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713A - 휴대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713A
KR19990077713A KR1019990007757A KR19990007757A KR19990077713A KR 19990077713 A KR19990077713 A KR 19990077713A KR 1019990007757 A KR1019990007757 A KR 1019990007757A KR 19990007757 A KR19990007757 A KR 19990007757A KR 19990077713 A KR19990077713 A KR 19990077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ion
reception status
threshold value
error r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토리마코토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77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71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3Indication means, e.g. displays, alarms, audibl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기는 데이터 통신 등의 통화와는 다른 통신이 행해질 때 양호한 통신상태를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게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2)는 제 1임계값과 비교하여 수신상황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수신상황을 판단할 뿐만아니라 제 2임계값과 비교하여서도 이를 판단하고, 제어부에서 제 1임계값과의 비교에 의거한 수신상황과 제 2임계값과의 비교에 의거한 수신상황이 각각 다른 통지부(35, 36)에 의해 통지되도록 된 구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통신단말기{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행하는 휴대전화 단말기 등의 휴대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각종 휴대전화 단말기가 실제 사용되고 있고, 이것은 소정의 무선기지국과 무선통신을 행하고 이 기지국을 통해 접속된 상대방과 통화를 한다. 여기에서, 휴대전화 단말기가 통화를 행할 수 있는 전제조건은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는 영역내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휴대전화 단말기에 장치되는 표시패널(액정표시부 등)은 복수의 단계로 기지국으로부터 무선파의 수신상황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고 동시에 사용자가 그 표시를 확인하여 단말기가 단말기로부터의 발신과 기지국으로부터의 호출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 표시패널에 의한 수신상황의 표시에 대해, 예를들면 기지국으로부터의 무선파의 수신레벨에 따라 대략 4단계의 복수의 단계로 표시된다. 표시는 기지국과 통화를 전혀 행할 수 없는 상황에서부터 통화를 매우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상황까지 복수의 단계로 행해진다. 예를들어, 무선전화 방식의 휴대전화 단말기의 경우에, 수신 데이터의 에러율(오차율)은 경계로서 0.3%, 1% 및 3%의 3개의 값을 갖는 4단계로 구분되고, 이에의해 표시를 4단계로 행한다. 일반적으로, 통화에서 음성데이터를 전송할 때, 만약 오차율이 0.3%정도의 값 이하이면, 통화에 손상이 되지 않는 정도의 품질의 음성전송이 될 수 있다.
반면, 예를들어 휴대전화가 기지국에 비교적 가까이 위치하더라도, 휴대전화 단말기의 상황은 때때로 몇몇 종류의 장애나 전파상황 등으로 인해 더 악화된다. 이와같은 경우에, 수신상황은 많은 경우에 휴대전화 단말기의 위치나 방향(정확히 말해, 단말기에 부착된 안테나의 위치나 방향)을 단순히 변화시키므로써 개선된다.
한편, 휴대전화 단말기를 소형 정보처리단말기(예를들면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장치, 전자 노트북장치 등)와 접속한 후에 휴대전화 단말기를 전화회선을 통해 몇몇 종류의 데이터 통신네트워크와 접속하므로써 전자우편 데이터의 송수신, 각종 인터넷 홈페이지의 열람 등의 각종 데이터 통신을 행해왔다.
그런데, 상기 데이터통신이 휴대전화단말기를 사용하여 행해질 때, 전송에러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송에러가 있을 때에도, 이들이 전송 데이터에 부착된 에러정정부호에 의해 거의 완전하게 정정되는 한 바로 이들 중 몇몇만이 허용될 수 있다. 즉, 데이터통신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에서 에러가 있을 때, 전자우편 등의 정확한 표시를 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는 또한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에서, 휴대전화단말기에 제공되는 수신 레벨표시는 상기한 바와같이, 통화 음성을 전송할 수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한 레벨 표시이고, 수신 레벨 표시에 의한 최고 레벨의 몇몇 상태의 표시(예를들어, 수신 데이터의 에러율이 0.3% 이하에 대응하는 표시)가 행해질 경우에도, 에러율이 데이터 통신에 부적절한 경우처럼 양호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질 수 없다. 예를들어, 수신 데이터 에러율이 0.3%인 경우에, 가장 양호한 상태는 단말기의 수신 레벨표시로 표시되지만, 데이터 통신에 대한 에러율은 여전히 높고, 이에의해 수신 데이터의 에러가 증가하거나 에러가 발견된 데이터의 재전송처리를 행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일으킨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휴대전화 단말기에 장치된 표시패널에 의한 수신 레벨 표시가 데이터 전송에 적절한 상황인지를 판단할 수 있기 위해 더 세밀한 단계로 행해지는 방법이 가능하지만, 목소리에 의한 음성통화 시간을 고려할 때, 통화에 적절한 상황에 있더라도, 레벨이 복수의 단계로 표시되고, 이것은 필요이상으로 세밀한 표시가 되게 하고, 이에의해 사용자를 곤란하게 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세한 레벨 표시가 행해지는 경우에도, 사용자측은 어느 정도 이상의 레벨이 데이터 통신에 적합한지를 쉽게 판단하는 것이 어려웠다.
