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984A - Lifting Gate and Vehicles Control System by Lifting Gate - Google Patents

Lifting Gate and Vehicles Control System by Lifting G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984A
KR19990072984A KR1019990006503A KR19990006503A KR19990072984A KR 19990072984 A KR19990072984 A KR 19990072984A KR 1019990006503 A KR1019990006503 A KR 1019990006503A KR 19990006503 A KR19990006503 A KR 19990006503A KR 19990072984 A KR19990072984 A KR 19990072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breaker
opening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5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야마모토히로시
Original Assignee
야마모토 히로시
가부시키 가이샤 신요 코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토 히로시, 가부시키 가이샤 신요 코교 filed Critical 야마모토 히로시
Publication of KR19990072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984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2Upright or projecting signs or signals permanently installed directly on or in the roadway and designed to be depressed by rolling or other loads and then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e.g. collapsible or rockable stop signs,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for audible war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with rotatable, swingable or adjustable signs o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운반에 편리하고, 또 차량이 저지봉에 충돌하더라도 저지봉이 파손되는 일 없으며, 또 차량의 통행상황에 따라 신호기의 신호자동전환 및 저지봉의 자동개폐를 해서 차량을 원활하게 통행시킬 수 있는 차단기 및 차단기에 의한 차량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It is convenient for transporting, and even i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topper bar, the stopper bar is not damaged, and the breaker and breaker that can smoothly pass the vehicle by automatically switching the signal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topper bar according to the traffic conditions of the vehicle. It provides a vehicle control system by.

차단기는 개폐동작으로 차량의 진입 및 정지제어를 하는 저지봉을 차단기 본체에 착탈 자유자재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 차단기에 의한 차량제어 시스템은 개폐동작으로 차량의 진입 및 정지의 제어를 하는 저지봉과, 진입차량을 검지하는 차량센서와, 진입신호 및 정지신호의 전환을 하는 신호기와, 상기 차량센서의 차량의 검지신호에 의해 차량의 통행상황을 판단하고, 이 차량의 통행상황에 따라 상기 신호기의 전환 및 상기 저지봉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reak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jersey bar for controlling the entry and stop of the vehicle b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installed on the breaker body freely detachable, and the vehicle control system by the circuit breaker controls the entry and stop of the vehicle b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The traffic state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by the stopping rod, the vehicle sensor detecting the entry vehicle, the signal for switching the entry signal and the stop signal, and the detection signal of the vehicle of the vehicle sensor, and the vehicle traffic condi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raffic state of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the signal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locking rod.

Description

차단기 및 차단기에 의한 차량제어 시스템{Lifting Gate and Vehicles Control System by Lifting Gate}Lifting Gate and Vehicles Control System by Lifting Gate

본 발명은 도로공사에 따른 한쪽으로만 교대 통행하도록 규제하는 구역의 차량 진입구나 주차장의 차량 출입구등에 설치되는 차단기 및 차단기에 의한 차량제어 시스템에 관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ntrol system by a circuit breaker and a circuit breaker installed at a vehicle entrance or a vehicle entrance of a parking lot in an area regulated to alternately pass to one side according to the road construction.

종래의 차단기는 분해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지 않았기 때문에 차단기를 현장까지 운반할 경우는 차단기를 그대로 트럭의 짐싣는 곳에 실어 운반해야 했고 운반작업이 번거로웠다.Since the conventional breaker was not designed to be disassembled, when the breaker was transported to the site, the breaker had to be carried as it is in the truck's loading box, which was cumbersome.

또 운전자는 저지봉이 닫혔을 시에는 출입구의 저지선에서 차량을 일단 정지시켜 저지봉이 열린 후에 차량을 발진시키지만 운전자의 부주의로 차량이 정지선을 오버해서 저지봉에 충돌하여 저지봉을 파손시키는 사고가 빈발하고 있다.When the stopper is closed, the driver stops the vehicle at the stop line at the entrance and starts the vehicle after the stopper is opened.However, accidents in which the vehicle inadvertently hits the stopper over the stop line and damages the stopper due to the driver's carelessness. have.

