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3809A - 제한된 키로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그 방법및 이를 이용한 전화 단말기 - Google Patents

제한된 키로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그 방법및 이를 이용한 전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3809A
KR19990073809A KR1019980006949A KR19980006949A KR19990073809A KR 19990073809 A KR19990073809 A KR 19990073809A KR 1019980006949 A KR1019980006949 A KR 1019980006949A KR 19980006949 A KR19980006949 A KR 19980006949A KR 19990073809 A KR19990073809 A KR 19990073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hangul
letter
key
cur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1375B1 (ko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6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375B1/ko
Publication of KR19990073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3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자모의 수보다 적은 수의 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입력장치는, 소정 문자의 자모들을 소정의 개수로 묶은 자모군들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배열한 문자 입력메뉴를 표시하는 화면표시수단; 자모군을 선택하는 커서 이동키와 현재 선택된 자모군 중 한 자모를 선택하는 문자 선택키를 포함하는 키입력수단; 및 문자 입력메뉴 상에서 커서를 이동시키고, 문자 선택키에 의해 선택된 자모를 조합하여 문자를 완성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그 입력방법은, 상기 문자 입력메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커서를 이동시켜 입력하고자 하는 자모가 있는 자모군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자모군중 입력하고자 하는 자모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자모를 조합하고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단순하고 적은 회수로 제한된 키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의 문자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을 구체적으로 적용한 전화 단말기를 제공하여 전화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제한된 키로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화 단말기
본 발명은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및 제한된 수의 키만을 갖고 있는 장치에서의 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글 또는 영문 자모의 수보다 적은 수의 키를 이용하여 한글 또는 영문을 입력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 단말기나 게임기, 또는 탁상용 전자계산기와 같은 장치에서는 입력 예정된 정보의 수에 맞추어 소수의 키나 버튼만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들 제한된 키만을 갖고 있는 장치에서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는, 구비된 키로 직접 한 번에 하나의 자모를 입력할 수 없고 화면 상에 각 자모를 자모단위로 배열한 다음 커서 이동키로 입력하고자 하는 자모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화면 상에 각 자모를 자모단위로 배열한 다음 커서 이동키로 자모를 선택하는 방법은 하나의 자모를 입력하기 위해 여러 번의 키조작을 해야하고, 그에 따라 문자 입력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통신기술의 발달에 의해 일반 전화 단말기 또는 휴대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우편과 같은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는데, 현재까지 문자 입력이 가능한 전화 단말기가 실용화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문자 입력이 가능한 전화 단말기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한된 키를 갖는 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최소한의 키조작으로 빠르고 용이한 한글 또는 영문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전화 단말기의 키패드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문자 입력이 가능한 전화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한된 키를 갖는 문자 입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키입력부의 키 배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영문 또는 특수문자 입력장치의 영문 입력메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2벌식 한글 오토마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태 전이도이다.
