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3933A - Method for manufacturing sand for concrete using Masato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sand for concrete using Masato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3933A
KR19990073933A KR1019980007190A KR19980007190A KR19990073933A KR 19990073933 A KR19990073933 A KR 19990073933A KR 1019980007190 A KR1019980007190 A KR 1019980007190A KR 19980007190 A KR19980007190 A KR 19980007190A KR 19990073933 A KR19990073933 A KR 19990073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screen
particle size
mud
masa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1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종호
Original Assignee
황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종호 filed Critical 황종호
Priority to KR1019980007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3933A/en
Publication of KR19990073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933A/en

Links

Landscapes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사토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모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콘크리트용 모래의 수급상황을 보면 자원적으로 거의 고갈되고 있는 강모래와 대채하여 바닷모래나 돌을 분쇄한 석분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바닷모래는 세척에 의해서도 염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콘크리트와의 혼합성이 떨어지고, 철근콘크리트공사등에서는 철근을 부식시켜 구조물의 강도를 현격히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sand for concrete using Masato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In recent years, the supply and demand of concrete for sand has been abundantly used, such as river sand, which is almost depleted in resources, and stone sand that has been crushed by sand or stone. However, the sea sand was not completely removed by washing, and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mix with concrete. In the case of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trength of the structure was remarkably lowered by corrosion of the reinforcing bar.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져, 농산물이나 과수림의 재배가 어려워 이용가치가 낮은 마사토 산에서 다량으로 채취되는 마사토를, 1,2차 원석선별 공정과, 1차 입도선별 진흙세척공정과, 입자분쇄 정형공정과,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공정과, 입도 선별공정으로 콘크리트용 모래로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의 각 공정을 수행하는 제조방치들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s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granule, which is obtained by mas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anulation and shaping process, the particle size and the sludge centrifugation process, the granulation sorting process,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are carried out.

본 발명에 의하면 마사토를 이용하여 산업규격에 적합한 우수한 품질의 콘크리트용 모래를 채산성과 경제성을 갖고 대량생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국토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강모래의 체취량을 줄여주므로서 자연환경보존의 효과를 가지며, 바다모래를 사용함에 따른 콘크리트 품질저하를 방지하여 철근 콘크리트 공법이 상당량 차지하는 토목건축공사의 부실화를 방지할 수 있고, 부수적으로 건축내장재 및 내화벽돌 원료인 진흙(황토)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ss-produce concrete sands having high quality suitable for industrial standards by using the Masato, in a cost-effective and economical manner, as well as to efficiently utilize land resources and reduce the amount of sediment of river sand, It has the effect of preserving the environment. It prevents the deterioration of concrete quality caused by the use of sea sand, and it prevents the construction of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which takes up a considerable amount of the reinforced concrete method. It also prevents clay (loes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duce.

Description

마사토를 이용한 큰크리트용 모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제조장치Method for manufacturing sand for large crate using Masato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제조방법과 이 방법에 사용되는 모래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d making method using Masato and a sand making apparatus used in the method.

제반 토목건축공사에 있어서 콘크리트 공법은 기초공사 및 구조공사 또는 마감공사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e concrete method i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is most commonly used for foundation construction, construction work or finishing work.

이 콘크리트 공법은 시멘트, 모래, 자갈을 주요골재로 사용하고 있는 바, 이중에서도 모래는 콘크리트의 품질은 물론 토목건축공사의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골재이다.In this concrete method, cement, sand, and gravel are used as main aggregate. In addition, sand is an important aggregate that determines the quality of concrete construction as well as concrete.

콘크리트공사에 사용되는 모래는 강에서 채취되는 강모래가 입자의 크기나 성분상으로 가장 적합하나, 많은 토목건축공사로 인하여 또 지리적 특성에 의하여 한정된 자원인 강에서 모래를 채취하는 것이 양적으로나 자연환경의 보전상 한계에 이르고 있다.The sand used for concrete works is best suited to the size and composition of the particles in the river sand collected from the river. However, due to the many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works, it is necessary to collect the sand from the river, which is a resource limited by it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total.

이러한 이유들에 의하여 강모래와 대체하는 모래수급의 일 방법으로 바닷모래를 사용하고 있으나, 바닷모래는 체취 지역상 운반의 문제점과, 세척공정이 어렵고, 세척된 모래도 염분이 함유되어 있고 입자가 작아서, 시멘트와의 혼합시에 혼합성을 저하시켜 콘크리트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특히 철근을 구조물로 사용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축물에 있어서는 염분이 철근의 부식을 빠르게 진행시키므로서 제반 토목건축공사를 부실공사화하는 주요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For these reasons, sea sand is used as a method of supplying and replenishing sand sand. However, the sea sand is problematic in conveying in the smelting region, the washing process is difficult, the washed sand contains sa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trength of concrete by mixing with cement when mixed with cement. Especially, in the cas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ing reinforcing steel as a structure, the salt accelerates the corrosion of reinforcing steel, It is becoming a major cause.

또 다른 모래수급의 일 방법으로는 산,육지에서 돌산이나 돌들을 폭파하여 파쇄한 석분을 모래 대용골재로 사용하기도 하나, 이 방법은 채산성이 낮고 대량생산성이 없어서 생산원가가 매우 높아 건축비용을 상승시키며, 석분은 강모래에 비하여 수축율이 높아서 콘크리트용으로는 부적합하고, 돌산이나 돌의 폭파, 파쇄작업시에 소음,먼지등의 공해가 발생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Another method of sand supply and demand is to crush rocks and stones from mountain and land and use crushed stone as a sand aggregate. However, this method has low profitability and high productivity, The stone has a higher shrinkage rate than the river sand, and is unsuitable for concrete, and there is a problem of pollution such as noise, dust and the like during the demolition of stone and stone, and crushing oper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 토목건축공사에 장기적으로 수급되어야 함에도 자원적으로 절대 부족한 강모래와 대체할 수 있는 콘크리트용 모래의 제조방법과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sand for concrete which can be replaced with river sand,

이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져 하는 것이다.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used in thi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래제조방법은 마사토를 이용한 제조방법이다.The sand production method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using Masato.

마사토는 지구의 지층분포상 상당량이 존재하고, 국내 지층에서는 60%이상으로 분포되어 있어서 양적으로 충분하며, 그 분포위치가 지리적으로 접근이 용이한 하천 주변에서 낮은 구릉이나 산으로 산재되어 있어서 개발이 용이하다.Masato has a large amount in the stratum distribution of the earth, more than 60% in the domestic stratum, so it is quantitatively sufficient and its distribution is easy to develop because it is dispersed by low hills or mountains around the geographically accessible stream .

마사토의 성분은 모래성분이 70%이상이고 나머지는 진흙성분으로서 마사토산은 농산물이나 과수림의 재배가 어려워 지금까지는 소나무만이 재배되는 비 생산적인 토질이었고, 국토이용 자원적으로 볼 때는 이용가치가 낮은 자원이었다.Masato is a non-productive soil in which only 70% of sand components are present and the rest is clay, and Masatosan is cultivated only in pine trees due to difficult cultiv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overgrazing. So far, It was a resource.

그러나 마사토의 성분 중에서 모래성분은 강모래로 퇴적하기 이전의 굵은 입자로 되어 있고 진흙이 섞여 있어서 자연적인 채취로는 콘크리트용 모래로 사용할 수 없으나, 채취된 마사토를 가공하면 강모래와 대체 할 수 있는 우수한 품질의 모래로 제조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However, among the ingredients of Masato, the sand is composed of coarse particles before depositing with the river sand, and because of the mixed mud, it can not be used as a concrete sand for natural harvesting. However, And that it can be manufactured with excellent quality sand.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특성의 마사토를 저렴한 생산비로 우수한 품질의 콘크리트용 모래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sandstone of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as a sand for concrete with an inexpensive production cos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을 수행하는 모래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nd making apparatus that performs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과 제조장치에 의하여 모래와 함께 건축내장재 및 벽돌원료인 골재용 진흙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an aggregate for an aggregate, which is a building interior material and a brick raw material together with sand by the above-mentioned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마사토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모래제조방법 공정도Fig. 1 is a process char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sand for concrete using Masat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마사토를 이용한 큰크리트용 모래제조장치의 일실시예 설비개요도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device for manufacturing sand for a large crate using Masat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마사토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모래제조장치의 설비중 1차 입도 선별.진흙 세척장치의 일실시예 구성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nd for concrete using Masato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3의 일실시예 1차 입도 선별.진흙 세척장치의 정면도Fig. 4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granularity screening / clay cleaning device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마사토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모래제조장치의 설비중 입자정형 분쇄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 particle shaping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nd for concrete using a Masato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5의 일실시예 입자정형 분쇄장치의 평면도FIG. 6 is a plan view of the particle shap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FIG.

도 7은 도5의 일실시예 입자정형 분쇄장치의 분쇄날 구성사시도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rushing blade constitution of the particle shap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Fig. 5

도 8은 본 발명의 마사토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모래제조장치의 설비중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 및 입도선별장치의 일실시예 구성 평면도8 is a plan view of an embodiment of a particle size and mud centrifugal separating apparatus and particle size sorting apparatus among facilities of a sand making apparatus for concrete using a Masato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8의 일실시예 입도 진흙 원심분리장치 및 입도선별장치의 측면도Fig. 9 is a side view of the grain size centrifugal separator and grain size sorting apparatus of Fig. 8

도10은 도8의 일실시예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 및 입도선별장치의 정면도Fig. 10 is a front view of the granularity separating apparatus and the granularity so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8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중의 주요구성 단면도11 is a view showing the particle siz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in constitutional sectional view of the clay centrifugal separator

도12는 도11 중 A-A 선 단면도1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13은 본 발명의 입도선별장치의 구성중 일실시예 단위 스크린판재의 사시도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reen sheet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4는 도13 중의 횡단면 일부 확대도1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cross section in Fig. 13

도15는 본 발명의 입도선별장치의 구성중 다른 실시예의 진동장치 구성도Fig. 1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tructure of the particle size s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00:1차 입도선별.진흙세척장치 101:선별장치의 프레임100: Primary particle size selection Mud cleaning device 101: Frame of sorting device

103:지지브라켓 104:전,후방 고정 대 105: 완충용튜브103: support bracket 104: front and rear fixing bracket 105: buffer tube

106:좌우 안내판 107:가로프레임 108:모터 고정대106: lateral guide plate 107: horizontal frame 108: motor fixing base

110,115:1,2차 스크린 111:1차스크린 지지용 가로프레임110, 115: primary and secondary screens 111: horizontal frame for supporting the primary screen

116:2차 스크린 지지용 가로프레임 120:진동축 121:축수브라켓116: Horizontal frame for supporting the secondary screen 120: Vibration axis 121: Axle bracket

122:편심추 124:구동모터 126:유니버셜 전동축 130:고압 세척관122: eccentric weight 124: drive motor 126: universal transmission shaft 130: high pressure cleaning pipe

200:다함식 입자분쇄,정형장치 210,211,212:분쇄조200: Multi-purpose particle grinding, shaping device 210, 211, 212: Grinding tank

213:분쇄조 뚜껑 214:회전축봉 215: 회전측봉의 구동모터213: milling tank lid 214: rotating shaft rod 215: driving motor for rotating side rod

216:내마모성 고무판 220:투입구 221,222:2,3차 투입구216: abrasion-resistant rubber plate 220: input port 221, 222:

223:투입유도관로 224,225::2,3차 투입유도관로 226:토출구223: input induction conduit 224, 225: second and third input induction conduit 226:

230a, 230b:상,하단 분쇄날군 231:분쇄날 232:내마모성 고무판230a, 230b: upper and lower crushing blade groups 231: crushing blade 232: abrasion resistant rubber plate

300:일실시예의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 301:프레임300: Particle size and mud centrifuge of one embodiment 301: Frame

303:저장탱크 304:연결관 310:반원추형 원추형 원심분리관303: Storage tank 304: Connector 310: Semicircular conical centrifuge tube

311:내마모성 고무재의 코팅부재 312:나선홈311: Coating member of abrasion resistant rubber material 312: Spiral groove

315:원추형 원심분리관의 토출노즐 316:토출유도관315: Discharge nozzle of the conical centrifuge tube 316: Discharge induction pipe

320:원통형 몸통 321:내마모성 코팅부재 322:주입관320: cylindrical body 321: abrasion resistant coating member 322: injection tube

330: 주입노즐 331:샌드펌프 332:주입이송관330: injection nozzle 331: sand pump 332:

340:후방원판 341:후방토출노즐 345:후방배출관340: rear circular plate 341: rear discharge nozzle 345: rear discharge pipe

350:내마모성 코팅부재350: abrasion resistant coating member

400:일실시예의 입도 선별장치 401:입도 선별장치 지지프레임400: particle size sorting apparatus of one embodiment 401: particle size sorting apparatus supporting frame

404:받침판 410:선별 스크린함체 411:토출구404: Support plate 410: Screening enclosure 411: Outlet

413:바이브레이터 고정프레임 420:선별스크린413: Vibrator fixing frame 420: Screening screen

421:단위 스크린판재 422:슬릿 423:슬릿과 슬릿사이의 판재421: Unit screen plate member 422: Slit 423: Plate between slit and slit

430: 바이브레이터 432:튜브형 완충부재 431:고정편430: vibrator 432: tubular buffer member 431:

440:가변브라켓 441:가변브라켓 상판440: variable bracket 441: variable bracket top plate

442:가변브라켓의 부채골형 측면판 443:가변브라켓의 고정공442: flange of the variable bracket side plate 443: fixing bracket of the variable bracket

445:가변브라켓의 이동고정공445: Movable fixing ball of variable bracket

450:고정브라켓 451:고정브라겟의 밑면450: Fixing bracket 451: Bottom of fixed bracket

452:고정브라겟의 부채꼴형 측면판 453:고정브라켓의 고정공452: Sector side plate of fixed bracket 453: Fixing bracket

455:고정브라켓의 이동 고정공 460,461:보울트455: Fixing bracket moving fixture 460,461: Bolt

본 발명에 의하여 개시되는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 제조방법을 도1에 도시한 공정도 및 도2의 제조설비 개요도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sand using Masat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ocess chart shown in Fig. 1 and the outline of the manufacturing facility of Fig.

마사토 산에서 채취한 마사토에는 보통 10Ø이하의 원석과 모래, 진흙이 분포된 성분이나, 간헐적으로 범용 파쇄기로 파쇄하기에 부적합한 대략 25Ø이상의 원석을 선별하기 위하여 1차 원석선별공정이 실시된다.Masato taken from Mount Masato usually has a primary gemstone screening process to select gemstones with a diameter of 10 Ø or less, sand or mud distributed, or gemstones of about 25 Ø or more, which are not suitable for intermittent crushing by a general purpose crusher.

1차 원석선별공정은 마사토 산에서 채취한 마사토를 대략 25Ø이하의 원석을 투과시키는 격자형 스크린이 설치된 1차 원석선별기(20)에 투입하여, 크기가 대략 25Ø이상인 원석과 그 이하의 원석 및 진흙, 모래등을 각각 선별,분리한다.The primary gemstone screening process is carried out by introducing the marathon collected from Mount Masato into a primary gemstone separator 20 equipped with a grid-type screen for transmitting rough gemstones of about 25 Ø or less to obtain gemstones having a size of about 25 Ø or more, , And sand, respectively.

25Ø이상으로 선별, 분리된 원석은 공정외 별도의 파쇄기에서 다시 대략 25Ø이하로 분쇄하여서 1차 원석선별기(20)에 재 투입하고, 25Ø이하로 선별, 분리된 원석 및 진흙, 모래등은 2차 원석선별기(30)로 공급하여 2차 원석선별공정을 실시한다.The selected ores separated by more than 25Ø are crushed to roughly 25 Ø or less from the crusher other than the process and re-introduced into the first round gravel sorting machine (20). The ores, And then supplied to the raw stone sorting machine 30 to perform a secondary raw stone sorting process.

2차 원석선별공정은 1차 원석선별공정에서 선별, 이송된 원석들을 2차 원석선별기(30)에 의하여 선별하고 보다 작게 파쇄하는 공정으로서,The secondary gemstone sorting process is a process of sorting and transporting the selected and sorted gemstones in the primary gemstone sorting process by the secondary gemstone sorting device 30 and crushing them smaller.