또 차단기로 차량제어를 할 경우는 그 담당자의 눈으로 차량수를 판단한 후 담당자의 조작에 의해 신호기의 신호 전환과 저지봉의 개폐를 하고 있으므로 담당자의 판단미스등에 의해 차량의 통행에 지장이 생긴다는 문제도 있었다.In case of controlling the vehicle with the circuit breaker, the number of vehicles is judg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erson in charge, and the signal of the signal is changed and the stopper is opened and clos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erson in charge. There was also.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에 비춰 이뤄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에 편리하고, 또 차량이 저지봉에 충돌하더라도 저지봉이 파손하는 일 없으며, 또 차량의 운반상태에 따라 신호기의 신호의 자동전환 및 저지봉의 자동개폐를 하여 차량을 원활하게 통행시킬 수 있는 차단기 및 차단기에 의한 차량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convenient for transporting, and even i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topping rod, the stopping rod is not damaged, and the automatic switching of the signal of the signal according to the carrying state of the vehicle And it is to provide a vehicle control system by a circuit breaker and a circuit breaker that can pass the vehicle smoothly by opening and closing the jersey ba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 의 차단기는 개폐동작에 의해 차량의 진입 및 정지제어를 하는 저지봉을 차단기 본체에 착탈 자유자재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reaker of claim 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jersey bar for controlling the entry and stop of the vehicle by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freely attached to the breaker body.

청구항 2 의 차단기는 청구항 1 에 기재의 차단기에 있어, 구동 케이스를 베어링대에 착탈 자유자재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차단기 본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ircuit breaker of Claim 2 is a circuit breaker of Claim 1, Comprising: The said circuit breaker main body was formed by attaching a drive case to a bearing stand freely.

청구항 3 의 차단기는 개폐동작에 의해 차량의 진입 및 정지 제어를 하는 저지봉을 차량의 진입방향으로 꺾여짐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reaker of claim 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 bar for controlling the entry and stop of the vehicle b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configured to be bent in the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청구항 4 의 차단기는 청구항 3 에 기재의 차단기에 있어, 꺾여진 상기 저지봉을 자동적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reaker of claim 4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breaker according to claim 3, the breaker bar is automatically returned.

청구항 5 의 차단기에 의한 차량제어 시스템은 개폐동작에 의해 차량의 진입 및 정지 제어를 하는 저지봉과, 진입챠량을 검지하는 차량센서와, 진입신호 및 정지신호의 전환을 하는 신호기와, 상기 차량센서의 차량의 검지신호로 차량의 통행상황을 판단하고 이 차량의 진행상황에 따라 상기 신호기의 신호전환 및 상기 저지봉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hicle control system of the circuit breaker of claim 5 includes a stopping rod for controlling entry and stop of a vehicle by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 vehicle sensor detecting an entry vehicle, a signal for switching an entry signal and a stop signal, and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traffic state of the vehicle by the detection signal of the vehicle and controls the switching of the signal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topper bar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vehicle.

청구항 6 의 차단기에 의한 차량제어 시스템은 청구항 5 에 기재의 차단기에 의한 차량제어 시스템에 있어, 상기 신호기 및 상기 저지봉의 자동제어/수동제어의 전환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circuit breaker of claim 6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claim 5 enables switching of automatic control / manual control of the signal device and the stopper rod.

청구항 7 의 차단기에 의한 차량제어 시스템은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 에 기재의 차단기에 의한 차량제어 시스템에 있어, 상기 신호기의 신호의 전환시간 및 상기 저지봉의 개폐시간이 설정되고, 이 설정시간에 따라 상기 신호기의 신호의 전환 및 상기 저지봉의 개폐를 하는 제어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circuit breaker of claim 7 is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the switching time of the signal of the signal and the opening / closing time of the stopper bar are set. And a control unit for switching a signal of a signal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top rod.

청구항 8 의 차단기에 의한 차량제어 시스템은 청구항 5 및 청구항 7 중 어느 한항에 기재한 차단기에 의한 차량제어 시스템에 있어, 상기 저지봉의 폐동작의 장해가 되는 장해물을 검지하는 장해물 센서와, 상기 저지봉의 폐동작중에 상기 장해물 센서가 상기 장해물을 검지했을 시는 상기 저지봉을 폐동작에서 개동작으로 옮기고, 또 상기 장해물 센서에 의해 상기 장해물을 검지하지 않았을 시는 상기 차량센서의 차량의 검지신호에 의해 차량의 통행상황을 판단하며, 이 통행상황에 따라 상기 신호기의 신호전환 및 상기 저지봉의 개폐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hicle control system by the breaker of Claim 8 is the vehicle control system by the breaker of any one of Claims 5 and 7, WHEREIN: The obstacle sensor which detects the obstacle which becomes the obstacle of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aid stopper, When the obstacle sensor detects the obstacle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the blocking rod is moved from the closing operation to the open operation, and when the obstacle sensor is not detected by the obstacle sensor, the vehicle detects a signal of the vehicle.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traffic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the signal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traffic situ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보인 차단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ircuit breaker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상기 차단기의 저지봉의 설치부분을 보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ortion of the blocking rod of the circuit breaker.

도 3 은 상기 차단기의 저지봉의 구동기구부 및 기어모터의 배치도이다.3 is a layout view of a drive mechanism part and a gear motor of the stopping rod of the circuit breaker.

