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4442A - 비강 확장 테이프 - Google Patents

비강 확장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4442A
KR20240024442A KR1020220102402A KR20220102402A KR20240024442A KR 20240024442 A KR20240024442 A KR 20240024442A KR 1020220102402 A KR1020220102402 A KR 1020220102402A KR 20220102402 A KR20220102402 A KR 20220102402A KR 20240024442 A KR20240024442 A KR 20240024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sal
skin
muscle
levator
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욱
김인철
Original Assignee
(주)스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폴 filed Critical (주)스폴
Priority to KR1020220102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4442A/ko
Publication of KR20240024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4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강 확장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코 등의 절반에 해당되는 폭으로 형성되고, 얼굴에 형성된 근육으로 콧 등에 형성된 비근의 피부로부터 상순비익거근과 상순거근, 소관골근, 대관골근 및 교근에 이르는 피부의 횡방향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횡방향의 탄성력을 가진 직물지로 좌우 대칭형성되는 밴드부(100)와; 상기 밴드부의 하부면에 코를 중심으로 안면에 좌우 대칭되게 횡방향으로 피부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점착제층(200)과; 상기 점착제의 표층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점착제를 보호하는 이형지층(3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확장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강 확장 테이프{Nasal cavity dilatation tape}
본 발명은 비강 확장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비중격 연골 과 비익 연골 부위의 비근의 피부에서 안면의 광대뼈 부위의 상순거근과 개관골근의 피부에 접착하여 코 내부 비강의 비도가 확장되어 호흡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비강 확장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 중에는 비도 내부 장애 때문에 호흡이 곤란해지는 일을 겪는 경우가 흔히 있다. 이러한 장애의 예로는 통상 코 상해에 의해 생긴 중격 이탈, 알레르기 반응에 의한 내부 코 조직의 종창 및 통상 감기에 걸린 환자에게 나타나는 코의 증상을 들 수 있다.
비공의 하부, 즉 비공 입구의 바로 안쪽 부분은 비전정이라고 알려져 있다. 비전정은 비관(nasal valve)이라 불리는 좁은 병목형 구역까지 안쪽 방향으로 좁아진다. 비도는 비관의 후부에서 다시 넓어진다. 비도 장애는 통상 비관이 실질적으로 막히는 지점의 비관에서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상기 장애가 있으면, 흡기(inhalation) 중에 외벽 조직이 끌어 당겨짐에 따라 비관의 측벽(즉, 비도 부근의 부분적인 외벽 조직)이 늘어져서 비도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거의 또는 완전히 막는다.
코막힘 현상은 그것을 겪는 사람에게는 매우 짜증나며 귀찮은 일임에 틀림없다. 특히, 장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구강 호흡을 하게 되면 코로 호흡하는 경우 라면 여과되었을 이물질이 유입됨으로 인해 폐 자극이 유발될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잠잘 때, 구강으로 호흡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코(비도)막힘 증세를 가진 사람은 밤에 더욱 불편함을 겪는다. 코막힘에 의해 수면 방해, 수면 불규칙 또는 코골기 또는 이들 모두가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증세가 있는 사람은 충분한 양의 산소를 쉽게 흡입하지 못하기 때문에 잠에서 자주 깨게 된다. 비도 장애의 원인이 이탈된 중격(septum) 또는 비정상적으로 작은 관 구멍과 같은 구조적 문제에 기인한 경우 및 비도 장애가 호흡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 일반적인 해결법은 수술에 의해 비도 기형을 교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외과 수술은 비용이 많이 들고, 궁극적으로 상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수도 있다.
알레르기 또는 통상의 감기가 원인인 장애를 해결하기 위하여 흔히 사용되는 다른 방법은 약물을 분무하여 비도를 따라 조직의 종창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치료법은 종종 상기 문제점을 완화시키기에는 너무 미비하고, 장기간 사용할 때 조직에 손상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전술한 방법들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단점들 때문에, 비강 확장기(nasal dilator)라는 이름의 기계 보조물을 사용하여 비도를 개방시키는 방법이 시도되어 왔다. 이러한 비강 확장기에는 비도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비도의 측면을 효과적으로 밀어내는 내부형 기구와 비도의 측면 중 일부를 효과적으로 잡아당기는 외부형 기구 두가지가 사용되어 왔다. 내부형 기구는 비도에 삽입해야 하므로 비도를 자극하여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의 비도는 제각각 그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특정 사용자 개개인에 맞게 비강확장기를 특별 디자인해야만 한다. 외부형 비강 확장기는 사용자의 코에 견고하게 부착되되 외벽 조직을 잡아당기는 힘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거나, 또는 사용자의 코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되 단일체 구조에 의해 한정된 벽 조직을 잡아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비조절형 단일체 품목이다. 전자는 제거하기 어렵고, 보통사용중에 비스듬히 노킹되고 탈착되도록 하는 기계 장치없이 벽 조직을 충분히 확장시키는 적당한 힘을 제공하도록 조절하는 것이 곤란하다.