도 8은 2벌식 한글 오토마타를 적용하여 다음 입력을 위한 커서를 문자입력메뉴에서 미리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글 입력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a 및 9b는 2벌식 한글 오토마타를 적용하여 다음 입력을 위한 커서를 한글 입력메뉴에서 미리 위치시킨 것을 도시한 것으로, 도 9a는 자음군에 위치시킨 것이고 도 9b는 모음군에 위치시킨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영문 또는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전화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a 및 12b는 도 11의 키패드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장치는, 한글 자모들을 소정의 개수로 묶은 한글 자모군들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배열한 한글 입력메뉴를 표시하는 화면표시수단; 상기 한글 자모군을 선택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커서 이동키와 현재 선택된 한글 자모군중 한 자모를 선택하는 문자 선택키를 포함하는 키입력수단; 및 상기 커서 이동키를 누름에 따라 상기 한글 입력메뉴 상에서 커서를 이동시키고, 상기 문자 선택키에 의해 선택된 자모를 조합하여 한글을 완성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제한된 키를 갖는 장치에서의 한글 입력방법은, 한글 자모들을 소정의 개수로 묶은 한글 자모군들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배열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한글 자모군 단위로 이동하는 커서를 이동시켜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자모가 있는 한글 자모군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한글 자모군중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자모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한글 자모를 조합하고 입력된 문자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입력완료시까지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전화 단말기는,
소정 문자의 자모들을 소정의 개수로 묶은 자모군들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배열한 문자 입력메뉴를 표시하는 화면표시수단; 문자와 숫자를 상호전환하여 입력가능하게 하기 위한 숫자/문자 입력모드 전환수단; 및 현재 입력모드에 따라 키패드의 키를 누르면 숫자를 입력받거나, 상기 문자 입력메뉴 상에서 커서를 이동시키고, 선택된 자모를 입력받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는 특정 자모군을 선택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커서 이동키 및 현재 선택된 자모군중 특정 자모를 선택하는 문자 선택키를 숫자 키에 중첩시켜 배열하여 문자와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한된 키를 갖는 문자 입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문자 입력장치는 제한된 수의 키를 갖는 키입력부(110), 키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된 자모를 입력받아 문자를 조합하고 화면표시부(130)에 표시하는 제어부(120) 및 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메뉴(131)와 현재 입력된 문자들을 표시하는 입력창(132)을 포함하는 화면표시부(13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문자 입력장치 중 한글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화면표시부(200)와 키입력부(230 및 240)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표시부(200)는 한글 입력을 위한 한글 입력메뉴(210)와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입력창(220)을 포함하고, 한글 입력메뉴(210)는 한글 자모(211)를 네 개씩 묶어 하나의 한글 자모군(212)을 구성하고, 각각의 한글 자모군들을 3행 3열로 아홉 개를 배열한 것이다. 또한, 각각의 한글 자모군(212)은 점멸되거나 반전됨으로써 현재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커서(213)가 될 수 있다.
키입력부는 한글 자모군(212) 단위로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각 상,하,좌,우 커서 이동키(230)와 현재 커서가 위치한 한글 자모군중 특정한 한글 자모를 선택하기 위한 네 개의 문자 선택키(240)로 구성된다.
커서 이동키(230)는 눌려지면 각 화살표 방향에 따라 커서(213)를 한글 입력메뉴(210) 상에서 각 상, 하, 좌, 우로 이동시킨다. 한편, 커서(213)는 순환식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2의 한글 입력메뉴(210)와 같이 커서(213)가 위치할 때, 윗쪽 화살표 키(231)를 누르면 커서는 ㅗ,ㅛ,ㅜ,ㅠ가 있는 한글 자모군으로 이동한다.
문자 선택키(240)는 한글 자모군(212)으로 묶인 한글 자모(211)의 수만큼의 키로 구성되는데, 좌상키(241)는 현재 커서(213)가 위치한 한글 자모군 내의 좌상 자모(도 2의 한글 입력메뉴에서 'ㄹ')를, 우상키(242)는 우상 자모('ㅁ')를, 좌하키(243)는 좌하 자모('ㅂ')를, 우하키(244)는 우하 자모('ㅅ')를 선택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표시부(200)에 표시된 한글 입력메뉴(210)를 보면서, 키입력부의 커서 이동키(230)를 사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자모가 있는 한글 자모군으로 커서를 이동시키고, 문자 선택키(240)를 사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자모를 선택하면, 제어부는 2벌식 한글 오토마타를 적용하여 선택된 한글 자모의 초성, 중성, 종성여부를 판별하여 문자를 조합하고(2벌식 한글 오토마타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입력창(220)에 표시한다.
한편, 도 3은 도 2의 문자 입력장치의 키입력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역시 네 개의 커서 이동키(310)와 네 개의 문자 선택키(320)로 구성되고, 그 동작 방법은 도 2의 키입력부(230 및 240)와 동일하다. 다만, 도 2의 키입력부는 왼손으로는 커서 이동키(230)를, 오른손으로는 문자 선택키(240)를 조작하도록 한 반면, 도 3의 키입력부는 한 손으로 커서 이동키(310)와 문자 선택키(320)를 모두 조작하기에 편리하게 배열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장치는 두 단계를 거쳐 하나의 자모를 입력하게 되는데, 위의 실시예에서 한 자모를 입력하기 위한 키조작의 회수는 최대 다섯 번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커서를 순환식으로 이동하도록 한 경우에는 최대 키조작 회수는 세 번이 된다. 예를 들어, 현재 커서가 ㄱ,ㄲ,ㄴ,ㄷ의 자모군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 그와 가장 멀리 떨어진 자모군에 위치한 'ㅡ'를 입력하고자 하면, 왼쪽 화살표키, 위쪽 화살표키 및 좌상 문자 선택키(241)를 순서대로 누르면 된다.