도 4 는 상기 차단기에서 근접 스위치에 의한 근접 스위치패널의 검출동작을 보인 설명도이다.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detection operation of a proximity switch panel by a proximity switch in the circuit breaker.

도 5 는 상기 차단기의 저지봉에로의 차량의 충돌시의 저지봉의 동작을 보인 평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op bar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top bar of the breaker.

도 6 은 상기 차단기의 저지봉의 회전동작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rotation operation of a blocking rod of the breaker.

도 7 은 상기 차단기의 저지봉의 설치부분을 보인 종단면도이다.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ortion of the blocking rod of the circuit breaker.

도 8 은 상기 차단기의 저지봉의 설치부분을 보인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ortion of the blocking rod of the circuit breaker.

도 9 는 상기 차단기의 분해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ircuit breaker.

도 10 은 상기 차단기의 베어링대로의 구동 케이스의 설치동작을 보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peration of the drive case to the bearing of the breaker.

도 11 은 한쪽 통행 규제구역에서의 차단기에 의한 차량제어 시스템을 보인 사시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control system by a breaker in one traffic restriction zone.

도 12 는 상기 차량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12 is a block diagram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도 13 은 상기 차단기의 저지봉의 설치부분을 보인 종단면도이다.Fig. 1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ortion of the stopping rod of the breaker.

도 14 는 상기 저지봉의 설치부분에 사용된 회전판의 평단면도이다.14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 rotating plate used in the installation portion of the stop bar.

도 1 5 는 상기 저지봉의 설치부분에 사용된 회전판의 평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rotating plate used in the installation portion of the stop bar.

도 16 은 상기 차단기의 저지봉에로의 차량의 충돌시의 저지봉의 동작을 보인 평면도이다.Fig. 16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op bar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top bar of the breaker.

도 17 은 일반 주차장에서의 차단기에 의한 차량제어 시스템을 보인 사시도이다.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breaker in a general parking lot.

도 18 은 건축공사 현장의 출입구에서의 차단기에 의한 차량제어 시스템을 보인 사시도이다.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control system by a breaker at the doorway of a construction site.

도 19 는 공장 병원등의 차량입출구에서의 차단기에 의한 차량제어 시스템을 보인 사시도이다.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control system by a breaker at a vehicle entrance and exit such as a factory hospital.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차단기2 : 저지봉1: Breaker 2: Jersey Bar

4 : 신호기6 : 차량센서4: Signal 6: Vehicle Sensor

16 : 제어부17 : 제 2 차량센서16 control unit 17 second vehicle sensor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according to drawing.

차단기(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진입구를 개폐하는 저지봉(2)과, 청색등과 적생등으로 된 신호등(4a)을 점멸시키는 신호기(4)와, 차량의 존재를 검지하는 차량센서(6)와, 차단기 본체(8)를 갖추고 있고, 도 9 에 나타낸 기어모터(9)에 의한 저지봉(2)의 개폐 및 신호기(4)의 신호등(4a)의 점멸은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제어부(16)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또 제어부(16)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박스(16A)에 수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breaker 1 includes a stopper bar 2 which opens and closes an entrance of a vehicle, a signal 4 which flashes a traffic light 4a of blue light and red light, and the presence of a vehicle. The vehicle sensor 6 to be detected and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8 are provid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top bar 2 by the gear motor 9 shown in FIG. 9 and the blinking of the traffic light 4a of the signal signal 4 are shown in FIG. I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part 16 shown by 11 and FIG. Moreover, the control part 16 is accommodated in the control box 16A as shown in FIG.

차단기 본체(8)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대(47)상에 구동 케이스 (48)를 착탈 자유자재로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As the breaker main body 8 is shown in FIG. 9, the drive case 48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earing stand 47, and is comprised.

