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3154A - 코확장기 - Google Patents

코확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3154A
KR19990073154A KR1019990021024A KR19990021024A KR19990073154A KR 19990073154 A KR19990073154 A KR 19990073154A KR 1019990021024 A KR1019990021024 A KR 1019990021024A KR 19990021024 A KR19990021024 A KR 19990021024A KR 19990073154 A KR19990073154 A KR 19990073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attached
elastic member
user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1111B1 (ko
Inventor
홍중기
박한욱
Original Assignee
홍중기
박한욱
애드윈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중기, 박한욱, 애드윈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중기
Priority to KR1019990021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111B1/ko
Publication of KR19990073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5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B22D41/01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코 외측면에 부착되어 운동후 호흡량이 증가되는 경우 호흡이 곤란한 비염 환자 등의 호흡중 비도의 외벽조직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기성이 양호하도록 섬유재질로 형성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내측면에 점착되어 코 외측면에 부착시 평면상태인 초기상태로 복원될려고 하는 탄성부재의 양측이 꺽이는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가압부와, 코 외측면에 부착시 상하위치를 식별하여 코 확장기의 접촉면적을 코 외부형상에 따라 최적화하여 사용자의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위치표시부와, 상기 부직포 및 탄성부재를 보호하도록 부착되는 박리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코 외측면에 부착되어 호흡중 비도의 외벽조직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코 확장기를 구성하는 가요성부재가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 및 두께를 가지면서 자체의 복원력을 배가시킴에 따라 코 확장기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코 확장기에 특정한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아로마향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기분을 전환시키며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킴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코 외측면에 부착되는 코 확장기의 접촉면적을 감축시켜 부착시 사용자가 느끼는 거부감을 최소화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코 확장기의 표면에 각종 캐릭터를 포함한 문양을 칼라색상으로 인쇄하는 코팅층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광고 또는 홍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 확장기{nasal dilator}
본 발명은 코 확장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 외측면에 부착되어 운동후 호흡량이 증가되는 경우, 호흡이 곤란한 비염 환자 등의 호흡중 비도의 외벽조직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한 코 확장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코 확장기(국제 공개특허공보 94-701284호에 개시됨)의 도면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점착제(1)가 형성되며 통기성이 양호하도록 섬유재질로 형성되는 부직포(2)와, 점착제(1)에 의해 부직포(2)에 점착되며 코 외측면에 부착시 평면상태인 초기상태로 복원될려고 하는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비도의 외벽조직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호흡을 용이하게 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3)와, 탄성부재(3)가 외측면에 점착되며 점착제(4)가 내측면에 형성되는 섬유층(5)과, 사용시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섬유층(5)외측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며 섬유층(5)을 보호하는 박리지(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코 확장기는, 코 외측면에 부착되어 호흡시 비도의 외벽조직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호흡이 용이하도록 자체의 복원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3)를 복수개 사용하고, 한 쌍의 탄성부재(3)를 보호하는 별도의 섬유층(5)을 포함하게 되므로 해당 부품수 증가로 인해 이를 제작하는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탄성부재(3)가 섬유층(5)에 동일평면상으로 소정간격을 유지하여 점착되어 탄성부재(3)를 점착시키는 섬유층(5)의 면적이 확대되므로, 코 외측면에 부착되는 코 확장기의 면적 및 두께가 확대되어 코에 부착시 사용자의 거부감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 확장기(미합중국 특허 제5546929호에 개시됨)의 도면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점착제(7)가 형성되고 통기성이 양호하도록 섬유재질로 형성되며 코 외측면의 중심에 부착할 수 있도록 센터용 돌출부(8a)가 상측에 형성된 부직포(8)와, 점착제(7)에 의해 부직포(8)에 점착되며 코 외측면에 부착시 평면상태인 초기상태로 복원될려고 하는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비도의 외벽조직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호흡을 용이하게 하는 호 형상을 갖는 탄성부재(9)와, 사용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부직포(8)외측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며 탄성부재(9) 및 부직포(8)내측면을 보호하는 박리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코 확장기는, 사용시 용이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코 외측면에 부착되어 비도의 외벽조직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부재(9)가 단일체로 형성되어 이의 탄성력에 상응하는 복원력이 작게 되므로 코 확장기의 효용이 떨어진다.
