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3413A - 토크검지차동감속회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토크검지차동감속회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3413A
KR19990073413A KR1019990027902A KR19990027902A KR19990073413A KR 19990073413 A KR19990073413 A KR 19990073413A KR 1019990027902 A KR1019990027902 A KR 1019990027902A KR 19990027902 A KR19990027902 A KR 19990027902A KR 19990073413 A KR19990073413 A KR 19990073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orque
planetary gear
regulat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7143B1 (ko
Inventor
윤종천
Original Assignee
박재덕
윤종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덕, 윤종천 filed Critical 박재덕
Priority to KR1019990027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7143B1/ko
Publication of KR19990073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46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 F16H3/48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57/082Planet c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2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06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48/10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orbital spur gears
    • F16H2048/106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orbital spur gears characterised by two sun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4Limiting the input power, torque or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감속회전을 필요로 하여 부하토크 검지로 자동적으로 감속회전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원심분리기에 있어 외동볼과 내동스크류가 연동회전 선상에서 상이한 회전으로 감속하면서 적용되어 용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일정부하로 조절 회전토록 하여 댜양한 감속회전을 이룰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과부하시에는 주전원을 차단하고 경보를 울려 장치를 보호하면서 안전 운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토크검지 차동감속회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토크검지 차동감속회전 조절장치{REDUCINGSPEED TORQUEDETECTION REGUL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다양한 감속회전을 필요로 하여 부하토크 검지로 자동적으로 감속회전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원심분리기에 있어 외동볼과 내동스크류가 연동회전 선상에서 상이한 회전으로 감속하면서 적용되어 용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일정부하로 조절 회전 토록 하여 댜양한 감속회전을 이룰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과부하시에는 주전원을 차단하고 경보를 울려 장치를 보호하면서 안전 운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토크검지 차동감속회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감속장치는 설정 제작된 감속회전으로 회전하고 상황에 따라 수동으로 기어변속을 하는 것과 모터에 소비되는 전류치를 제어 연산하여 감속회전을 조절하는 방법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은 직접적으로 모터가 감속기에 회전이 전달될 때 만 가능하고 하나의 회전 전달체에서 두회전체가 연동회전선상에서 각각에 걸리는 회전부하를 상이한 회전으로 차동하면서 차동측에서 변환 발생되는 토크를 검출하여 차동회전을 조절치 못하는 단순 감속장치로 대부분 이루어져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감속장치는 감속기를 적용하고자 하는 대상 또는 기계장치등과는 별도로 감속회전 조절장치를 두고 컨트롤 해야하는 문제점등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외동볼과 내동 스크류가 연동회전 선상에서 상이한 회전으로 감속하면서 적용되어 용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일정부하로 조절 회전 토록 하여 댜양한 감속회전을 이룰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과부하시에는 주전원을 차단하고 경보를 울려 장치를 보호하면서 안전 운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유성차기어박스의 본체보디 내부에 일 단계, 이 단계로 각각 형성되어 내설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접기어와, 상기 내접기어와 맞물려서 회전토록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가 스핀들로 지지되어 내접기어에 맞물려서 자전토록 하여 미끄럼구동하면서 차동회전케 하는 케리어 어셈블리와, 상기 유성기어의 자전중심에서 유성기어와 맞물려 유성기어를 회전케 하는 조절 태양기어와, 상기 조절태양기어의 외주에 결합되어 조절태양기어를 