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3681A - 진공 청소기용 브러시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용 브러시 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3681A
KR19990073681A KR1019980006760A KR19980006760A KR19990073681A KR 19990073681 A KR19990073681 A KR 19990073681A KR 1019980006760 A KR1019980006760 A KR 1019980006760A KR 19980006760 A KR19980006760 A KR 19980006760A KR 19990073681 A KR19990073681 A KR 19990073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plate
suction member
suction
brush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창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1019980006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3681A/ko
Publication of KR19990073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681A/ko

Link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용 브러시 변환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흡입구(22) 부근으로 슬랏(23)을 지니는 케이싱(21); 상기 슬랏(23) 상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덕트형의 흡입구(34)를 지니는 흡입부재(24); 상기 흡입부재(24)의 하방향으로 직선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양측의 흡입구(22)(23)를 교번하여 개폐하는 미끄럼판(25); 그리고 상기 흡입부재(24) 및 미끄럼판(25)이 연동되도록 모터(29)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진공 청소기에서 이물질을 포집하는 브러시 조립체가 청소 장소에 따라 그 흡입구의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여 청소의 편리성 및 신속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용 브러시 변환장치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용 브러시 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에서 이물질을 포집하는 브러시 조립체가 청소 장소에 따라 그 흡입구의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여 청소의 편리성 및 신속성을 향상하는 진공 청소기용 브러시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를 나타낸다. 진공 청소기는 진공 펌프 등의 주요부가 내장되는 본체(1)와, 바닥의 먼지를 모아서 흡입하는 브러쉬 조립체(10)와, 본체(1) 및 브러시 조립체(10)를 연결하면서 조작 손잡이(5)도 지니는 플렉시블 호스(3)와. 호스(3) 및 브러시 조립체(10)를 연결하는 연결관(7) 등으로 구성된다.
청소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자가 다수의 롤러에 의해 이동성을 지니는 브러쉬 조립체(10)를 전후로 움직이면 먼지등의 이물질이 브러쉬 조립체(10)의 흡입구로 흡입되고 연결관(7)과 호스(3)를 통해 본체(1)의 필터에서 포집된다. 조작 손잡이(5)를 이용하여 연결관(7)의 경사를 조절하면 식탁밑과 같은 장소도 브러쉬 조립체(10)가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진공 청소기를 사용할 때 소파밑과 같이 틈새가 좁은 곳을 청소하려먼 브러쉬 조립체(10)를 탈거하고 틈새용 흡입구로 대체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구성은 사용 및 보관에 따른 불편을 초래하고 청소시간을 늘이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진공 청소기에서 이물질을 포집하는 브러시 조립체가 청소 장소에 따라 그 흡입구의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여 청소의 편리성 및 신속성을 향상하는 진공 청소기용 브러시 변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조립체를 분해하여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조립체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브러쉬 조립체 21: 케이싱
22, 34: 흡입구 23: 슬랏
24: 흡입부재 25: 미끄럼판
26: 래크 27: 스프링
28: 피니언 29: 모터
35: 차단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흡입구(22) 부근으로 슬랏(23)을 지니는 케이싱(21); 상기 슬랏(23) 상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덕트형의 흡입구(34)를 지니는 흡입부재(24); 상기 흡입부재(24)의 하방향으로 직선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양측의 흡입구(22)(23)를 교번하여 개폐하는 미끄럼판(25); 그리고 상기 흡입부재(24) 및 미끄럼판(25)이 연동되도록 모터(29)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브러시 변환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조립체를 분해하여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은 케이싱(21)에서 이물질을 흡입하는 하부의 흡입구(22) 부근으로 슬랏(23)을 형성한다. 슬랏(23)은 케이싱(21)의 측면을 이용하여 좁고 길게 형성하는데 후술하는 흡입부재(24)와의 미끄럼 마찰을 줄이도록 표면조도를 양호하게 유지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마찰면에 금속판을 접합하여 내마모성도 향상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덕트형의 흡입구(34)를 지니는 흡입부재(24)가 상기 슬랏(23) 상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흡입부재(24)는 소파밑과 같이 좁은 틈새에 들어갈 수 있는 두께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한다. 흡입부재(24)의 흡입구(34)는 케이싱(21)의 흡입구(22)와 공기의 유동 단면적이 비슷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부재(24)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는 최소화되도록 하여 틈새를 출입하기 용이하게 한다. 흡입부재(24)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도록 케이싱(21) 내부에 가이드(도시 생략)를 형성하거나 부착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측의 흡입구(22)(23)를 교번하여 개폐하는 미끄럼판(25)이 상기 흡입부재(24)의 하방향으로 직선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미끄럼판(25)은 상면 일부에 형성되는 래크(26)와 함께 플라스틱 사출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미끄럼판(25)은 케이싱(21)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미끄럼 운동하도록 흡입부재(24)와 마찬가지로 가이드(도시 생략)로 지지한다.