선별스크린에 의하여 대략 8Ø 이하 크기로 선별된 원석 및 진흙, 모래들은 1차 입도선별, 진흙 세척장치(100)로 이송하고, 걸러진 8Ø이상의 원석은 1차 파쇄기(40)로 이송하여 세척용수를 공급하면서 다시 대략 8Ø이하로 분쇄하여 1차 입도 선별, 진흙 세척장치(100)로 이송하여 1차 입도선별, 진흙 세척공정을 실시한다.The raw stones, mud and sand selected by the selection screen to a size of about 8 Ø or less are transported to the primary particle sorting and mud washing apparatus 100, and the filtered stones of 8 Ø or more are transported to the primary crusher 40, And is then pulverized to a diameter of about 8 Ø or less, and the primary particle size is sorted and transferred to the mud washing apparatus 100 to perform the primary particle size sorting and the mud washing process.

1차 입도선별, 진흙 세척공정은 2차 원석선별기(30)에서 이송된 대략 8Ø이하의 원석과, 모래, 진흙등을 1차 입도선별, 진흙 세척장치(100)에 투입하여,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하면서 하향 경사지면서 2단으로 설치된 진동식 스크린 위를 하향으로 통과시켜, 상단스크린에서 일차적으로 대략 8Ø이하의 크기의 원석과 모래, 진흙등을 선별하여 투과시키고, 다시 하단 스크린에서 이를 받아 대략 5Ø이하의 원석과 모래, 진흙등을 물과 함께 선별, 투과시키면서 원석과 모래입자 외부에 붙은 진흙을 일차 분리시키는 공정이다.In the primary particle size sorting and mud washing process, raw stones of about 8 Ø or less, sand, clay, and the like, which are transferred from the secondary raw stone separator 30, are charged into the mud washing device 100, Sand and mud of the size of approximately 8 Ø or less are firstly transmitted through the upper screen and then transmitted through the lower screen to receive the roughly 5Ø or less Sand, and mud with water together with water to separate the raw stones and the clay on the outside of the sand.

이 과정에서 각각의 상,하단 스크린에서 걸러진 대략 5Ø 이상의 원석들은 재 포집하여 2차 파쇄기(50)로 이송시켜서, 대략 5Ø이하의 크기로 세밀하게 재 파쇄시킨 후 다시 1차 입도선별, 진흙 세척장치(100)에 투입하여 재선별한다.In this process, the rough stones of about 5Ø or more, which have been filtered at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creens, are collected and transported to the secondary crusher 50, finely crushed to a size of about 5Ø or less, (100) and re-screened.

1차 입도선별, 진흙 세척장치(100)에 의하여 외표면의 진흙이 일차적으로 씻어져 분리된 대략 5Ø이하의 원석은 가는 모래입자, 진흙등과 함께 물에 혼합된 혼합물로 되어 이송관을 통하여 입자분쇄, 정형장치(200)에 공급되어 입자분쇄, 정형 공정으로 가공된다.The primary roughness of roughly 5 Ø or less, which is separated from the mud washing apparatus 100 by wash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ud, is mixed with water together with fine sand particles and clay, Is supplied to the pulverizing and shaping apparatus 200, and is processed into a particle pulverizing and shaping process.

입자분쇄, 정형공정은 물과 함께 공급되는 대략 5Ø이하의 원석, 가는 모래, 진흙등의 혼합물을 수개의 입자분쇄조를 연차적으로 통과시키면서 각각의 분쇄조에서 회전식 분쇄날에 의하여 외형상 대략 5Ø이하의 원석들 중에서 내부적으로 균열 중인 입자를 강제로 분쇄하여 모래입자를 안정성있고 모나지 않게 정형하고, 아울러 균열부나 모래입자 표면 틈새등에 미세하게 붙어 있는 진흙을 모래입자에서 완전히 분리 제거하는 공정이다.In the particle milling and shaping process, a mixture of raw stone, fine sand, clay, etc., of about 5Ø or less supplied together with water is passed through several particle grinding mills in a yearly manner, It is a process of completely separating and removing the clay from the sand particles by forcibly crushing the internally cracked particles in the following gemstones, shaping the sand particles stably and discontinuously, and finely adhering to the cracks,

입자분쇄,정형장치(200)에 의하여 정형 및 표면이나 균열부의 진흙이 세척, 분리된 모래입자는 분리된 진흙과 함께 물에 혼합되어 저장탱크(303)에 이송 저장 된다.The shaping and the mud of the surface or the cracked portion are washed by the particle crushing and shaping apparatus 200, and the separated sand particles are mixed with water together with the separated clay and stored in the storage tank 303 for transportation.

저장탱크(303)에 저장된 모래입자, 진흙, 물 혼합물은 샌드펌프(331)를 통하여 일정압력을 갖고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300)에 단위시간당 일정량으로 주입되어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공정이 실시된다.The mixture of sand particles, clay an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303 is injected into the particle size and clay centrifugal separator 300 at a constant amount through the sand pump 331 at a constant amount per unit time and subjected to particle size and clay centrifugation processes do.

샌드펌프(331)에 의하여 적정의 압력을 갖고 단위시간당 일정량으로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300)에 모래입자,진흙,물 혼합물을 주입시키면 이들은 원추형 원심분리관 내를 원심력을 갖고 통과된다.When sand particles, clay and water mixture are injected into the particle size and clay centrifugal separator 300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per unit time by the sand pump 331, they are passed through the conical centrifuge tube with a centrifugal force.

이 과정에서 혼합물중에서 비중이 큰 굵은 모래입자들은 원추형 원심분리관의 내벽측으로 몰려 분포되면서 회전 토출하게 하고, 비중이 가벼운 미세한 모래입자들과 진흙등은 그 비중량에 따라 점차적으로 원추형 원심분리관의 중심축 부근에 분포되면서 회전 토출된다.In this process, coarse sand particles with a large specific gravity are distributed to the inner wall side of the conical centrifuge tube in the mixture, and the fine grained sand particles and clay having a specific gravity are gradually discharged from the conical centrifuge tube While being distribut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ral axis.

이러한 작동상태에서 원심분리관의 단위시간당 토출량에 비하여 단위시간당 주입량을 일정량 많게 조절하면, 원심력에 의하여 원추형 원심분리관의 내벽측으로 분포되어 회전 전진하는 비교적 비중이 큰 굵은 모래입자들은 대부분이 물과 함께 토출구측으로 배출되어 입도선별장치(400)에 투입되고,In this operating state, when the injection amount per unit time is adjusted to a certain amount larger than the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of the centrifugal tube, the coarse sand particles distributed in the inner wall side of the conical centrifugal tube by centrifugal forc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side, is input to the particle size sorting device 400,

동시에 원심분리관의 토출구측 선단부 중심축부에는 상기 잉여 주입량에 상당하는 토출부하가 형성되어 그 후방측으로 역류현상이 일어나는 바, 원심분리관의 중심축 부근에 분포되어 회류하는 비중이 가벼운 미세한 모래입자들과 진흙등은 물과 함께 역류되어서, 원심분리관의 후방에 설치된 별도의 배출관으로 통하여 침전조(60)에 분리 배출된 후, 별도의 탈수, 압축공정을 거쳐 황토흙으로 생산된다.At the same time, a discharge load corresponding to the surplus injection amount is formed at the discharge port side center shaft portion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nd backward flow phenomenon occurs to the rear side. As a result, fine particles of fine particles scattered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nd mud are backwashed together with water, separated and discharged into a settling tank 60 through a separate discharge pip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nd then subjected to separate dehydration and compression processes to produce clay soil.

이와같은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공정에서 단위시간 토출량과 주입량을 조절하여 토출되는 입도성분을 적정의 규격으로 조절한다.In such granular and sludge centrifugal separation processes, the granular component discharged is adjusted to a proper standard by adjusting the unit time discharge amount and the injection amount.

상기 공정에 의하면 비교적 비중이 큰 굵은 모래입자들만이 낮은 농도의 진흙물과 함께 분리되는 바, 이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300)를 통과한 혼합물은 입도선별장치(400)에 의한 입도선별공정에 의하여 적정규격의 콘크리트용 모래성분으로 최종 선별한다.According to the above process, only coarse sand particles having a relatively large specific gravity are separated together with low-concentration muddy water. The mixture having passed through the particle size and sludge centrifuge apparatus 300 is subjected to a particle size sorting process The final sand is selected as concrete for concrete.

입도선별공정은 선별, 제거하여야 할 최소크기의 입자들이 투과될 수 있는 일정폭과 길이를 갖는 슬릿이 일정간격으로 전면적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입도 선별스크린을 프레임에 진동자유롭게 장치하여, 토출구측이 투입구측에 비하여 일정각도 높게 형성하며, 투입구측으로 진동력을 주는 진동장치가 구비된 입도선별장치(400)에 의하여 수행된다.In the particle size sorting process, slit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that allow the minimum size particles to be sorted and removed ar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nd a rectangular screen having a long rectangular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reely installed on the frame, The particle size selecting device 400 is provided with a vibrating device which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higher than the inlet port side and gives a vibration force to the inlet port side.

입도 선별스크린을 적정의 진동력으로 상하 진동시키는 상태에서, 입도 선별스크린의 후방측(투입구측) 상면에, 상술한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300)의 토출구측에서 선별 토출되는, 비교적 비중이 큰 굵은 모래입자들과 낮은 농도의 진흙물로 된 혼합물이 투입되면,The granular sorting screen is selectively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side of the particle size and clay centrifugal separator 300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side (inlet side) of the granularity sorting screen in a state in which the granular sorting screen is vertically vibrated by an appropriate vibrating force, When a mixture of large coarse sand particles and a low concentration of mud water is introduced,

입도 선별스크린의 진동에 의하여 낮은 농도의 진흙물은 슬릿을 통하여 곧바로 하방으로 투과 배출되고, 모래입자들은 진행방향으로의 진동력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전방의 토출구측으로 이동되게 된다.By the vibration of the screen for screening the particle size, the muddy water of a low concentration is immediately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slit, and the sand particles are gradually moved toward the forward discharge port by the oscillating force in the traveling direction.

모래입자들이 진동하는 입도 선별스크린 위를 후방에서부터 점차적으로 전방의 토출구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슬릿의 폭 규격이하의 모래입자는 하방으로 투과되어 일차 배수된 낮은 농도의 진흙물과 함께 입자분쇄,정형장치(200)에서의 투과물이 이송저장되는 저장탱크(303)로 이송되고, 슬릿의 폭 규격이상의 모래입자들은 전진되어 선별스크린의 선단측에 형성된 토출구로 토출되는 입도 선별공정이 수행된다.When the sand particles are moved from the back to the front discharge port side on the vibrating particle screen screen, the sand particles below the width of the slit are transmitted downward, and together with the low concentration mud water drained firstly, The sand particles larger than the width standard of the slit are advanced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formed at the front end side of the screen, and the particle sorting process is performed.

이러한 입도 선별공정에서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모래성분은, 입도 선별스크린의 슬릿 규격, 입도 선별스크린의 진동력,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으로 부터의 투입량등에 의하여 결정된다.The sand component finally produced in such a particle size selection process is determined by the slit size of the particle size selection screen, the vibration power of the particle size selection screen, the particle size, and the amount of input from the centrifugal separator.

콘크리트용 모래의 적정규격은 입자규격상 5-0.15mm 범위내의 크기와, 물리적성질에서 표준망 0.08mm 체의 통과비율이 7.0% 이하이어야 하면서, 입도상으로는 체를 통과하는 입도의 중량비가 0.6Ø는 25-65%, 0.3Ø는 10-35%,0.15Ø는 2-16%내의 범위로 규정되고 있는 바, 적정규격의 콘크리트용 모래성분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입도 선별공정에서 입도선별스크린의 슬릿 규격, 입도 선별스크린의 진동력 및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로 부터의 투입량등을 상대적으로 조절하여야 한다.The optimum size of sand for concrete should be within the range of 5-0.15mm in terms of particle size and the passing ratio of 0.08mm sieve of standard net in physical properties should be below 7.0% The slit size of the screen for screening the size of the screen in the screening process for obtaining concrete specimens in order to obtain an appropriate standard sand composition is required to be in the range of 25 to 65%, 0.3 to 10 to 35% and 0.15 to 2 to 16% Particle sorting screen The vibratory force and particle size of the screen and the input from the centrifugal separator should be relatively controlled.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입도 선별스크린을 사용하여 입도 선별공정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우선적인 조건은 선별스크린의 슬릿규격을 적정규격으로 고정 형성한 후, 입도 선별스크린의 진동폭 및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으로 부터의 투입량 등을 상대적으로 조절하여 모래성분비율을 적정의 규격으로 맞추는 것이다. 상기한 적정규격상의 입도를 갖는 모래성분을 얻기 위해서는 입도 선별스크린에서 대략 0.8Ø 이하의 입자를 최대한으로 제거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입도 선별스크린의 슬릿규격은 대략 0.8Ø 이하의 입자가 진동력에의하여 투과될 수 있는 규격이면서 모래의 투출진행방향과 직교방향으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된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erform the particle size sorting process using the particle size sorting screen, the preferential condition is that the slit size of the screen is fixed to an appropriate standard, To adjust the sand content ratio to the appropriate standard. In order to obtain the sand component having the above-mentioned appropriate standard size, it is advantageous to remove particles of about 0.8 or less in the screen for screening the particle size screening as much as possibl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lit size of the screen for sorting the size screen is a size that can be transmitted by the vibrating force of the particles of about 0.8 Ø or less and is formed into a shape having a long length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roceeding direction of the sand,

입도 선별스크린을 우레탄 수지와 같은 내마모성과 신축성있는 소재를 사용하면 입도 선별스크린의 진동력에 의하여 슬릿과 슬릿사이의 판재가 전후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슬릿폭이 신축성을 갖고 가변되는 구성으로 형성되어 슬릿들이 막히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particle screen screen is made of urethane resin and abrasion resistant and stretchable material is used, the plate material between the slit and the slit is oscill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by the vibrating force of the screen for sorting screen, and the slit width is formed to be variable in elasticity, The clogging phenomen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이와같은 일련의 공정에 의하면 마사토 산에서 원석으로 채취되는 마사토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혼합용 모래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적정규격의 모래를 생산할 수있을 뿐만 아니라 부수적으로 건축 내장재 및 벽돌용 진흙등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is series of processes, it is possible to produce sand of suitable standard suitable for use as sand for concrete mixing using Masato taken from stone as a raw material in Masatosan, and also to produce clay for building interior and brick incidentally will b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 제조방법은 여러단계의 공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바, 마사토 원석의 1,2차 원석선별공정,1,2차 파쇄공정 및 침전공정 등과 같은 몇 개의 공정들은 돌을 이용한 석분제조장치에 사용하는 공지의 장치에 의하여서도 충분히 수행되지만 나머지 공정의 대부분의 공정은 새로운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효과적이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sand using Masat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through several steps, and several processes such as first and second gemstone selection process, first and second order crushing process, and precipitation process, Although it is sufficiently performed by a known apparatus used in the apparatus for producing used stones, most processes of the remaining steps must be performed by a new apparatus.

본 발명에서 제공코져 하는 제조장치는 상기 제조방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몇 개의 독립적인 제조장치이다.Th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everal independent manufacturing apparatuses for effectively performing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첫 번째 제조장치는 상기 제조방법중에서 1차 입도선별.진흙세척공정을 수The first manufacturing apparatus is capable of performing the primary particle size screening and mud washing process

행하는 1차 입도선별.진흙세척장치이다.It is a primary particle size sorting and mud washing device.

마사토 산에서 채취되는 원석은 그 크기가 다양하고 표면 및 균열부등에 진흙이 견고히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1,2차 원석선별기(30)를 통하여 8Ø이하의 원석을 선별 한 후에 이들을 통상적인 파쇄기에 의해서 한번의 파쇄공정으로 파쇄하여서는, 통상적인 파쇄기의 성능 및 효율에 의할 때 파쇄입자의 크기가 불규칙하여 콘크리트용 모래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Since the ore collected from Mount Masato has various sizes and the clay is firmly adhered to the surface and the cracks, the ore having a diameter of 8 Ø or less is sor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orting devices 30, When crushed by a single crushing step, the size of crushed particles is irregular in accordance with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a conventional crusher, which is unsuitable for use as sand for concrete.