이로 인해, 자체의 복원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탄성부재(9)의 두께 및 면적을 증대시키는 경우, 코 확장기의 전체적인 면적 및 두께가 확대되어 코에 부착시사용자의 거부감이 발생되므로 사용자로 부터 제품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 확장기의 도면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점착제(11)가 형성되고 통기성이 양호하도록 섬유재질로 형성되며 땅콩형상을 갖는 반투명한 부직포(12)와, 점착제(11)에 의해 부직포(12)에 점착되며 코 외측면에 부착시 평면상태인 초기상태로 복원될려고 하는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비도의 외벽조직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호흡을 용이하게 하는 탄성부재(13)와, 사용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부직포(12)외측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며 탄성부재(13) 및 부직포(12)내측면을 보호하는 박리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코 확장기는, 사용시 용이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코 외측면에 부착되어 비도의 외벽조직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부재(13)가 단일체로 형성되어 이의 탄성력에 상응하는 복원력이 작게 되므로 코 확장기의 효용이 떨어진다.
이로 인해, 자체의 복원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탄성부재(13)의 두께 및 면적을 증대시키는 경우, 코 확장기의 전체적인 면적 및 두께가 확대되어 코에 부착시 사용자의 거부감이 발생되므로 사용자로 부터 제품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 외측면에 부착되어 호흡중 비도의 외벽조직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코 확장기를 구성하는 가요성부재가 작은 면적 및 두께를 가지면서 자체의 복원력을 배가시킴에 따라 코 확장기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코 확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 확장기에 특정한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아로마향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기분을 전환시켜주며,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코 확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코 외측면에 부착되는 코 확장기의 접촉면적을 감축시켜 부착시 사용자가 느끼는 거부감을 최소화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코 확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코 확장기를 구성하는 해당 부품수를 줄여 이의 제작비용을 크게 낮추어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코 확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코 확장기의 표면에 각종 캐릭터를 포함한 문양을 칼라색상으로 인쇄하는 코팅층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광고 또는 홍보할 수 있도록 한 코 확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코 확장기의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 확장기의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 확장기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코 확장기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코 확장기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코 확장기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코 확장기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 확장기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 확장기의 횡단면도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20,37; 부직포
21,25; 점착제
22,33; 탄성부재(PET FILM)
23,34; 가압부
24,39; 박리지
26,36; 아로마향층
27; 위치표시부
32; 코팅층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통기성이 양호하도록 섬유재질로 형성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내측면에 점착되어 코 외측면에 부착시 평면상태인 초기상태로 복원될려고 하는 탄성부재의 양측이 꺽이는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가압부와, 코 외측면에 부착시 상하위치를 식별하여 코 확장기의 접촉면적을 코 외부형상에 따라 최적화하여 사용자의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위치표시부와, 상기 부직포 및 탄성부재를 보호하도록 부착되는 박리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측면에 칼라층이 형성되며, 코 외측면에 부착시 평면상태인 초기상태로 복원될려고 하는 탄성부재의 양측이 꺽이는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가압부와, 상기 탄성부재 이면에 제 1 점착제에 의해 점착되는 부직포와, 상기 탄성부재와 부직포사이에 형성되며 공기를 매개체로 하여 비강내에 아로마향이 유입되어 사용자의 기분을 전환시켜주며, 특정한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성 아로마향층과, 코 외측면에 부착시 상하위치를 식별하여 코 확장기의 접촉면적을 코 외부형상에 따라 최적화하여 사용자의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위치표시부와, 상기 부직포 이면에 제 2 점착제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점착되며, 상기 부직포를 보호하는 박리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확장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부직포에 형성되며, 공기를 매개체로 하여 비강내에 아로마향이 유입되어 사용자의 기분을 전환시켜주며, 특정한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성 아로마향층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코 피부와 점착제의 상호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점착제와의 접촉으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를 포함하는 상기 부직포 및 탄성부재의 중간측은 점착제가 형성되지 않은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되, 이는 본원 기술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동업종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원의 기술적인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 외측면에 부착되어 호흡중 비도의 외벽조직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호흡을 용이하게 하는 코 확장기에 적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통기성이 양호하도록 섬유재로 형성되는 부직포(20)의 내측면에 점착제(21)가 도포되며, 점착제(21)에 의해 부직포(20)의 내측면에 PET 필름의 탄성부재(22)를 점착하되, 탄성부재(22)에 코 외측면에 부착시 평면상태인 초기상태로 복원될려고 하는 탄성부재(22)의 꺽이는 반대방향으로의 복원력을 배가(50% 이상이 증대됨)시키도록 가압부(23)가 형성되며, 부직포(20) 및 탄성부재(22)에 이들을 보호하는 박리지(24)가 사용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점착제(25)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전술한 부직포(20)에 공기를 매개체로 하여 비강내에 아로마향이 유입되어 사용자의 기분을 전환시켜주며, 특정한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로 부터 추출한 방향성 아로마향층(26)이 코팅된다.