한편, 근자에 개시되고 있는 비강 확장기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1111호, 등록일자 2002년06월04일, 코 확장기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코 확장기는 통기성 접착밴드 형식의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진 섬유재질의 부직포를 구성하고, 부직포 밑면에 콧등에 접하여 꺽이는 경우 다시 수평한 상태로 복원되려는 탄성부재로 중앙에 탄성복원력을 가중하도록 가압부가 선형의 길이방향으로 돌기 또는 함몰된 상태로 구성되며, 탄성부재 밑면에 코의 표피에 부착되는 접착제와 이를 보호하는 박리지가 구성되어 있는 코 확장기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코 확장기는 콧등으로부터 콧볼측의 횡방향으로 부착하되,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콧등부위가 안면 전방측으로 들어올려지도록 구성되어 비강 내부의 비도가 확장되도록 구성되어 호흡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코 확장기는 탄성부재가 탄성력을 가진 단단한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코의 피부에 부착시 이물감이 높아 사용자 거부감이 높다는 문제점과 더불어 대부분 호흡의 문제는 사용자가 잠을 자는 과정에서 발생됨에 따라 코의 피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콧볼 측의 피부를 들어올린 상태로 코 좌우로 탄성부재가 돌출된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잠을 자는 과정에서 고개를 돌리거나 안면이 베게나 이불 등에 접촉되었을 때 탄성부재가 코로부터 이탈되거나 위치가 틀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즉, 사용자가 잠을 자기 위한 초기에는 의식적으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유지하고, 베게나 이불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신경을 쓰면서 잠을 청하지만 잠이 든 상태에 접어들어서는 이를 의식하지 못하고, 잠을 자는 과정에서 뒤척이거나 하는 이유로 콧에 부착된 탄성부재가 콧등을 들어올리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지 못하거나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실질적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콧볼측의 피부를 들어올리기 위해 안면의 전방측 내지는 콧볼과 탄성부재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되기 때문에 접착력의 한계가 있어 탄성부재의 끝단측의 접착력이 저하되기 시작하면 콧볼 측 전체의 접착력에 문제가 발생되어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탄성부재의 접착면적이 줄어들게 되면서 접착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한 박리현상이 발생되어 실질적으로 효과를 볼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접착력 저하는 탄성부재의 좌우측 선단부분이 피부 굴곡을 따라 접착되지 않음에 따라 접착되지 않는 빈 공간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기 쉽고 이로 인한 접착면적 축소와 접착력저하를 통해 쉽게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탄성부재 중앙으로는 돌출되거나 함몰된 형태의 가압부를 통해 탄성력을 더욱 가중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콧등부분에 부착되는 부분이 돌출되거나 함몰된 가압부로 인해 들뜨는 문제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역방향의 들뜸으로 인한 즉, 콧등 부분의 가압부측이 들뜬상태로 콧볼 측의 탄성부재 선단부가 탄성력이 인가되는 기준점이 되어 오히려 콧등측 피부를 들어올리는 역방향 작용이 발생되어 비강 확장이 사실상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코 확장기는 미국 우선권주장특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4-0701284호, 공개일자 1994년05월28일.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5082호, 등록일자 2002년 07월 0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3942호, 등록일자 2005년 05월 2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56442호, 등록일자 2002년 09월30일 자의 트러스트 구조의 복원력에 의해 비강을 확장하고자 하는 코 확장기를 기준으로 그 기능과 구성이 동일한 가운데 콧등부위의 가압부와 아로마향층을 더 구성한 것에서 특징을 가지고 등록되었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압부의 경우 돌출 또는 함몰된 선형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좌우측 양방향의 탄성력이 가중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사용시, 가압부측의 탄성력 가중으로 인해 탄성부재가 절반형태로 꺽였을 때 가압부측에 들뜸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된다.
즉, 가압부에 의한 탄성력 가중은 오히려 비강확장에 방해요소로 작용되는 문제가 있고, 설사 가압부의 들뜸이 없이 탄성부재의 좌우측 선단부측에 탄성력을 가중한다고 하더라도 탄성부재 선단부로 연장되어 오로지 탄성력만이 발휘되도록 구성된 것이 없고, 탄성력의 가중은 곧 접착력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로 이어지기 때문에 사용하는 가운데 외부 요인으로 인한 박리현상을 더욱 촉진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아로마향층을 구성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구성으로 특징이라 보기 어렵고, 다양한 문양이나 광고 문구를 기재하는 것 역시 통상의 공지의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특징이라 보기 어렵다.
