bush (80) directly received on the shaft (131) and a hollow shaft (108) fixedly received on the shaft (131).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or 3, 축(131)은 마찰면(125)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장치.Feed shaft, 131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with the friction surface (125).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중공축(108)은 마찰면(125)과 결합되어 있는 프렌지(110)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장치.Feed shaft,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shaft 108 has a flange (110) coupled with the friction surface (125).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축(131)은 마찰면(125)과 결부되어 있는 프렌지(110)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을 하는 피드장치.Feed shaf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lange (110) associated with the friction surface (125). 제 5항 또는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or 6, 프렌지(110)에는 마찰면(125)을 가지고 있는 링(122)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장치.Fee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nge 110 is attached to the ring 122 having a friction surface (125).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프렌지(110)와 링(122)사이에는 컵스프링(112)이 축방향에 따라 스프링하중에 대하여 서로 마주대하여 슬라이딩이 가능하면서 회전고정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는 부품들(113,118)이 감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장치.Between the flange 110 and the ring 122, the cup springs 112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spring load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parts 113 and 118 coupled to each other by rotational fixation are considered. Feed device. 제 7항 또는 8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링(122)은 마찰면(125)의 마찰라이닝(124)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장치.Feed 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122 has a friction lining 124 of the friction surface (125). 제 1항 내지 9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마찰면(75/76/77,96/97/98,125)은 축에 대하여 평면과 직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장치.Fee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iction surface (75/76/77, 96/97/98, 125) 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with respect to the axis.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 제 1 구동부(54)의 마찰면(96/97/98)은 몇개의 서로 마주대하여 떨어져 있는 마찰면 부분(96,97,98)을 가지며The friction surfaces 96/97/98 of the first drive 54 have several friction surface portions 96, 97, 98 facing each other apart; - 제 2 구동부(78)의 마찰면(75/76/77)은 동일한 개수의 서로 마주대하여 떨어져 있는 마찰면 부분(75,76,77)을 가지며The friction surfaces 75/76/77 of the second drive 78 have the same number of friction surface portions 75, 76, 77 facing away from each other; - 제 1 구동부(54)의 마찰면 부분(96,97,98)과 인접하여 제 2 구동부(78)의 마찰면 부분(75,76,77)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장치.A feed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a friction surface portion (75, 76, 77) of the second drive (78) adjacent the friction surface portion (96, 97, 98) of the first drive (54).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구동부(54,78)의 각 마찰면(96/97/98 및 75/76/77)은 3개의 마찰면 부분(96,97,98 및 75,76,77)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Each friction surface 96/97/98 and 75/76/77 of the drive section 54, 78 is composed of three friction surface portions 96,97,98 and 75,76,77 Device. 제 10 내지 1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마찰면 부분(96,97,98 및 75,76,77)은 일반적으로 축으로부터(134) 동일한 폭만큼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Friction surface portions 96, 97, 98 and 75, 76, 77 are generally spaced apart from the axis 134 by the same width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제 1 구동부(78)의 마찰면 부분(96,97,98)은 커버(87)에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87)는 홈(105)을 가지고 있어서 그 안에 제 2 구동부(78)의 마찰면 부분(75,76,77)이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Friction surface portions 96, 97, 98 of the first drive portion 78 are formed in the cover 87 and the cover 87 has a groove 105 so that the friction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drive portion 78 is therein. And (75,76,77) housed therein. 전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마찰면(75/76/77,96/97/98,125)은 밀폐된 하우징(127)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friction surface (75/76 / 77,96 / 97 / 98,125) is installed in a sealed housing (127).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왕복기어(128)는 텐숀바(145)에 있는 키(155 ; 156)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장치.The reciprocating gear (128) is a fee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the key (155; 156) in the tension bar (145).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키(155 ; 156)는 축 상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디스크(157)에 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key (155; 156) is in contact with a disk (157) which is supported to be rotatable on an axis.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키(155 ; 156)는 중공축(108)상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디스크에 (157)에 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key (155; 156) abuts (157) on a disk which is supported to be rotatable on the hollow shaft (108). 제 15항 내지 18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18, 텐숀바(145)에는 2개의 키(155,156)가 그 사이에 있는 홈(148)과 함께 구성되어 있어서 이를 통하여 축(131)이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tension bar (145)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keys (155,156) are configured with a groove (148) therebetween, through which the shaft (131) extends. 제 17항 또는 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or 18, 디스크(157)는 전면(158)에 의하여 제 2 구동부(178)에 위치한 전면(70)에 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Disc (157)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surface (158)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70) located in the second drive (178). 제 14항 또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텐숀바(145)는 중공축(108)상에 지지되고 축방향에 따라 조여진 너트(129)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디스크(160)가 접촉된 면(149 ; 150)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tension bar 145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urface 149; 150 in contact with the disk 160, which is supported on the hollow shaft 108 and fixed by an axially tightened nut 129. . 전항들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피드기어(24)는 볼베어링(49,51,61,63)으로 구성되어 있는 텐숀바(50,62)에 의하여 구동이 되도록 구동부(54,78)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feed gear (24)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drive (54, 78) to be driven by a tension bar (50, 62) consisting of ball bearings (49, 51, 61, 63). 제 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피드기어(24)는 구동이 되도록 침봉(11)의 지지프레임(13)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feed gear (24)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3) of the needle bar (11) to be driven. 제 22항 또는 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or 23, 피드기어(24)는 재봉틀(1)이 돌아가는 도중에 작동이 가능한 조정기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Feed gear (2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is composed of a control gear that can be operated during the return of the sewing machine (1). 제 22항 내지 2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2 to 24, 종동부(126)는 구동이 되도록 상부의 봉재 푸셔(187)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follower (126)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bar pusher (187) to be driven.