회전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유성기어와, 상기 조절 유성기어에 의한 회전조절로 차동회전수를 컨트롤 할 수 있도록 된 조절 케리어 어셈블리와, 상기 조절 유성기어에 연동으로 결합되는 토크 검지 태양기어와, 상기 조절 유성기어와 맞물려 조절 유성기어를 회전토록 하는 조절 내접기어와, 상기 조절 내접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조절기보디 외주의 소정영역에 형성된 다수개의 브이벨트 홈과, 상기 브이벨트 홈에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조절기모터와, 상기 토크검지 태양기어의 타측 축암이 조절기보디 외측으로 돌출되어 그 끝단에 조립되는 고정레버와, 상기 고정레버의 타측 측면에 걸쳐져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검출기와, 상기 토크 검출기를 장착하고 토크의 과부하시 주전원을 차단하는 안전 과부하 차단레버를 포함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감속조절과 토크검지 작동구성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부호의 설명-
100-본체보디 101-조절기모터
102-이단계 내접기어 103-이단계 유성기어
104-이단계 케리어 어셈블리 105-스핀들
106-이단계 태양기어 107-베어링
108-일단계 케리어 어셈블리 109-일단계 내접기어
110-일단계 유성기어 111-조절 태양기어
112-조절 케리어 어셈블리 113-조절 유성기어
114-조절 내접기어 115-조절기 보디
116-토크 검지 태양기어 117-고정레버
118-안전 과부하 차단레버 119-주회전 전달 커플링
120-차동연결 커플링 121-토크 검출기
본 발명의 구성을 도1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성차기어박스의 본체보디(100) 내부에 일 단계, 이 단계로 각각 형성되어 내설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접기어(109)(102)와, 상기 내접기어(109)(102)와 맞물려서 회전토록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성기어(110)(103)와, 상기 유성기어(110)(103)가 스핀들(105)로 지지되어 내접기어(109)(102)에 맞물려서 자전토록 하여 미끄럼구동하면서 차동회전케 하는 케리어 어셈블리(108)(104)와, 상기 유성기어(103)의 자전중심에서 유성기어(103)와 맞물려 유성기어(103)를 회전케 하는 조절 태양기어(111)와, 상기 조절태양기어(111)의 외주에 결합되어 조절태양기어(111)를 회전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유성기어(113)와, 상기 조절 유성기어(113)에 의한 회전조절로 차동회전수를 컨트롤 할 수 있도록 된 조절 케리어 어셈블리(112)와, 상기 조절 유성기어(113)에 연동으로 결합되는 토크 검지 태양기어(116)와, 상기 조절 유성기어(113)와 맞물려 조절 유성기어를 회전토록 하는 조절 내접기어(114)와, 상기 조절 내접기어(114)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조절기보디 (115)외주의 소정영역에 형성된 다수개의 브이벨트 홈(122)과, 상기 브이벨트 홈(122)에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조절기모터(101)와, 상기 토크검지 태양기어(116)의 타측 축암(123)이 조절기보디(115) 외측으로 돌출되어 그 끝단에 조립되는 고정레버(117)와, 상기 고정레버(117)의 타측 측면에 걸쳐져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검출기(121)와, 상기 토크 검출기(121)를 장착하고 토크의 과부하시 주전원을 차단하는 안전 과부하 차단레버(118)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보디(100)가 회전하는 선상에서 고정되는 토크 검지 태양기어(116)를 갖추고 주회전체 내의 스크류에 걸리는 토크부하를 검지하여 차동회전 조절토록 기어박스 본체보디(100)와 조절기보디(115)가 일체로 구성되어 상이한 회전으로 자동 조절하기 위해 조절기보디(115)를 회전시켜 토크 검출기(121)에 부하 트르크를 검지하여 자동으로 유성차 기어박스의 차동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을 더욱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보디(100)내부에 두조의 케리어 어셈블리(108)(104)가 내장되고 조절기 보디(101)내에는 한 조의 조절 케리어 어셈블리(112)가 내장되어 상기 각각의 케리어 어셈블리(108(104)에는 세 개가 한조를 이루는 유성기어(110)(103)가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유성기어(110)(103)의 외주기어에는 각각 모듈이 다른 내접기(109)(102)어가 맞물리게 조립되고 상기 유성기어(110)(103)의 중심에는 각각의 유성기어(109(102)가 맞물릴 수 있도록 태양기어(111)(106)를 조립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성기어(110)(103)와 기어 모듈이 상이한 내접기어(109)(102), 케리어 어셈블리(108)(104) 그리고, 태양기어(111)(106)의 결합구성을 토대로 도1에서 상세히 설명하면 이단계 케리어 어셈블리(104) 일측중심 내주에 차동 전달기어가 설정되고 외주에는 베어링(107)과 오일씰이 장착되어 본체보디(100) 일측 중심으로 돌출되게 조립하고, 타측은 본체보디(100) 내면중심에 안배된 브라켓에 베어링(107)으로 조립한다.
상기 이단계 태양기어(106)축은 일단계 케리어 어셈블리(108)축의 일측 중심에 고정키로 조립하고 일단계 케리어 어셈블리(108)도 기어 모듈이 상이하게 설정된 일단계 내접기어(109)와 일단 일단계 유성기어(110)가 맞물리게 되고 일단계 에셈블리(108) 양축이 브라켓과 본체보디(100)타측 중심에 베어링(107)으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일단계 유성기어(110)의 등분 중심에는 조절 태양기어(111)가 맞물리게 되며, 일측 축은 일단계 케리어 어셈블리(108) 중심에 베어링(107)으로 조립되고 , 타측은 본체보디(100)의 타측 중심에 베어링(107)으로 조립되는 조절 케리어 에셈블리(112)의 일측 축과 일체가 되고 조절 케리어 어셈블리(112)에 조절 유성기어(113) 세 개가 삼등분으로 스핀들(105)로 회전토록 조립한다.