그리고, 한 한글 자모군에 포함되는 한글 자모의 수를 늘리고 그에 따라 한글 자모군의 수를 줄이면,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아홉 개의 한글 자모(410)를 묶어 하나의 한글 자모군(411)을 구성하고 네 개의 한글 자모군을 1열로 배열하며, 커서 이동키(430)는 네 개로 하여 첫 번째 키는 첫 번째 자모군을, 두 번째 키는 두 번째 자모군을, 세 번째 키는 세 번째 자모군을, 네 번째 키는 네 번째 자모군을 선택하도록 하고, 문자 선택키(440)는 각 자모군을 구성하는 자모수와 동일하게 아홉 개를 배열하면, 최대 키조작 회수는 두 번으로 줄어든다. 즉, 네 개의 커서 이동키(430)로 곧바로 그에 대응하는 한글 자모군을 선택하고, 아홉 개의 문자 선택키(440)로 현재 선택된 자모군 내의 각 자모를 선택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한글 자모군의 구성 자모수와 그에 따른 문자 선택키의 수 및 그 배열은 각 응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한글과 영문 및 특수문자가 입력 가능한, 제한된 키를 갖는 문자 입력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는 영문 및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영문 입력메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영문 입력메뉴 역시 한글 입력메뉴(210)와 마찬가지로 영문 자모(510) 또는 특수문자(511)를 네 개씩 묶어 하나의 영문 자모군 또는 특수문자군(512)을 구성하고, 영문 자모군 및 특수문자군(512)을 3행 3열로 배열한 것이다.
이밖에 한글과 영문 및 특수문자를 입력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한글 입력메뉴(210)와 영문 입력메뉴를 상호 전환하여 화면표시부(200)에 나타낼 수 있도록 한/영 입력모드 전환수단이 필요하다. 상기 입력모드 전환수단은 도 2,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입력메뉴 상에 위치(예컨대 도 2 및 4의 자모군 내에 표시된 'A'(214, 412)는 한글 모드를 영문모드로 전환하고, 도 5의 자모군 내에 표시된 '한'(513)은 영문 모드를 한글 모드로 전환한다)할 수도 있고, 키입력부에 기능키로서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종류에 따라 입력모드를 선택 또는 전환하면, 제어부는 해당 입력모드에 따라 한글 또는 영문 입력메뉴를 화면표시부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상술한 한글 입력의 경우와 같은 키조작으로 한글 또는 영문 및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다만 영문 모드에서는 한글 모드와 달리 초성, 중성, 종성여부를 판별하고 한글을 조합할 필요없이 바로 입력창에 표시하기만 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자 입력장치에서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방법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글 자모들을 소정의 개수로 묶은 한글 자모군들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배열한 한글 입력메뉴와 커서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610), 한글 자모군 단위로 커서를 이동시켜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자모가 있는 한글 자모군을 선택하는 단계(620), 현재 커서가 위치한 자모군에서 특정 한글 자모를 선택하는 단계(630), 선택된 자모를 조합하고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640) 및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650)를 포함하고, 판단 결과 입력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다시 커서를 이동시켜 한글 자모군을 선택하는 단계(620)로 되돌아가 완료할 때까지 상기 단계들을 반복하는 것이다.