베어링대(47)는, 상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퀴(51)가 설치된 베이링대 케이스(49)내에 밸런서(50)를 수납함과 동시에 고정구(54)를 베어링대 케이스 (49)의 상면 양측에 2쌍 돌출 설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고정구(54)는 고착구 (52)와 지지구(53)로 이뤄진다. 고착구(52)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링케이스(49)에 손잡이부(56A)를 가진 훅(56)을 반전체(55)를 개재해서 반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되고 있다. 반전체(55)는 거의 같은 길이의 2개의 링크(57, 58)끼리를 핀(59)으로 연결하고, 베어링대 케이스(49)에 고정된 연결편(57A)에 한쪽 링크(57)를 핀(59)으로 연결하고, 훅(56)의 손잡이부(56A)에 고정된 연결편(56B)에 다른쪽 링크(58)를 핀(59)로 연결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지지구(53)는 베어링 케이스(49)상에 긴 지지편(60)과 짧은 지지편(61)을 근접시켜 세워 설치함과 동시에, 이들 지지편(60, 61)간에 슬릿부(62)를 형성하고, 긴 지지편(60)의 상단에 외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부(60a)를 형성하고, 긴 지지편(60)의 수직부(60b) 및 짧은 지지편(61)에 같은 레벨로 같은 치수의 끼워맞춤공(63,64)을 천공해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the bearing stand 47 accommodates the balancer 50 in the bearing stand case 49 in which the wheels 51 are installed, and simultaneously holds the fasteners 54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earing stand case 49. As shown in FIG. It is comprised by providing two pairs of protrusions in the. Fixture 54 is composed of fasteners 52 and the support (53). 9 and 10, the fastener 5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ook 56 having the handle portion 56A is provided on the bearing case 49 so as to be inverted via the inverting body 55. It is becoming. The inverting body 55 connects two links 57 and 58 of substantially the same length to each other with a pin 59 and pins one link 57 to a connecting piece 57A fixed to the bearing case 49. 59, and the other link 58 is connected with the pin 59 to the connecting piece 56B fixed to the handle 56A of the hook 56.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support tool 53 is provided with the long support piece 60 and the short support piece 61 proximately mounted on the bearing case 49, and the slit portion 62 is formed between these support pieces 60 and 61. And a guide portion 60a inclined outward on the upper end of the long support piece 60, and the same level as that of the vertical portion 60b and the short support piece 61 of the long support piece 60. The fitting holes 63 and 64 of the dimension are drilled and comprised.

구동 케이스(48)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판(48a)의 상부가 경사진 높고 평평한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구동케이스(48)의 양측판(48a)의 하부에는 고정편(66)이 2쌍 돌출 설치되고, 고정편(66)에는 베어링대(47)의 지지편(60,61)의 끼워맞춤공(63,64)과 같은 치수의 끼워맞춤공(65)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66)의 선단간에는 금속제 둥근 파이프를 알맞은 치수로 절단해서 형성된 손잡이(67)가 가설되어 있고, 손잡이(67)의 양단은 고정편(66)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the drive case 48 is formed in the high and flat cross section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both side plates 48a was inclined, and the fixed piece 66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th side plates 48a of the drive case 48. As shown in FIG. ) Is provided with two pairs of protrusions, and the fixing piece 66 is formed with the drilling holes 65 having the same dimensions as the fitting holes 63, 64 of the supporting pieces 60, 61 of the bearing base 47. have. A handle 67 is formed between the ends of the fixing piece 66 by cutting a metal round pipe to an appropriate dimension, and both ends of the handle 67 are fixed to the fixing piece 66 by welding.

구동 케이스(48)의 전후에 위치한 고정편(66)의 간격(L1)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대(47)의 전후에 위치한 지지구(53)의 슬릿부(62)의 간격(L2)과 일치하도록 설정되고, 구동 케이스(48)를 베어링대 케이스(49)상에 장착해서 구동케이스(48)의 각 고정편(66)을 베어링대 케이스(49)의 지지구(53)의 슬릿부(62)에 끼워넣음으로써 구동케이스(48)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베어링대 케이스(49)의 좌우에 위치한 지지구(53)의 간격(L3)은 구동 케이스(48)의 횡폭 치수(H)와 일치하고 있고, 구동 케이스(48)를 베어링대(47)의 베어링대 케이스(49)상에 장착했을 시에는 구동케이스(48)의 양측에 지지구(53)가 위치해서 구동케이스 (48)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렇게 구동케이스(48)를 베어링대 케이스(49)상에 장착했을 시에는 구동케이스(48)의 전후좌우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또 베어링대(47)의 지지편(60,61)의 끼워맞춤공(63,64)은 구동케이스(48)의 고정편(66)의 끼워맞춤공(65)과 합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the space | interval L1 of the fixing piece 66 located before and behind the drive case 48 is the space | interval of the slit part 62 of the support tool 53 located before and behind the bearing stand 47. FIG. Set to coincide with (L2), the drive case 48 is mounted on the bearing stand case 49 so that each fixing piece 66 of the drive case 48 is supported by the support 53 of the bearing stand case 49. The movement of the drive case 48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restricted by inserting it into the slit part 62 of. Moreover, the space | interval L3 of the support opening 53 locat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bearing stand case 49 is equal to the width | variety dimension H of the drive case 48, and the drive case 48 is connected to the bearing stand 47. As shown in FIG. When mounted on the bearing case 49, the support 53 i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drive case 48, and the movement of the drive case 48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restricted. When the drive case 48 is mounted on the bearing case 49 in this way, the movement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drive case 48 is restricted, and the fitting holes of the support pieces 60 and 61 of the bearing case 47 are restricted. 63 and 64 are set to match with the fitting hole 65 of the fixed piece 66 of the drive case 48. As shown in FIG.

