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3531A - 시설하우스 방제용 분사기의 구조 - Google Patents

시설하우스 방제용 분사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3531A
KR19990073531A KR1019990029432A KR19990029432A KR19990073531A KR 19990073531 A KR19990073531 A KR 19990073531A KR 1019990029432 A KR1019990029432 A KR 1019990029432A KR 19990029432 A KR19990029432 A KR 19990029432A KR 19990073531 A KR19990073531 A KR 19990073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injector
pipe
facility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2957B1 (ko
Inventor
김기언
Original Assignee
김기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언 filed Critical 김기언
Priority to KR1019990029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957B1/ko
Publication of KR19990073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531A/ko
Priority to KR2020000011272U priority patent/KR2002010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하우스 내의 방제용 분사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분사기의 분사로와 분사기에 내장되는 노즐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상 시설하우스에서 이용하는 방제 장치의 일 부분인 분사기에 내장되는 노즐의 부품을 일체화하여 노즐 몸체와의 결합을 완벽하게 하므로서 분사의 미세화를 향상시키고 공정을 단일화시키며 분사방향을 사각으로 형성하여 물방울을 방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시설하우스 방제용 분사기의 구조 {Reversing facility of preventing insects and ventilating equipment in facility house}
본 발명은 시설하우스의 방제용 분사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사기의 구조 및 분사기에 내장되는 노즐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설하우스에서 방제용으로 사용하는 분사장치는 작물의 이랑 마다 1대씩 설치되어 상기 이랑을 왕복하면서 방제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작물의 신장에 따라 다수개의 분사기를 파이프의 상. 하로 형성하여 분사장치가 상. 하로 움직이지 않고 효과적으로 방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사장치의 상. 하 구성은 중력 방향으로 형성된 파이프의 좌. 우에 수평으로 대칭되게 조립하는 방법으로 분사장치를 형성하여 좌. 우로 방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분사장치의 구성이 파이프의 상. 하 일정한 간격으로 분사기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분사기의 구성은 몸체와 노즐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의 구성은 세라믹으로 형성된 노즐팁과 여과기와 분배기로 구성되고 몸체에 내장된다. 이와 같이 노즐이 내장된 몸체를 상기 파이프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분사장치의 구성은 방제 시작과 끝에 물방울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몸체에 노즐의 각 구성체를 차례로 내장하여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에 많은 시간이 요구되며, 조립시 완벽한 조립이 어려운 점이 있으며,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로 파이프와 결합할 때 노즐조립 상태가 중력방향을 유지하면서 결합해야 노즐 조립이 흩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파이프에 결합되는 분사로를 상방향 사각으로 형성하여 방제 시작과 끝에 발생하는 분사기의 물방울을 방지하며, 노즐의 구성체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노즐을 몸체에 내장하는데 용이하고 어느 방향에서든 파이프와의 결합이 용이한 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분사장치의 구성은 십자형 파이프를 직선파이프와 결합할 때 일반적으로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하는 방법을 이용하나 이는 결합당시에 이물질 침투의 가능성이 높아 노즐의 막힘이 예측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열융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열융착방법은 가소성의 직선 파이프를 가소성 이상으로 가열하여 결합하므로서 분리할 수 없도록 일체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십자형파이프의 구성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 2개의 파이프는 직선파이프가 결합되며, 다른 2개의 돌출된 파이프는 직선파이프가 중력방향의 위치일 때 그 끝 부분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약간 위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이는 파이프의 내압이 노즐 끝에 이르기까지 물이 노즐에 고이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노즐의 결합은 각 구성체가 밀착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몸체에 내장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도 1은 노즐의 결합과 몸체와의 분리도.
도 2는 노즐의 분리도.
도 3은 분사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도.
도 5는 종래노즐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몸체 22 : 십자형파이프
33 : 파이프 44 : 공급로
55 : 노즐팁 66 : 여과기
77 : 분배기 88 : 오링
99 : 함몰부(a,b) 100 : 돌출부
101 : 분사기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분사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길이의 가소성수지의 직선파이프(33)와 상기 직선파이프(33)와 노즐의 몸체(11)가 결합되는 십자형파이프 (22)와 몸체(11)에 내장되는 노즐의 구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도 1은 노즐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것이며, 도 2는 노즐의 결합방법을 도시하기 위한 것이고, 도 3은 공급로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이 이용되는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고 도 5는 종래 노즐의 구성도이다.