한편, 한글 입력시 키조작의 회수는 더 줄어들 수 있는데, 이는 2벌식 한글 오토마타를 적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한글은 영어와 달리 낱자모가 조합이 되어 한 문자를 이룬다. 따라서 한글을 입력받을 때는 한 문자의 완성이 확정될 때까지 자모 입력을 받으면서 중간 과정을 처리해야 한다. 한글 입력과정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한글 오토마타라고 하고 이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 도 7의 상태 전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서 이를 설명하면, 먼저 S0부터 S7(710부터 717)까지는 각 한글 자모가 입력됨에 따라 규정되는 상태로서, S0(710)은 아무 입력도 없는 초기 상태, S1(711)은 자음이 입력되어 초성으로 처리된 상태, S2(712)는 모음이 입력되어 중성으로 처리된 상태, S3(713)은 S2(712)에 모음이 하나 더 입력되어 복모음을 이룬 상태, S4(714)는 S2(712) 또는 S3(713)에 자음이 입력되어 종성으로 처리된 상태, S5(715)는 S4(714)에 자음이 하나 더 입력되어 복자음으로 종성이 된 상태, S6(716)은 한 글자가 완성된 상태, S7(717)은 모음이 입력되어 앞 문자의 복자음인 종성이 분리되면서 한 글자가 완성되고 다음 문자의 중성까지 처리된 상태이다. 화살표(720)는 입력되는 한글 자모에 따라 각 상태가 전이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화살표(720) 위의 문자 C, V, B, X(730)는 각각 초성이 되는 자음, 모음(중성), 종성이 되는 자음, 그 이외의 경우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2벌식 한글 오토마타를 이용하여 한글 입력시 키조작의 회수를 줄이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의 S0(710), S6(716), S7(717)은 아무 입력이 없는 초기 상태이거나 한 문자가 완성된 상태이므로, 다음에 입력될 자모는 자음이 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커서를 자음군에 위치시켜 놓으면 키 누르는 회수를 줄일 수 있다. 또, S1(711), S5(715)의 경우는 다음에 모음이 입력될 확률이 높으므로, 커서를 모음군에 위치시켜 놓는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S2(712), S3(713), S4(714)의 경우는 다음에 자음이 입력될 확률이 높으므로 커서를 자음군에 위치시켜 놓는다.
이상을 정리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 한글 자모가 입력될 때마다 현재의 상태를 판별하고(810) 그 상태가 S1 또는 S5이면 다음 커서를 도 9A와 같이 모음군(910)에 위치시키고(820) S0, S2, S3, S4, S6, S7이면 도 9B와 같이 자음군(920)에 위치시킴으로써(830) 키조작 회수를 줄일 수 있다. 즉, 도 8은 도 6의 선택된 자모를 조합하고 화면표시수단에 표시하는 단계(640)와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650) 사이에 추가되는 현재 입력된 상태를 판별하고(810) 그에 따라 다음 커서를 위치시키는 단계(820 및 83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제한된 키를 갖는 문자 입력장치에서 한글과 영문 및 특수문자를 모두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한글과 영문 및 특수문자를 모두 입력가능하게 하려면 먼저 도 5와 같은 영문 입력메뉴를 구비하고 한글 입력메뉴(210)와 상호 전환되며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한/영 입력모드 전환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입력모드 전환수단이 구비된 문자 입력장치에서 한글 또는 영문 및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먼저 사용자가 입력모드를 선택 또는 전환하는 단계(미도시), 현재의 입력모드를 판단하는 단계(1010), 입력모드가 한글이면 한글 입력 및 처리를 하는 단계(1020), 입력모드가 영문이면 영문 및 특수문자 입력 및 처리를 하는 단계(1030) 및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여(1040) 완료되지 않았으면 처음으로 돌아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입력모드 전환 단계는 입력도중 어느 단계에서나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입력도중 입력모드를 전환하면 현재 수행중인 단계를 중단하고 입력모드를 판단하는 단계(1010)를 수행한다.
그리고, 한글 입력 및 처리를 하는 단계(1020)는, 전술한 한글 입력방법의 단계들(도 6의 610부터 650)과 동일한 단계들을 포함하고, 영문 및 특수문자 입력 및 처리를 하는 단계(1030)는, 영문 입력메뉴를 이용하여 한글 입력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나, 한글 입력방법에서의 선택된 한글 자모를 조합하는 과정(1021)없이 단순히 입력된 영문 자모 및 특수문자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1031)로 족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제한된 키를 갖는 문자 입력장치는 구체적인 전화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도 11은 문자 입력이 가능한 전화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휴대용 전화 단말기를 도시한 것이지만, 본 발명에 의한 전화 단말기는 일반 가정용 전화 단말기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전화 단말기는 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메뉴(1111), 