한편, 여기에서는, 무선전화회선용 휴대전화 단말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상기 무선전화회선 이외의 다른 무선통신 회선용 휴대전화 단말기의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가 있다.
상기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와는 다른 데이터 통신 등의 통신이 행해질 때 양호한 수신 상태를 간단하게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처리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안테나 13, 수신부
14. 복조부 15. 복호화기
31. 에러율측정부 32. 중앙처리부(CPU)
33. 메모리 34. 표시제어부
35. 발광다이오드 36. 액정표시패널
36a. 수신레벨표시부
본 발명의 제 1형태는, 수신상황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수신상황이 제 2임계값 뿐만아니라 제 1임계값과 비교하여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고, 제어부에 의한 제 1임계값과의 비교에 따른 수신상황과 제어부에 의한 제 2임계값과의 비교에 따른 수신상황이 각각 다른 통지부에 의해 통지되도록 구성된다.
예를들어,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 1임계값과의 비교에 따른 수신상황의 통지부는 음성통화에 적합한 수신상황의 통지 처리를 행할 수 있고, 제 2임계값과의 비교에 따른 수신상황의 통지부는 데이터 통신에 적합한 수신상황의 통지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형태는 수신상황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최상의 수신상황값을 보존하고 이 보존된 수신상황값을 수신상황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수신상황값과 비교하는 제어부와, 제어부가 제어부에 의해 보존된 수신값과 거의 동일한 수신상황값을 검출할 때 이 사실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보존된 최상의 수신상황과 거의 동일한 수신상황이 통지될 때 소정 시간의 위치에 대해 가장 양호한 수신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여기에는 무선전화 방식의 휴대전화 단말기로서의 구성이 나타나 있다. 이 구성을 설명할 것이다. 안테나(11)는 안테나 공용기(12)를 통해 수신부(13)에 접속되고 수신부는 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된 신호 중에서 소정의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처리를 행한다. 그리고나서 수신부(13)에 의해 출력된 수신신호는 복조부(14)에 공급되어 복조되고 이 복조 출력은 복호화기(15)에 공급되어 송신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복호화기(15)에 의한 출력은 데이터처리부(16)에 공급되어 수신에 필요한 데이터처리된다. 여기에서 데이터처리에 대해서, 음성데이터가 수신 데이터에 포함될 때 음성 데이터는 추출처리되어 음성처리부(17)에 공급된다. 음성처리부(17)는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만드는 처리를 행하고 이 처리된 아날로그 신호를 음방출을 위해 스피커(18)에 공급한다.
마이크(21)에 의해 수신되어 출력된 음성신호는 음성처리부(17)에 공급되어 디지털 음성데이터로 만들어지고 이 디지털 음성데이터는 데이터처리부(16)에 공급되어 송신용 데이터 구성으로 만들어진다. 그리고나서, 데이터처리부(16)에 의해 출력된 송신용 데이터는 부호화기(22)에 공급되어 부호화처리 되고, 이 처리된 신호는 변조부(23)에 공급되어 변조처리 되고, 이 변조된 신호는 송신부(24)에 공급되어 소정의 송신 주파수의 송신신호로 만들어져서 무선송신을 위해 안테나 공용기(12)를 통해 안테나(11)에 공급된다.