이때, 전술한 가압부(23)는 소정형상(바람직하기로는, "V"자 또는 "U" 형상)으로 프레스 절곡처리되며, 가압부(23)의 가압되는 크기(L)는 탄성부재(22) 전체길이의 1/3정도가 바람직하며, 가압부(23)의 가압 방향은 탄성부재(22)의 꺽이는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또는 탄성부재(22)의 꺽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부직포(20)에 코팅처리되는 아로마향을 이용하는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HY;향기요법)는 아로마(AROMA;향)와 테라피(THERAPHY;치료)의 합성어로써 나무, 풀, 꽃, 뿌리 등의 식물로 부터 추출한 방향성 오일(essential oil;정유)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호흡시 공기를 매개체로 하여 비강내로 흡입되는 아로마향이 후점막에 도달하면 뇌하수체에 영향을 주어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여 생체의 밸런스를 맞추어 주므로 향의 기능이 작용되는 것이다.
즉, 전술한 아로마향은 사용자의 집중력을 높여주어 두뇌의 명석화를 도와주는 기능을 갖는 베이질(basll), 머리를 명쾌하게 하며 리프레쉬하는 기능의 레몬(lemon), 강력하고 압도하는 기분을 부여하며 기분을 전환시켜주는 페퍼민트(peppermint), 행복감을 부여하며 중추 신경계의 밸런스를 맞추어주는 그레이프푸르트(grapefruit), 기분을 리프레쉬시키며 마음을 맑게하는 기능을 갖는 만다린(mandarin), 코막힘을 해소하며 기도에 효과를 부여하는 기능의 유카리둡스(eucalypyus), 정신적 과로, 무기력 증세, 피로한 신체에 활기를 불어넣는 기능의 로즈마리(rosemary), 기관지 확장에 도움을 주며 가볍고 깨끗한 향기를 갖는 라벤더(lavend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코 피부와 점착제(25)의 상호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점착제(25)와의 접촉으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압부(23)를 포함하는 부직포(20) 및 탄성부재(22)의 중간측은 점착제(25)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27는 사용자가 코 확장기를 코 외측면에 부착시 상하위치를 식별하여 코 외측면에 부착되는 코 확장기의 접촉면적을 최적화하여 사용자의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위치표시부 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코 확장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은 코 확장기를 축구, 테니스 등과 같은 격렬한 운동을 하는 경우 또는 호흡이 곤란한 비염환자 등이 코 외측면에 부착함에 따라 호흡중 코의 비도의 외벽조직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용이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사용자에 의해 코 확장기의 바닥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박리지(24)를 탈리시킨 다음, 부직포(20)의 중앙 상하부에 형성된 위치표시부(27)중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코의 상측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코 중앙에 부착한다.