KR1019990009787A 1998-03-24 1999-03-23 Feeding device for the sewing machine KR10057057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12913.0 1998-03-24
DE19812913A DE19812913C2 (en) 1998-03-24 1998-03-24 Feed device for a sew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138A true KR19990078138A (en) 1999-10-25
KR100570573B1 KR100570573B1 (en) 2006-04-12

Family

ID=786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787A KR100570573B1 (en) 1998-03-24 1999-03-23 Feeding device for the sewing machin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570573B1 (en)
CN (1) CN1100906C (en)
DE (1) DE19812913C2 (en)
TW (1) TW431447U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10522B4 (en) * 2002-03-07 2004-03-25 Pfaff Industrie Maschinen Ag Feed device for a sewing machine
JP4185393B2 (en) * 2003-04-16 2008-11-26 ペガサスミシン製造株式会社 Sewing machine presser equipment
CN1328362C (en) * 2005-09-12 2007-07-25 武佃秀 Efficient multifunctional lubricant and its prep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23202C2 (en) * 1972-05-12 1983-01-13 Hans-Günther Ing.(grad.) 7520 Bruchsal Tölle sewing machine
DE3210997C2 (en) * 1982-03-25 1989-11-23 Kochs Adler Ag, 4800 Bielefeld Feed gear of a sewing machine
DE3546541A1 (en) * 1985-05-09 1987-05-14 Pfaff Ind Masch Sewing machine with a feed device
JPS63139593A (en) * 1986-11-29 1988-06-11 ジューキ株式会社 Work feeder of sewing machine
DE4002382A1 (en) * 1990-01-27 1991-08-08 Pfaff Ag G M Sewing machine - has precision couplings, for forward and reverse cloth advance mechanism
KR950004629B1 (en) * 1992-09-19 1995-05-03 이종범 Pl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0573B1 (en) 2006-04-12
DE19812913C2 (en) 2000-04-27
CN1232894A (en) 1999-10-27
TW431447U (en) 2001-04-21
DE19812913A1 (en) 1999-10-07
CN1100906C (en) 200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0696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EP0866240B1 (en) Belt tensioner
CA1272045A (en) Intermittent drive mechanism
US5513586A (en) Belt driven looper drive
US4858815A (en) Friction welder mechanism
KR880701160A (en) Motor driven fastener drive with movable anvil
KR100718060B1 (en) An apparatus and power-transmitting method of belt type turret
ATE122439T1 (en) DEVICE FOR TENSIONING DRIVE BELT.
KR19990078138A (en) Feeding device for the sewing machine
US4512272A (en) Sewing machine reversible feeding mechanism
US5549507A (en) Combined motor and mechanical drive for use in oscillating spindle sander
CA2512079C (en) Vibrator assembly for strapping machine weld head
US5546878A (en) Looper drive mechanism for sewing machine
JPH07275541A (en) Belt driven type puller mechanism
JPH0796296B2 (en) Internal worm drive means
US20050192135A1 (en) Non-stage transmission and device having non-stage transmission
RU1821363C (en) Drive of wood-working machine
JP4440018B2 (en) Power steering device
JP2019154510A (en) Needle shuttle timing adjustment device of sewing machine
KR960008324Y1 (en) Regulation apparatus of tension in belt of noodle - making machine
KR940008165B1 (en) Clutch reversing roll feed for a sewing machine
JPH07187345A (en) Sheet material intermittent feeder
KR950008406Y1 (en) A sewing machine
KR200249718Y1 (en) Steel plate feeder for press
SU1219849A1 (en) Flexible coupling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