지금까지, 통화음성의 처리방식을 설명하였는데, 각종의 데이터 통신이 무선전화회선을 거쳐 행해질 경우에, 수신 시스템의 처리는, 수신부(13)에서 복호화기(15)까지는 음성데이터가 수신된 경우와 동일한 처리가 행해지고, 데이터처리부(16)로부터 송신된 데이터가 추출되고 이 추출된 데이터는 데이터 입출력단자(19)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송신 시스템의 처리에 대해서는, 데이터 입출력단자(19)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데이터처리부(16)에 의해 송신용 데이터 구성으로 만들어지고, 이 데이터처리부(16)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는 부호화기(22)에 공급되고, 무선송신에 대해 부호화기(22)에서 송신부(24)까지는 음성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와 동일한 처리가 행해진다.
이 송수신처리는, 휴대전화단말기의 각 부분의 동작제어를 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인 중앙처리부(CPU)(32)에 의한 제어에 의거하여 행해진다. 중앙처리부(32)에 의한 제어구성에 대한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이 예는 복조부(14)에 의한 출력과 복호화기(15)에 의한 출력에 의거하고, 에러율측정부(31)에 의한 측정출력에 의거하여 수신 데이터의 에러율을 측정하는 에러율 측정부(31)가 장치되어 중앙처리부가 수신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구성이다.
에러율 측정부(31)는 수신데이터의 에러율로서의 에러율을 복조부(14)에 의해 출력된 에러정보와, 복호화기(15)에 의해 출력된 정정정보와 프레임조사정보로부터 측정한다. 측정될 에러율은 예를들어, 각 프레임 데이터마다의 에러율을 나타내기 위해 측정되는 프레임에러율(FER)과 비트마다의 에러율을 나타내기 위해 측정되는 비트에러율(BER)이고, 측정된 에러율의 값은 중앙처리부(32)에 공급된다. 측정된 에러율의 값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33)는 중앙처리부(32)에 접속되어 있고 데이터통신모드가 적절한 상태에 놓여 있을 때의 에러율값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중앙처리부(32)는 공급된 에러율값과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고, 에러율값이 이 임계값보다 큰지 또는 작은지에 의거하여, 수신레벨을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표시를 행하는 수단으로서는, 소정의 컬러를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35)와 소정의 자리의 수자와 문자와 함께 도형으로 수신레벨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36)이 제공되고, 표시제어부(34)는 중앙처리부(32)로부터의 명령에 의거하여 발광다이오드(35)에 의한 발광표시와 액정표시패널(36)에 의한 표시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본 예에서는, 액정표시패널(36)에 표시하기 위한 수신레벨표시용 임계값과 발광다이오드(35)에 의해 표시하기 위한 수신레벨표시용 임계값의 두 종류의 임계값이 설정된다. 액정표시패널(36)에 표시하기 위한 수신레벨표시용 임계값으로서는, 복수의 단계의 임계값이 설정되고, 임계값을 측정된 에러율과 비교하므로써 수신레벨이 복수의 임계값으로 표시된다. 액정표시패널 표시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계의 임계값은 예를들어 에러율이 최저 에러율에 대한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에 거의 양호한 품질의 통화음성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예를들면, 임계값이 3단계로 설정될 경우에, 0.3%, 1% 및 3% 정도의 값이 각 임계값으로 설정되고 이 3단계의 임계값을 경계로 하여, 본 에러율은 4단계로 구분되고, 이것은 액정표시패널(36)에 막대형 그래프로 표시된다.
그리고나서, 발광다이오드(35)에 의해 표시하기 위한 중앙처리부(32)에 설정된 수신레벨표시용 임계값은, 여기에서 측정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그 때에 수신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측정모드는 휴대전화단말기의 방향을 변화시키므로써 수신을 가장 적절하게 행할 수 있는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모드이다. 도 2는 측정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 중앙처리부(32)의 제어하에 측정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다음으로 이 처리를 순서도에 따라 설명할 것이다. 측정모드처리는 제 1위상(a)의 처리와 제 2위상(b)의 처리의 2단의 처리로 구분된다.