따라서 2차 파쇄공정으로 파쇄된 원석들은 적정의 크기 이하의 것은 선별하여 재 파쇄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는 바, 이 1차 입도선별,진흙세척장치는 2차 파쇄기(50)에서 대략 8Ø이하로 파쇄된 원석 및 진흙, 모래등을 물과 함께 공급받아 원석중에서 일차적으로 대략 8Ø 이하의 것을 선별한 후, 다시 이차적으로 대략 5Ø이하의 것들을 선별함과 동시에 원석의 표면에 부착된 진흙을 5Ø고압용수로 일차적으로 세척하기 위하여 개시되는 장치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re-crushing operation when the crushed ores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proper size are crushed by the secondary crushing process. The primary crushing screening and the mud washing device are crushed to about 8Ø or less in the secondary crusher 50 The raw materials of stone, mud and sand are supplied together with water to first select roughly 8 Ø or less from the raw stones, secondly to select less than 5 Ø, and at the same time, the cla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aw stones is firstly treated with 5Ø high- Is a device that is disclosed for cleaning.

이 1차 입도선별.진흙세척장치의 구성은 상하방이 개방되고 좌우 측방으로 일정높이의 안내판을 갖는 장방형의 갑체로 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내부에서 일정깊이로 상하단에 걸쳐 일정간격을 갖고 수개의 가로프레임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으로 규격의 투과공을 갖는 1차 스크린 및 이 보다 작은 규격의 투과공을 갖는 2차 스크린들과, 상기 1차 스크린의 상방에서 프레임의 좌우판 간에 수열 설치되는 고압 세척수 공급관과, 상기 1,2차 스크린의 하단측 프레임을 개방시켜 각각 형성되는 상,하단 토출구와, 상기 좌우안내판의 상단 일측에서 좌우 안내판간에 고정되는 가로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진동장치와, 상기 프레임의 하방에서 2차 스크린의 투과물을 모아주도록 설치되는 호퍼 등을 구비하는 입도선별,진흙 세척함체를 형성하여, 상기 입도선별, 진흙 세척함체의 좌우 외측단 전후방을 튜브형 완충장치에 의하여 전방은 낮고 후방은 높게 전후방 고정대에 일정 탄력으로 지지시키는 구성으로 형성된다.This primary particle size screening and mud washing device is composed of a frame made up of rectangular oblong bodies having upper and lower chambers opened and having a guide plate of a certain height horizontally and 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inside of the frame, A secondary screen having a primary screen having a through hole of a standard and a through hole of a smaller standard supported by the horizontal frames and a high pressure washing water An upper and a lower discharge port each formed by opening a lower frame of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and a transverse frame fixed between the right and left guide plates at one side of the upper and left sides of the left and right guide plates, And a hopper installed to collect the permeate of the secondary screen from the lower side, and a mud washing enclosure is formed, By the right and left front and rear outer end of the star, the mud cleaning housing in the tubular front suspension is lower rear is formed in a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a certain elasticity in the fore-and-aft guide high.

도3-5에 상기한 1차 입도선별,진흙세척장치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3-5 illustrate an embodiment of the primary particle size screening and mud clean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부호 100은 1차 입도선별.진흙세척장치 전체를 지칭하는 부호이고, 부호 101은 길이방향으로 긴 장방형 갑체로 되어 투입구측은 높고 토출구측은 낮게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선별장치의 프레임이고, 부호 103은 프레임의 양측단 전 후방에 고정된 지지축을 베어링부재에 의하여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들이다.Reference numeral 100 denotes a frame for the entire primary particle size screening and mud washing apparatus. Reference numeral 101 denotes a frame of a sorting apparatus which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oblong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high inlet port side and a low discharge port side inclined at a constant angle. And support brackets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support shaft fixed to both front and rear ends of the frame by a bearing member.

이 지지브라켓(103)들은 수개의 완충용튜브(105)들에 의하여 프레임의 좌우 측단 외방에서 지면등에 고정되어 있는 전,후방 고정대(104)들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101)을 전,후방 고정대들에 요동 자유롭게 탄력을 갖고 지지시킨다.The support brackets 103 are supported by the front and rear fixing tables 104 fixed to the ground or the like from outside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ame by several buffer tubes 105, It is pivotally supported on a fixed table and supported with elasticity.

상기 갑체형 프레임(101)의 내부에는 상하단에 걸쳐 일정간격을 갖고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1,2차 스크린(110)(115)들이 설치되어 있다.In the interior of the wide frame 101, first and second screens 110 and 115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inclined downward are provided.

상방의 1차 스크린(110)은 굵은 강선으로 엮여진 대략 8Ø의 원석이 통과될 수 있는 격자망(網)이 수개의 가로프레임(111)들에 의하여 고정지지되어 있다.The primary screen 110 on the upper side is fixedly supported by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11 by means of a lattice network through which a rough stone of approximately 8 Ø can be passed.

하방의 2차 스크린(115)은 대략 5Ø의 구멍이 5mm 간격으로 사방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내마모성 우레탄수지재의 단위판재망들을 착탈식으로 수개의 가로프레임(116)들 위에 수십개 조립한 구성이다.The lower secondary screen 115 has a structure in which dozens of abrasion-resistant urethane resin unit sheet nets are detachably mounted on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16, each having a 5-mm hole formed at intervals of 5 mm.

상기 1차 스크린(110)의 좌우 측단에는 프레임(101)과 연장된 부재로 좌우 안내판(106)들이 형성되어 있고, 2차 스크린(115)의 하방에는 프레임(101)의 하단에 연장되어 스크린을 통과한 원석과 진흙 및 세척수를 모아 입자분쇄, 정형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호퍼(117)가 부착되어 있다.At the right and left ends of the primary screen 110, a frame 101 and right and left guide plates 106 are formed as elongated members. Below the secondary screen 115, a screen 101 is extended to the lower end of the frame 101, And a hopper 117 for collecting the raw stones, mud and washing water that have passed through and conveying them to the pulverizing and shaping apparatus.

상기 좌우 안내판(106)의 중간부 상단에는 가로프레임(107)에 각각 베어링을 갖는 축수브라켓(121)들에 의하여 가로방향으로 2개의 진동축(120)들이 회전 자유롭게 축설되어 있고, 이 진동축(120)들에는 각각 편심추(122)들이 좌우 양측에 고정축설되며, 각각의 진동측(120)들은 프레임(101)의 일측단에서 고정대(108)에 설치된 구동모터(124)와 유니버셜 전동축(126)으로 연동되어 있다.Two transverse vibrating shafts 120 are rotatably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right and left guide plates 106 by transverse brackets 121 having bearings in the transverse frame 107, 120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ccentric weight 122. Each of the vibration sides 120 is connected to a driving motor 124 provided on a fixed base 108 at one end of the frame 101, 126).

상기 1차 스크린(110)의 상방에는 수개의 분사노즐을 갖는 고압 세척관(130)이 가로열로 수줄 형성되어 있다.A high-pressure cleaning pipe 130 having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is formed in a row on the upper side of the primary screen 110.

상기한 구성에서 프레임(101)의 경사각도는 마사토의 원석 성분에 따라서 임의의 각도로 고정하나, 대략 10-20도 내외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In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rame 101 is fixed at an arbitrary angle according to the gemstone component of the marble, but it is preferably formed at about 10-20 degrees,

프레임(101)의 완충부재인 완충용튜브(105)들은 공지한 공기주입식이 바람직하며, 2차 스크린의 재질은 쇼어 경도100-120 정도의 우레탄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구멍의 수축성과 내구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면에서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uffering tubes 105 which are buffering members of the frame 101 are of the known air injection type and that the material of the secondary screen is formed of a urethane resin having a Shore hardness of about 100-120 to satisfy both the shrinking property and the durability of the hole .

이와 같은 구성의 1차 입도선별.진흙세척장치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action and effect of the primary particle size screening and mud cleaning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re as follows.

상기와 같은 구성의 1차 입도선별.진흙세척장치는 구동모터(124)를 작동시키면 이 구동모터축과 유니버셜 전동축(126)에 의하여 연동되어 있는 진동축(120)들을When the driving motor 124 is operated, the primary particle size screening / mud washing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operated to rotate the vibrating shafts 120 interlocked by the driving motor shaft and the universal driving shaft 126

회전시킨다..

전동축(120)들이 회전하게 되면 각각의 좌우측단에 축실된 편심추(122)들도 회전하게 되어 전동축(120)들을 회전편심력으로 진동(요동)하게 된다.When the transmission shafts 120 are rotated, the eccentric weight 122 pivote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transmission shafts 120 are also rotated to vibrate (oscillate) the transmission shafts 120 with rotary eccentric force.

전동축(120)들이 진동하게 되면 이 전동축을 축수브라켓(121)들로 고정하고When the electric shafts 120 are vibrated, the electric shafts are fixed to the axle brackets 121

있는 프레임(101)에도 진동력이 전달되어, 좌우측단 네귀의 고정브라켓(103)들이A vibration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rame 101 having the right and left ends and the four fixing brackets 103

완충용튜브(105)에 의하여 전,후방 고정대(104)들에 요동자유롭게 탄력적으로 지지된 프레임(101) 전체가 진동하게 된다.The whole of the frame 101, which is supported by the buffer tubes 105 in a freely pivotable manner on the front and rear fixing legs 104, is vibrated.

이러한 프레임(101)의 진동상태에서 상기 1차 스크린의 상방에 가로방향으로 수열 설치된 고압 세척관(130)에 물을 공급하여 수개의 분사노즐로 1차 스크린(110)의 상면으로 고압세척수를 분사시키면 작동초기상태가 된다.In the vibration state of the frame 101, water is supplied to the high-pressure cleaning pipe 130, which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bove the primary screen, to spray the high-pressure cleaning water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imary screen 110 with several injection nozzles If you do, it will be in the initial state of operation.

이러한 작동 초기상태에서 전술한 제조방법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마사토산에서 채취되는 원석이 1,2차 원석선별기(30)와 1,2차 파쇄기(50)를 거쳐 대략 8Ø이하로 파쇄된 마사토 원석(진흙, 모래등)이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프레임(101)의 상단(투입구)측으로 일정량 씩 지속적으로 투입되면, 투입된 원석은 일차적으로 상방의 1차 스크린(110)의 상면을 타고 진동상태로 경사지게 하향되면서, 진동력과 자체중량 및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대략 8Ø이하의 원석과 모래, 진흙등은 망 아래로 투과하여 2차 스크린(115)위로 배출되고,8Ø 이상의 원석들은 계속 하향하여 프레임(101) 하단의 토출구로 배출되어 이송컨베이어로 다시 2차 파쇄기(50)로 재공급된다.A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manufacturing method in the initial operation state, the raw stones collected from the Masato mountains are passed through the primary and secondary sorting machines 30 and the primary and secondary crushers 50, (Mud, sand, etc.) is continuously fed to the upper end (input port) side of the frame 101 by the conveying conveyor, the inserted ore is first downwardly inclined down to the vibration st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mary screen 110 Sand, mud or the like of about 8 Ø or less is discharged through the screen and discharged onto the secondary screen 115 by the washing water sprayed with the vibration power and the self weight and high pressure, 101) and then re-supplied to the secondary crusher (50) again by the conveying conveyor.

1차 스크린(110)을 투과한 대략 8Ø이하의 원석과 모래, 진흙 등은 2차 스The raw ore, sand, mud, etc., having passed through the primary screen (110)

크린(115)에 의하여 다시 대략 5Ø이하의 원석과 모래, 진흙등은 물과 함께 투과The raw stones, sand, mud, etc. of about 5 Ø or less are again permeated by water (115)

되어 하방의 호퍼(117)로 모아져 다음 공정을 수행하는 입자분쇄,정형장치로 샌드 폄프에 의하여 이송되고, 투과되지 못한 원석들은 계속 2차 스크린(115)의 상면을 타고 하향하여 프레임(101) 하단의 토출구로 배출되어 이송컨베이어로 다시 2차 파쇄기(50)로 재공급된다.The raw stones, which have not been transmitted, are conveyed downwar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ary screen 115 to be conveyed by the lower part of the frame 101 And is again supplied to the secondary crusher 50 by the conveying conveyor.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동상태를 갖는 1차 입도선별,진흙세척장치는 대략 8Ø와 5Ø의 투과공을 갖는 1,2차 스크린으로 2단계에 걸쳐서 원석의 크기를 선별하므로서,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 제조설비를 구성함에 있어서 1,2차 파쇄기(50)를 기성품인 저용량을 사용하여서도 효과적으로 원석을 8Ø이하로 파쇄할 수 있고,The primary particle size screening and mud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operating state is a one-screen screen having roughly 8 Ø and 5 Ø transmission holes, and by selecting the size of the raw stones in two stages, The primary and secondary crushers 50 can be effectively crushed to a diameter of 8 or less even by using a low capacity as a ready-made product,

선별장치의 프레임(101)을 탄력성이 우수한 완충용튜브(105)들에 의하여 전,후방 고정대(104)에 지지시키므로서, 진동수단인 진동축(120), 편심추(122) 및 구동모터(124)의 규격을 소용량으로 형성하여서도 효과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The frame 101 of the sorting apparatus is supported on the front and rear fixing rods 104 by the buffer tubes 105 having excellent elasticity so that the vibrating shaft 120, the eccentric weight 122, and the driving motor 124 can be effectively vibrated even when the standard of small capacity is formed,

선별작업을 진동력과 고압 세척수에 의하여 수행시키므로서 선별효율을 높임은 물론, 원석의 표면에 붙어 있는 진흙을 효과적으로 1차 분리시키면서 분리된 진흙을 공기중에 날림없이 집진하는 효과와 동시에 다음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작용 효과를 가지며,The selection process is carried out by the vibration power and the high pressure washing water, so that the sorting efficiency is increased, the mud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ough stone is effectively separated first, and the separated mud is collected without air in the air. And,

2차 스크린의 구성을 수분의 접촉시에 어느 정도 함수율을 갖는 쇼어 경도 100-120 정도의 우레탄수지로 형성하므로써, 선별작동시에 구멍이 진동력에 의하여 사방으로 팽창, 수축을 반복하여, 불규칙하고 모가 난 원석이 2차 스크린망을 통과할 시에 구멍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특징들을 갖는 것이다.The secondary screen is formed of a urethane resin having a shore hardness of about 100-120 having a certain water content at the time of contact with moisture so that the hole is repeatedly expanded and contracted in four directions by the vibration force during the sorting operation and is irregular It has features that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gouged stone is caught in the hole when passing through the secondary screen network.

또한 1차 입도선별.진흙세척장치(100)의 진동수단의 구성에 있어서, 진동자인 진동축(120)들과 편심추(122)들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24)와의 전동수단은 유니버셜 전동축(126)을 사용하므로서 작동상태에서 프레임(101)이 임의의 각도와 방향으로 요동하여도 유니버셜 전동축(126)의 특성으로 원활한 전동상태를 유지하므로 전동효율을 높이고 전동 및 축수부재등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transmission means between the oscillation shafts 120 as vibrators and the drive motors 124 for driving the eccentric weights 122 in the constitution of the oscillation means of the primary particle size screening and dirt cleaning apparatus 100 is composed of a universal transmission shaft 126 is used, the frame 101 maintains a smooth running stat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al transmission shaft 126 even when the frame 101 swings in an arbitrary angle and direction, thereby improving the transmission efficiency and preventing breakage of the electric motor and the bearing member .

상기한 1차 입도선별.진흙세척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1,2차 스크린의 구성과 진동수단의 구성은 반드시 도면에 예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screens and the structure of the vibrating means in the construction of the primary particle size screening / dirt cleaning device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예를 들어 1,2차 스크린에 형성하는 투과구멍의 크기는 1,2차 파쇄기의 파쇄규격과 효율에 따라서 적정의 규격으로 변경 할 수 있는 것이며, 완충부재의 수량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며, 진동축의 구동수단 및 전동수단, 진동수단 등은 선별장치의 처리용량에 따라서 임의의 규격이나 수량으로 증감시키거나, 프레임을 진동시키는 효과를 갖는 바이브레이터등의 다른 형태의 진동수단으로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can be changed to an appropriate standard according to the crushing standard and the efficiency of the first and second crushers, and the quantity of the buffer member can be increased. The shaft driving means, the transmission means, the vibration means, and the like can be constituted by other types of vibrating means such as a vibrator having an effect of increasing or decreasing in an arbitrary standard or quantity depending on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sorting apparatus, or vibrating the frame .