구동케이스(48)내에는, 도 3에 나타낸 기어모터(9) 및 구동기구부(9A)가 수납되어 있고, 기어모터(9)는 구동케이스(48)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지지프레임으로 지지되어 있고, 구동기구부(9A)는 구동케이스(48)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기구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다.In the drive case 48, the gear motor 9 and the drive mechanism 9A shown in FIG. 3 are housed, and the gear motor 9 is supported by an unshown support frame provided in the drive case 48. The drive mechanism 9A is provided on a mechanism support frame (not shown) provided in the drive case 48.

구동케이스(48)을 베어링대(47)에 설치할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케이스(48)를 베어링케이스(49)에 장착한 후,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착구(52)의 훅(56)의 손잡이부(56A)를 잡고 반전시켜 구동 케이스(48)의 고정편(66)의 끼워맞춤공(65) 및 베어링대(47)의 지지편(60,61)의 끼워맞춤공(63,64)에 삽입해서 구동 케이스(48)을 베어링대(47)에 고정한다.When the drive case 48 is mounted on the bearing stand 47, the drive case 48 is mounted on the bearing case 49 as described above, and as shown in FIG. While holding the handle 56A of the handle 56, the fitting hole 65 of the fixing piece 66 of the drive case 48 and the fitting hole 63 of the supporting pieces 60, 61 of the bearing stand 47 are reversed. 64, the drive case 48 is fixed to the bearing base 47.

구동케이스(48)을 베어링대 케이스(49)에 장착하기 위해 구동케이스(48)를 베어링대(47)상에 내릴 경우는, 도 10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케이스(48)의 고정편(66)의 아래쪽 가장자리를 긴 지지편(60)의 가이드부(60a)에 대어 내려지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도 10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케이스(48)의 고정편(66)이 가이드부(60a)로 안내되어 베어링대(47)의 지지구(53)의 슬릿부(62)로 부드럽게 끼워 넣어진다.When the drive case 48 is lowered on the bearing stand 47 to mount the drive case 48 to the bearing stand case 49, the drive case 48 is fixed, as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in FIG. The lower edge of the piece 66 is lowered against the guide portion 60a of the long support piece 60. This guides the fixing piece 66 of the drive case 48 to the guide part 60a as shown by the arrow of FIG. 10 and smoothly fits into the slit part 62 of the support 53 of the bearing base 47. Is put in.

한편, 구동 케이스(48)를 베어링대(47)로부터 벗길 경우는 손잡이부(56A)를 잡고 구동케이스(48)의 고정편(66)의 끼워맞춤공(65) 및 베어링대(47)의 지지편(60,61)의 끼워맞춤공(63,64)으로부터 훅(56)을 빼냄과 동시에 반전체(55)로 훅(56)을 도 10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원래 위치로 되돌리고, 이어 구동 케이스(48)의 손잡이(67)을 잡고 구동케이스(48)를 끌어올려 구동케이스(48)의 각 고정편(66)을 베어링대 케이스(49)의 지지구(53)의 슬릿부(62)로터 벗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e case 48 is peeled off from the bearing stand 47, the handle 56A is held, and the fitting hole 65 and the bearing stand 47 of the fixing piece 66 of the drive case 48 are supported. The hook 56 is pulled out of the fitting holes 63 and 64 of the pieces 60 and 61, and the hook 56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shown by the double-dot chain line of FIG. Grasp the handle 67 of the 48 and pull up the drive case 48 so that each fixing piece 66 of the drive case 48 is rotated by the slit portion 62 of the support 53 of the bearing case 49. Peel off.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차단기(1)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운반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또 현장에서의 차단기(1)의 설치 작업 및 현장으로부터의 철거작업도 신속하게 할 수 있다.By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breaker 1 can be facilitated, transportation can be carried out quickly, and the work of installing the breaker 1 at the site and the dismantling from the site can be performed quickly. .

신호기(4) 및 차량 센서(6)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5,7)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고, 이들 지주(5,7)는 지주(5,7)을 감싸 지지하는 고정링(10) 및 고정나사(11)에 의해 구동 케이스(48)에 착탈 자유자재로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ignal device 4 and the vehicle sensor 6 are fixed to the upper ends of the struts 5 and 7, and the struts 5 and 7 wrap and support the struts 5 and 7. The fixing ring 10 and the fixing screw 11 are attached to the drive case 48 freely.