제 1위상(a)의 처리에 대해서, 측정모드가 휴대전화 단말기의 키의 소정의 조작 등에 의해 설정될 때, 제 1위상(a)이 먼저 설정되고, 여기에서 에러율측정부(31)는 프레임에러율(FER) 또는 비트에러율(BER)의 측정을 행하고, 그리고나서 메모리(33)는 중앙처리부(32)에 의해 에러율의 최소값을 기억하도록 된다(스텝(101)). 그리고나서, 제 1위상(a)의 처리가 시작된 이후의 경과된 시간이 판단되고(스텝(102)), 제 1시간(예를들어 몇십초 만큼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가 판단된다. 여기에서 제 1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을 때, 스텝(100001)에서의 에러율의 최소값의 측정과 기억처리가 계속해서 행해지고 중앙처리부(32)가 스텝(102)에서 제 1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할 때 처리는 제 2위상(b)의 처리로 진행한다.
제 2위상(b)의 처리에 대해서, 에러율측정부(31)는 프레임에러율(FER) 또는 비트에러율(BER)을 측정하고(스텝(103)), 그 때에 측정된 값은 제 1위상(a)의 스텝(101)에서 메모리(33)에 의해 기억된 최소값과 비교된다(스텝(104)). 이 값이 기억된 최소값과 거의 동일한 값이거나 이 최소값보다 작은 값일 때, 발광다이오드는 최저상태에 있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중앙처리부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발광되도록 된다(스텝(105)). 그리고나서, 발광다이오드(35)에 의한 표시처리가 행해지거나, 스텝(104)에서 측정값이 메모리(33)에 의해 기억된 최소값보다 큰 값인 것으로 판단될 때, 제 2위상(b)의 처리가 시작된 이후의 시간이 판단되고(스텝(106)), 이 제 2시간(예를들어 몇십초 만큼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제 2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을 때, 처리는 스텝(103)에서의 에러율의 측정처리로 복귀하고 제 2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측정모드처리가 종료되는 사실이 예를들어 중앙처리부(32)의 명령에 의해 액정표시패널에 문자 등으로 표시되도록 된다(스텝(107)).
여기에서, 실제로 측정모드를 설정하므로써 본 예 등의 휴대전화단말기의 방향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예를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예의 휴대전화단말기(10)는 소정의 접속케이블(2)로 노트형 퍼스널컴퓨터장치 등의 정보처리단말기(1)에 접속된다. 그리고나서 접속에 대해서는, 예를들면, 접속케이블(2)의 일단의 단자부(2a)는 휴대전화단말기(10)의 데이터입출력단자(19)(도 1참조)에 접속된다. 또한, 소정 규격(예를들어 PCMCIA규격)의 카드(2b)는 접속케이블(2)의 타단에 접속되고, 카드(2b)는 정보처리단말기(1)의 카드슬롯(1a)에 삽입된다. 이런식으로 연결하므로써, 정보처리단말기(1)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가 휴대전화단말기(10)에 의해 접속된 전화회선을 통해 수신될 수 있고 또는 전화회선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예에서, 수신레벨표시부(36a)는 액정표시패널(36)에서 제공되고, 보통의 수신레벨표시가 이 수신레벨표시부에 의해 행해지는 반면 발광다이오드(35)는 액정표시패널(36)로부터 떨어진 위치(여기에서는, 단말기(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런식으로 휴대전화단말기와 정보처리단말기를 접속하므로써 데이터 통신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무선통신을 가장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상태(즉, 에러율이 최저인 상태)에 있는 위치나 방향에 휴대전화단말기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에, 상기한 측정모드가 설정된다. 먼저, 이 측정모드가 설정되고, 제 1위상주기동안, 예를들어 사용자는 휴대전화단말기(10)를 쥐고(가지고) 있고, 그 때에 위치한 곳으로부터 그 위치를 약간움직여 그 방향을 변화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말기(10)의 틸트각(θ1)이 변화되거나, 단말기(10)의 정면이 향하는 각(θ2)이 변화되거나, 단말기(10)의 위치가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변화된다. 이런식으로 위치를 이동하므로써, 기지국으로부터의 무선파의 수신상태가 가장 양호한 때의 에러율이 휴대전화단말기(10)내의 메모리(33)에 의해 기억된다.