본 발명에서 제공코져 하는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의 두 번째 제조장치는 상기 제조방법중에서 입자분쇄, 정형공정을 수행하는 입자분쇄, 정형장치이다.The seco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sand making apparatus using Masato i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icle crushing and shap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particle grinding and shaping process in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상기 1차 입도선별.진흙세척장치를 거쳐 선별된 원석은 그 입자의 크기가 대략 5Ø이하이고 표면에 붙은 진흙은 1차 분리하였지만, 이상태에서도 원석은 마사토의 퇴적 특성상 균열된 상태로 붙어있거나 균열이 진행중이어서 안정성이 낮은 원석상태이고, 그 균열부에는 콘크리트 혼합용 모래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비율의 진흙(점토)이 함유되어 있다.The ore selected through the primary particle size screening and mud washing device has a particle size of about 5Ø or less and the mud adhered to the surface is firstly separated. However, in the ideal condition, the ore is adhered to a cracked state It is in a state of low stabilities because it is in progress and the clay part contains clay (clay) in a ratio unsuitable for use as sand for concrete mixing.

따라서 2차 선별기를 거친 대략 5Ø 이하의 원석들은 콘크리트용 모래로 제조하기위해서는 균열된 것들을 분리하고, 균열이 진행중인 원석은 강제로 깨뜨려서 안정성을 높이면서 외면이나 균열부에 함유된 진흙을 2차 분리하며, 입자들의 외형을 모가 나지않게 고르게 정형하는 분쇄하는 공정이 요구되는 바, 입자분쇄, 정형장치는 이러한 공정을 수행하기 의하여 개시되는 장치이다.Therefore, rough stones of roughly 5Ø or less through the second sorting device are used for separating cracked materials to produce concrete sand, and forcibly breaking crushed stones to enhance stability, while securing the mud contained in the outer surface or cracked part And a process of pulverizing the pulverized product so as to uniformly shape the outer shape of the particles is required, and the pulverizing and shaping device is a device which is started by performing such a process.

이 입자분쇄, 정형장치의 구성은 개폐식 뚜껑이 있고 내벽 전체에 내마모성 코팅부재가 부착되며, 일측상단에는 투입구가, 그 반대편에는 토출구를 가지며, 투입구와 연장하여 내부 하단에 이르는 투입유도로를 가지며 내벽은 고무코팅층을 갖는 다각형의 분쇄조와, 이 분쇄조 뚜껑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관통되어 회전 자유롭게 축수되는 회전축봉과, 이 회전축봉을 회전구동시키는 것으로 뚜껑의 상단에서 회전축봉의 상단과 연동된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축봉의 하단에서 여러단에 걸쳐 방사형으로 수개가 부착되는 분쇄날등으로 구성된다.The particle crushing and shaping device has an opening and closing lid, an abrasion resistant coating member attached to the entire inner wall, a discharge port at the upper end of one side and a discharge port at the opposite end, a charging induction path extending from the discharge port to the inner bottom, A driving motor interlocked with the upper end of the rotary shaft at the upper end of the lid by rotating the rotary shaft rod; And a plurality of milling blades that are radially attached at various stages from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rod.

이와같은 단위 분쇄조는 처리용량 및 분쇄효과의 증대를 위하여 수개를 연접시켜 다함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에는 첫 번째 분쇄조의 토출구는 두 번째 분쇄조의 투입구와 밀폐형으로 연접시키는 방식으로 수개의 분쇄조를 일렬로 연접시켜서도 구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charge port of the first crushing tank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second crushing tank in a hermetically-sealed manner. In this case, several unit crushing vessels The grinding tank may be connected in series.

도5-도7에 상기한 입자분쇄,정형장치의 일실시예인 다함식 입자분쇄,정형장치가 도시되어 있다.FIGS. 5-7 illustrate a multiple particle type pulverizing and shaping apparatus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article grinding and shap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부호 200은 다함식 입자분쇄,정형장치의 전체를 지칭하는 부호이고, 부호 210,211,212는 각각의 분쇄조를 나타내며, 부호 213은 분쇄조들의 뚜껑, 214는 회전축봉, 215는 회전축봉의 구동모터, 230은 회전축봉에 부착된 분쇄날 전체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Reference numeral 210 denotes a grinding chamber, reference numeral 213 denotes a lid of the grinding chambers, reference numeral 214 denotes a rotating shaft rod, reference numeral 215 denotes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reference numeral 230 denotes a driving motor, And the whole of the crushing blade attached to the rotary shaft rod.

상기 1차 분쇄조(210)의 일측 상단에는 상술한 2차 선별장치(100)의 호퍼(117)와 이송관으로 연결되는 투입구(220)가 형성되고, 이 투입구(220)와 연장하여 분쇄조 내벽에는 하단측으로 일정길이 형성된 투입유도관로(223)가 형성되며, 투입구(220)과 반대편에는 2차 분쇄조(210)와 연결되는 2차투입구(221)가 형성되고, 이 2차투입구(221)와 연장하여 2차 분쇄조(211)의 내벽에는 하단측으로 일정길이 형성된 2차 투입유도관로(224)가 형성되며, 2차투입구(221)의 반대편에는 3차 분쇄조(212)와 연결되는 3차투입구(222)가 형성되고, 이 3차투입구(222)와 연장하여 3차 분쇄조(211)의 내벽에는 하단측으로 일정길이 형성된 3차 투입유도관로(225)가 형성되며, 3차투입구(222)의 반대편에는 입도 분리장치에 이송관으로 연결되는 토출구(226)가 형성되어 있다.An inlet 220 connected to the hopper 117 of the secondary sorting apparatus 100 through a transfer pip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primary grinding tank 210, And a second inlet 221 connected to the second mill 210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220. The second inlet 221 The second pulverizing tank 211 is extended from the second pulverizing tank 211 to form a second feed introduction conduit 224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grinding tank 211 at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lower end thereof. A third charging inlet conduit 222 is formed and a third charging inlet conduit 225 is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tertiary grinding tank 211 to extend from the third charging inlet 222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lower end, And a discharge port 226 connected to the particle size separator through a transfer pipe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charge port 222.

한편 상기 각각의 분쇄조 내벽 전체에는 별도의 부재인 내마모성 고무판(216)에 의하여 코팅처리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ntire inner wall of each of the crushing vessels is coated with an abrasion-resistant rubber plate 216, which is a separate member.

상기 회전축봉들에 부착된 분쇄날(230)들은 상기 분쇄조들에 구비된 투입유도관로(223)(224)(225)들의 하단보다 다소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하단 분쇄날군(230a)들과, 이들보다 다소 상방으로 설치되는 상단 분쇄날군(230b)들로 구성된다.The crushing blades 230 attached to the rotating shaft rods are divided into a lower crushing blade group 230a provided at a position slightly higher than the lower ends of the input induction pipes 223, 224, 225 provided in the crushing chambers, And a plurality of upper grinding blade groups 230b which are installed somewhat higher than the upper grinding blade groups 230b.

상기 상,하단 분쇄날군(230a,230b)을 형성하는 각각 수개의 단위 분쇄날(231)들은 일정길이와 폭을 갖는 강판형부재로서, 회전축봉의 둘레에 방사형으로 배열되면서 각각의 날 각도는 일정각도 틀어진 형태로 고정시킨 구성이고, 각각의 분쇄날(231)들에는 내마모성 고무판(232)이 탈착식으로 부착되어 있다.Each of several unit crushing blades 231 forming the upper and lower crushing blade groups 230a and 230b is a steel plat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is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rotation axis bar, And the abrasion-resistant rubber plate 232 is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f the crushing blades 231.

상기한 각각의 분쇄날(231)들을 회전축봉의 측단에 일정각도 틀어서 부착시키는 구성은 상단과 하단의 분쇄날군들 각각에서 단위 분쇄날(231)들은 교호로 그 경사방향을 반대로 틀어서도 형성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spective crushing blades 231 are attached to the opposite ends of the rotary shaft at a predetermined angle may be formed by alternately turning the unit crushing blades 231 in the upper and lower crushing blade groups in an alternate manner .

이러한 구성은 분쇄조내에서 모래, 진흙이 물에 섞인 혼합물을 상승 와류상태로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분쇄, 정형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고려되는 구성이다.This configuration is considere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pulverization and shaping while simultaneously rotating the mixture of sand and mud into water in the pulverizing tank in a rising vortex state.

이와 같은 구성의 입자분쇄,정형장치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action and effect of the particle pulverizing and shaping apparatus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re as follows.

상기와 같은 구성의 입자분쇄,정형장치는 상기 전술한 1차 입도선별. 진흙세척장치의 하방측에 설치되어서, 세 개의 분쇄조(210)(211)(212)들에 설치된 구동모터(215)들에 전원을 인가하므로서 작동상태로 된다.The particle pulverizing and shap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stitution is the above-described primary particle size sorting. And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mud washing apparatus and is operated by applying power to the driving motors 215 provided in the three grinding tanks 210, 211 and 212.

구동모터(215)들의 구동으로 회전축봉(214)들이 일정 회전수로 회전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1차 입도선별.진흙세척장치에 의하여 선별된 대략 5Ø 이하의 모래와 진흙등이 물에 혼합된 상태로 호퍼(117)에 모아져 1차 분쇄조(210)의 1차In the state where the rotary shaft rods 214 are rotated at a constant rotation speed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s 215, sand and mud of about 5 Ø or less selected by the primary particle size screening / mud washing device are mixed with water Collected in the hopper 117 in the state of the first mill

투입구(220)측으로 일정압력을 갖고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일차적으로 1차 분쇄조(210)에 만수된 후 2차 투입구(221)측으로 배출되어 2차 투입유도관로(224)를 거쳐 2차 분쇄조(211)에 만수되고, 이어서 2차 분쇄조(211)에 만수되면 3차 투입구(222)를 통하여 3차 분쇄조(212)에 3차 투입유도관로(225)를 통하여 만수 된후 토출구(226)측으로 배출되는 바, 이러한 1,2,3차 분쇄조들을 1차 투입구(220)측에서의 공급압으로 3개의 분쇄조를 연차적으로 거치는 동안에 진흙물에 혼합되어 있는 대략 5Ø 이하의 원석들은 각각의 분쇄조내에서 회전작동하는 상,하단 분쇄날군(230a)(230b)들에 의하여 분쇄,정형된다.And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inlet port 220 side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it is first filled in the first milling vessel 210 and then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second inlet port 221 to be supplied to the second milling vessel 224 through the second inlet introduction channel 224, And then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226 through the third input introduction conduit 225 to the third milling vessel 212 through the third inlet 222 when the second milling vessel 211 is full. The raw stones of about 5Ø or less, which are mixed in the muddy water while the three, first and second mills are fed under the supply pressure from the first inlet 220 side, And is crushed and shaped by the upper and lower crushing blade groups 230a and 230b rotating in the tank.

즉, 대략 5Ø 이하의 원석들은 각각의 분쇄조를 연차적으로 거치는 동안에 회전하는 상,하단 분쇄날군(230a)(230b)들에 부딪혀 분쇄되고, 동시에 퉁겨지면서 진흙물과 함께 회전원심력으로 다각형의 분쇄조 내벽의 고무판(216)에 부딪히면서 불규칙 와류를 일으키며 정형, 분쇄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rough stones of about 5Ø or less are crushed by colliding with the upper and lower crushing blade groups 230a and 230b which rotate while the respective crushing troughs are passing through the respective crushing troughs, and at the same time, It is hit by the rubber plate 216 on the inner wall of the tank and is irregularly vortexed and shaped and crushed.

이러한 상,하단분쇄날군(230a)(230b)들과 다각형 분쇄조 내벽에 의한 원석의 정형,분쇄작용은 원석중에서 균열된 상태로 붙어 있던 조각들은 분리시키며, 균열중인 입자들은 강제로 분쇄시키면서 입자를 고르게 정형하며, 균열부에 끼여있던 진흙을 용이하게 분리시켜 입자의 안정성을 높이고 진흙함유율을 낮추는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shaping and crushing action of the ores by the upper and lower crushing blade groups 230a and 230b and the inner wall of the polygonal crushing tank separates the pieces that were stuck in the crushed stones,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particles and lowering the content of the mud by easily separating the clay that is sandwiched by the cracks.

상기한 일실시예의 구성에서 1,2,3차 분쇄조들에 설치된 구동모터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는 속도 가변식 구성인 바, 1차 분쇄조에 비하여 2차,3차 분쇄조 회전축봉의 회전수를 점차적으로 낮은 회전수로 작동시키면, 각각의 분쇄조에서의 분쇄강도가 점차적으로 차이가 나서, 3차 분쇄조를 거치는 동안에 정형상태나 분쇄강도를 조절하여 분쇄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사토 원석의 종류 및 분포성분에 따라서 알맞는 분쇄강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In the construc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rive motors provid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lls are variable in speed that can independently control the number of revolutions. In the first and second mills, Whe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ds is gradually lowered, the crushing strengths in the respective crushing vessels are gradu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crush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controlling the shaping condition and the crushing strength while passing through the third crushing tank However, it is possible to obtain crushing strength suitable for the kind and distribution component of the marble ore.

또한 분쇄조의 내벽에 고무판재로 코팅처리하므로서 분쇄날에 의하여 내벽 측으로 튕겨진 입자들은 고무판과의 마찰로 외표면이 정형되고, 마찰시에 탄력을In addition, since the inner wall of the grinding tank is coated with a rubber plate material, the particles repelled by the grinding blade toward the inner wall are shaped by friction with the rubber plate and the elastic surface

갖고 튀겨져 활발한 분쇄작동이 이루어지는 작용효과도 있는 것이다.There is also an action effect that an active crush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being fried.

본 발명에서 제공코져 하는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의 세번째 제조장치는 상기 제조방법중에서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공정을 수행하는 입도 및 진흙 원심 분리장치이다.The third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sand making apparatus using Masato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anular and clay centrifugal separa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granularity and the sludge centrifugal separation process among the above production methods.

상기 입도정형분쇄장치를 통과한 원석은 그 입자의 크기가 대부분이 5Ø이하로 정형되고 분쇄된 상태이며, 표면 및 내부 균열부 등에 붙은 진흙이 거의 제거, 분리된 상태이지만, 이들은 진흙과 함께 물에 혼합상태로 배출된다.The ore passing through the granular crushing apparatus is in a state where its particle size is mostly shaped and crushed to 5Ø or less and the clay adhering to the surface and internal cracks are almost removed and separated. And discharged in a mixed state.

따라서 다음공정으로는 적정의 크기로 분쇄, 정형된 모래와 진흙을 처리용량에 맞추어 적정의 속도로 분리시켜야만 채산성을 맞출 수 있다.Therefore, in the next step, it is necessary to separate crushed and shaped sand and clay to the proper size and to separate them at the appropriate rate to meet the profitability.