이때 상기 미끄럼판(25)은 흡입부재(24)의 흡입구(34)를 개폐하도록 절곡되는 차단부(35)를 지닌다. 미끄럼판(25)의 바닥면은 케이싱(21)의 흡입구(22)를 폐쇄할 수 있는 정도의 폭으로 하고,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차단부(35)는 흡입부재(24)의 흡입구(34)를 폐쇄할 수 있는 정도의 폭으로 한다. 케이싱(21)의 흡입구(22)나 흡입부재(24)의 흡입구(34)를 폐쇄하는 동안 미끄럼판(25)은 기밀을 유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표면조도를 양호하게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입부재(24) 및 미끄럼판(25)이 연동되도록 모터(29)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을 사용한다. 구동수단은 브러쉬 조립체(20)를 수동으로 교체하지 않고 전기력으로 모터(29)를 작동하여 흡입부재(24)로 변환하기 위해 피니언(28), 스프링(27), 스위치 등을 사용한다.
이때 피니언(28)은 상기 흡입부재(24) 및 미끄럼판(25)에 맞물리도록 장착된다. 흡입부재(24)는 미끄럼판(25)의 래크(26)와 대향하는 외부면에 래크를 형성하고 양측의 래크가 피니언(28)에 동시에 연결되도록 한다. 스프링(27)은 상기 미끄럼판(25)이 일위치로 복귀하는 가압력을 받도록 미끄럼판(25)의 차단부(35)와 케이싱(21)의 일지점 사이에 장착한다. 모터(29)에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는 도 1의 조작 손잡이(5) 부근에 설치하는데 누르는 동안만 통전되는 푸시버튼 스위치나 작동시마다 통전이 단속되는 토글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터(29)의 구동토크는 스프링(27)의 탄성력과 흡입부재(24)의 미끄럼 마찰에 따른 저향력을 지탱할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조립체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인용하지 않은 부호는 도 2를 참조하여 작동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 3a에서, 진공 청소기의 평상시 사용 상태에서는 흡입부재(24)가 케이싱(21)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동시에 미끄럼판(25)의 차단부(35)가 스프링(27)의 탄성력으로 전진하여 흡입부재(24)의 흡입구(34)를 막고 있다. 이 상태에서 바닥의 이물질은 케이싱(21)의 흡입구(22)를 통하여 유입되고 흡입부재(24)의 흡입구(22)로는 유입되지 않는다. 흡입부재(24)가 돌출되지 않아 청소시 불필요한 간섭을 초래하지도 않는다.
도 3b에서, 마루 바닥을 청소하던 중에 소파밑을 청소하는 경우 스위치를 누르면 모터(29)가 통전되어 흡입부재(24)와 미끄럼판(25)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에 따라 흡입부재(24)는 좁은 틈새에 들어가기 용이해지고 흡입구(34)가 개방되는 반면 케이싱(21)의 흡입구(22)는 폐쇄되므로 이물질은 흡입부재(24)의 흡입구(34)로만 유입된다. 만일 케이싱(21)의 흡입구(22)가 폐쇄되지 않는다면 흡입부재(24)의 흡입구(34)에서의 흡인력이 저하된다. 이후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하면 스프링(27)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도 3a의 상태로 신속히 돌아오기 때문에 청소 동작을 중단없이 계속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구성 대신 모터(29)를 생략하고 피니언(28)을 아이들 상태로 둔 다음 스프링(27)을 솔레노이드로 대체하는 구성을 택하여도 전술한 바와 동일한 동작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용 브러시 변환장치는 진공 청소기에서 이물질을 포집하는 브러시 조립체가 청소 장소에 따라 그 흡입구의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여 청소의 편리성 및 신속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흡입구 부근으로 슬랏을 지니는 케이싱;
    상기 슬랏 상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덕트형의 흡입구를 지니는 흡입부재;
    상기 흡입부재의 하방향으로 직선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양측의 흡입구를 교번하여 개폐하는 미끄럼판; 그리고
    상기 흡입부재 및 미끄럼판이 연동되도록 모터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브러시 변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재는 미끄럼판의 래크와 대향하는 외부면에 래크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브러시 변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판은 흡입부재의 흡입구를 개폐하도록 절곡되는 차단부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브러시 변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흡입부재 및 미끄럼판에 맞물리는 피니언과, 상기 미끄럼판이 일위치로 복귀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브러시 변환장치.
KR1019980006760A 1998-03-02 1998-03-02 진공 청소기용 브러시 변환장치 KR199900736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760A KR19990073681A (ko) 1998-03-02 1998-03-02 진공 청소기용 브러시 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760A KR19990073681A (ko) 1998-03-02 1998-03-02 진공 청소기용 브러시 변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681A true KR19990073681A (ko) 1999-10-05

Family

ID=65894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760A KR19990073681A (ko) 1998-03-02 1998-03-02 진공 청소기용 브러시 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36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227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US7631394B2 (en) Suction brush for vacuum cleaner
KR101322247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및 그 높이조절방법
US6842941B2 (en) Suction port assembly of vacuum cleaner
KR930008471Y1 (ko) 걸레 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RU2424759C2 (ru) Пылесосная насадка с переключаемой щеткой для уборки пола
CN211432734U (zh) 表面清洁装置以及表面清洁设备
KR19990073681A (ko) 진공 청소기용 브러시 변환장치
KR100194069B1 (ko) 소형 전기 소제기
JP4497770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CN108209227B (zh) 组合式厨房电器
KR101055046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JPH06151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具
KR101054545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CN112716394B (zh) 表面清洁装置以及表面清洁设备
KR200170708Y1 (ko) 진공청소기
CN220001650U (zh) 清洁装置
KR0175620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CN211484382U (zh) 自移动清洁装置及其开关组件
KR200144826Y1 (ko) 진공청소기의흡입헤드유로전환장치
JPH0825891A (ja) 黒板拭き装置
KR100667861B1 (ko) 진공청소기
KR0136312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조절장치
JP3115577U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200172944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