다음으로, 제 2위상주기일 때, 사용자는 발광다이오드(35)의 상태를 감시하면서 다시 휴대전화단말기(10)의 위치나 방향을 변화시키고, 발광다이오드(35)가 발광하는 위치나 방향에 휴대전화단말기(10)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런식으로 하여, 휴대전화단말기(10)를 수신상황(및 송신상황)이 근처의 위치에서 가장 양호하게 되는 상태에 둘 수 있을 뿐만아니라 이 가장 양호한 상태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고, 이에의해 전송에러의 발생과 전송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측정모드가 적절한 상태에 있을 때 양호한 수신을 통지하는 수단으로서, 발광다이오드의 발광이 통지수단으로 사용되었는데, 다른 수단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액정표시패널 등이 양호한 수신상황을 문자, 수자 등으로 표시하는 것도 좋다. 또한, 어떤 음이 양호한 상황을 통지하는데 사용되는 구성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기억된 수신상태와 거의 동일한 상태일 경우만 통지가 발광 등에 의해 행해지도록 된 구성이 제공되었지만, 통지는 또한 복수의 단계가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통지가 발광에 의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메모리(33)에 의해 기억된 최저에러율과 거의 동일한 상황에 있을 때, 발광다이오드가 제 1컬러(예를들어 녹색)로 발광하도록 되고, 에러율이 이 상태보다 약간 높은 상태에 있을 때, 발광다이오드가 제 2색(예를들어, 오렌지색)을 발광하도록 되어 최저 에러율에 접근하고 있음을 알릴 수도 있다. 또한, 음에 의한 통지가 행해지는 구성의 경우에, 이와같은 복수의 단계의 동일한 통지가 출력음의 간격으로 또는 음피치 등의 변화로 행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도 2의 순서도에 의해 설명된 처리가 측정모드를 설정하므로써 행해질 때만 발광다이오드(35)가 발광하여 발광에 의해 양호한 수신상태를 통지하도록 된 구성이 나타나 있지만, 발광다이오드(35)가 데이터 통신에 적절한 상태에 있을 때, 이 상태가 측정모드의 설정에 관계없이 발광에 의해 표시되어도 좋다.
즉, 에러율 측정부(31)에 의해 측정된 에러율과 비교하는 중앙처리부(32)의 임계값으로서 발광다이오드(35)가 발광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값이, 액정표시패널(36)에 의해 수신레벨의 표시(예를들어, 표시부(36a)에 의한 표시)를 행하기 위한 임계값(예를들어, 상기 4단계로 표시하는 3개의 임계값)이외에 미리 기억되도록 된다. 이 경우에, 액정표시패널(36)의 수신레벨표시를 행하기 위한 임계값은 기본적으로 통화를 위한 음성데이터의 송신이 양호하게 행해짐을 나타내는 레벨표시용이고, 거의 0.3%의 값이 최저에러율의 임계값으로 설정되지만, 발광다이오드(35)를 발광하게하는 판정임계값으로서, 이 값보다 작은 값이 설정되어(예를들어 3자리 정도 작은 에러율), 데이터통신이 양호하게 행해질 수 있음을 표시하게 한다.
그리고나서, 중앙처리부(32)는 발광다이오드(35)가 발광되도록 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값 보다 작은 에러율을 에러율 측정부(31)가 측정했음을 판단할 때, 표시제어부(34)는 중앙처리부(32)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발광다이오드(35)가 발광하도록 한다.
한편, 데이터통신만의 고정 임계값이 이런식으로 설정되고, 이 임계값과 검출에러율의 비교에 의거하여 발광다이오드 등에 의한 통지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에도, 다른 통지수단(문자와 수자에 의한 표시에 의한 통지, 및 음의 출력에 의한 통지)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통신용 통지가 행해지는 경우에, 복수의 단계의 통지가 행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데이터의 에러율로서의 에러율로부터 수신상황(통신상황)을 판단하므로써 통지가 행해지도록 되었지만, 통지는 다른 수신 상태의 검출상태로부터 수신상황을 판단하므로써 행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이 무선전화회선용 휴대전화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의 예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단말기의 수신상황을 검출하므로써 통지가 행해지는 경우에 무선통신용의 다른 휴대통신단말기에도 당연히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 분야에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화와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구성으로, 통화가 음성에 의해 행해질 때, 예를들어, 도 3에 도시된 표시부(36a)를 가진 경우 처럼, 기지국과의 통신상태는 액정표시패널(36)의 일부분을 사용하는 복수의 단계의 레벨표시에 의해 판단되고, 예를들어 액정표시패널(36)이 가장 양호한 수신상황이 표시되는 상태를 표시할 때, 음성에 의한 통화가 양호하게 행해질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또한, 데이터통신이 휴대정보단말기와 접속하여 행해질 때, 발광다이오드(35)가 발광하는 상태에 있는 동안 이 통신을 행하므로써 양호한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고, 따라서 상황이 각 통신모드에 적합한지를 양호하게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7)

  1. 휴대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무선신호의 수신처리를 행하는 수신처리부와,
    상기 수신처리부에서 수신상황을 검출하는 수신상황검출부와,
    제 1임계값과 비교할 뿐만아니라 제 2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수신상황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수신상황을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 1임계값과의 비교에 의거하여 수신상황을 통지하는 제 1통지부와,
    상기 제 2임계값과의 비교에 의거하여 수신상황을 통지하는 제 2통지부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상황검출부는 수신데이터의 에러율을 검출하고,
    상기 제 1임계값은 음성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최저 에러율이고,
    상기 제 2임계값은 상기 최저 에러율보다 낮은 에러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계의 레벨표시를 상기 제 1통지부에 의한 수신상황의 통지로서 휴대용 패널에 장치된 표시패널상에 행하고,
    상기 표시패널 이외의 통지수단이 상기 제 2통지부의 수신상황을 통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기.
