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4866A -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4866A
KR19990074866A KR1019980008757A KR19980008757A KR19990074866A KR 19990074866 A KR19990074866 A KR 19990074866A KR 1019980008757 A KR1019980008757 A KR 1019980008757A KR 19980008757 A KR19980008757 A KR 19980008757A KR 19990074866 A KR19990074866 A KR 19990074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driving
control uni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권상
이정구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80008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4866A/ko
Publication of KR19990074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866A/ko

Links

Landscapes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대의 엘리베이터가 동시에 역행 모드로 운전하게 되는 경우 각각의 엘리베이터에 대해 운전 개시 시점이 차별화되도록 운전 제어하여 가속 구간에서 동시에 운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순간 최대 전력 소모량의 증가를 방지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병렬 또는 군관리 운전하는 엘리베이터 운전 방법에 있어서, 엘리베이터(210)(220)에 구비된 각각의 운전 제어부(211)간을 통신선(230)으로 연결하여 역행 운전 모드가 설정된 경우 이 사실을 상대측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210)에 역행 운전 모드가 설정된 경우 이를 전송받은 엘리베이터(220)는 자신도 역행 운전 모드가 설정되었다면 상기 엘리베이터(210)가 가속 운전에서 정속 운전으로 전환된 후 자신도 운전을 개시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역행 모드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 은 종래에 한 건물에 2대의 엘리베이터(110)(120)가 설치된 경우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상기 각각의 엘리베이터(110)(120)는 권상기(115)에 로프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매달려 있는 카(117) 및 카운터웨이트(119)와, 상기 카(117)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권상기(115)를 회전시키는 모터(114)와, 상기 모터(114)를 구동하기 위해 펄스폭 변조 파형의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인버터(113)와, 상기 카(117)내의 승객이 많아서 상기 모터(114)의 전기 소모량이 많은 역행 모드로 운전하는지 또는 상기 카(117)내의 승객이 적어서 상기 모터(114)의 전기 소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회생 모드로 운전하는지에 관계함이 없이 속도 지령에 따라 상기 카(117)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인버터(113)에 스위칭 전압을 출력하는 속도 제어부(112)와, 승장 또는 상기 카(117)내의 조작반에서의 콜신호에 따라 상기 카(117)를 몇층으로 이동시킬 것인가에 대한 결정을 하여 그에 따른 속도 지령치를 상기 속도 제어부(112)에 출력하는 운전 제어부(111)와, 상기 카(117)에 부착되며 그 카(117)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운전 제어부(111)에 출력하는 위치 검출기(116)와, 상기 카(117)의 하부에 부착되며 그 카(117)내의 부하량을 검출하여 상기 운전 제어부(111)에 출력하는 부하 검출기(118)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같은 종래 기술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엘리베이터 운전이 개시되어 카(117)의 조작반 또는 승장에서 버튼이 눌린 경우 운전 제어부(111)는 상기 카(117)가 운행할 층의 위치를 결정하여 그 결정된 층에 따른 속도 지령을 속도 제어부(112)에 출력하며 동시에 카운터 웨이트(119)와 상기 카(117)의 무게의 불평형 토크를 고려하여 상기 카(114)를 부드럽게 기동시키도록 상기 카(117)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부하 검출기(118)에서 검출한 승객의 무게를 상기 속도 제어부(112)에 전송한다.
이때, 속도 제어부(112)는 권상기(115)가 연결되어 있는 모터(114)를 구동하기 위하여 속도 지령에 따른 펄스폭 변조(PWM) 파형의 스위칭 전압을 인버터(113)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인버터(113)가 모터(114)를 구동하면 상기 모터(114)와 기계적으로 결합된 권상기(115)가 회전함에 의해 그 권상기(115)에 감겨있는 로프에 연결된 카(117)는 운전 제어부(111)가 결정한 층으로 이동되어진다.
이때, 권상기(115)를 통해 카(117)의 반대편에 그 카(117)와 로프로 연결되어 있는 카운터 웨이트(119)는 상기 카(117)가 상승하면 하강하고 상기 카(117)가 하강하면 상승하게 된다.
한편, 운전 제어부(111)는 카(117)가 이동함에 따라 그 카(117)에 부착된 위치 검출기(116)의 출력 신호를 점검하여 상기 카(117)가 목적층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
이 후, 운전 제어부(111)는 카(117)가 목적층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그 카(117)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속도 제어부(112)에 정지 지령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속도 제어부(112)가 펄스폭 변조 파형의 스위칭 전압을 인버터(113)로 출력하지 않게 되어 모터(114)의 구동이 정지됨에 의해 카(117)가 목적층에서 멈추게 된다.
만일, 카(114)를 상승시키는 역행 운전의 경우 운전 제어부(111)는 상기 카(117)가 도2 (a)와 같이 가속 운전, 정속 운전, 감속 운전이 수행되도록 속도 제어부(112)를 제어한다.