모래와 진흙이 혼합된 물에서 모래와 진흙을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모래와 진흙의 입도 차이가 큰점을 이용하여, 일정 입도이하인 진흙과 미세입자의 모래 및 물은 통과되고 규격 모래는 걸러지는 망(스크린)을 사용하는 투과식 방법이 있으나, 망을 사용하는 투과식 방법으로 전술한 입자분쇄, 정형장치에서 고속으로 토출되는 용량에 맞추어 입도 분리 및 진흙과 물을 분리하기위해서는 그 장치가 매우 대형화되어야 함은 물론 구동장치도 대용량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이나 경제성에서 비 실용적이다.In the method of separating sand and mud from water mixed with sand and mud, sand and water of a certain particle size and less than a certain particle size are passed through using a difference in particle size between sand and clay, Screen). However, in order to separate the granules and the mud and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capacity discharged at a high speed in the above-described particle crushing and shaping apparatus by the permeation method using a net, the apparatus must be very large As a matter of course, since the drive unit must use a large capacity, it is impractical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and economy.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고져 제공되는 것으로서, 원심분리장치에 의하여 콘크리트용 적정규격의 모래 입자와 규격이하의 미세입자 모래 및 진흙을 각각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분리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The granular and sludge centrifugal separator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and by the centrifugal separator, it is possible to rapidly and efficiently supply sand particles of an appropriate size for concrete, It is characterized by separation.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의 구성은,The constitution of the particle size and mud centrifuge apparatu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토출구측은 작은 직경으로 되고 주입구측은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밑면에 비하여 길이비가 긴 반 원추형 원심분리관과, 원심분리관의 토출구측에 착탈식으로 장치되는 원통형의 토출노즐과, 원심분리관의 주입구측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원통형 몸통과, 이 몸통의 후방 일측단에서 몸통의 중심축과 직교방향으로 편심되게 부착되는 주입관과, 이 주입관에 착탈식으로 연접되는 주입노즐과, 전술한 입자분쇄, 정형장치에서 물과 함께 토출되는 모래, 진흙 혼합물을 일정 압력으로 양정하는 샌드펌프와, 이 샌드펌프와 하단이 착탈식으로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주입관과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샌드펌프에 의하여 물과 함께 양정되는 모래, 진흙 혼합물을 상기 주입관에 이송하는 주입이송관과, 상기 몸통의 후단을 막도록 착탈식으로 밀착되는 후방원판과, 상기 후방원판의 중앙부에서 일정 직경을 갖고 내측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고정 부착된 후방토출노즐과, 상기 후방원판을 몸통의 후단에 착탈식으로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플랜지부를 갖는 후방배출관으로 구성된다.A semi-conical centrifuge tube having a small diameter on the discharge port side and a large diameter on the injection port side and having a longer length ratio than the bottom surface, a cylindrical discharge nozzle removably mounted on the discharge port side of the centrifuge tube, An injection nozzle eccentrically attach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at a rear end of the body, an injection nozzl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injection tube, and the above-described particle grinding, A sand pump for lifting a sand and clay mixture discharged with water from the apparatus to a predetermined pressure, a lower end connected detachably to the upper end of the sand pump, and an upper e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injection pipe, An injection transfer pipe for transferring the sand and the clay mixture to the injection pipe, and a rear circular disk which is removably adhered to close the rear end of the body, A rear discharge nozzl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ear circular plate and protruding and fixed to the inner side for a predetermined length and fixed to the rear discharge pipe and a rear discharge pipe having a flange portion for detachably fixing the rear circular plate to the rear end of the body .

상기한 구성의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를 도8-도12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구성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article size and the sludge centrifuge of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stitution of one embodiment shown in Figs. 8 to 12 as follows.

부호 300은 일실시예의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 전체를 지칭한다.Reference numeral 300 refers to the particle size and mud centrifuge of the embodiment in its entirety.

부호 310은 원추형 원심분리관, 315는 원추형 원심분리관의 토출노즐을 나타내며, 301은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300)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나타내고, 부호 316은 토출노즐의 전방부에 부설되는 토출유도관이다.Reference numeral 310 denotes a conical centrifuge tube, 315 denotes a discharge nozzle of a conical centrifuge tube, 301 denotes a frame for supporting the particle size and the mud centrifuge 300, 316 denotes a discharge It is a guide tube.

부호 311은 원추형 원심분리관(310)의 내벽에 조립식으로 밀착되게 씌워지Reference numeral 311 denotes a conical centrifuge tube (310)

일정두께의 고무합성재의 내마모성 코팅부재로서, 그 내벽측에는 일정깊이와 폭을 갖는 나선홈(312)이 형성되어 있다.A wear resistant coating member made of a rubber synthetic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with a spiral groove 312 having a certain depth and width on the inner wall side thereof.

부호 320은 원추형 원심분리관(310)의 후단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원통형 몸통으로서 후방 일측단에는 몸통의 중심축과 직교방향으로 편심되게 형성된 주입관(322)이 일체로 형성되며, 몸통의 내벽 전체에는 일정두께의 수지 및 고무합성재의 내마모성 코팅부재(321)가 밀착되게 조립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320 denotes a cylindrical body which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rear end of the conical centrifuge tube 310. An injection pipe 322 formed to be eccentrically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is integrally formed at a rear end of the cylindrical body, The wear resistant coating member 321 of the resin and the rubber synthetic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closely attached.

부호 330은 주입관(322)의 입구측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주입노즐이고, 이 주입노즐(330)의 하단에는 입자분쇄,정형장치(200)에서 물과 함께 토출되는 모래, 진흙 혼합물을 일정 압력으로 양정하는 샌드펌프(331)와, 이 샌드펌프 (331)와 하단이 착탈식으로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주입노즐(330)과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샌드펌프(331)에 의하여 물과 함께 양정되는 모래, 진흙 혼합물을 상기 주입관(322)에 이송하는 주입이송관(332)이 연결된다.Reference numeral 330 denotes an injection nozzle which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inlet side of the injection pipe 322. At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nozzle 330, a sand and clay mixture, which is discharged together with water from the particle crushing and shaping apparatus 200, A lower end connected detachably to the upper end of the sand pump 331 and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330 in a detachable manner so as to be sanded with water by the sand pump 331, And an injection transfer pipe 332 for transferring the mud mixture to the injection pipe 322 is connected.

상기 몸통(320)의 후단에는 착탈식으로 밀착되는 후방원판(340)과, 상기 후방원판(340)의 중앙부에서 일정 직경을 갖고 내측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고정 부착된 후방토출노즐(341)이 설치되며, 상기 후방원판(340)의 후방에는 후방원판을 몸통(320)의 후단에 착탈식으로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플랜지부를 갖는 후방배출관(345)이 설치된다.And a rear discharge nozzle 341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ear circular plate 340 and fixed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rear circular plate 340 by being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s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body 320, And a rear discharge pipe 345 having a flange portion for detachably fixing the rear circular plate to the rear end of the body 32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rear circular plate 340.

상기와 같은 토출노즐(315), 토출유도관(316), 후방원판(341), 후방배출관(345), 주입이송관(332) 들의 내벽에는 각각 일정 두께의 합성수지제 내마모성 코팅부제(350)가 각각 독립된 부재로 성형되어 밀착식으로 조립되어 있다.A synthetic resin abrasion resistant coating agent 35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on the inner walls of the discharge nozzle 315, the discharge induction pipe 316, the rear circular plate 341, the rear discharge pipe 345 and the injection transfer pipes 332 They are molded into independent members and assembled in a close contact manner.

도8-9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장치는 이후에 설명되는 입도선별장치(400)와 함께 병렬형 원추형 원심분리장치를 설비한 구성으로서, 미설명부호 303은 입자분쇄, 정형장치(200)에서 물과 함께 토출된 모래, 진흙 혼합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이고, 304는 입자분쇄,정형장치(200)의 호퍼(117)와 연결시키는 연결관이며, 401은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300)와 입도선별장치(400)을 지지하는 프레임이다.The apparatu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9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arallel type conical centrifugal separator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 particle size sorting apparatus 400 described later, and reference numeral 303 denotes a particle crushing and shaping apparatus 200 And 304 is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hopper 117 of the particle crushing and shaping apparatus 200 and the reference numeral 401 is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particle size and the sludge centrifuge apparatus 300 And a frame for supporting the particle size sorting apparatus 400.

이와같은 일실시예의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300)는 다음과 같이 입도 및 진흙 분리공정을 수행한다.The granularity and mud centrifuge 300 of this embodiment performs the granulation and mud separation process as follows.

전술한 입자분쇄, 정형장치(200)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분쇄된 모래입자 및 모래입자에서 분리된 진흙이 물과 함께 혼합물로 토출되면 주입이송관(304)를 통하여 저장탱크(303)에 이송 저장된다.When the sand particles finally separated by the above-described particle crushing and shaping apparatus 200 and the mud separated from the sand particles are discharged as a mixture with water, the injection is transpor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tank 303 through the pipeline 304 .

이 저장탱크(303)의 하단에 인입관이 연결된 샌드펌프(331)를 작동시키면, 저장탱크(303)에서 양정되는 모래, 진흙, 물의 혼합물은 주입이송관(332)을 거쳐서 각각의 주입노즐(330)과 주입관(322)을 통하여 각각의 원추형 원심분리관의 몸통(320)에 일정 압력으로 주입된다.When the sand pump 331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tank 303 is operated, a mixture of sand, mud and water, which is stored in the storage tank 303, is supplied to the respective injection nozzles 330 and an injection tube 322 to the torso 320 of each conical centrifuge tube at a constant pressure.

이때에 몸통(320)의 내부로 모래, 진흙, 물의 혼합물을 주입하는 주입관(322)은 상기 몸통(320)의 후방 일측단에서 몸통의 중심축과 직교방향으로 편심되게 부착되어 있어서, 주입되는 모래, 진흙, 물의 혼합물은 몸통(32)의 내벽 일측으로 편심되게 주입되면서 원통형인 몸통(320)의 내벽을 타고 회전하면서 주입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injection pipe 322 for injecting the mixture of sand, mud and water into the inside of the body 320 is eccentrically attached at one end of the rear side of the body 320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The mixture of sand, clay and water is injected eccentrically into one 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body 32 and injected while rotating on the inner wall of the cylindrical body 320.

이러한 회전주입작용은 주입관(322)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주입되는 모래, 진흙, 물의 혼합물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이어지면서 원심력을 갖고 점차적으로 원추형 원심분리관(310)의 내벽을 타고 토출노즐(315)측으로 토출되게 된다.The rotary injection operation is continuously carried out by a mixture of sand, mud, and water continuously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tube 322, and is gradually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nozzle 315 side with the centrifugal force on the inner wall of the conical centrifuge tube 310 And discharged.

이때 모래, 진흙, 물의 혼합물이 원심력을 갖고 회전하면서 몸통(320)측에서 원추형 원심분리관(310)의 후방측에 이르게 되면 원추형 원심분리관(310)의 내벽에 일정두께로 부착된 코팅부재(311)의 나선홈(312)에 의하여 전진방향으로의 추력이 배가되어 토출노즐(315)측으로 회전하면서 토출된다.At this time, when the mixture of sand, clay and water reaches the rear side of the conical centrifuge tube 310 at the side of the body 320 while rotating with centrifugal force, the coating member The thrust in the advancing direction is doubled by the helical groove 312 of the discharge nozzle 311 and discharged toward the discharge nozzle 315 while rotating.

이러한 작용에 의하면 원심력에 의하여 혼합물중에서 비중이 큰 굵은 모래입자들은 원추형 원심분리관(310)의 내벽측으로 몰려 분포되면서 회전 토출하게 되고, 비중이 가벼운 미세한 모래입자들과 진흙등은 그 비중량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원추형 원심분리관의 중심축방향으로 분포되면서 회전 토출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operation, the coarse sand particles having a large specific gravity in the mixture are distributed to the inner wall side of the conical centrifuge tube 310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are rotated and discharged. The fine sand particles and the clay having a specific gravity, Gradually distribute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conical centrifuge tube, and rotates and discharges.

이러한 작용이 일어나는 토출과정에서 토출노즐(315)의 직경을 조절함에 따라서는 주입관(322)측으로 주입되는 단위시간 주입량에 비하여 단위시간 토출량을 적게 형성할 수 있는 바, 주입량에 비하여 토출량이 적게 형성되면 원추형 원심분리관(31)내에 일정한 토출부하가 형성되고, 이 토출부하는 원추형 원심분리관의 선단부(토출구측) 중심축선상에서 후방측으로 작용하여, 중심축선상 근방에서 회전 토출되던 비중이 가벼운 미세한 모래입자들과 진흙등이 물과 함께 역류하는 작용이 발생한다.As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nozzle 315 is adjusted in the discharge process in which such action is performed, the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can be made smaller than the unit time injection amount injected into the injection pipe 322 side. As a result, A predetermined discharge load is formed in the conical centrifuge tube 31. The discharge load acts on the central axis of the distal end portion (discharge port side) of the conical centrifuge tube to the rear side, and the specific gravity which is rotated and discharg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ral axis line is light Sand particles and mud move back together with water.

상기한 역류작용들은 주입관(322)측에서 연속적으로 모래, 진흙, 물의 혼합물이 주입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생되어서, 단위 시간당 토출량에 비하여 잉여분 주입량은 역류분으로 형성되어, 원추형 원심분리관(310)의 중심축선상을 따라 중앙부에서 역류되어 몸통(320)의 후방 중앙부에 실치된 후방토출노즐(341)로 배출되게 되고, 계속하여 후방배출관(345)을 통하여 진흙 침천조로 이송된다.The backflow operations are continuously generated as a mixture of sand, mud, and water is continuously injected from the injection pipe 322 side. The surplus injection amount is formed as countercurrent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and the conical centrifuge tube 310, And is discharged to the rear discharge nozzle 341 located at the rear center of the body 320 and is then transferred to the mud sink trough through the rear discharge pipe 345. [

한편 원심력에 의하여 원추형 원심분리관(310)의 내벽을 타고 회전배출되는 비교적 비중이 큰 굵은 모래입자들은 일부는 코팅부재(311) 내벽을 타고, 일부는On the other hand, coarse sand particles having a relatively large specific gravity, which are rotated and discharg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nical centrifuge tube 310 by centrifugal force, partly rides on the inner wall of the coating member 311,

코팅부재에 형성된 나선홈(312)을 타고 원추형 원심분리관(310)의 선단까지 이동되므로 상기 역류작용에 영향을 받지않고 용이하게 토출노즐(315)측으로 물과 함께 배출되어 토출유도관(316)을 거쳐 후술하는 입도선별장치(400)에 투입된다.And is discharged along with the water to the discharge nozzle 315 side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countercurrent action and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induction pipe 316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countercurrent action, And is input to the particle size sorting apparatus 400 described later.

이와같은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에서 토출노즐(315)과 주입노즐(330)은 원추형 원심분리관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바, 토출되는 입도 분리효율(입자 분포)에 따라서 그 직경들을 증감시켜 적정의 입도 분리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와같은 일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의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는 전술한 입도분쇄장치에 의하여 입자의 크기가 5Ø이하로 분쇄되고 표면 및 내부 균열부 등에 붙은 진흙이 거의 제거된 모래입자들이 진흙, 물과 함께 혼합된 혼합물에서, 콘크리트용 모래로 적합한 원석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진흙과 분리하는 작용효과를 가지므로서 생산성이나 경제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The discharge nozzle 315 and the injection nozzle 330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ical centrifuge tube in such a particle size and sludge centrifuge apparatus. The diameters of the discharge nozzle 315 and the injection nozzle 330 ar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particle separation efficiency (particle distribution) The particle size separation efficiency can be obtained. As described above, the particle size and the sludg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cle size of the particles is reduced to 5 or less by the above-described particle size grinding apparatus, and the sand particle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productiv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can be remarkably increased because the effect of separating the suitable raw stones suitable for concrete for concrete from the mixture quickly and effectively in the mixed mixture with water is obtained.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의 구성은 상기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mposition of the granular and mud centrifuge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예를 들어 원추형 원심분리관의 크기와 형상, 설치각도 및 설치수량등은 처리용량에 따라서 임의의 형상이나 규격으로 변경 할 수 있는 것이며, 원추형 원심분리관이나 기타 모래 혼합물 이송접촉부재 내벽에 구비하는 내마모성 코팅부재는 모래입자와의 마찰에 의하여 장치 본체가 마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의하여 구비되는 구성인 바, 단순히 내마모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마찰 예상부위에 내마모성 수지등으로 열 융착 코딩하는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으나, 장시간 사용후에 보수성을 위하여서는 교환식 구성이 바람직하며, 이 코팅부재의 내벽은 매끈하게 처리하여서도 원만한 원심분리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예시한 나선홈이나 파형굴곡부등의 구성을 부가시키는 것이 토출물이 전진방향으로 토출되는 추력을 배가시킬 수 있고, 비중이 무거운 굵은 모래입자를 효과적으로 분리시키는 면에서 매우 바람직하고, 내마모성 코팅부재의 재료에 있어서도 내마모성을 갖는 발포성고무나, 우레탄 및 합성수지, 합금강재등에 의하여서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size and shape of the conical centrifuge tube, the installation angle, and the installation water volume can be changed to any shape or standar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capacity, and the centrifugal centrifuge tube or other sand- The wear-resistant coating member is constructed by preventing the apparatus main body from being damaged by friction with the sand particles. In order to have wear resistance, the wear-resistant coating member may be formed by thermally fusing and cording to each friction expected portion with an abrasion-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an interchangeable structure for water retention after prolonged use, and a smooth centrifugal effect can be obtained even by smoothly treating the inner wall of the coating member.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helical groove, It is possible to multiply the thrust at which the discharged material is discharg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The foamable rubber heavy coarse sand particles is highly desirable in terms of effective separation, even with wear on the material of the wear-resistant coating or member, it is possible to even the like or a urethane and the synthetic resin, an alloy steel.