자모군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 및 현재 입력된 문자를 나타내기 위한 입력창(1112)을 표시하는 화면표시부(1110), 종래의 숫자키패드(1121)에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커서 이동키와 선택된 자모군중 특정 자모를 선택하기 위한 문자 선택키를 중첩하여 구성한 키패드(1120) 및 문자 입력 및 처리를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화면표시부(1110)에 표시되는 문자 입력메뉴는 소정 문자의 자모를 소정의 개수로 묶어 자모군을 구성하고 자모군들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배열한 것으로, 한글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한글 입력메뉴(210)와 같이 구성할 수 있고, 영문의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영문 입력메뉴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커서(213) 및 입력창(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는 도 12A 또는 도 12B와 같이, 종래의 숫자키패드에 커서 이동키(1210)를 그 방향에 일치하게 숫자키와 중첩시켜 배열하고, 문자 선택키(1220)를 자모군 내의 자모의 위치와 일치하게 숫자키와 중첩시켜 배열하며, 숫자 입력모드와 문자 입력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숫자/문자 전환키(1231 및 1232)를 포함한다. 숫자/문자 전환키는 사용하고자 하는 문자에 따라 숫자와 한글 입력모드 전환용 숫자/한글 전환키(1232) 또는, 숫자와 영문 입력모드 전환용 숫자/영문 전환키(1231)를 둘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종래와 같이 숫자(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화를 걸고, 통화도중 문자를 송신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숫자/문자 전환키(1231 및 1232)를 누른 후 화면표시부에 표시된 문자 입력메뉴를 보면서 커서 이동키(1210)와 문자 선택키(1220)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전화 단말기는 두 가지 이상의 문자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한글과 영문 모두를 입력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한글 입력메뉴와 영문 입력메뉴 두 벌을 구비하고, 한글과 영문 입력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한/영 전환키를 구비하여, 현재의 입력모드에 따라 한글 입력메뉴 또는 영문 입력메뉴를 상호 전환하여 화면표시부에 표시함으로써 한글 또는 영문 및 특수문자 모두가 입력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영 전환키는 도 2 또는 도 5와 같이 문자 입력메뉴에 구현(214 및 513)할 수도 있고, 도 12A 또는 도 12B와 같이 키패드 상에 구현(1231 및 1232)할 수도 있다. 아니면 종래의 키패드 상에 새로운 기능키로서 추가할 수도 있다. 문자 입력메뉴에 한/영 전환키를 구현한 경우에는 전술한 자모 선택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한/영 전환키를 선택하여 입력모드를 전환하고, 키패드 상에 구현하는 경우는 단순히 해당 키를 누름으로써 입력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한된 키를 갖는 문자 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에 의하면, 먼저 특정 자모군을 선택하고 다음에 특정 자모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하나의 자모를 입력하기 위한 키조작이 단순하고 그 회수가 줄어든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화 단말기에 의하면, 종래의 전화 단말기의 키패드에 문자입력을 위한 커서 이동키와 문자 선택키를 중첩하여 배열하고, 문자 입력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부와 문자입력에 따른 제어부를 추가함으로써 별도의 키패드없이 전화 단말기에서 쉽고 빠르게 문자 입력이 가능하다.

Claims (6)

  1. 입력할 문자의 자모의 수보다 적은 수의 키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한글 자모들을 소정의 개수로 묶은 한글 자모군들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배열한 한글 입력메뉴를 표시하는 화면표시수단;
    상기 한글 자모군을 선택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커서 이동키와 현재 선택된 한글 자모군중 한 자모를 선택하는 문자 선택키를 포함하는 키입력수단; 및
    상기 커서 이동키를 누름에 따라 상기 한글 입력메뉴 상에서 커서를 이동시키고, 상기 문자 선택키에 의해 선택된 자모를 조합하여 한글을 완성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입력메뉴는 네 개의 한글 자모를 묶은 한글 자모군들을 3행 3열로 배열하고,
    상기 커서 이동키는 상,하,좌,우 화살표 키로 구성하고,
    상기 문자 선택키는 상기 자모군내 각 자모와 대응하도록 네 개의 키를 상기 키입력수단 상에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입력메뉴는 아홉 개의 한글 자모를 묶은 한글 자모군 네 개를 1행으로 배열하고,
    상기 커서 이동키는 각 자모군과 대응하도록 네 개의 키를 1행으로 배열하고,
    상기 문자 선택키는 상기 자모군내 각 자모와 대응하도록 아홉 개의 키를 상기 키입력수단 상에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장치.