이와 같은 코 확장기는 앞서 소개한 개시되고 있는 기술을 참고할 때 아직까지 개선된 특허가 존재하지 않고 상술한 문제점을 그대로 가진상태에서 사용자의 불편함이 있음에도 개선된 특허가 없다는 문제와 더불어 최근 환경변화로 인한 비염환자나 의식주에 의해 비대해진 체격으로 인한 비만 인구 증가로 인해 발생되는 다양한 코 질환에 대응할 수 있는 부분이 미비하다는 현실에 비추어 상기 상술한 문제점으로 인해 개선되야 할 콧등 부위의 피부 굴곡에 대응되어 접착력을 유지하면서 콧등 부위의 피부를 안면의 전방측이나 콧등과 수직되는 측면측으로 피부를 들어올려 실질적 비강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외부 요인으로 인한 박리현상 없이 사용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비강 확장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나아가, 코 확장기는 주로 사용자가 취침하는 가운데 착용하여 효과를 보기 위한 장치로 취침상에서 사용자의 뒤척임이나 움직임으로 인해 박리현상 없이 보다 편안하고, 이질감 없는 코 확장기가 요구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1111호, 등록일자 2002년06월04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비근이 위치된 콧등으로부터 상순비익거근과 상순거근, 소관골근, 대관골근 및 교근에 이르는 피부의 횡방향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접착하여 횡방향의 탄성력이 교근측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호흡 과정에서 비강 내부 압력이 저하되면서 콧 볼측의 조직이 비강 내측으로 축소되어 비강이 협소해짐에 따라 발생되는 호흡곤란을 방지하도록 상순비익거근에서 소관골근에 해당되는 피부조직을 안면 전방부로 들어올림에 따라 비강이 확장되어 비강이 들숨의 호흡과정에서 협소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호흡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강 확장 테이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횡방향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비강의 확장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호흡을 유도하여 바른 호흡을 통한 건강유지 및 증진이 가능하고, 간편 구조로 제작비용이 현저히 절감되면서 특별한 전문지식 없이도 사용이 용이하면서도 취침중 사용편의성이 극대화된 비강확장 테이프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강 확장 테이프는 코 등의 절반에 해당되는 폭으로 형성되고, 얼굴에 형성된 근육으로 콧 등에 형성된 비근의 피부로부터 상순비익거근과 상순거근, 소관골근, 대관골근 및 교근에 이르는 피부의 횡방향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횡방향의 탄성력을 가진 직물지로 좌우 대칭형성되는 밴드부(100)와; 상기 밴드부의 하부면에 코를 중심으로 안면에 좌우 대칭되게 횡방향으로 피부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점착제층(200)과; 상기 점착제의 표층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점착제를 보호하는 이형지층(3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밴드부(100)는 얼굴 근육의 비근 부위 피부에 점착 고정되도록 밴드부의 중심부가 접착고정되고, 밴드부의 중앙 하부에서 상측으로 폭이 좁아지면서 요입되게 사다리꼴로 절개되는 탄성조정절개부(112)가 형성되어 밴드부의 중심부의 상하폭이 좁아진 상태로 비근이 위치되는 콧등 피부에 접착고정되는 비근고정부(110)와; 상기 비근고정부(110) 좌우측으로 대칭형성되고, 상순비익거근이 위치된 코의 좌우측면 피부에 접착되는 과정에서 비근고정부의 폭으로부터 밴드부의 좌우측으로 진행되면서 원래폭으로 확장되어 들뜸없이 좌우측 횡방향 탄성력이 인가되면서 접착고정되도록 마련된 비강확장부(120)와; 상기 비강확장부(120)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순비익거근-상순거근-소관골근-대관골근-교근의 피부에 접착되어 횡방향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마련되고, 소관골근-대관골근의 피부가 교근측이 있는 좌우로 당겨지도록 발생되는 횡방향 탄성력에 의해 상기 비강확장부(120)가 비근이 형성된 콧등 피부의 좌우측과 상순비익거근-상순거근-소관골근이 위치되는 안면 피부를 접착제층(200)에 의해 접착된 상태로 안면 전방측으로 들어올려 피하층 아래의 안면근육을 안면 전방측으로 들어올리면서 좌우로 당겨지도록 형성함에 따라 콧속 내부의 비강이 좌우로 각각 확장되도록 좌우대칭되게 마련된 스트레인부(1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밴드부(100)의 중앙 상부에서 하측으로 폭이 좁아지면서 요입되게 역사다리꼴로 절개형성되어 중심으로부터 상측 폭이 좁아지도록 보조 탄성조정절개부(114)가 상기 탄성조정절개부(112) 상측으로 더 형성되어 비근고정부(110)의 폭이 더 좁아지면서 밴드부(100)의 상측의 횡방향 탄성력이 조정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탄성조정절개부(112)와 보조탄성조정절개부(114)의 사다리꼴과 역사다리꼴의 형상에 따른 비근고정부(110)의 좌우측에 경사진 면의 각도(θ)에 따라 비근에서 상순거근에 이르는 접착면적의 좁아지는 폭이 달라지면서 스트레인부(130) 측으로의 횡방향 탄성력의 강도가 조정되되, 경사진 면의 각도(θ)는 45°~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스트레인부(130)의 대관골근에서 교근 부위의 피부에 접착되는 밴드부 좌우 끝단에서 내측의 횡방향으로 방사절개부(132)가 절개되어 열(列)로 나열 형성되고, 상기 방사 절개부(132)가 등간격 내지는 랜덤 간격의 각도를 갇는 부채꼴 형상으로 벌어지며 교근의 상중하 부위 피부에 넓게 접착되어 횡방향 탄성력이 비강확장부(120)에서 스트레인부(130)측으로 작용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방사 절개부(132)는 동일한 모양의 절개선이 비연속적으로 반복되게 형성되어 일정한 폭을 갖도록 절취띠로 형성되고, 사용자에 따라 절취띠를 따라 뜯어 사용하거나 뜯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여 횡방향 탄성력이 교근측으로 작용되는 것을 조정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근이 위치된 콧등으로부터 상순비익거근과 상순거근, 소관골근, 대관골근 및 교근에 이르는 피부의 횡방향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접착하여 횡방향의 탄성력이 교근측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호흡 과정에서 