  4. 휴대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무선신호의 수신처리를 행하는 수신처리부와,
    상기 수신처리부에서 수신상황을 검출하는 수신상황검출부와,
    상기 수신상황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최상 수신상황을 보존하고 이 보존된 수신상황값을 상기 수신상황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수신상황값과 비교하는 제어부와,
    수신상황값이 거의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보존된 수신상황값보다 작거나 거의 동일한 경우에, 이 사실을 통지하는 통지부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최상의 수신상황값의 검출은 제 1소정 시간동안에 행해지고,
    제 1소정시간 후에 제 2소정 시간의 주기내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상황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보존된 수신상황과 수신상황값 사이의 비교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표시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소정의 음출력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기.
KR1019990007757A 1998-03-12 1999-03-09 휴대통신단말기 KR199900777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61381 1998-03-12
JP10061381A JPH11262066A (ja) 1998-03-12 1998-03-12 携帯通信端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713A true KR19990077713A (ko) 1999-10-25

Family

ID=13169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757A KR19990077713A (ko) 1998-03-12 1999-03-09 휴대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63245B1 (ko)
EP (2) EP1580908A1 (ko)
JP (1) JPH11262066A (ko)
KR (1) KR19990077713A (ko)
CN (1) CN12354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2635A (ko) * 1999-12-24 2001-07-07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에서의 착신 신호 및 발신신호 처리 방법
KR100769496B1 (ko) * 2003-09-23 2007-10-24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향상 기술에 대한 사용자 인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8284B1 (en) * 1999-11-16 2002-04-09 Cardiac Intelligence Corporation Automated collection and analysis patient care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nd monitoring myocardial ischemia and outcomes thereof
EP1173035A1 (en) * 2000-07-12 2002-01-16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Mobile telephone with means for displaying data rate currently available within its locality
US6992990B2 (en) 2000-07-17 2006-01-31 Sony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JP4543513B2 (ja) * 2000-07-17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双方向通信システム、表示装置、ベース装置および双方向通信方法
JP4501243B2 (ja) 2000-07-24 2010-07-14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およびプログラム実行方法
US6954615B2 (en) * 2000-07-25 2005-10-11 Sony Corporation Display terminal
JP2002064398A (ja) 2000-08-21 2002-02-28 Sony Corp 無線伝送装置
JP4881503B2 (ja) 2000-09-19 2012-02-22 ソニー株式会社 コマンド処理方法および無線通信機器
JP2002111686A (ja) * 2000-10-04 2002-04-12 Sony Corp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4572461B2 (ja) 2000-10-10 2010-11-04 ソニー株式会社 端末機器設定方法
US7133446B1 (en) * 2000-10-19 2006-11-07 3Com Corporation Performance indicator for wireless digital signal reception
US6813497B2 (en) * 2000-10-20 2004-11-02 Leap Wirelesss International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and network and system for delivering same
JP4702997B2 (ja) * 2000-12-05 2011-06-15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装置
US6850736B2 (en) * 2000-12-21 2005-02-01 Tropia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ption quality ind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JP3638942B2 (ja) * 2003-04-17 2005-04-1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表示装置の制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表示装置制御プログラム、無線通信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086586A (ja) * 2003-09-10 2005-03-31 Nec Corp 携帯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電界表示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100720555B1 (ko) * 2005-04-29 200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감도 표시기능을 갖는 dmb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수신감도 표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6379A (en) * 1974-04-08 1975-10-28 Honeywell Inf Systems Error-rate monitoring unit in a communication system
US4710924A (en) * 1985-09-19 1987-12-01 Gte Sprint Communications Corp. Local and remote bit error rate monitoring for early warning of fault location of digital transmission system