고정 플레이트(10)는 지주(5,7)의 외주형상에 합치하도록 완만히 꺾여져서 형성된 플레이트 본체(10a)의 양단에서 바깥측으로 고정편(10b)을 이어 설치하고, 각 고정 플레이트(10b)에 지지공(10c)를 천공 형성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구동 케이스(48)중 지주(5,7)가 설치되는 부위에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5,7)을 구동케이스(48)의 외측면을 따라 세워 설치한 후 고정 플레이트(10)의 플레이트 본체(10a)를 지주(5,7)의 외주에 끼우고, 고정나사(11)를 고정플레이트(10)의 고정편(10b)의 지지공(10c)에 통과시켜 구동 케이스(48)의 상기 나사공에 죄여서 부착시킴으로써 지주(5,7)을 구동 케이스(48)에 착탈 자유자재로 설치할 수 있고, 차단기(1)를 보다 세분할 수 있어 운반작업이 한층 용이하게 된다.The fixing plate 10 is installed by connecting the fixing pieces 10b outwardly from both ends of the plate body 10a which is gently bent to conform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hapes of the pillars 5 and 7, and is supported by each fixing plate 10b. The hole 10c is formed by perforation. Moreover, the screw hole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is formed in the site | part in which the support posts 5 and 7 are installed in the drive case 48. Therefore, as shown in FIG. 1, the support posts 5 and 7 are install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e case 48, and then the plate body 10a of the fixed plate 10 is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posts 5 and 7. The posts 5 and 7 are driven by passing the fixing screws 11 through the supporting holes 10c of the fixing pieces 10b of the fixing plate 10 and fastening them to the screw holes of the driving case 48. The case 48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freely, the breaker 1 can be further subdivided, and the conveyance work becomes easier.

저지봉(2)은 도시하지 않은 코아부재를 발포우레탄 수지층으로 덮음과 동시에 이 발포우레탄 수지층을 도 1에 나타낸 수축필름(2a)으로 피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수축필름(2a)은 열가소성 필름의 일종으로 슈링크 필름이라고도 불리우며 상기 발포 우레탄 수지층의 표면을 덮음과 함께 가열터널이나 열버너등으로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발포 우에탄 수지층의 표면에 밀착해서 저지봉(2)의 방진성 및 방수성을 높이고 있다.The stopper bar 2 is comprised by covering the core member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with the foamed urethane resin layer, and covering this foamed urethane resin layer with the shrink film 2a shown in FIG. The shrink film 2a is a kind of thermoplastic film, also called a shrink film, which covers the surface of the foamed urethane resin layer and shrinks it with a heating tunnel or a heat burner to closely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foamed ethane resin layer. The dustproofness and waterproofness of (2) are improved.

저지봉(2)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3)로 지지되어 있다.The stopper rod 2 is supported by the support | pillar 3, as shown to FIG. 1 and FIG.

이 지주(3)의 일단에는 저지봉 지지받이(35)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저지봉(2)은 회전 블록(34)을 개재해서 저지봉 지지받이(35)에 설치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3)의 타단은 도 3에 나타낸 저지봉(2)의 구동기구부(9A)의 회전축(12)에 설치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12)의 회전으로 지주(3) 및 저지봉(2)이 회전해서 차량의 진입구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A stop rod support base 35 is fixed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upport post 3, and the stop rod 2 is attached to the stop rod support base 35 via a rotation block 34. As shown in FIG. 3, the other end of the strut 3 is provided on the rotary shaft 12 of the drive mechanism 9A of the stopping rod 2 shown in FIG. 3, and as shown in FIG. 6, the rotary shaft 12. The support post 3 and the stop bar 2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door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port of the vehicle.

상술한 회전블록(34)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지봉 지지받이(35)에 힌지(36)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저지봉(2)은 차량의 진입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회전블럭(34)은 위쪽으로 개구된 직사각형의 블록 본체(34B)의 개구부(34C)를 덮개판(34A)으로 덮어 구성되어 있다. 덮개판(34A)은 덮개 본체(34K)의 양측에 수하편(34L)을 갖는 단면 역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덮개 본체(34K)의 양측부 및 수하편(34L)에는 구멍(34G)이 형성되어 있다. 또 블록 본체 (34B)의 개구부(34C)에는 안칼라(collar)(34D)가 설치되어 있고, 이 안칼라(34D) 및 블록 본체(34B)의 측판(34E)에는 나사구멍(34F)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above-described rotary block 34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top rod support base 35 by a hinge 36, and the stop rod 2 is rotatable in the direction of entry of the vehicle. The rotation block 34 is formed by covering the opening 34C of the rectangular block body 34B opened upward with a cover plate 34A. The cover plate 34A is formed in an inverted U-shaped cross section having a drooping piece 34L on both sides of the lid body 34K, and holes 34G are formed in both sides of the lid body 34K and the drooping piece 34L. Formed. An collar 34D is provided in the opening 34C of the block main body 34B, and a screw hole 34F is drilled in the side collar 34E of the inner collar 34D and the block main body 34B. Formed.