비강 내부 압력이 저하되면서 콧 볼측의 조직이 비강 내측으로 축소되어 비강이 협소해짐에 따라 발생되는 호흡곤란을 방지하도록 상순비익거근에서 소관골근에 해당되는 피부조직을 안면 전방부로 들어올림에 따라 비강이 확장되어 비강이 들숨의 호흡과정에서 협소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호흡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횡방향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비강의 확장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호흡을 유도하여 바른 호흡을 통한 건강유지 및 증진이 가능하고, 간편 구조로 제작비용이 현저히 절감되면서 특별한 전문지식 없이도 사용이 용이하며, 취침상에서 편의성이 극대화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의 정면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 전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의 안면 부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의 안면 부착 상태의 안면 아래측에서 바라본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의 또 다른 실시예의 안면 부착 상태의 정면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수의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강 확장 테이프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의 정면 전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 전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 전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 전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의 안면 부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의 안면 부착 상태의 안면 아래측에서 바라본 사용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의 또 다른 실시예의 안면 부착 상태의 정면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는 호흡과정(주로 들숨)에서 비강이 협소해짐에 따라 발생되는 호흡곤란이나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비염이나 코 내벽이 부풀어 올라 비강이 협소해지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호흡곤란이나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만으로 인해 비강 내부벽이 비대해져 좁아진 비도를 확장하여 호흡이 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코로 숨쉬기 어려워 발생되는 구강 호흡의 문제점인 입마름, 이물질의 흡입 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100), 점착제층(200), 이형지층(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밴드부(100)는 일반적인 상처에 세균침입을 막고, 상처난 부분이 빠르게 봉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밴드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되되, 사용자의 안면 중앙에 형성된 코를 중심으로 좌우 횡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 등의 절반에 해당되는 폭으로 형성되고, 얼굴에 형성된 근육으로 콧 등에 형성된 비근의 피부로부터 상순비익거근과 상순거근, 소관골근, 대관골근 및 교근에 이르는 피부의 횡방향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횡방향의 탄성력을 가진 직물지로 좌우대칭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횡방향의 탄성력은 코등방향에서 귀쪽으로 인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는 밴드부의 콧등에 부착되는 부위가 귀쪽에 부착되는 부위보다 접착면적을 작게 형성하거나 점진적으로 면적이 줄어들도록 구성함으로써, 귀쪽으로 횡방향의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즉, 횡방향의 탄성력을 가진 직물지는 통상 동일면적을 가지고 있을 때, 접착부위의 중앙부분으로 수축되려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특정 방향으로 횡방향의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접착면적을 조정함으로써, 탄성력이 방향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게된다.
이에 앞서, 상기 밴드부(100)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콧등으로부터 좌우 귀 쪽으로 이어지는 안면 근육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콧등의 비근은 가로횡방향의 근섬유로 이루어져 밴드부(100) 중앙에 고정되는 기준점이 된다. 이어서, 비근의 좌우로 미간에서 콧볼 측까지 세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근섬유로 구성된 상순비익거근이 위치되며, 상순비익거근의 귓쪽 일측과 안구주변근육의 아래측으로 세로방향의 근섬유인 상순거근이 자리잡고 있다.
즉,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근의 좌우로 구성된 상순비익거근과 상순거근 부위의 피부를 안면 전방측으로 들어올려줌에 따라 비강 내부가 확장되게 되고, 이를 통해 비도가 확장되어 호흡이 편안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더욱 길게 연장하여 보면 상순거근의 귀쪽방향 일측으로 구성된 소관골근 부위의 피부를 귀쪽으로 당겨줌에 따라 비강의 확장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데 소관골근의 경우 안구주변 근육의 귀쪽 끝단으로부터 상순거근과 상순비익거근의 말단부위까지 사선으로 연장된 근섬유조직을 가지고 있어 이를 귀쪽으로 당겨줌으로써, 상순거근과 상순비익거근을 보다 용이하게 안면 전방측 내지는 코등의 측면측으로 들어올려 비강의 확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부(100)의 횡방향의 탄성력이 귀쪽으로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소관골근의 귀쪽 일측으로 나란히 배치된 대관골근과 대관골근 상단측에서 아래턱 후단측으로 근섬유조직이 구성된 교근조직의 피부에 접착면적을 크게 