이때, 코 확장기를 상협하광 형상의 코 외측면에 부착시 전술한 위치표시부(27)에 의해 코 외측면에 부착되는 부위를 코 형상에 따라 최적화시킴에 따라, 사용자로 부터의 거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부직포(20)의 내측면에 점착제(21)에 의해 점착되어 평면상태인 초기상태로 복원될려고 하는 탄성부재(22)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절곡형성된 가압부(23)에 의해 탄성부재(22)의 좌우 양측이 꺽이는 반대방향으로의 복원력이 배가됨에 따라, 비도의 외벽조직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비도의 축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부직포(20)내에 점착되는 탄성부재(22)의 면적 및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반면에, 호흡중 코의 비도의 축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격렬한 운동을 하는 도중 또는 호흡하기가 곤란한 비염환자 등이 코 확장기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면중 코를 고는 사람의 코 외측면에 코 확장기를 부착하는 경우 코 고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부직포(20)의 내측면에 코팅형성된 아로마향층(26)에 포함되는 아로마향이 전술한 탄성부재(22)에 의해 확장된 비강 내부로 흡입되어 뇌하수체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특정한 아로마향에 따른 집중력을 높여주고, 머리를 상쾌한 상태로 기분을 전환시켜주며, 코가 시원해지게 되므로 각종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어 사용자의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 확장기의 도면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 확장기 고유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외관에 각종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외측면에 다양한 색상의 칼라가 인쇄되는 코팅층(32)과, 코 외측면에 부착시 평면상태인 초기상태로 복원될려고 하는 탄성부재(PET FILM)(33)의 양측이 꺽이는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가압부(34)와, 탄성부재(33)의 이면에 점착되는 제 1 점착제(35)와, 제 1 점착제(35)에 의해 혼합되며 공기를 매개체로 하여 비강내에 아로마향이 유입되어 사용자의 기분을 전환시켜주며, 특정한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성 아로마향층(36)과, 제 1 점착제(35)에 의해 아로마향층(36)의 이면에 부착되어 아로마향층(36)으로 부터 아로마향이 은은하게 발산되도록 통풍이 가능하게 섬유재질로 형성되는 부직포(37)와, 부직포(37)의 이면에 점착되는 제 2 점착제(38)와, 제 2 점착제(38)에 착탈가능하게 점착되어 부직포(37)를 보호하는 박리지(39)를 포함한다.
이때, 전술한 가압부(34)는 코팅층(32), 탄성밴드(33), 부직포(37)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제 1 점착제(35)는 부직포(37)과의 점착성이 우수하고, 아로마향과의 혼합이 용이하며, 탄성부재(33)과의 점착이 용이하도록 일반용 점착제를 사용하고, 제 2 점착제(38)는 코 외측면에 접촉되므로 의료용 점착제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탄성부재(33)를 부직포(37)의 외측으로 배치시켜 코 확장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아로마향층(36)을 탄성부재(33)의 외측면과 부직포(37)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시켜 아로마향이 부직포(37)를 통하여 은은하게 발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코팅층(32)에 다양한 칼라 색상을 인쇄하여 어린이 등의 호기심 및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코팅층에 각종 캐릭터를 포함한 문양 등을 형성하여 홍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 확장기의 사용방법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코 외측면에 부착되어 호흡중 비도의 외벽조직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코 확장기를 구성하는 가요성부재가 작은 면적 및 두께를 가지면서 자체의 복원력을 배가시킴에 따라 코 확장기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코 확장기에 특정한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아로마향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기분을 전환시켜주며,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코 외측면에 부착되는 코 확장기의 접촉면적을 감축시켜 부착시 사용자가 느끼는 거부감을 최소화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코 확장기를 구성하는 해당 부품수를 줄여 이의 제작비용을 크게 낮추어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코 확장기의 표면에 각종 캐릭터를 포함한 문양을 칼라색상으로 인쇄하는 코팅층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광고 또는 홍보할 수 있다.

Claims (4)

  1. 통기성이 양호하도록 섬유재질로 형성되는 부직포;
    상기 부직포의 내측면에 점착되어 코 외측면에 부착시 평면상태인 초기상태로 복원될려고 하는 탄성부재의 양측이 꺽이는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가압부;
    코 외측면에 부착시 상하위치를 식별하여 코 확장기의 접촉면적을 코 외부형상에 따라 최적화하여 사용자의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위치표시부; 및
    상기 부직포 및 탄성부재를 보호하도록 부착되는 박리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확장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에 형성되며, 공기를 매개체로 하여 비강내에 아로마향이 유입되어 사용자의 기분을 전환시켜주며, 특정한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성 아로마향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확장기.