상기 조절 유성기어(113)의 외주기어에는 조절 내접기어(114)가 조절기보디(115)에 고정되고 상기 조절기보디(115)외주에는 브이벨트 홈(122)이 설정도어진다.
상기 세개의 조절 유성기어(113)의 등분 중심에는 토크 검지 태양기어(116)가 맞물리게 하고 조절 케리어 어셈블리(112)와 각각 회전토록 베어링(107)과 오일씰로 조절기보디(115) 일측과 타측에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토크 검지 태양기어(116)의 타측 축암(122)이 조절기보디(115) 타측 중심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끝단에는 고정레버(117)가 조립되며, 상기 고정레버(117)의 타측면에는 토크 검출기(121)가 걸쳐기게 하고 상기 토크 검출기(121)는 안전 과부하 차단레버(118)에 고정장착되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도3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회전 전달 커플링(119)에 회전이 인다되면 일단계,이단계 내접기어(109)(102)내주에서 일단계,이단계 유성기어(110)(103)가 일단계,이단계 내접기어(109)(102)를 중심점으로 자전하게 되고 조절 태양기어(111) 정지상태에서 일단계 감속 회전비(조절 태양기어(111)잇수+일단계 내접기어(109) 잇수/조절 태양기어(111)잇수)는 일단계 유성기어(110)가 일단계 케리어 어셈블리(108)와 고정된 스핀들(105)을 밀게 되고 밀린 힘은 일단계 케리어 어셈블리(108)와 고정연결된 이단계 태양기어(106)에 회전비가 전달되어 이단계 내접기어(102) 내주에서 자전하는 이단계 유성기어(103)를 미끄럼 회전케하여 일단계 감속회전을 이단계 케리어 어셈블리(104)에 전달하여 이단계 감속 회전비(이단계 태양기어(106)잇수+이단계 내접기어(102)잇수/이단계 태양기어(106)잇수)와 곱해져 설정감속비(일단계 감속회전비×이단계 감속회전비)가 차동연결 커플링(120)을 차동회케 한다.
상기 본체보디(100) 기어박스에서 주회전과 차동회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연동회전 선상에서 조절기보디(115)에 설정된 브이벨트 홈(122)과 브이벨트로 조절기모터(101)와 연결하여 회전을 인가하면 조절기보디(115)의 내주에 고정된 조절 내접기어(114) 잇수와 토크 검지 태양기어(116)의 잇수비(조절내접기어(114)잇수+토크 검지 태양기어(116)잇수/토크 검지 태양기어(116)잇수)가 중간에 설정된 조절 유성기어(113)가 자전하면서 감속차 회전이 스핀들(105)을 밀게되어 조절 케리어 어셈블리(112)가 차동하게 되고 조절 케리어 어셈블리(112) 일측 축이 본체보디(100) 타측 중심에 베어링(107)으로 조립되어 구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 케리어 어셈블리(112) 일측 축이 본체보디(100) 타측 중심에 베어링(107)으로 조립되어 구동하게 되며, 상기 조절 태양기어(111)가 연동 구동되어 일단계 유성기어(110)와 맞물려 미끄럼 구동하게 되어 조절기모터(101) 회전조절에 따라 조절 태양기어(111)의 미끄럼 회전을 크거나 작게 하여 차동 연결 켜풀링(120)의 차동 회전수를 변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기모터(101) 회전 조절은 토크 검지 태양기어(116)에 조절 유성기어(113)가 자전하면서 본체보디(100) 기어박스에 차동 토크가 전달 되고 토크 검지 태양기어(116) 축암(123)이 안전 과부하 차단레버(118)에 고정되고 상기 안전 과부하 차단레버(118)는 토크 검출기(121)에 걸쳐져 토크를 검출 연산하여 조절기모터(101)의 회전을 자동설정토크로 조절 회전케 한다.