확장함으로써, 횡방향 탄성력이 귀쪽으로 작용되어 보다 용이하게 상순비익거근과 상순거근측의 피부를 쉽게 들어올려줌과 함께 횡방향 탄성력이 작용되어 비강의 확장이 용이하게 가능하고, 이에 따라 특히 들숨과정에서 비강 내벽이 흡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비강 중심 내벽측으로 부착되어 비강이 좁아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호흡이 원할하고 편안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약물에 의해 비강을 확대하는 것이 아닌 물리적인 작용으로 비강을 확장함에 따라 약물에 의한 내성을 줄일수 있어 비염환자나 코골이환자, 비만으로 인한 비강내부의 살이 비대해지는 사용자에게 보다 원할한 호흡을 유도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호흡 개선의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비근이 형성된 콧등 부위의 접착부위를 최소화하고, 교근 부위의 접착면적을 크게 형성하여 횡방향 탄성력이 귀쪽으로 작용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부(100)는 비근고정부(110), 비강확장부(120), 스트레인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비근고정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밴드부의 횡방향 탄성력이 콧등을 중심으로 좌우 귀쪽의 횡방향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기준점 고정이 되면서 접착면적은 최소화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얼굴 근육의 비근 부위 피부에 점착 고정되도록 밴드부의 중심부가 접착고정되고, 밴드부의 중앙 하부에서 상측으로 폭이 좁아지면서 요입되게 사다리꼴로 절개되는 탄성조정절개부(112)가 형성되어 밴드부의 중심부의 상하폭이 좁아진 상태로 비근이 위치되는 콧등 피부에 접착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조정절개부(112)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면적은 줄여 횡방향 탄성력이 귀쪽으로 인가되도록 하기 위함과 더불어 콧등의 이물감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형상이 사다리꼴로 절개형성함에 따라 좌우측 변이 상향 중심측으로 경사짐으로써, 콧등 접착부위는 고정되어 기준점 역할을 하면서 접착면적이 줄어들고, 사다리꼴 형상으로 절개된 탄성조정절개부(112)의 콧볼측 하부측으로 접착면적이 커지면서 상순비익거근과 상순거근측의 접착면적이 확대되도록 구성되도록 한다. 이는 후술되는 스트레인부에 의해 횡방향 탄성력이 작용되어 귀쪽으로 밴드부(100) 전체가 당겨짐에 따라 비근고정부와 이어지는 비강확장부가 안면 전방 내지는 콧등의 좌우측으로 접착된 피부조직이 들어올려져 비강이 확장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비강확장부(120)는 비강이 확장되도록 비근 좌우측으로 대칭형성되는 상순비익거근과 상순거근측의 피부에 접착된 상태에서 귀쪽으로 작용되는 횡방향 탄성력에 의해 피부조직이 들어올려지면서 동시에 좌우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를 통해 상순비익거근과 상순거근의 근조직도 들어올려지는 피부와 함께 들어올려지면서 좌우측으로 당겨져 비강이 실질적으로 확장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비근고정부(110) 좌우측으로 대칭형성되고, 상순비익거근이 위치된 코의 좌우측면 피부에 접착되는 과정에서 비근고정부의 폭으로부터 밴드부의 좌우측으로 진행되면서 원래폭으로 확장되어 들뜸없이 좌우측 횡방향 탄성력이 인가되면서 접착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비강확장부(120)는 콧등의 높이와 콧등 좌우측의 광대뼈측의 높이차이에 의해 후술되는 스트레인부(130)의 접착면적 확대로 인해 좌우 횡방향 탄성력의 작용에 따라 높이 차이만큼 들뜨려는 작용에 의해 피부와 피부 및 근조직 구성이 들어올려져 비강이 확장되게 된다.
상기 스트레인부(130)는 콧등에서 좌우 귀쪽으로 밴드부(100)가 횡방향 탄성력이 인가되어 전술한 비강확장부가 안면 전방측이나 콧볼 측면측으로 당겨져 비강이 확장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비강확장부(120)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순비익거근-상순거근-소관골근-대관골근-교근의 피부에 접착되어 횡방향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마련되고, 상순거근-소관골근-대관골근의 피부가 좌우로 당겨지도록 발생되는 횡방향 탄성력에 의해 상기 비강확장부(120)가 비근이 형성된 콧등 피부의 좌우측과 상순비익거근-상순거근-소관골근이 위치되는 안면 피부를 후술되는 접착제층(200)에 의해 접착된 상태로 안면 전방측으로 들어올려 피하층 아래의 안면근육을 안면 전방측으로 들어올리면서 좌우로 당겨지도록 형성함에 따라 콧속 내부의 비강이 좌우로 각각 확장되도록 좌우대칭되게 마련된다.
한편, 상기 점착제층(200)은 피부와 횡방향 탄성력을 가진 밴드부(100)가 결합되어 앞서 상술한 밴드부(100)의 비강확장부(120)에 의해 상순비익거근-상순거근-소관골근의 피부층을 코와 광대표의 높이 차이의 레벨수준에 해당되는 위치로 들어올려줌으로써, 상기 피부층의 피하층 아래의 근조직도 함께 들어올리는 역할과 더불어 비강이 확장되도록 하며, 이를 유지하기 위한 소관골근-대관골근 측에 피부에 접착된 점착층은 밴드부의 횡방향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교근 측 피부의 밴드부 아래의 점착제층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점착제층(200)은 밴드부를 구성하는 비근고정부(110), 비강확장부(120), 스트레인부(130) 아래에 밴드부 형상에 따라 대응되어 전체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점착제층(200)은 비근고정부(110) 아래로는 사실상 형성되지 않아도 비강확장에는 크게 무리가 없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200)의 접착성은 각 부위에 따라 달리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비교적 박리가 쉽게 이루어질수 있는 비강확장부(120) 부분은 점착제층의 접착능력이 높도록 구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이는 스트레인부(130)에 의해 교근측 피부에 고정된 밴드부의 좌우 양쪽단에 횡방향 탄성력 작용으로 비강확장부(120)가 코의 측면 피부와 코와 연장되는 눈 밑의 피부층을 점착제층(200)에 의해 들어올리는 작용에 대하여 피부의 원상복귀되려는 작용으로 인해 박리되는 문제를 최소화하도록 비강확장부(120) 아래에 도포되는 점착제층(200)의 접착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점착제층에 