  3. 외측면에 문양을 인쇄할 수 있는 칼라층이 형성되며, 코 외측면에 부착시 평면상태인 초기상태로 복원될려고 하는 탄성부재의 양측이 꺽이는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가압부;
    상기 탄성부재 이면에 제 1 점착제에 의해 점착되는 부직포;
    상기 탄성부재와 부직포사이에 형성되며 공기를 매개체로 하여 비강내에 아로마향이 유입되어 사용자의 기분을 전환시켜주며, 특정한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성 아로마향층;
    코 외측면에 부착시 상하위치를 식별하여 코 확장기의 접촉면적을 코 외부형상에 따라 최적화하여 사용자의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위치표시부; 및
    상기 부직포 이면에 제 2 점착제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점착되며, 상기 부직포를 보호하는 박리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확장기.
  4. 제 1 항 및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코 피부와 점착제의 상호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점착제와의 접촉으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를 포함하는 상기 부직포 및 탄성부재의 중간측은 점착제가 형성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확장기.
KR1019990021024A 1999-06-07 1999-06-07 코 확장기 KR100341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024A KR100341111B1 (ko) 1999-06-07 1999-06-07 코 확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024A KR100341111B1 (ko) 1999-06-07 1999-06-07 코 확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154A true KR19990073154A (ko) 1999-10-05
KR100341111B1 KR100341111B1 (ko) 2002-06-20

Family

ID=3748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024A KR100341111B1 (ko) 1999-06-07 1999-06-07 코 확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4442A (ko) 2022-08-17 2024-02-26 (주)스폴 비강 확장 테이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3224A (en) * 1991-06-10 1997-08-05 Creative Integration & Design, Inc. Nasal dilator with areas of adhesive engagement of varying strength
IL101989A (en) * 1991-06-10 1996-10-31 Creative Integration & Design Epic expander
US5611334A (en) * 1995-07-07 1997-03-18 Muchin Jerome D Nose dilator device
US5706800A (en) * 1997-01-29 1998-01-13 Cronk; Peter J. Medicated nasal di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1111B1 (ko) 200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30066A1 (en) Perfume impregnated mask with an image thereon
US20130118488A1 (en) Nasal Therapeutic System
CN107454856A (zh) 提供健康管理服务的智能口罩
JP2005087766A (ja) 異なる強さの接着係合の領域を有する鼻拡張器
WO2011044188A2 (en) Personal respiratory filtration apparatus
JP2008188421A (ja) 鼻腔拡張器の製造方法
US20040194784A1 (en) Respiratory particulate filter
US7311105B2 (en) Mask having a scenting means, and method for blocking out unpleasant odors
JP2002153569A (ja) 鼻 栓
CA2539737A1 (en) Nasal stimulator
US20190021993A1 (en) Breathing Strip Aid for Mask
CN111068152A (zh) 鼻小柱鼻夹/用于芳香物质的扩张器
US7077140B1 (en) Face mask and method
JP5143970B1 (ja) マスク
KR20200097922A (ko) 마스크용 필터
KR100341111B1 (ko) 코 확장기
ES2368629B1 (es) Dispositivo y método de restricción y filtrado de flujo ventilatorio nasal para impedir la entrada de sustancias alergénicas y para el fortalecimiento de la musculatura inspiratoria.
WO1999022678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dhesive devices such as strips, tapes, patches and the like, for application to the human body
KR100464769B1 (ko) 건강 보조 마스크
WO201503439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галяции летучими лекарственными веществами
JP2010531182A (ja) ストーマ用プロテクタ
KR200304089Y1 (ko) 확장흡착형 코마스크의 구조
KR200279435Y1 (ko) 건강 보조 마스크
KR20210000053A (ko) 부착형 미세먼지 방진 마스크
KR200494499Y1 (ko) 마스크용 아로마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