본 발명에서 제공코져 하는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의 네번째 제조장치는 상술한 제조방법중에서 입도 선별공정을 수행하는 입도 선별장치이다.The fourth apparatus for producing a sand production apparatus using Masato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ain size sor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grain size sorting process among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s.

상술한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에 의하면 대부분의 모래입자는 적정 크기의 것이 선별되었지만 원심분리기의 특성상 미세 입자의 모래와 농도가 낮은 진흙물이 혼합되어 토출된다.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and the sludge centrifuge described above, most of the sand particles are selected in an appropriate size, bu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the sand of fine particles and the mud water of low concentration are mixed and discharged.

따라서 적정규격의 모래성분을 얻기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적정규격의 모래입자와 구분하여 미세 입자의 모래와 농도가 낮은 진흙물을 선별, 분리하는 입도 선별공정을 필요로 하며, 이 공정을 수행하는 입도 선별장치는 채산성을 위하여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의 처리용량에 맞추어 적정의 속도로 적정의 효율의 선별 작동이 이루어지는 구성이어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obtain an appropriate sized sand component,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sand particles of the appropriate size from the sand particles of the appropriate size, and to select and separate the sand particles having low concentration and the particle size selection process. Shall be of such a construction as to ensure the efficiency of titration at an appropriate rate in accordance with the capacity of the granulation and sludge centrifuge for profitability.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입도 선별장치는 상술한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에서 투출되는 혼합물에서 미세 입자의 모래와 농도가 낮은 진흙물을 완전히 제거하여 콘크리트용 적정규격의 모래입자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선별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particle size sorting apparatu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quickly and efficiently selecting fine particles of concrete for concrete by thoroughly removing fine particles of sand and low-concentration mud from a mixture discharged from the particle size and sludge centrifuge described above .

본 발명의 입도 선별장치의 구성은,In the particle size so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의 토출구 하방에 위치되어 모래, 진흙물의 혼합물을 받을 수 있는 길이방향으로 길고 상하방이 개방된 장방형 선별 스크린함체를 구비하여, 이 스크린함체의 선단측은 개방하여 토출구로 형성하고 후단측은 삼방And a rectangular screen screen enclosure which is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open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receive a mixture of the sand and the muddy water. The front end side of the screen enclosure is opened to form a discharge port, Side

이 막힌 집수조형으로 형성하며, 함체의 내부에는 일정규격의 슬릿이 사방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선별스크린을 선단측 토출구의 높이와 동일높이에서 평행하게 고정 설치하며,And the screen is formed with a slit of a predetermined size continuously formed in the inside of the enclosure in parallel and fixed at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discharge port at the front end,

상기 선별스크린함체의 일측상부에는 가로프레임으로 고정설치되는 진동장치를 구비하여서, 선별스크린함체 전체를 토출구측은 높고 후단측은 낮게 일정각도 경사지게 지지프레임에 수개의 튜브형 완충부재로 진동이 자유롭게 지지시키며, 선별스크린 함체의 하방에는 선별스크린에서의 투과물을 받아주는 받침판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screen screen housing is provided with a vibrating devic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screen housing so as to freely support vibrations freely by the plurality of tubular buffer members on the support frame in such a manner that the discharge screen side of the screen screen housing is high and the rear end side thereof is inclined at a low angle, And a support plate for receiving the permeate from the screen screen is provided below the screen enclosure.

상기한 구성의 입도 선별장치를 도8-10 및 도13-15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구성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article size sort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shown in Figs. 8-10 and 13-15.

부호 400은 일실시예의 입도 선별장치 전체를 지칭한다.Reference numeral 400 denotes the entire particle size sorting apparatus of one embodiment.

부호 410은 상술한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300)의 토출유도관(316)의 하방에 위치되어 모래, 진흙물의 혼합물을 받을 수 있는 길이방향으로 길고 상방이 개방된 선별 스크린함체이다.Reference numeral 410 denotes a screen screen enclosure which is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opened upward so as to be able to receive a mixture of sand and mud water, which is located below the discharge induction pipe 316 of the particle size and mud centrifuge apparatus 300 described above.

이 스크린함체(410)는 선단측은 개방되어 토출구(411)가 형성되며, 후단측은 삼방이 막힌 집수조형태로 형성되어 있다.The screen enclosure 410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411 at its tip end and a water collecting container at its three end closed at its rear end.

함체의 내부에는 도8, 도13-14 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정면적의 우레탄수지 판재에 가로방향으로 긴 일정규격의 슬릿(422)이 수열에 걸쳐 형성된 단위 스크린판재(421)가, 선단측 토출구(411)의 높이와 동일높이에서 선별스크린함체의 내면적에 맞추어 사방 연속하여 조립된 선별스크린(420)이 고정설치되며,As shown in Figs. 8 and 13-14, a unit screen sheet material 421, in which a slit 422 having a certain standard length and which is lo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formed over a series of heat, is formed on a urethane resin sheet of a certain area, The sorting screen 420 is fixedly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discharge port 411,

선별 스크린함체(410)의 상방 중간에는 함체 좌우측판간에 가로질러 고정된 고정프레임(413) 상면에 하단이 토출구(411)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2개의 바이브레이터(430)들이 고정되어 있다.Two vibrators 430 are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413 fixed across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of the enclosure in the middle of the screening enclosure 410 and the lower ends of the vibrating plates 430 are inclined toward the discharge port 411.

이 선별 스크린함체(410)는 전체적으로 토출구(411)측은 높고 후단측은 낮게 일정각도 경사지게 지지프레임(401)에 수개의 튜브형 완충부재(432)로 진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선별 스크린함체(410)의 하방에는 선별스크린(420)에서의 투과물을 받아 저장탱크(303)로 이송하는 받침판(404)이 구비되어 있다.The screen screen housing 410 is vibr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401 with a plurality of tubular buffer members 432 so that the discharge screen 411 side is high and the rear end side thereof is inclined at a low angle with a certain angle. A receiving plate 404 for receiving the permeate from the sorting screen 420 and transferring the permeated to the storage tank 303 is provided.

이와같은 구성의 입도 선별스크린장치(400)는 다음과 같이 입도 선별공정을 실시 한다.The particle size selecting screen device 4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performs the particle size sorting process as follows.

입도 선별스크린장치(400)는 스크린함체(410) 전체가 수개의 튜브형 완충부재(432)들에 의하여 지지프레임(401)에 진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구성이므로, 스크린함체(410)의 상방에 고정부착된 바이브레이터(430)들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키면 스크린함체(410) 전체가 바이브레이터(430)의 설치방향에 의하여 전진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The screen selecting apparatus 4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entire screen enclosure 41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401 in a vibration-free manner by a plurality of tubular buffering members 432, The entire screen enclosure 410 is vibr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vibrator 430. In this case,

이러한 진동상태에서 입도 선별스크린장치(400)의 후측 상방에 위치된 상술한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300)의 토출유도관(316)에서 낮은 농도의 진흙물에 혼합되어 원심분리된 모래입자들이 토출되면 선별스크린(420)의 후단 상면에 투입된다.In this state of vibration, the granulated sand particles mixed in the low concentration mud water in the discharge induction pipe 316 of the particle size and mud centrifuge apparatus 300 located above the rear side of the particle size selection screen apparatus 400 And is discharged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screen 420.

선별스크린(420)의 후단상면에 투입된 낮은 농도의 진흙물과 혼합된 모래입자들은, 스크린함체(410)의 진동과 동일하게 진동하는 선별스크린(420)의 진동에 의하여 낮은 농도의 진흙물과 미세한 모래입자들은 슬릿(422)들을 통하여 곧바로 하방으로 투과 배출되어 받침판(432)을 거쳐 저장탱크(303)에 합류되고,The sand particles mixed with the low concentration mud water put on the rear upper surface of the screening screen 420 are separated by the vibration of the screen screen 420 vibrating in the same manner as the vibration of the screen enclosure 410, The sand particles are immediately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slits 422 and joined to the storage tank 303 via the support plate 432,

비교적 굵은 모래입자들은 선별스크린(420)의 전진방향으로의 진동력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전방의 토출구(411)측을 향하여 선별스크린(420)위에서 이동되면서 슬릿(422)들에 의하여 입도가 선별된다.The coarse sand particles are sorted by the slits 422 while being moved on the screen 420 toward the forward discharge port 411 side gradually by the oscillating force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screening screen 420.

이와같은 선별작용에서 우레탄수지재 선별스크린(420)에 형성된 슬릿(422)들은 선별스크린(420)의 진동력과 동일한 진동력을 받아서 슬릿과 슬릿사이의 판재(423)들이 전후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슬릿 폭을 신축성을 갖고 가변시켜, 슬릿 폭에 비하여 큰 입자가 일시적으로 끼여도 계속되는 진동력에 의하여 슬릿 폭이 신축되면서 끼여있는 모래입자들을 효과적으로 아래로 투과시키게되므로 슬릿들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In the sorting operation, the slits 422 formed on the urethane resin screening screen 420 receive the same vibration force as the vibrating force of the screening screen 420, so that the plate materials 423 between the slits and the slits vibrate in the front- The width is changed with elasticity so that even if a large particle is temporarily sandwiched by the slit width, the slit width is expanded and contracted by the continued vibration force, and the sand particles sandwiched are effectively transmitted downward, thereby preventing clogging of the slits .

상기와 같은 선별스크린(420)에 의한 입도 선별작용은 슬릿(422)의 규격과 선별스크린(420)을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터(430)의 진동력 작용각도(설치각도)와,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300)로 부터의 투입량등에 의하여 형성되는 바,The particle sorting operation by the screening screen 420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by the size of the slit 422, the vibrating force acting angle (installation angle) of the vibrator 430 for vibrating the screening screen 420, And the amount of charge from the battery 300,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300)로 부터의 선별모래 투입량이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볼 때에, 슬릿(422)의 규격이 좁은 폭과 짧은 길이로 형성되면 토출구(411)측으로 선별되는 모래성분에 가는(작은 입자)모래의 함유비율이 높아지고, 슬릿(422)의 규격이 넓은 폭과 긴 길이로 형성되면 토출구(411)측으로 선별되는 모래 성분에 가는 모래의 함유비율이 낮아진다.When the slit 422 is formed to have a narrow width and a short length, it is preferable that the sand component selected to the discharge port 411 side If the slit 422 is formed to have a wide width and a long length, the content of fine sand in the sand component selected at the discharge port 411 side is lowered.

또한 바이브레이터(430)의 설치각도를 선별스크린(420)의 상면에 대하여 작은 값의 예각으로 형성할 수록 선별스크린(420)의 전진방향으로의 진동폭은 넓어지므로, 이 넓어진 진동폭에 비례하여 선별스크린(420)의 상면에 얹혀진 모래입자들의 단위시간당 전진거리도 늘어나 단위시간당 모래생산량은 증가되면서, 단위시간 당 슬릿(422)에 의한 가는 입자의 투과율은 낮아져, 토출구측으로 생산된 모래성분에서 단위입방량당 가는 모래 성분비가 높아지는 특성이 있다.Further, as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vibrator 430 is formed at a small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420, the vibration width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screen 420 is widened. The amount of sand produced per unit time is increased and the transmittance of fine particles by the slits 422 per unit time is lowered so that the amount of sand per unit volume in the sand component produced on the discharge port side And the sand composition ratio is high.

따라서 전술한 제조방법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적정규격의 성분을 갖는 콘크리트용 모래를 제조하기위해서는 상기 입도 선별장치의 구성중에서 선별스크린의 슬릿 규격을 적정규격으로 고정 형성한 후, 입도 선별스크린의 진동폭 및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로 부터의 투입량등을 상대적으로 조절하여 모래성분비율을 적정의 규격으로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order to manufacture sand for concrete having an appropriate standard component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it is necessary to fix the slit size of the sorting screen to an appropriate standard among the structures of the size sorting apparatus,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sand content ratio to an appropriate standard by adjusting the particle size and the input amount from the centrifugal separator.

도13-14 등에는 상기 입도선별장치의 선별스크린(420)을 구성하는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단위 스크린판재(421)와 슬릿(422)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13-14 and the like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unit screen sheet material 421 and the slit 422 of the preferred embodiment constituting the sorting screen 420 of the particle size sorting apparatus.

슬릿(422)이 형성되는 단위 스크린판재(421)의 재료는 내마모성과 신축성을 고려하여 쇼어 경도 100-200 정도의 우레탄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The material of the unit screen sheet material 421 in which the slits 422 are formed is preferably a urethane resin having a Shore hardness of 100-200 or so in consideration of abrasion resistance and stretchability,

물리적성질에서 표준망 0.08mm 체의 통과비율이 7.0% 이하이어야 하면서, 입도상으로는 체를 통과하는 입도의 중량비가 0.6Ø는 25-65%,0.3Ø는 10-35%, 0.15Ø는 2-16%의 범위로 규정되는 모래성분을 맞추기 위해서는 선별스크린에서 대략 0.8Ø 이하의 입자를 최대한으로 제거하는 것이 유리하므로,In the physical properties, the passing ratio of the 0.08 mm sieve of the standard net should be less than 7.0%, while the weight ratio of the particle size passing through the sieve is from 25 to 65%, 0.3 to 10 to 35%, 0.15 to 2 to 16% %, It is advantageous to remove the particles of about 0.8 Ø or less as much as possible in the screen,

단위 스크린판재(421)에 형성하는 단위 슬릿(422)의 폭은 0.8mm로 형성하면서, 슬릿과 슬릿사이에 형성되는 판재(423)들의 폭은 2.5mm로 형성하고, 단위 슬릿의 길이는 11mm 정도로 형성하였을 때에, 슬릿과 슬릿사이의 판재(423)들이 선별스크린의 진동시에 함께 전후방으로 흔들리면서 각각의 슬릿 폭을 가변시켜 슬릿들이 막히지 않고 대략 0.8Ø 이하의 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슬릿의 규격을 고정식으로 형성하였을 때에 모래성분을 적정규격으로 맞추기 위해서는 즉, 입도분포를 규정이내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선별스크린의 진동폭(바이브레이터의 설치각도)을 조절하여 단위시간당 토출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width of the unit slits 422 formed in the unit screen sheet member 421 is 0.8 mm and the width of the plate members 423 formed between the slits is 2.5 mm and the length of the unit slits is about 11 mm The plate members 423 between the slits and the slits were swung back and forth together with the progress of the sorting screen, so that the slits could be varied to effectively remove 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about 0.8 or less without clogging the slits. In order to adjust the sand component to a proper standard when the standard of the slit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aintai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ithin the specified rang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oscillation width (installation angle of the vibrator) Most preferred.

따라서 본 발명의 입도선별장치에는 선별스크린의 진동폭을 결정하는 요소인 진동장치의 설치각도조절수단을 부가하므로서 작용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particle size so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operation effect by adding the installation angle adjusting means of the vibration apparatus, which is an element for determining the vibration width of the screen.

이 진동장치의 설치각도조절수단은 진동장치를 선별기함체에 고정하는 프레임의 고정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식 구성으로 형성하던가, 프레임은 고정식으로 형성하면서 프레임에 진동장치를 부착하는 브라켓의 고정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mounting angle adjusting means of the vibrating device may be formed of a variable configura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fixing angle of the frame fixing the vibrating device to the detector housing or may be formed as a fixed type while the fixing angle of the bracket attaching the vibrating device to the frame It is most preferable to form it in an adjustable configuration.

도16 에는 진동장치의 설치각도조절장치의 일예인 바이브례이터의 설치각도 가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16 shows a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installation angle of a vibrator, which is an example of an installation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vibration device.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바이브레이터(430)의 고정편(431)들을 고정하는 가변브라켓(440)과, 고정프레임(413)의 상면일측에 고정부착되어 상기 가변브라켓(440)을 고정하는 고정브라겟(450)으로 구성된다.The apparatus includes a variable bracket 440 for fixing the fixing pieces 431 of the vibrator 430 and a fixed bracket 440 fixed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413 to fix the variable bracket 440. [ (450).