상기의 동작은 한 건물에 설치된 각각의 엘리베이터(110)(120)에서 독립적으로 수행되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카(117)가 상승할 때 그 카(117)내에 탑승한 승객의 무게가 카운터 웨이트(119)의 무게보다 더 무거운 경우 모터(114)는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역행 운전을 하게 되어 도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소모량이 증가하는데 특히, 가속 구간에서는 상기 모터(114)에 정격 전류의 2배까지 전류가 흐르게 되어 많은 전력이 소모된다.
만일, 한 건물에 복수대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경우 그 중 임의의 복수대 엘리베이터가 동시에 역행 모드가 되어 동시에 출발하게 되면 가속 구간에서 각각의 엘리베이터로 동시에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순간 최대 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한 건물에 설치된 복수대의 엘리베이터가 동시에 역행 운전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면 전력 소모량이 증가하는데, 현재 한전에서는 순간 최대 전력 소모량을 기준으로 전기 사용 요금을 계산하고 있으므로 이로 인해 계약 전력량을 초과할 경우 누진 요금이 부과되어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복수대의 엘리베이터가 동시에 역행 모드로 운전하게 되는 경우 각각의 엘리베이터에 대해 운전 개시 시점을 제어함으로써 동시에 운전하는 경우를 방지하여 순간 최대 전력 소모량의 증가를 방지하도록 창안한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운전 대기중인 복수대의 엘리베이터가 동시에 역행 모드로 운전하게 되는 경우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운전 개시 시점이 차별화되도록 운전 제어하여 전력을 많이 소모하는 가속 구간의 겹칩을 방지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위한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장치의 블럭도.
도 2는 역행 운전시 속도 및 소비 전류 변화를 보인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장치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10,220 : 엘리베이터 211 : 운전 제어부
212 : 속도 제어부 213 : 인버터
214 : 모터 215 : 권상기
216 : 위치 검출기 217 : 카
218 : 부하 검출기 219 : 카운터 웨이트
230 : 통신선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운전 제어부와 속도 제어부를 각기 구비하여 각기 카를 운전하는 복수대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복수개의 운전 제어부간을 통신선으로 연결하여 각각의 엘리베이터는 역행 운전 모드가 설정된 경우 역행 운전의 설정을 다른 엘리베이터로 전송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복수개의 엘리베이터에 역행 운전 모드가 설정된 경우 우선 순위별로 소정 시간을 지연하여 운전을 개시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1 의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권상기(215)에 로프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매달려 있는 카(217) 및 카운터웨이트(219)와, 상기 카(217)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권상기(215)를 회전시키는 모터(214)와, 상기 모터(214)를 구동하기 위해 펄스폭 변조 파형의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인버터(213)와, 상기 카(217)내의 승객이 많아서 상기 모터(214)의 전기 소모량이 많은 역행 모드로 운전하는지 또는 상기 카(217)내의 승객이 적어서 상기 모터(214)의 전기 소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회생 모드로 운전하는지에 관계함이 없이 속도 지령에 따라 상기 카(217)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인버터(213)에 스위칭 전압을 출력하는 속도 제어부(212)와, 승장 또는 상기 카(217)내의 조작반에서의 콜신호에 따라 상기 카(217)를 몇층으로 이동시킬 것인가에 대한 결정을 하여 그에 따른 속도 지령치를 상기 속도 제어부(212)에 출력하는 운전 제어부(211)와, 상기 카(217)에 부착되며 그 카(217)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운전 제어부(211)에 출력하는 위치 검출기(216)와, 상기 카(217)의 하부에 부착되며 그 카(217)내의 부하량을 검출하여 상기 운전 제어부(211)에 출력하는 부하 검출기(218)를 각기 구비하도록 엘리베이터(210)(220)를 구성하고, 상기 엘리베이터(210)(220)에 각기 구비된 운전 제어부(211)간을 통신선(230)으로 연결하여 역행 운전 모드가 설정된 경우 이 사실을 상대측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210)에 역행 운전 모드가 설정된 경우 이를 전송받은 엘리베이터(220)는 자신도 역행 운전 모드가 설정되었다면 상기 엘리베이터(210)가 운전을 개신하여 가속 구간을 지난 후 자신도 운전을 개시하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각각의 엘리베이터(210)(211)가 독립적으로 카(217)를 운전하는데, 동시에 역행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만은 다르다.
즉, 상승 운행 시점이 각기 다른 경우 또는 하강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한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210)(220)는 종래 기술과 동일한 과정으로 각기 카(217)를 독립적으로 운전한다.
먼저, 엘리베이터 운전이 개시되어 카(217)의 조작반 또는 승장에서 버튼이 눌린 경우 운전 제어부(211)는 상기 카(217)가 운행할 층의 위치를 결정하여 그 결정된 층에 따른 속도 지령을 속도 제어부(212)에 출력하며 동시에 카운터 웨이트(219)와 상기 카(217)의 무게의 불평형 토크를 고려하여 상기 카(214)를 부드럽게 기동시키도록 상기 카(217)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부하 검출기(218)에서 검출한 승객의 무게를 상기 속도 제어부(212)에 전송한다.