다수개의 분사기(101)가 형성된 분사장치에 있어서, 일정한 길이의 직선파이프(33)는 보통의 가소성 수지로 구성되며 파이프(33)의 어느 일단이 가소성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어 십자형파이프(22)의 상. 하로 돌출되고 나사산이 없는 부분과 결합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파이프(33)와 십자형파이프(22)가 연속하여 결합하고, 십자형파이프(22)에 결합된 파이프(33)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분에 내부에 노즐의 구성체를 내장한 몸체(11)가 결합된다.
상기 파이프(33)와 결합된 십자형파이프(22)는 그 내경이 상. 하로 직선으로 형성되고 몸체(11)와 결합된 부분의 내경은 십자로 지점에서 위로 경사지게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형성된다.
상기 십자형파이프(22)에 결합되는 몸체(11)의 내부에는 노즐팁(55)과 분배기(77)와 여과기(66)와 오링(88)으로 구성된 노즐의 구성체가 내장된다. 노즐의 구성은 앞부분부터 선두에는 노즐팁(55)이 다음에는 분배기(77), 여과기(66)와 누수를 방지하는 오링(88)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노즐 구성의 노즐팁(55)은 분배기(77)의 함몰부(99a)에 안착되며 여과기(66)는 여과기(66)에 형성된 돌출부(100)가 분배기(77)의 다른 함몰부(99b)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노즐은 각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밀착된다.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실시예로 설명하면,
시설하우스에서 작물의 신장이 200㎝ 이고 50㎝간격으로 분사기(101)를 설치하고자 할 때, 십자형파이프(22)의 길이가 1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십자형파이프(22)를 연결하는 파이프(33)의 길이를 45㎝로 형성하면 분사기(101)의 간격은 50㎝로 구성할 수 있으며, 분사기(101)는 끝 부분부터 분사기(101)가 형성되므로 5단계의 분사기(101)가 형성되고 파이프(33)를 중심으로 분사기(101)가 대칭으로 구성되므로 1개의 분사장치에 10개의 분사기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양으로 설치된다.
동력(도시되지 않음)의 작동으로 약제를 공급하는 공급로(44)에 일정한 압력이 형성되어 분사기(101)에 도착하게 되는데, 상기 동력에서 보내는 압력이 분사기(101)의 노즐까지 같아야 분사가 시작되는 것이다. 즉 모든 공급로(44)에 공간이 제로상태가 되어야 압력이 일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모든 공급로(44)에 일정한 압력에 도달하기까지는 얼마간의 시간이 필요하고 그 시간대에 공기의 제로 보다 먼저 약제가 노즐 출구까지 도착하게 되어 분사되기 전에 물방울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는 약제의 공급로(44)가 노즐과 수평으로 구성되었을 때 발생하는 결과이다.
본 발명은 공급로(44)의 약제가 공급로(44)에서 공기가 제로가 될 때까지 노즐에 도착시키지 않는 공급로(44)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십자형파이프(22)에서 노즐방향의 약제공급로 (44)를 상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약제의 공급시 그 내경에 처음부터 공간 없이 공급되므로 노즐에 전달되는 압력의 시간과 약제의 시간이 거의 일치하여 물방울이 발생하지 않는다.