CA2021217C (en) * 1989-07-18 1994-11-01 Akira Ishikura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displaying reception field strength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US5138616A (en) * 1990-03-19 1992-08-1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Continuous on-line link error rate detector utilizing the frame bit error rate
JPH04258030A (ja) * 1991-02-12 1992-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体通信システム
US5890069A (en) * 1991-12-02 1999-03-30 Lucent Technologies Inc. Cordless telephone micro-cellular system
DE69231437T2 (de) * 1991-12-26 2001-03-01 Nec Corp System zur Steuerung der Sendeleistung mit Gewährleistung einer konstanten Signalqualität in einem Mobilkommunikationsnetzwerk
GB2272134B (en) * 1992-04-24 1995-09-0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ignal transmission quality levels of a transmitted signal
DE4236134A1 (de) * 1992-10-26 1994-06-30 Siemens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Aktivierung einer von zwei Antennen einer Empfangseinrichtung
JPH06311078A (ja) * 1992-12-28 1994-11-04 Toshiba Corp 移動無線通信装置
JPH07274248A (ja) * 1994-03-31 1995-10-20 Sony Corp デジタル無線電話装置
JP2693922B2 (ja) * 1995-02-13 1997-12-24 日本電気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移動無線端末機のチャンネル切替判定装置
US6018651A (en) * 1995-11-29 2000-01-25 Motorola, Inc. Radio subscriber unit having a switched antenna diversity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5796777A (en) * 1996-02-27 1998-08-18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izing and detecting a received radio frequency signal
US5828672A (en) * 1997-04-30 1998-10-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stimation of radio channel bit error rate in a digital radio telecommunication network
US5950139A (en) * 1997-10-30 1999-09-07 Motorola, Inc. Radiotelephone with user perceivable visual signal quality indicator
US6035183A (en) * 1997-12-09 2000-03-07 Nortel Networks Corporation Basestation RSSI and BER feedback signal quality display and transmit divers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2635A (ko) * 1999-12-24 2001-07-07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에서의 착신 신호 및 발신신호 처리 방법
KR100769496B1 (ko) * 2003-09-23 2007-10-24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향상 기술에 대한 사용자 인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80908A1 (en) 2005-09-28
EP0942572A3 (en) 2003-07-30
CN1235499A (zh) 1999-11-17
EP0942572A2 (en) 1999-09-15
US6363245B1 (en) 2002-03-26
JPH11262066A (ja) 199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7713A (ko) 휴대통신단말기
KR100273973B1 (ko) 무선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US7099693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warning a user of a low-voltage state of the same
US200200819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ption quality ind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US6216001B1 (en) Service level indication and registration process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P1776790A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e
EP2207329B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515463B1 (en) Mobile station executing alarm of a degraded communication quality
JPH1013338A (ja) 無線通信機の送信電力自動制御方式
CN1249644A (zh) 移动无线终端中成功通信概率显示装置及其有关方法
JPH09219697A (ja) 無線通信装置
KR20050026041A (ko) 원격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채널을 선택하는방법 및 장치
EP18079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 power level reporting with reduced interference
KR10055690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감도 표시 방법
KR100584401B1 (ko) 휴대폰에서최적의수신감도방향표시방법
GB2348339A (en) A mobile station comprising a control section for switching to a calling mode when reception from a satellite is below a threshold.
JPH11308358A (ja) 電話機識別方法、電話機種別識別装置及び記憶媒体
KR100460487B1 (ko) 방범기능이 구비된 무선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47729B1 (ko)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전계 강도 디스플레이 방법
WO200707634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ntinuous reception on a wireless network
KR20000018945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 전자파 세기 측정 방법
JPH08265817A (ja) 受信装置
JP3431797B2 (ja) 携帯電話端末
JPH11136384A (ja) 通信端末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KR10066358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디케이터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