이때, 속도 제어부(212)는 권상기(215)가 연결되어 있는 모터(214)를 구동하기 위하여 속도 지령에 따른 펄스폭 변조(PWM) 파형의 스위칭 전압을 인버터(213)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인버터(213)가 모터(214)를 구동하면 상기 모터(214)와 기계적으로 결합된 권상기(215)가 회전함에 의해 그 권상기(215)에 감겨있는 로프에 연결된 카(217)는 운전 제어부(211)가 결정한 층으로 이동되어진다.
이때, 가속 운전, 정속 운전, 감속 운전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데, 카(217)가 목적층으로 이동함에 따라 운전 제어부(211)는 상기 카(217)에 부착된 위치 검출기(216)의 출력 신호를 점검하여 상기 카(217)가 목적층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
이 후, 카(217)가 목적층에 도달하여 운전 제어부(211)가 이를 인식하면 상기 운전 제어부(211)는 상기 카(217)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속도 제어부(212)로 정지 지령을 출력한다.
따라서, 속도 제어부(212)에서 펄스폭 변조 파형의 스위칭 전압이 출력되지 않으므로 인버터(213)에 구비된 스위칭 소자가 모두 턴오프되어 모터(214)의 구동이 정지됨에 의해 카(217)가 목적층에서 멈추게 된다.
한편, 2대의 엘리베이터(210)(220)가 최하층에서 운전을 개시하려는 경우 각각의 운전 제어부(211)는 각각의 부하 검출기(218)의 출력 신호를 판독하여 각각의 카(217)가 풀 로드(full load)로 검출되면 상기 각각의 운전 제어부(211)는 역행 운전 모드로 판단하여 먼저 이를 통신선(230)을 통해 상대측 엘리베이터에 알린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210)측에서 역행 운전 모드를 판단하여 이를 엘리베이터(220)측으로 알렸을 때 상기 엘리베이터(220)는 자신도 동일하게 역행 운전 모드로 판단하지 않은 경우 해당 운전 제어부(211)는 상기 엘리베이터(210)의 역행 운전에 관계없이 운전을 수행한다.
만일, 2대의 엘리베이터(210)(220)가 모두 역행 운전 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엘리베이터(210)가 먼저 역행 운전 모드가 설정되었음을 상기 엘리베이터(220)에 알린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220)의 운전 제어부(211)는 상기 엘리베이터(210)의 운전 제어부(211)와 데이터 통신을 계속 수행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220)에 구비된 카(217)가 가속 운전에서 정속 운전으로 전환되었는지 판단한다.
이때, 엘리베이터(210)에 구비된 카(217)가 정속 운전으로 전환되었음을 엘리베이터(220)에 구비된 운전 제어부(211)가 인식한 경우 그 운전 제어부(211)는 속도 제어부(212)에 속도 지령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220)에 구비된 카(217)는 엘리베이터(210)에 구비된 카(217)와는 운전 개시 시점이 차별화되어 역행 운전이 수행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대의 엘리베이터가 모두 역행 모드인 경우로서 먼저 상대측 엘리베이터로부터 역행 운전 상태를 먼저 전송 받은 엘리베이터는 상대측 엘리베이터에 구비된 카가 운전을 개시하여 가속 운전이 지난 후에 자신에게 구비된 카를 운전함으로써 동시에 2대의 엘리베이터가 역행 운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순간 최대 전력의 소모량 증가를 억제하여 에너지를 절감함은 물론 경비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병렬 또는 군관리 운전을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운전 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엘리베이터가 동시에 역행 운전 모드로 설정된 경우 이를 각각의 엘리베이터로 상호 전송하여 우선 순위별로 순차적으로 역행 운전을 실시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순간 최대 전력 소비량을 줄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먼저 역행 운전한 우선 순위의 엘리베이터가 가속 운전에서 정속 운전을 전환한 후 다음 우선 순위의 엘리베이터가 역행 운전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KR1019980008757A 1998-03-16 1998-03-16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KR19990074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757A KR19990074866A (ko) 1998-03-16 1998-03-16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757A KR19990074866A (ko) 1998-03-16 1998-03-16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866A true KR19990074866A (ko) 1999-10-05

Family

ID=6590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757A KR19990074866A (ko) 1998-03-16 1998-03-16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48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527B1 (ko) 비상 모드에서 엘리베이터를 작동시키는 방법
CN102459050B (zh) 执行升降机救援运行的升降机系统和方法
US8985280B2 (en) Method and elevator assemblies limiting loading of elevators by modifying movement magnitude value
JPH03198691A (ja) 巻上げ用モータの制御方法とその装置
EP2006232A9 (en) Elevator device
US4441584A (en) AC Elevator control system
JPS638033B2 (ko)
JPH0533894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5126171A (ja) エレベータの停電時運転装置
JPH0464995B2 (ko)
JP5812106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2014009041A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KR19990074866A (ko)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JP2005324886A (ja) ハイブリッド駆動型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S6146391B2 (ko)
JP4391613B2 (ja) 巻上機制御装置
KR101169428B1 (ko) 슬레이브 모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68370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H0664853A (ja) エレベーターのレベル制御装置
JP3599585B2 (ja) エスカレータ装置
KR870001019Y1 (ko) 교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2005104681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1253650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S5851870B2 (ja) エレベ−タウンテンセイギヨソウチ
JPH09240935A (ja) 交流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