분사 효과와 관계가 있는 노즐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기능성이 있는 각각의 부속이 결합되어 미세분사를 유도하는 것이나,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분사를 형성하는 노즐팁(55)과 약제를 분배하는 분배기(77)와 약제를 여과하는 여과기(66) 그리고 누수를 방지하는 오링(88)으로 구성되는 것이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결합방법을 종전에는 몸체(11)의 내부에 노즐팁(55)부터 차례로 삽입하는 형식이므로 각 부 속의 결합위치로 조립하기 어려운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한다는 것이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므로 다시 흩어지기 쉬우며 십자형파이프(22)에 몸체(11)의 결합시 조립한 상태가 흩어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분사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각 부속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부속을 부속끼리 고정시키는 것이다. 즉 분배기(77)에 함몰된 전면함몰부(99a)에 노즐팁(55)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분배기(77)의 배면 함몰부(99b)에 여과기(66)에 형성된 돌출부(100)를 삽입하여 고정하므로서 각 부속은 일체화가 되어 큰 외압이 아닌 이상 흩어지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일체화로 형성된 노즐이 몸체(11)에 내장되는 작업을 단순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장치는 물방울을 형성하지 않아 약제의 과 소모를 방지하고, 토양을 보호하게 되며, 노즐이 정확하게 조립되어 있으므로 분사의 효과가 크고, 조립방법이 간단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어 산업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1)

  1. 직선파이프(33)와 십자형파이프(33)를 중력방향으로 다수단계로 연속하여 연결하고 십자형파이프(22)에서 직선파이프(22)와 대칭으로 형성되는 분사기 (101)와 분사기(101)에 내장된 노즐의 구성에 있어서, 십자형파이프(22)에서 분사기(101) 방향으로 상 방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약제 공급로(44)와 노즐팁(55)이 분배기(77)의 전면 함몰부(99a)에 삽입 고정되고 여과기(66)의 돌출부(100)가 분배기(77)의 배면 함몰부(99b)에 삽입 고정되어, 노즐팁(55)과 분배기(77)와 여과기(66)가 일체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하우스 방제용 분사기의 구조.
KR1019990029432A 1999-07-21 1999-07-21 시설하우스 방제용 분사기의 구조 KR100332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432A KR100332957B1 (ko) 1999-07-21 1999-07-21 시설하우스 방제용 분사기의 구조
KR2020000011272U KR200201014Y1 (ko) 1999-07-21 2000-04-20 시설하우스 방제용 분사기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432A KR100332957B1 (ko) 1999-07-21 1999-07-21 시설하우스 방제용 분사기의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272U Division KR200201014Y1 (ko) 1999-07-21 2000-04-20 시설하우스 방제용 분사기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531A true KR19990073531A (ko) 1999-10-05
KR100332957B1 KR100332957B1 (ko) 2002-04-18

Family

ID=37479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432A KR100332957B1 (ko) 1999-07-21 1999-07-21 시설하우스 방제용 분사기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9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547B1 (ko) * 2008-06-05 2009-03-27 이종표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987A (ko) * 2001-03-23 2002-10-04 한경프루베주식회사 원예용 방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547B1 (ko) * 2008-06-05 2009-03-27 이종표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2957B1 (ko) 200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6409B1 (en) Nozzles with integrated or built-in filters and method
CA1276664C (en) Vibrating element for ultrasonic injection
US4601275A (en) Fuel rail
CA1276665C (en) Vibrating element for ultrasonic atomization having curved multi-stepped edged portion
EP0196390A1 (en) Ultrasonic injection nozzles
KR20090014160A (ko) 분사 조립체를 구비한 분배 장치
KR200201014Y1 (ko) 시설하우스 방제용 분사기의 구조
EP2067949A3 (en) Nozzle system for injector
KR100332957B1 (ko) 시설하우스 방제용 분사기의 구조
DE60034722D1 (de) Kraftstoffeinspritzanordnung
KR20230169009A (ko) 분무 시스템
JP3625841B2 (ja) 空気アシスト式燃料噴射装置
KR100500756B1 (ko) 평판 디스플레이 표면 처리용 유체분사장치
KR102091926B1 (ko)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EP0847306B1 (en) Arrangement in a spray tube mouthpiece
KR200438965Y1 (ko) 분사각의 가변이 가능한 분무기용 노즐헤드
GB2609056A (en) Nozzle assembly for sprayer
KR200412499Y1 (ko) 노즐 일체형 분사기
KR960007318Y1 (ko) 약액 분무용 에어노즐(air nozzle)
KR200400085Y1 (ko) 농약 분무기
KR0118452Y1 (ko) 제초제 방제용 노즐
KR102563366B1 (ko) 유체 분배 장치
KR200485414Y1 (ko) 노즐 일체형 약제살포장치
JPS61161162A (ja) 気液混合噴霧用ノズル
CN219509738U (zh) 一种超燃冲压发动机的脉冲喷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