그리고, 덮개판(34A)을 블록 본체(34B)의 개구부(34C)에 씌워 덮개판(34A)의 수하편(34L)을 블록 본체(34B)의 측판(34E)의 외측에 위치시킴과 함께 나사(34H)를 덮개판(34A)의 구멍(34G)을 통해서 블록 본체(34B)의 나사구멍(34F)에 끼우므로써 덮개 판(34A)이 블록 본체(34B)에 고정된다.Then, the cover plate 34A is covered with the opening 34C of the block body 34B, and the lower piece 34L of the cover plate 34A is positioned outside the side plate 34E of the block body 34B, and the screw is provided. The cover plate 34A is fixed to the block body 34B by inserting 34H into the screw hole 34F of the block body 34B through the hole 34G of the cover plate 34A.

저지봉 지지받이(35)는, 도 2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상자모향으로 형성되고, 회전 블록(34)이 위치하는 측에는 개구부(35A)가 만들어지며, 개구부(35A)의 내부에는 속판(35B)이 설치되고, 저지봉 지지받이(35)내에는 댐퍼 (37)가 수납되어 있다. 댐퍼(37)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실린더(37B)와 이 가스실린더(37B)의 상하에 설치된 인장스프링(37A)으로 구성되고, 인장 스프링 (37A)의 양단에는 훅(37C)이 형성되며, 가스실린더(37B)의 양단에는 연결편(37D)이 설치되어 있다. 인장 스프링(37A)의 일단부의 훅(37C)은 저지봉 지지받이(35)의 개구부(35A)를 통해 회전블록(34)에 설치된 고정 플레이트(34M)에 걸어지고, 인장스프링(37A)의 타단부의 훅(37C)은 저지봉 지지받이(35)의 속판(35B)에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35C)에 걸어져 있다. 또 가스실린더(37B)의 일단부의 연결편(37D)은 저지봉 지지받이(35)의 개구부(35A)를 통해 회전 블록(34)에 고정된 연결편(34N)에 핀 (34P)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 자유자재로 연결되어 있고, 가스실린더(37B)의 타단부의 연결편(37D)은 저지봉 지지받이(35)의 속판(35B)에 고정된 연결편(35D)에 핀(35E)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 자유자재로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7, the stop bar support 35 is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an opening 35A is formed on the side where the rotary block 34 is located, and the inside of the opening 35A is formed. The inner plate 35B is provided in the damper 37, and the damper 37 is housed in the stopper support base 35. As shown in FIG. 7, the damper 37 is comprised from the gas cylinder 37B and the tension spring 37A provided above and below this gas cylinder 37B, and the hook 37C is provided in the both ends of the tension spring 37A. Is formed, and connecting pieces 37D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gas cylinder 37B. The hook 37C of one end of the tension spring 37A is hooked to the fixing plate 34M installed on the rotary block 34 through the opening 35A of the stopper support base 35, and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spring 37A. The hook 37C of the edge part is hooked on the fixing plate 35C fixed to the inner plate 35B of the stopper support base 35. In addition, the connecting piece 37D of one end of the gas cylinder 37B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pin 34P to the connecting piece 34N fixed to the rotating block 34 through the opening 35A of the stop rod support base 35. The connecting piece 37D of the other end of the gas cylinder 37B, which is freely connected,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pin 35E on the connecting piece 35D fixed to the inner plate 35B of the stop rod support base 35. It is connected freely.

도 2,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블록(34)의 덮개판(34A)의 중앙에는 고정구멍(34I)이 천공 형성되고, 이 고정구멍(34I)에 너트(34J)를 고정해서 너트(34J)의 나사구멍(43)을 덮개판(34A)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있다.2, 7 and 8, a fixing hole 34I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ver plate 34A of the rotary block 34, and the nut 34J is fixed to the fixing hole 34I. Thus, the screw hole 43 of the nut 34J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plate 34A.

이 나사구멍(43)에는 나사봉(44)이 죄어져 고정되고, 나사봉(44)의 상단에는 레버(45)가 고정되며, 나사봉(44)의 하단에는 어저스터(조절기)(46)가 회전 자유자재로 설치되어 있고, 이 어저스터(46)는 단면 역 U자상의 상압압체(41)의 수평판 (41a)의 중앙에 고정되어 있다.A screw rod 44 is clamped and fixed to the screw hole 43, a lever 45 is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screw rod 44, and an adjuster (adjuster) 46 at a lower end of the screw rod 44. Is provided freely in rotation, and this adjuster 46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plate 41a of the normal pressure element 41 of cross-sectional inverse U-shape.