상기 가변브라겟(440)은 바이브레이터(430)의 고정편(431)이 고정되는 상판(441)과, 이 상판에서 좌우 하단으로 절곡된 부채골형 측면판(442)으로 구성되어, 부채꼴형 측면판(442)에는 꼭지점측에는 하나의 고정공(443)를 원호측에는 수개의 고정공(445)들을 형성한 구성이며,The variable bracket 440 is composed of an upper plate 441 to which the fixing piece 431 of the vibrator 430 is fixed and a fan-shaped side plate 442 bent to the left and right lower ends of the upper plate, One fixing hole 443 is formed on the vertex side and a plurality of fixing holes 445 are formed on the arc side of the fixing hole 442,

상기 고정브라켓(450)은 가변브라겟(440)과 반대형상으로 형성되어, 밑면(451)이 고정프레임(413)의 상면 일측에 고정부착되고, 좌우 부채꼴형 측면판(452)들의 간격은 상기 가변브라켓(440)의 좌우 측면판(440)들이 내측으로 끼워지는 폭으로 형성하면서, 꼭지점측에는 상기 가변식브라켓의 부채꼴형 측면판(442)의 고정공()과 동일한 위치에 하나의 고정공(453)를, 원호측에는 상기 가변식브라켓의 부채꼴형 측면판(442)에 형성된 고정공(445)들의 궤적상에 위치하는 하나의 고정공(455)들을 형성한 구성이다.The fixing bracket 450 is formed in an opposite shape to the variable bracket 440 so that the bottom surface 451 is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413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440 of the variable bracket 440 are formed to have a width to be inserted inwardly and at the same time as the fixing holes of the sectorial side plate 442 of the variable bracket, 453 are formed on the locus of the fixing holes 445 formed in the sectorial side plate 442 of the variable bracket.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바이브레이터(430)의 고정편(431)들을 가변브라켓(440)의 상판(441)에 체결보울트등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가변브라켓 측면판(442)들의 꼭지부를 고정브라켓 측면판(452)들의 꼭지부 내측에 끼워 조립한 후, 각각의 고정공(443)(453)들을 맞춘 상태에서 보울트(460)를 좌우 측면판(442)(452)들을 관통하여 체결하면, 가변브라켓(440)의 측면판(442)은 고정브라켓(450)의 좌우 측면판(452)과 보울트(460)를 회전축으로 하는 힌지형태로 결합된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xing pieces 431 of the vibrator 430 are fixed to the upper plate 441 of the variable bracket 440 with a fastening bolt or the like, and the vertexes of the variable bracket side plates 442 are fixed to the fixing bracket side When the bolts 460 are fasten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442 and 452 in the state where the fixing holes 443 and 453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fter being fitted into the inside of the vertex of the plates 452, The side plate 442 of the fixing bracket 440 i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452 of the fixing bracket 450 and the bolt 460 in the form of a hinge.

따라서 가변브라켓(440)을 보울트(460)를 축으로 상하로 회동시키면서, 가변브라켓 측면판(442)의 원호부에 형성된 수개의 고정공(445)들 중에서 임의의 고정공을 고정브라켓 측면판(452)에 형성된 고정공(455)에 맞춘후 보울트(461)로 고정체결하면, 고정브라켓(450)에 대하여 가변브라켓(440)의 고정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The movable bracket 440 is rotated up and down about the bolt 460 so that any one of the fixing holes 445 formed in the arcuate portion of the variable bracket side plate 442 is fixed to the fixed bracket side plate The fixing angle of the variable bracket 440 can be arbitrarily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bracket 450 by fixing the fixing bracket 455 with the bolt 461 after fixing it to the fixing hole 455 formed in the fixing bracket 450.

이와같이 입도선별장치에서 선별스크린을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터의 고정 수단에 설치각도조절수단을 부가하면, 용이하게 선별스크린의 진동폭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따라 적정규격의 콘크리트용 모래성분을 맞추기위하여 요구되는 선별스크린에서의 단위시간당 모래입자 토출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갖는다.When the installation angle adjusting means is added to the fixing means of the vibrator for vibrating the screen for screening in the particle screening apparatus,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vibration width of the screen, and accordingly, The amount of sand particles discharged per unit time can be easily controlled.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개시되는 여러 제조장치들을 일실시예의 구성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기술된 일실시예들은 가장 바람직한 일예를 제시한 것이지 범위를 한정한 것이 아니며, 일부 구성요소나 형상 및 규격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변경실시 될 수 있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여러 제조장치들에 의하면, 농산물이나 과수림의 재배가 어려워 이용가치가 낮은 마사토 산에서 다량으로 채취되는 마사토를 적정규격의 콘크리트용 모래로 대량 제조할 수 있으므로서, 국토자원의 효율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anufacturing apparatuses perform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mass-produce Masato, which is harvested in a large amount from Masatosan, which is difficult to cultivate agricultural products and overgrown forests, Not only can the efficiency of the national resources be significantly improved,

자원적으로 고갈되고 있고, 자연환경파괴의 요인이되어 품귀상태인 강모래에 대체하여 제반 토목건축공사에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으므로 자연환경보존의 효과를 가지며,It has the effect of preserving the natural environment because it is depleted in resources and becomes a factor of destruction of natural environment and can be easily supplied to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work in place of abandoned river sand,

바다모래를 사용함에 따른 콘크리트 품질저하를 방지하여 철근 콘크리트 공법이 상당량 차지하는 토목건축공사의 부실화를 방지할 수 있고,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work which occupies a considerable amount of the reinforced concrete method by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concrete quality caused by the use of the sea sand,

돌산에서 채취한 돌을 파쇄하여 모래로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비하여 대량생산성과 높은 채산성 및 환경오염방지 효과가 있으며,Compared wit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producing sand by crushing stone taken from Dolsan, it has mass productivity, high profitability and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적정규격의 콘크리트용 모래의 생산과 더불어 건축내장재 및 내화벽돌 원료인 진흙(황토)을 부수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It has the advantage of producing incidental sludge (loess) which is the raw material of building interior and refractory brick, as well as producing concrete sand for proper size.

Claims (16)