  4. 한글의 자모의 수보다 적은 수의 키를 갖는 키입력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글 자모들을 소정의 개수로 묶은 한글 자모군들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배열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한글 자모군 단위로 이동하는 커서를 이동시켜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자모가 있는 한글 자모군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한글 자모군중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자모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한글 자모를 조합하고 입력된 문자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입력완료시까지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2벌식 한글 오토마타를 이용하여 현재 입력된 한글 자모의 자음, 모음여부 및 초성, 중성, 종성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한 결과 처음 초성이 될 수 있는 자음을 입력한 상태 또는 초성, 중성 및 종성이 될 수 있는 자음을 연이어 두 개를 입력한 상태이면 다음 입력을 위한 커서를 모음의 자모군에 미리 위치시키고, 그 외의 상태이면 상기 커서를 자음의 자모군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방법.
  6. 숫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포함하는 전화단말기에 있어서,
    소정 문자의 자모들을 소정의 개수로 묶은 자모군들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배열한 문자 입력메뉴를 표시하는 화면표시수단;
    문자와 숫자를 상호전환하여 입력가능하게 하기 위한 숫자/문자 입력모드 전환수단; 및
    상기 문자 입력메뉴 상에서 커서를 이동시키고, 선택된 자모를 입력받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는 특정 자모군을 선택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커서 이동키 및 현재 선택된 자모군중 특정 자모를 선택하는 문자 선택키를 숫자 키에 중첩시켜 배열하고, 상기 입력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문자 입력에 또는 숫자 입력에 사용됨으로써 문자와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 기능을 갖는 전화단말기.
KR1019980006949A 1998-03-03 1998-03-03 제한된 키로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그 방법및 이를 이용한 전화 단말기 KR100271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949A KR100271375B1 (ko) 1998-03-03 1998-03-03 제한된 키로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그 방법및 이를 이용한 전화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949A KR100271375B1 (ko) 1998-03-03 1998-03-03 제한된 키로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그 방법및 이를 이용한 전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809A true KR19990073809A (ko) 1999-10-05
KR100271375B1 KR100271375B1 (ko) 2000-11-01

Family

ID=19534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949A KR100271375B1 (ko) 1998-03-03 1998-03-03 제한된 키로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그 방법및 이를 이용한 전화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137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67554A1 (en) * 2001-02-19 2002-08-29 Min-Kyum Kim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characters on keypad
KR100365859B1 (ko) * 2000-09-14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향키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KR100513007B1 (ko) * 1998-08-19 200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기에서 이메일 어드레스 입력 방법
WO2006014058A2 (en) * 2004-08-04 2006-02-09 Sungsoo Kim Data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618963B1 (ko) * 1999-04-13 2006-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버튼 입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09472A1 (en) * 2004-06-18 2009-01-08 No-Soo Park 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Pda Thereb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007B1 (ko) * 1998-08-19 200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기에서 이메일 어드레스 입력 방법
KR100618963B1 (ko) * 1999-04-13 2006-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버튼 입력 방법
KR100365859B1 (ko) * 2000-09-14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향키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WO2002067554A1 (en) * 2001-02-19 2002-08-29 Min-Kyum Kim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characters on keypad
WO2006014058A2 (en) * 2004-08-04 2006-02-09 Sungsoo Kim Data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WO2006014058A3 (en) * 2004-08-04 2006-03-16 Sungsoo Kim Data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1375B1 (ko) 200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725B1 (ko)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6919824B2 (en) Keypad assembly with supplementary button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0549922C (zh) 通过方向输入设备输入字符的方法和装置
GB2370901A (en) Symbol input using reduced keypad
US6563923B2 (en) Portable telephone and character input method
KR20060101367A (ko) 숫자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
KR100271375B1 (ko) 제한된 키로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그 방법및 이를 이용한 전화 단말기
KR100580146B1 (ko)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
KR10065182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KR19990024320A (ko)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의 대표문자를 이용한 한글입력 방법
EP1280046A1 (en) Input method for characters and the like
KR10041806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CN100557554C (zh) 一种简易终端的快速信息输入装置和输入键法
KR1003486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100470698B1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US20070041580A1 (en) Method of composing and operating data input key array and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20050110329A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060033275A (ko) 휴대폰의 한글입력방법 및 영어입력방법
KR20060107646A (ko) 디지털 단말기 한글입력시스템
KR100688197B1 (ko) 획모양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시스템
KR100628366B1 (ko)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20070082777A (ko) 문자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방법
JP2003241885A (ja) 携帯情報端末
KR20070071480A (ko) 일본어 입력 방법 및 일본어 입력 장치
KR100518003B1 (ko) 핸드폰에서의 중국어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