의한 피부의 손상이나 트러블이 없도록 접착성을 조절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지층(300)은 통상적인 구성으로 상기 점착제의 표층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점착제에 외부 이물질이 부착되어 접착능력을 떨어뜨리거나 오염으로 인해 피부 트러블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고 보호하도록 밴드부(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부(100)의 중앙 상부에서 하측으로 폭이 좁아지면서 요입되게 역사다리꼴로 절개형성되어 중심으로부터 상측 폭이 좁아지도록 보조 탄성조정절개부(114)가 상기 탄성조정절개부(112) 상측으로 더 형성되어 비근고정부(110)의 폭이 더 좁아지면서 밴드부(100)의 상측의 횡방향 탄성력이 조정되도록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탄성조정절개부(112)와 보조 탄성조정절개부(114)를 통해 횡방향 탄성력이 조정되는 것은 밴드부(100)의 탄성력의 방향성이 조정되는 것으로, 비근고정부(110)에서 비강확장부(120)로 연장되는 부분의 폭이 비근고정부(110)에서 비강확장부(120)로 점차확대되도록 형성함에 따라 점착재층(200)이 형성된 면적도 비근고정부(110)에서 비강확장부(120)로 점차 확대되게 형성됨에 따라 밴드부(100)의 횡방향 탄성력의 경우 양방향으로 축소될 수 있지만 상기 접착면적부위로 인해 횡방향 탄성력의 작용되는 부분이 스트레인부(130)로 작용하게 되어 비강확장부(120)를 스트레인부(130)측으로 당겨지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밴드부(100)의 횡방향의 탄성력은 비근고정부(110)측의 접착력이 낮아 스트레인부(130)측이 비근고정부(110)측으로 당겨지는 횡방향 탄성력이 발생되기보다는 접착력과 접착면적이 넓은 스트레인부(130)측으로 비근고정부(110)측이 방향성을 가지면서 횡방향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탄성조정절개부(112)와 보조탄성조정절개부(114)의 사다리꼴과 역사다리꼴의 형상에 따른 비근고정부(110)의 좌우측에 경사진 면의 각도(θ)에 따라 비근에서 상순거근에 이르는 접착면적의 좁아지는 폭이 달라지면서 스트레인부(130) 측으로의 횡방향 탄성력의 강도가 조정되되, 경사진 면의 각도(θ)는 45°~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각도를 한정하는 이유는 우선 45도 각도보다 작게 경사진 면의 각도가 형성되면 비강확장부(120) 측으로 상기 탄성조정절개부(112)와 보조탄성조정절개부(114)의 사다리꼴과 역사다리꼴의 형상이 침범하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하에서 상기 탄성조정절개부(112)와 보조탄성조정절개부(114)의 절개면적이 작아야만 하고, 이는 곧 비근고정부(110)측의 접착면적이 스트레인부(130)에 대응되는 접착면적을 가질 수 있어 이로 인한 횡방향 탄성력이 방향성을 잃어 비강확장부(120)가 코 측면과 안면 피부로부터 들어올려지면서 좌우측으로 당겨지는 역할 수행이 떨어지게 되고, 이는 곧 비강 확장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호흡의 곤란성이 여전히 남게 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경사진 면의 각도가 60도 각도 보다 크게 형성되기 위해서는 비근고정부(110)의 상하 면적이 축소되고, 경사면에 의해 횡방향 탄성력의 방향성을 가지는 부분이 오히려 방향성을 잃어버리면서 비근고정부(110)가 횡방향 탄성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진 면의 각도(θ)는 45°~6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레인부(130)의 접착면적을 극대화하여 밴드부(100)의 스트레인부(130)측으로 방향성을 갖는 횡방향 탄성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스트레인부(130)의 대관골근에서 교근 부위의 피부에 접착되는 밴드부 좌우 끝단에서 내측의 횡방향으로 방사절개부(132)가 절개되어 열(列)로 나열 형성되고, 상기 방사 절개부(132)가 등간격 내지는 랜덤 간격의 각도를 갇는 부채꼴 형상으로 벌어지며 교근의 상중하 부위 피부에 넓게 접착되어 횡방향 탄성력이 비강확장부(120)에서 스트레인부(130)측으로 작용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와 같이 방사 절개부(132)를 형성함에 있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치 전체 접착면적을 확대한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어 밴드부(100)의 횡방향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사 절개부(13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모양의 절개선이 비연속적으로 반복되게 형성되어 일정한 폭을 갖도록 절취띠로 형성되고, 사용자에 따라 절취띠를 따라 뜯어 사용하거나 뜯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여 횡방향 탄성력이 교근측으로 작용되는 것을 조정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는 탄성조정절개부(112)와 보조탄성조정절개부(114)를 구성함으로써, 횡방향 탄성력의 방향성 조절 및 횡방향 탄성력의 강도조정에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방사 절개부(132)의 유무에 따라 스트레인부의 구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어 횡방향의 탄성력에 대한 방향성을 명확하게 구성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를 본원 발명의 비강 확장 테이프를 구성함에 있어 실질적으로 균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는 우선 점착제층(200)을 보호하고 있는 이형지층(300)을 점착제층(200)으로부터 제거한다. 이후, 이형지층(300)이 제거된 밴드부(100)의 중앙에 사다리꼴로 절개 형성된 탄성조정절개부(112)가 위치된 비근고정부(110)의 중심이 사용자의 비근이 형성된 피부인 콧등에 부착한다. 여기서, 콧등 부착시, 상하로 긴 콧등의 중앙으로 비근고정부(110)가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비근고정부(110)가 콧등의 상측 즉, 눈과 눈 사이의 미간 인근으로 위치되어 접착되면 안구 주변근육이 분포된 피부측으로 비강확장부(120)가 접착되기 때문에 비강을 확장하는 효과가 발행되지 못한다. 특히, 콧 등의 상측은 코뼈가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피부를 잡아당기거나 들어올린다고 하더라도 단순 피부만이 변형될 뿐, 비강의 확장은 불가능하다.