마사토 산에서 채춰한 마사토 원석을 격자형 스크린이 설치된 1차 원석선별기에 투입하여 대략 25Ø이상 크기의 원석은 공정외 별도의 파쇄기에서 다시 대략 25Ø이하로 분쇄하여서 1차 원석선별기에 재 투입하고, 25Ø이하 크기의 원석과 진흙, 모래등은 투과 선별하는 1차 원석선별공정과,Masato gemstone from Masato was put into a primary screening machine equipped with a lattice screen to grind roughly 25 Ø or more of gemstones to a size of about 25 Ø or less from a separate crusher outside the process and then re-introduced into the primary gemstone screening machine. A primary gemstone sorting process for sorting the gemstones, mud, sand, 상기 1차 원석선별기에 의하여 선별된 원석과 진흙, 모래들을 2차 선별스크기에 의하여 대략 8Ø 이하 크기로 선별한 원석 및 진흙, 모래들은 1차 입도선별, 진흙 세척장치로 이송하고, 걸러진 8Ø이상의 원석은 1차 파쇄기로 이송하여 세척용수를 공급하면서 다시 대략 8Ø이하로 분쇄하여 1차 입도선별, 진흙 세척장치로 이송하는 2차 원석선별공정과,The selected gemstones, mud and sand selected by the primary gemstone sorting machine are sorted by the secondary sorting size to a size of about 8 Ø or less, and the gemstones, sand and sand are transferred to a primary particle size screening and mud washing device. The raw stone is transported to the primary crusher, and the secondary raw stone screening process for crushing it to about 8 Ø or less while feeding the washing water and transferring it to the primary particle size sorting and mud washing device, 2차 원석선별기에서 이송된 대략 8Ø이하의 원석과, 모래, 진흙등을 1차 입도선별, 진흙 세척장치에 투입하여,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하면서 하향 경사지면서 2단으로 실치된 진동식 스크린 위를 하향으로 통과시켜, 상단스크린에서 일차적으로 대략 8Ø이하의 크기의 원석과 모래, 진흙등을 선별, 투과시키고, 다시 하단 스크린에서 이를 받아 대략 5Ø이하의 원석과 모래, 진흙등을 물과 함께 선별, 투과시키면서 원석과 모래입자 외부에 붙은 진흙을 일차 분리시켜서 물과 함께 입자분쇄, 정형장치로 이송하고, 각각의 상,하단 스크린에서 걸러진 대략 5Ø이상의 원석들은 재 포집하여 2차 파쇄기로 이송시켜서, 대략 5Ø이하의 크기로 세밀하게 재 파쇄시킨 후 다시 1차 입도선별, 진흙 세척장치에 투입하는 1차 입도선별, 진흙 세척공정과,Sand and mud which are transferred from the secondary stone sorting machine to the primary particle size sorting and mud washing device by supplying the high pressure washing water while lowering the vibration screen mounted on the two stages by downward inclination Sand, mud, etc. of a size of approximately 8 Ø or less are firstly screened and transmitted through the upper screen, and then the lower screen is used to screen and transmit roughly 5 Ø or less of rough stone, sand and mud with water, The raw ore and the outside of the sand particles are firstly separated and transferred to a particle crushing and shaping device together with water and the ores having roughly more than 5Ø filtered i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creen are re-collected and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crusher, , Followed by primary particle size screening, primary particle size screening to be added to the mud washing apparatus, mud washing process, 상기 1차 입도선별, 진흙 세척공정에서 물과 함께 이송되는 대략 5Ø이하의 원석과 모래입자, 진흙등을 수개의 입자분쇄조로 형성된 입자정형분쇄장치를 연차적으로 통과시키면서 각각의 분쇄조에서 회전식 분쇄날에 의하여 외형상 대략 5Ø이하의 원석들 중에서 내부적으로 균열중인 입자를 강제로 분쇄하여 모래입자를 안정성있고 모나지 않게 정형하고, 아울러 균열부나 모래입자 표면 틈새등에 미세하게 붙어 있는 진흙을 모래입자에서 완전히 분리 제거하는 입자분쇄,정형공정과,In the above-mentioned primary particle size screening and mud washing process, a granular crushing apparatus having a particle size of about 5Ø or less and sand particles and clay, Outside the rough surface of the rough surface, it is possible to crush the internally cracked particles by forcing them to form stable and non-uniform sand particles. The clay is finely adhered to the surface of cracks, A particle pulverizing and shaping step for separating and removing, 상기 입자분쇄,정형장치에서 이송되어 저장탱크에 저장된 모래입자,진흙,물 혼합물을 샌드펌프를 통하여 일정압력을 갖고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에 단위시간당 일정량으로 주입하여, 원추형 원심분리관내에서 비중이 큰 굵은 모래입자들은 원심력에의하여 원추형 원심분리관의 내벽측으로 몰려 분포되면서 회전 토출하게 하고, 비중이 가벼운 미세한 모래입자들과 진흙등은 그 비중량에 따라 점차적으로 원추형 원심분리관의 중심축 부근에 분포되면서 회전 토출시키면서, 원심분리관의 단위시간당 토출량에 비하여 단위시간당 주입량을 일정량 많게 조절하여서, 원추형 원심분리관의 원심분리관의 토출구측 선단부 중심축부에는 발생하는 토출부하에 의하여 원심분리관의 중심축 부근에 분포되어 회류하는 비중이 가벼운 미세한 모래입자들과 진흙등은 물과 함께 원심분리관의 후방 중앙에 실치된 별도의 배출관으로 역류, 배출시켜 침전조에 분리 배출시키는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공정과,The sand particles, clay, and water mixture transferred from the particle crushing and shaping apparatus and stored in the storage tank are introduced into the granular and clay centrifuge at constant pressure through a sand pump at a constant amount per unit time, The large coarse sand particles are distributed to the inner wall side of the conical centrifuge tube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are rotated and discharged, and the fine grains and mud of light specific gravity are gradually distribut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ral axis of the conical centrifuge tube The injection amount per unit time is adjusted to a certain amount larger than the discharge amount per unit time of the centrifugal tube while being distributed while being distributed. By the discharge load generated at the discharge port side distal end portion of the centrifugal tube of the conical centrifugal tube, Fine grained sand particles which are scattered around the shaft and light in specific gravity The mud and the like are separated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sedimentation tank by the backwashing and discharging with a separate discharge pipe installed at the rear center of the centrifuge pipe together with water, 상기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에서 토출된 비교적 비중이 큰 굵은 모래입자들과 낮은 농도의 진흙물을, 일정폭과 길이를 갖는 슬릿이 일정간격으로 전면적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입도 선별스크린을 프레임에 진동자유롭게 장치하여, 토출구측이 투입구측에 비하여 일정각도 높게 형성하며, 선별된 모래입자들을 토출구측으로 전진되게 진동력을 주는 진동장치가 구비된 입도선별장치에 의하여, 낮은 농도의 진흙물은 슬릿을 통하여 하방으로 투과 배출하여 입자분쇄, 정형장치에서의 투과물과 함께 저장탱크에 재공급하며, 슬릿의 규격이상으로 선별된 모래입자들은 토출구측으로 점차적으로 전진시켜 모래적재부로 토출하는 입도 선별공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토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모래제조방법.The coarse sand particles having a relatively large specific gravity and the low concentration mud water discharged from the particle size and sludge centrifugal separator are discharged through a screen having a sli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 length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nd a vibrating device for vibrating the frame so as to be freely vibratable in the frame so that the discharge port side is formed at a certain angle higher than the charging port side and the selected sand particles are forwarded to the discharge port side, And the sand particles selected at the slit size or more are gradually advanced to the discharge port side and discharged to the sand loading section. The sand particles are discharged to the sand loading section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마사토 산에서 채취한 마사토 원석을 1,2차 원석선별공정과,1차 입도선별, 진흙 세척공정과, 입자분쇄,정형공정과,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공정과, 입도 선별공정으로 실시되는 콘크리트용 모래제조방법을 수행하는 제조설비에서 상기 1차 입도선별, 진흙 세척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로서,Masato gemstones collected from Masato Mountains are classified into primary and secondary stone selection, primary particle size selection, mud washing process, particle grinding, shaping process, particle size and mud centrifugation process, and concrete for particle size selection process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primary particle size sorting and mud washing process in a manufacturing facility performing a sand production method, 상하방이 개방되고 좌우 측방으로 일정높이의 안내판을 갖는 장방형의 갑체로 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내부에서 일정깊이로 상하단에 걸쳐 일정간격을 갖고 수개의 가로프레임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으로 큰 규격의 투과공을 갖는 1차 스크린 및 이 보다 작은 규격의 투과공을 갖는 2차 스크린들과, 상기 1차 스크린의 상방에서 프레임의 좌우판 간에 수열 설치되는 고압 세척수 공급관과, 상기 1,2차 스크린의 하단측 프레임을 개방시켜 각각 형성되는 상,하단 토출구와, 상기 좌우안내판의 상단 일측에서 좌우 안내판간에 고정되는 가로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진동장치와, 상기 프레임의 하방에서 2차 스크린의 투과물을 모아주도록 설치되는 호퍼 등을 구비하는 입도선별,진흙 세척함체를 형성하여, 상기 입도선별,진흙 세척함체의 좌우 외측단 전후방을 튜브형 완충장치에 의하여 전방은 낮고 후방은 높게 전후방 고정지지대에 일정 탄력으로 지지시킴을 특징으로 한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제조 설비의 입도선별, 진흙세척장치.A frame made up of a rectangular oblong body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a guid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side to side, and 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inside of the frame and being supported by several horizontal frames at regular intervals over the upper and lower ends, A secondary screen having a primary screen having a hole and a through hole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secondary screen, a high-pressure washing water supply tube dispos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above the primary screen, An upper and a lower discharge port respectively formed by opening the side frames and a horizontal frame fix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guide plates at one side of the upper and left sides of the left and right guide plates; A hopper to be installed, and a mud washing enclosure are formed, and the granularity sorting,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ud washing enclosure Wherein the chamber is supported by a tubular shock absorber at a low forward position and at a high rearward position on a fixed support plate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with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제2항에 있어서 입도선별, 진흙 세척장치의 1,2차 스크린의 구성은,The screen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of the particle screening, 상방의 1차 스크린(110)은 굵은 강선으로 엮여진 대략 8Ø의 원석이 통과 될 수 있는 격자망(網)으로 형성되고, 하방의 2차 스크린(115)은 대략 5Ø의 구멍이 5mm 간격으로 사방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내마모성 우레탄수지제 단위판재망을 착탈식으로 수개 조립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제조설비의 입도선별, 진흙세척장치.The primary screen 110 on the upper side is formed of a mesh screen capable of passing rough stones of approximately 8 Ø woven with a thick steel wire and the secondary screen 115 on the lower side is formed with holes of approximately 5 Ø spaced every 5 mm And a plurality of unitary sheet material net made of abrasion resistant urethane resin formed continuously are assembled by detachable manner. 제2항에 있어서 입도선별, 진흙 세척장치의 진동장치 구성은,The structure of the vibrating device of the particle sorting and mud wash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입도선별, 진흙 세척함체 프레임의 좌우 안내판(106)의 중간부 상단에 가로 프레임을 고정 설치하고, 이 가로프레임에는 가로방향으로 2개의 진동축(120)들을 각각 베어링을 갖고 축수브라켓(121)들에 의하여 회전자유롭게 축설하며, 상기 진동축(120)들에는 좌우측단으로 각각 편심추(122)들을 고정축실되며, 각각의 진동측(120)들은 프레임(101)의 일측단에서 고정대(108)에 설치된 구동모터(124)와 유니버셜 전동축(126)으로 연동시킴을 특징으로 한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제조설비의 입도선별, 진흙세척장치.A lateral frame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guide plates 106 of the mud washing casing frame, and two transverse vibrating shafts 12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mounted on the axle brackets 121 And the eccentric weight 122 is fixe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vibrating shafts 120. The vibrating shafts 120 are fixed to the fixing table 108 at one side of the frame 101 And the driving motor 124 and the universal transmission shaft 126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마사토 산에서 채취한 마사토 원석을 1,2차 원석선별공정과,1차 입도선별, 진흙 세척공정과, 입자분쇄 정형공정과,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공정과, 입도 선별 공정으로 실시되는 콘크리트용 모래제조방법을 수행하는 제조설비에서 상기 입자분쇄,정형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로서,Masato gemstone collected from Mt. Masato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ore selection process, primary particle size selection, mud washing process, particle grinding process, particle size and mud centrifugation process, sand for concrete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above-mentioned particle grinding and shaping processes in a manufacturing facility performing a manufacturing method, 개폐식 뚜껑과 내벽 전체에 내마모성 코팅부재가 부착되는 다각형 함체로 되어 일측벽 상단에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그 반대편에는 토출구를 가지며, 상기 투입구와 연장하여 내측벽에서 하단으로 일정길이 형성된 투입유도관로를 가지며, 이 분쇄조의 뚜껑 중앙에서 수직으로 관통되어 회전 자유롭게 축수되는 회전축봉과, 상기 뚜껑의 상단에서 상기 회전축봉을 구동시키게 축설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축봉의 하단에서 여러단에 걸쳐 방사형으로 수개가 부착되는 분쇄날등을 구비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제조설비의 입자분쇄, 정형장치.And an inlet conduit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ne side wall and having a discharge port at the upper end thereof and having a constant length from the inner wall to the lower end by extending from the inlet port, A rotating shaft rod vertically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lid of the grinding tank to be freely rotatably pivoted, a driving motor axially driven to drive the rotating shaft rod at an upper end of the lid, and a plurality of radial And a crushing blade. The apparatus for shaping and crushing sand in a sand making facility using Masato. 제5항에 있어서 입자분쇄 정형장치의 분쇄조 구성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grinding tank structure of the particle grinding / 수개의 다각형 함체를 일렬로 연접시킨 다함식 분쇄조로 구성하여, 첫 번째 함체의 토출구는 두 번째 함체의 투입구와 밀폐형으로 연접시키고, 두 번째 함체A plurality of polygonal enclosure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first enclosure is hermetically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second enclosure, and the second enclosure 이후의 토출구는 다음에 연접된 함체의 투입구와 연결시키며, 각 함체의 구동모터들은 속도가변식으로 구성되고, 첫 번째 이후 함체의 회전축봉 회전수는 연차적으로 적게 제어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제조설비의 입자분쇄, 정형장치.And the discharge port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enclosure connected to the next, the driving motors of the enclosures are configured to be variable in speed, and the revolutions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enclosure after the first is controlled to be controlled in a yearly manner Particle grinding, shaping device of sand production facility using Masato. 제5항에 있어서 입자분쇄 정형장치의 분쇄날 구성은,The pulverizing blade structure of the particle grinding and shap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양면에 내마모성 고무판이 부착된 일정폭의 강판재 분쇄날을 회전축봉의 일측단에 경사진 각도로 고정하되, 동일 높이에서 방사형으로 배열된 수개의 분쇄날 군에서 단위 분쇄날들은 교호로 그 경사방향을 반대로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제조설비의 입자분쇄,정형장치.The steel plate grinding blade having a constant width with a wear-resistant rubber plate on both sides is fixed at an inclined angle to one end of the rotary shaft rod. In the several grinding blade groups radially arranged at the same height, the unit grinding blades alternately Wherein the sand mill is sandwiched between the sand mill and the sand mill. 마사토 산에서 채취한 마사토 원석을 1,2차 원석선별공정과, 1차 입도선별, 진흙 세척공정과, 입자분쇄 정형공정과,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공정과, 입도 선별 공정으로 실시되는 콘크리트용 모래제조방법을 수행하는 제조설비에서 상기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로서,Masato gemstone collected from Mt. Masato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ore selection process, primary particle size selection, mud washing process, particle grinding process, particle size and mud centrifugation process, sand for concrete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particle size and slurry centrifugation process in a manufacturing facility performing a manufacturing method, 토출구측은 작은 직경으로 되고 주입구 측은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밑면에 비하여 길이비가 긴 반 원추형 원심분리관과, 원심분리관의 토출구측에 착탈식으로 장치되는 원통형의 토출노즐과, 반 원추형 원심분리관의 주입구측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윈통형 몸통과, 이 몸통의 후방 일측단에서 몸통의 중심축과 직교방향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는 주입관과, 이 주입관에 착탈식으로 연접되는 주입노즐과, 입자분쇄,정형장치에서 토출되는 모래,진흙,물 혼합물을 일정 압력으로 양정하는 샌드펌프와, 이 샌드펌프와 하단이 착탈식으로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주입노즐과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주입이송관과, 상기 몸통의 후단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후방원판과, 상기 후방원판의 중앙부에서 일정 직경을 갖고 내측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고정 부착된 후방토출노즐과, 상기 후방원판을 몸통의 후단에 착탈식으로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플랜지부를 갖는 후방배출관 등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구성부재 내벽측에는 내마모성 코팅부재를 각각 조립식으로 밀착되게 부착함을 특징으로 한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제조설비의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A half-conical centrifuge tube having a small diameter at the discharge port side and a large diameter at the injection port side, a half-conical centrifuge tube having a longer length ratio than the bottom surface, a cylindrical discharge nozzle removably installed at the discharge port side of the centrifuge tube, An injection tube which is eccentrically formed eccentricall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central axis of the body at a rear end of the body, a pouring nozzl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pouring tube, A sand pump for lifting a mixture of sand, clay,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shaping device to a predetermined pressure; an injection transfer pipe having a lower e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and pump and an upper end connected detachably to the injection nozzle; A rear circular plate which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rear circular plate, a rear circula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ear circular plate, And a rear discharge pipe having a discharge nozzle and a rear discharge pipe having a flange portion for detachably fixing the rear circular plate in a detachable manner to the rear end of the body, and an abrasion resistant coat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each of the structural members, Size and sludge centrifugal separator of a sand production facility using. 제8항에 있어서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의 반 원추형 원심분리관의 구성은, 반원추형 원추형 원심분리관(310)의 내벽에 일정두께의 내마모성 고무재의 코팅부재(311)를 조립식으로 밀착되게 부착하고, 이 코팅부재(311)의 내벽측에는 토출구측을 향하여 일정깊이와 폭을 갖는 나선홈(312)을 형성시켜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제조설비의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The semi-con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semi-conical centrifuge tube of the particle size and sludge centrifugal separator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ating member (311) of a wear-resistant rubber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ne- And a spiral groove (312) having a certain depth and width is formed toward the discharge port side on the inner wall side of the coating member (311). 제9항에 있어서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의 반 원추형 원심분리관의 내벽에는 파형단면을 갖는 나선홈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제조설비의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inner wall of the semi-conical centrifuge tube of the granular and sludge centrifuge is formed as a spiral groove having a corrugated cross-section. 제8항에 있어서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는, 입도선별장치의 후측 상방에서 좌우 2개의 병렬로 설치되고, 각각의 원추형 원심분리관의 중심축선은 토출구측이 낮게 위치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제조설비의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particle size and the sludge centrifugal separator are installed in parallel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particle size sorter, and the central axes of the respective conical centrifugal separators are disposed such that the discharge port side is positioned lower Particle size and mud centrifugal separator of sand production facility using Masato. 마사토 산에서 채취한 마사토 원석을 1,2차 원석선별공정과, 1차 입도선별, 진흙 세척공정과, 입자분쇄 정형공정과,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공정과, 입도 선별 공정으로 실시되는 콘크리트용 모래제조방법을 수행하는 제조설비에서 상기 입도Masato gemstone collected from Mt. Masato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ore selection process, primary particle size selection, mud washing process, particle grinding process, particle size and mud centrifugation process, sand for concrete In the manufacturing facility performing the manufacturing method, 선별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로서,An apparatus for performing a sorting process, 입도 및 진흙 원심분리장치의 토출구 하방에 위치되어 모래, 진흙물의 혼합물을 받을 수 있는 길이방향으로 길고 상하방이 개방된 장방형의 선별스크린함체를 구비하여, 이 스크린함체의 선단측은 일정 높이 개방하여 토출구로 형성하고 후단측은 삼방이 막힌 집수조형으로 형성하며, 함체의 내부에는 일정규격의 슬릿이 사방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선별스크린을 선단측 토출구의 높이와 동일높이에서 평행하게 고정설치하며, 상기 선별스크린함체의 일측 상부에는 좌우측판간에 고정된 가로프레임에 진동장치를 구비하여서, 선별스크린함체 전체를 토출구측 보다 후단측이 일정각도 낮은 상태로 수개의 튜브형 완충부재로 지지프레임에 진동이 자유롭게 지지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제조실비의 입도 선별장치.And a rectangular screen screen enclosure which is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openable in an upper and a lower direction so as to receive a mixture of sand and mud water. The front end side of the screen enclosure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rear end side is formed into a water collecting tank type in which three sides are closed, and a sorting screen in which slits of regular size are continuously formed in four directions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is fixed parallel to and at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discharge port at the front end, A vibrating device is provided on one lateral side of the transverse frame fix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so that the entire screening screen housing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freely vibratable with several tubular cushioning members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end side is lower than the discharge port side by a certain angle Characteristic particle size selection device of sand production using Masato. 제12항에 있어서 입도선별장치의 선별스크린함체 내부에 구비되는 선별스크린의 구성은, 일정면적의 내마모성 우레탄수지 판재에 가로방향으로 긴 일정규격의 슬릿(422)이 수열에 걸쳐 형성된 단위 스크린판재(421)를 선별스크린함체의 내면적에 맞추어 사방 연속하여 조립식으로 착설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제조설비의 입도 선별장치.The screen screen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screen screen is provided in a screening enclosure of a siz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unit screen plate member (422) having slits (422) 421) are folded in a continuous manner in a four-sided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inner surface area of the screen screen housing. 제12항에 있어서 입도선별장치의 선별스크린에 형성되는 슬릿의 구성은, 길이는 11mm 로 되고 폭은 0.8mm 로 되며, 슬릿과 슬릿사이의 간격은 2.5mm로 형성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제조설비의 입도 선별장치.The 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slits formed on the screen of the particle size sorter are 11 mm in length, 0.8 mm in width, and 2.5 mm in spacing between the slits and the slits. Selection of Particle Sizes in Sand Making Facilities Using. 제12항에 있어서 입도선별장치의 선별스크린함체를 진동시키는 진동장치의 구성은, 선별 스크린함체(410)의 상방 중간에서 좌우측판간을 가로질러 고정프레임(413)을 설치하고, 이 고정프레임의 일측에는 2개의 바이브레이터(430)들을 측면상으로 볼 때 하단을 토출구(411)측으로 경사지게 고정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제조설비의 입도 선별장치.13. The 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screening box includes a screening box having a screening box and a screening box,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vibrator 430 is inclined toward the discharge port 411 when the two vibrators 430 are viewed from the side. 제12항에 있어서 입도선별장치의 선별스크린함체를 진동시키는 진동장치의 구성은, 진동체를 선별스크린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고정하는 수단에 경사각도조절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마사토를 이용한 모래제조설비의 입도 선별장치.13. The 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screening box is provided with a tilting angle adjustment means for tilting the vibrating screen with respect to the screen. Particle sizing device for sand making equipment.
KR1019980007190A 1998-03-05 1998-03-05 Method for manufacturing sand for concrete using Masato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KR1999007393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190A KR19990073933A (en) 1998-03-05 1998-03-05 Method for manufacturing sand for concrete using Masato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190A KR19990073933A (en) 1998-03-05 1998-03-05 Method for manufacturing sand for concrete using Masato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933A true KR19990073933A (en) 1999-10-05

Family

ID=6590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190A KR19990073933A (en) 1998-03-05 1998-03-05 Method for manufacturing sand for concrete using Masato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3933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200B1 (en) * 2004-06-24 2007-04-10 오철수 The method of processing masato by equipment of treating masato
KR101125178B1 (en) * 2008-12-19 2012-03-19 김동근 Manufacturing methods of fine aggregate using stone
KR101223011B1 (en) * 2011-04-22 2013-01-17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crushing raw material and method for crushing raw material having the same
CN118045759A (en) * 2024-04-16 2024-05-17 中核同辐(长春)辐射技术有限公司 Graphene material screening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200B1 (en) * 2004-06-24 2007-04-10 오철수 The method of processing masato by equipment of treating masato
KR101125178B1 (en) * 2008-12-19 2012-03-19 김동근 Manufacturing methods of fine aggregate using stone
KR101223011B1 (en) * 2011-04-22 2013-01-17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crushing raw material and method for crushing raw material having the same
CN118045759A (en) * 2024-04-16 2024-05-17 中核同辐(长春)辐射技术有限公司 Graphene material screen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097009U (en) Sand-making production system for environment-friendly dry-method collector
CA1202285A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concentrating heavy metals, precious metals or heavy minerals in sand or gravel
US20100012556A1 (en) Rotating screen material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US8967166B2 (en) Rotary drum washer for street sweeping waste and contaminated soil
CN202037066U (en) Sand making system of environmental-friendly wet-method aggregate machine
CN112604798B (en) Machine-made sand screening integrated processing device for building
CN114101280B (en) Gangue cascade utilization system and method
RU118568U1 (en) RINSING COMPLEX
CN213792659U (en) Can adjust drum sieve system of sand fineness modulus wantonly
KR1999007393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and for concrete using Masato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CN106238186B (en) A kind of building waste processing system
CN218902638U (en) Talc ore vibration screening device
JPH0775675B2 (en) Crushed sand production equipment for concrete
CN112452703A (en) Method for adjusting fineness modulus of sand by using rotary screen system
CN107138263B (en) The sand station processed that a kind of seamless and two-hit crushes
CN216630991U (en) Dull polish machine for producing pesticide
RU2174877C2 (en) Grateless vibration separator
KR100507705B1 (en) equipment for producing sand
CN209791998U (en) Material grading and screening device for engineering
JP2002346422A (en) Manufacturing plant for improved soil
CN219073092U (en) Phosphogypsum treatment device for phosphogypsum vegetation recycled concrete
JP2607841B2 (en) Crushing machine
KR100950284B1 (en) Sorting equipment for recycling aggregate and sand by 3steps watercourse
JPH0775674B2 (en) Crushed sand production equipment for concrete
RU205284U1 (en) MOBILE ENRICHMENT OF PRECIOUS METAL S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