상기 설정치 이상의 과부하시에는 안전 과부하 차단레버(118)가 벗겨져 접전 스위치로 주전원 차단과 경보를 울려 장치를 보호하면서 안전 운전토록 하여 다양한 차동 감속을 자동으로 조절 운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외동볼과 내동 스크류가 연동회전 선상에서 상이한 회전으로 감속하면서 적용되어 용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일정부하로 조절 회전 토록 하여 댜양한 감속회전을 이룰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과부하시에는 주전원을 차단하고 경보를 울려 장치를 보호하면서 안전 운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다양한 감속비로 감속회전을 이루기 위하여 부하토크를 검지하여 자동적으로 감속회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차동회전 조절장치에 있어서,
    유성차기어박스의 본체보디 내부에 일 단계, 이 단계로 각각 형성되어 내설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접기어와,
    상기 내접기어와 맞물려서 회전토록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가 스핀들로 지지되어 내접기어에 맞물려서 자전토록 하여 미끄럼구동하면서 차동회전케 하는 케리어 어셈블리와,
    상기 유성기어의 자전중심에서 유성기어와 맞물려 유성기어를 회전케 하는 조절 태양기어와,
    상기 조절태양기어의 외주에 결합되어 조절태양기어를 회전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유성기어와,
    상기 조절 유성기어에 의한 회전조절로 차동회전수를 컨트롤 할 수 있도록 된 조절 케리어 어셈블리와,
    상기 조절 유성기어에 연동으로 결합되는 토크 검지 태양기어와,
    상기 조절 유성기어와 맞물려 조절 유성기어를 회전토록 하는 조절 내접기어와,
    상기 조절 내접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조절기보디 외주의 소정영역에 형성된 다수개의 브이벨트 홈과,
    상기 브이벨트 홈에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조절기모터와,
    상기 토크검지 태양기어의 타측 축암이 조절기보디 외측으로 돌출되어 그 끝단에 조립되는 고정레버와,
    상기 고정레버의 타측 측면에 걸쳐져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검출기와,
    상기 토크 검출기를 장착하고 토크의 과부하시 주전원을 차단하는 안전 과부하 차단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검지 차동감속회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보디가 회전하는 선상에서 고정되는 토크 검지 태양기어를 갖추고 주회전체 내의 스크류에 걸리는 토크부하를 검지하여 차동회전 조절토록 기어박스 본체보디와 조절기보디가 일체로 구성되어 상이한 회전으로 자동 조절하기 위해 조절기보디를 회전시켜 토크 검출기에 부하 트르크를 검지하여 자동으로 유성차 기어박스의 차동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검지 차동감속회전 조절장치.
KR1019990027902A 1999-07-10 1999-07-10 토크검지 차동감속회전 조절장치 KR100317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902A KR100317143B1 (ko) 1999-07-10 1999-07-10 토크검지 차동감속회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902A KR100317143B1 (ko) 1999-07-10 1999-07-10 토크검지 차동감속회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413A true KR19990073413A (ko) 1999-10-05
KR100317143B1 KR100317143B1 (ko) 2001-12-22

Family

ID=37531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902A KR100317143B1 (ko) 1999-07-10 1999-07-10 토크검지 차동감속회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71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559B1 (ko) * 2018-10-29 2019-06-14 신의순 지능형 제어 감속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559B1 (ko) * 2018-10-29 2019-06-14 신의순 지능형 제어 감속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7143B1 (ko) 200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7426A (en) Variable spee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JPH02130224A (ja) 補機駆動装置
KR101159835B1 (ko) 무단 변속기
AU2009217760B2 (en) Planetary transmission
CA2598778C (en) Continuously variable constant mesh epicycle transmission
US4321842A (en) Compound epicyclic cog belt speed reducer
US6106426A (en) Arrangement for a double shaft extruder
US4281565A (en) Controlled start speed reducer
US7883457B2 (en) Helical conveyor centrifuge having a planetary gear drive device
US4644824A (en) Epicyclic gear speed change mechanism
CN100340796C (zh) 行星差动蜗杆无级调速软启动限矩装置
KR100317143B1 (ko) 토크검지 차동감속회전 조절장치
CA1181260A (en) Variable speed rotary power transmission
US5474504A (en) Asymmetric planetary gear variable speed transmission
EP1170526B1 (en) Stepless speed change gear
CN100366954C (zh) 行星差动蜗杆无级调速软启动限矩装置
CN2731179Y (zh) 行星差动蜗杆无级调速软启动限矩装置
CN2751180Y (zh) 行星差动蜗杆无级调速软启动限矩装置
US6800045B1 (en) Automatic gear ratio reduction system
JPH1182677A (ja) ハイドロメカニカルトランスミッション
KR920008019B1 (ko) 전동 액츄 에이터
KR100328382B1 (ko) 무단 변속장치
KR100340190B1 (ko) 이단가속 원심분리기용 증·감속 기어박스장치
KR960005908B1 (ko) 자동변속기의 동력단속장치
CN114688219A (zh) 一种减速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