이와 반대로 콧등의 아래측인 콧끝에 인접하여 비근고정부(110)가 위치되게 고정접착하게 되면 비강확장부(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코에 인접한 피부를 들어올리면서 귀쪽으로 잡아당겨지고, 이와 동시에 피부의 피하층아래로 위치되는 근조직도 함께 들어올려지면서 잡아당겨지게 되어 콧의 비강을 확장하긴 하지만, 실질적인 비강의 초입부분만을 확장하여 호흡의 곤란성을 해결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비근고정부(110)의 접착은 상하 길이방향의 콧등의 중앙으로 접착하고, 비근고정부(110)의 좌우로 비강확장부(120)가 연장되는 부분은 실질적으로 상순비익거근과 상순거근이 위치되는 피부 표층에 부착한다. 즉, 상기 근조직에 해당되는 피부는 코의 측면에서 콧볼과 코뼈가 만져지는 사이로 비강확장부(120)가 접착되면서 동일한 수평방향의 좌우로 밴드부(100)가 안면에 접착되되, 밴드부(100)의 끝단은 교근 조직이 구성된 좌우 귀쪽까지 연장되어 접착된다.
이때, 교근 조직에 부착되는 밴드부(100)의 구성은 스트레인부(130)로 밴드부(100)가 횡방향 탄성력을 가지고 있지만 상기 횡방향 탄성력은 방향성을 가진 탄성력이 아니기 때문에 횡방향 탄성력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교근 조직의 피부 표층에 스트레인부(130)가 넓은 면적으로 고정되고, 실질적으로 교근 조직의 피부 표층에 부착하는 이유로는 교근의 근섬유 조직이 세로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어 안면의 횡방향으로 부착되는 밴드부(100)의 스트레인부(130)가 마치 고무줄을 땅에 박혀져 있는 말뚝에 결하한 상태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비강확장부(120)는 상순비익거근 세로방향 근섬유와 상순거근의 안구에서 입술중앙측으로의 사선형태의 근섬유조직이 실질적으로 교근에 부착된 스트레인부(130)에 의해 이들 상순비익거근과 상순거근이 구성된 피부의 표층피부를 잡아당김으로써, 비강이 확장되고, 점착제층에 의해 피부가 들어올려지는 역할을 함에 따라 상기 비강확장부(120)는 피부를 들어올리면서 잡아당기는 밴드부(100)에 의해 양쪽 힘의 중심에 해당되는 방향으로 진행하려는 성질로 박리가 쉽게 이루어지 않으면서 비강을 효과적으로 확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순비익거근이나 상순거근의 근섬유 조직이 세로방향성을 가지고 있어 근섬유 중심에서 좌우측으로 각각 변형되고, 상기 변형은 비강 주변의 근육조직과 피부조직이 귀쪽 좌우로 각각 잡아당겨지게 되는 역할을 하게된다. 또한, 비근고정부(110)가 결합되는 콧등과 스트레인부(130)가 결합되는 교근 조직의 피부의 위치간에 높이차이가 발생되고, 이는 곧 비강확장부(120)가 피부로부터 전방으로 들어올려지려는 작용이 발생되게 되며, 이 때 점착제층이 상순비익거근과 상순거근의 근섬유조직을 이루고 있는 피부를 들어올리려는 작용이 상호관계되어 비강을 확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강확장 테이프는 일회성 내지는 다회성으로 제조하여 사용자가 취침을 취할 때 주로 사용하여 호흡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비염이나 코골이를 완화할 수 있다. 나아가, 앞서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점착제층이 도포되지 않는 밴드부(100)의 상부면에 다양한 캐릭터나 문양을 형성하여 아이들이 쉽게 부착하여 성장기 어린이의 최근 비만으로 인한 호흡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다양한 판촉물로의 제조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비근고정부 좌우로 세로방향의 표시선(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콧등에 접착될 부위를 명확히 구분하여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횡방향 탄성력이 좌우로 작용하는 과정에서 평행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00 : 밴드부 110 : 비근고정부
112 : 탄성조정절개부 114 : 보조탄성조정절개부
120 : 비강확장부 130 : 스트레인부
132 : 방사절개부 200 : 점착제층
300 : 이형지층 θ : 경사면의 각도

Claims (6)

  1. 코 등의 절반에 해당되는 폭으로 형성되고, 얼굴에 형성된 근육으로 콧 등에 형성된 비근의 피부로부터 상순비익거근과 상순거근, 소관골근, 대관골근 및 교근에 이르는 피부의 횡방향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횡방향의 탄성력을 가진 직물지로 좌우대칭 형성되는 밴드부(100)와;
    상기 밴드부의 하부면에 코를 중심으로 안면에 좌우 대칭되게 횡방향으로 피부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점착제층(200)과;
    상기 점착제의 표층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점착제를 보호하는 이형지층(3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확장 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100)는 얼굴 근육의 비근 부위 피부에 점착 고정되도록 밴드부의 중심부가 접착고정되고, 밴드부의 중앙 하부에서 상측으로 폭이 좁아지면서 요입되게 사다리꼴로 절개되는 탄성조정절개부(112)가 형성되어 밴드부의 중심부의 상하폭이 좁아진 상태로 비근이 위치되는 콧등 피부에 접착고정되는 비근고정부(110)와;
    상기 비근고정부(110) 좌우측으로 대칭형성되고, 상순비익거근이 위치된 코의 좌우측면 피부에 접착되는 과정에서 비근고정부의 폭으로부터 밴드부의 좌우측으로 진행되면서 원래폭으로 확장되어 들뜸없이 좌우측 횡방향 탄성력이 인가되면서 접착고정되도록 마련된 비강확장부(120)와;
    상기 비강확장부(120)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순비익거근-상순거근-소관골근-대관골근-교근의 피부에 접착되어 횡방향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마련되고, 소관골근-대관골근의 피부가 교근측이 있는 좌우로 당겨지도록 발생되는 횡방향 탄성력에 의해 상기 비강확장부(120)가 비근이 형성된 콧등 피부의 좌우측과 상순비익거근-상순거근-소관골근이 위치되는 안면 피부를 접착제층(200)에 의해 접착된 상태로 안면 전방측으로 들어올려 피하층 아래의 안면근육을 안면 전방측으로 들어올리면서 좌우로 당겨지도록 형성함에 따라 콧속 내부의 비강이 좌우로 각각 확장되도록 좌우대칭되게 마련된 스트레인부(1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확장 테이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100)의 중앙 상부에서 하측으로 폭이 좁아지면서 요입되게 역사다리꼴로 절개형성되어 중심으로부터 상측 폭이 좁아지도록 보조 탄성조정절개부(114)가 상기 탄성조정절개부(112) 상측으로 더 형성되어 비근고정부(110)의 폭이 더 좁아지면서 밴드부(100)의 상측의 횡방향 탄성력이 조정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확장 테이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조정절개부(112)와 보조탄성조정절개부(114)의 사다리꼴과 역사다리꼴의 형상에 따른 비근고정부(110)의 좌우측에 경사진 면의 각도(θ)에 따라 비근에서 상순거근에 이르는 접착면적의 좁아지는 폭이 달라지면서 스트레인부(130) 측으로의 횡방향 탄성력의 강도가 조정되되,
    경사진 면의 각도(θ)는 45°~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확장 테이프.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부(130)의 대관골근에서 교근 부위의 피부에 접착되는 밴드부 좌우 끝단에서 내측의 횡방향으로 방사절개부(132)가 절개되어 열(列)로 나열 형성되고,
    상기 방사 절개부(132)가 등간격 내지는 랜덤 간격의 각도를 갇는 부채꼴 형상으로 벌어지며 교근의 상중하 부위 피부에 넓게 접착되어 횡방향 탄성력이 비강확장부(120)에서 스트레인부(130)측으로 작용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확장 테이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절개부(132)는 동일한 모양의 절개선이 비연속적으로 반복되게 형성되어 일정한 폭을 갖도록 절취띠로 형성되고, 사용자에 따라 절취띠를 따라 뜯어 사용하거나 뜯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여 횡방향 탄성력이 교근측으로 작용되는 것을 조정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확장 테이프.
KR1020220102402A 2022-08-17 2022-08-17 비강 확장 테이프 KR20240024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402A KR20240024442A (ko) 2022-08-17 2022-08-17 비강 확장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402A KR20240024442A (ko) 2022-08-17 2022-08-17 비강 확장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4442A true KR20240024442A (ko) 2024-02-26

Family

ID=90058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402A KR20240024442A (ko) 2022-08-17 2022-08-17 비강 확장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444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111B1 (ko) 1999-06-07 2002-06-20 홍중기 코 확장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111B1 (ko) 1999-06-07 2002-06-20 홍중기 코 확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6101B2 (ja) ヒト生体構造外壁組織用拡張器
JP3819937B2 (ja) 剥離力減少拡張器
US5549103A (en) Nasal dilator having an adhesive void to allow relative movement
US5533503A (en) Nasal dilator
US6375667B1 (en) Nasal dilator
EP2117482B1 (en) Nose-dilating device
KR20070046083A (ko) 코 확장기 및 코 확장기의 사용 방법
JP2009538194A (ja) 鼻用呼吸装置
WO1994023675A1 (en) Nasal dilator
KR102010191B1 (ko)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구
KR20000068452A (ko) 수면 중 코골기 및 호흡정지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US6279577B1 (en) Supporter
CA2617722C (en) Manually adjustable nasal cavity dilator
KR20240024442A (ko) 비강 확장 테이프
CN105055070B (zh) 一种伸缩式喉部支架
EP1175189A1 (en) Device for improving respiration and for eliminating snoring
KR102470587B1 (ko) 비강 확장기
US20210307951A1 (en) Bi-flow nasal stent
KR20240042799A (ko) 코골이 방지장치
KR20220126150A (ko) 콧구멍 확장기
KR200253732Y1 (ko) 코호흡 보조기
CN116801845A (zh) 塑造面部轮廓的假体
WO20171430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dibular support
JPH11151262A (ja) ポリエチレン製中空円筒形呼吸率アップ器
KR20000064408A (ko) 박리력이낮은비강확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