또 회전 블록(34)의 블록 본체(34B)의 개구부(34C)의 아래쪽의 베이스 판에는 단면 U자상의 하압압체(42)가 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a U-shaped down pressure member 42 is fixed to a base plate below the opening 34C of the block body 34B of the rotary block 34.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압압체(41)의 수평판(41a)의 폭은 하압압체(42)의 수평판(42a)의 폭치수보다도 작게 설정되고, 상압압체(41)는 하압압체(42)에 밖에서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the width of the horizontal plate 41a of the atmospheric pressure body 41 is set smaller than the width dimension of the horizontal plate 42a of the lower pressure body 42,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body 41 is the pressure reducing body 42. It is supposed to fit outside).

또 회전블록(34)내에는 상압압체(41) 및 하압압체(42)에 의해 끼워진 상태로 지지되는 완충고무체(40)가 설치되어 있다.Further, in the rotary block 34, a buffer rubber body 40 which is supported by being fitted by the atmospheric pressure body 41 and the lower pressure body 42 is provided.

완충고무체(40)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면서 하압압체(42)에 끼워 넣어질 수 있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고, 완충고무체(40)의 일단면에서 타단면에 걸쳐 저지봉(2)의 기단부의 바깥지름보다도 조금 큰 지름을 갖는 봉 삽입구멍(39)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The cushioning rubber body 4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is set to a siz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pressure body 42, and the proximal end portion of the stopping rod 2 is extended from one end face to the other end face of the buffer rubber body 40. A rod insertion hole 39 having a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is drilled out.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 본체(34B)의 개구부(34C)를 덮개 판 (34A)으로 막아 덮개판(34A)을 블록 본체(34B)에 나사(34H)로 고정함으로써 상압압체(41)는 하압압체(42)에 끼워져 이들 상하의 압압체(41,42)에 의해 완충고무체(40)가 끼워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And as shown in FIG. 8, 34C of openings of the block main body 34B are covered with the cover plate 34A, and the cover plate 34A is fixed to the block main body 34B with the screw 34H,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body 41 is carried out. Is attached to the lower pressure body 42, and the upper and lower pressure bodies 41 and 42 are supported by the cushioning rubber body 40 in the fitted state.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지봉(2)의 기단부를 완충고무체(40)의 봉 삽입구멍(39)에 삽입한 상태에서 레버(45)를 정회전시킨 경우는 상압압체(41)는 회전하는 일 없이 하강해서 완충고무체(40)를 압압해서 완충고무체(40)를 탄성변형시키고, 봉 삽입구멍(39)이 저지봉(2)의 기단부에 밀착해서 저지봉(2)의 기단부는 완충 고무체(40)를 개재해서 회전블럭(34)에 고정된다. 한편, 레버(45)를 역회전시킨 경우는 상압압체(41)는 회전하는 일 없이 상승해서 완충고무체(40)를 복원하고 저지봉(2)은 완충고무체(40)의 봉 삽입구멍(39)으로부터 빠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when the lever 45 is rotated forward while the base end of the stopping rod 2 is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on hole 39 of the buffer rubber body 40, the atmospheric pressure body 41 is It lowers without rotation and presses the buffer rubber 40 so that the buffer rubber 40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rod insertion hole 39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ximal end of the stopping rod 2 so that the proximal end of the stopping rod 2 is reduced. Is fixed to the rotary block 34 via the buffer rubber body 40.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ver 45 is rotated in reverse, the atmospheric pressure body 41 rises without rotation, restoring the cushioning rubber body 40, and the stopping rod 2 is a rod insertion hole (of the buffering rubber body 40). 39).

이렇게 저지봉(2)이 저지봉 지지받이(35)에 착탈 자유자재로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차단기(1)의 운반작업이 한층 용이하게 된다.Thus, since the stop bar 2 is installed to be freely attached to the stop bar support base 35, the transport operation of the breaker 1 is further facilitated.

도 5는 차량 C가 차단기(1)의 저지봉(2)에 충돌했을 시의 저지봉(2)의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고, 동도면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C가 진행해서 차단기(1)의 저지봉(2)에 충돌하면 회전블록(34)이 동도면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힌지(36)를 중심으로 회전해서 저지봉(2)은 차량 C의 진행방향으로 꺾여지고, 또 차량 C가 저지봉(2)로부터 떨어졌을 시에는 회전블록(34)은 댐퍼(37)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감으로써 저지봉(2)은 직선상태로 되돌아 온다. 이렇게 차량 C가 저지봉(2)에 닿아도 저지봉(2)은 파손되지 않고, 또 저지봉(2)의 상기 발포 우레탄 수지층 및 댐퍼(37)의 존재에 의해 저지봉(2)에 충돌했을 시에 차량 C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고 차량 C도 상처입지 않는다.FIG. 5 shows the movement of the stopping rod 2 when the vehicle C collides with the stopping rod 2 of the breaker 1, and as shown by the arrow in the same drawing, the vehicle C advances and the breaker 1 When the impingement rod 2 is impinged on the rotary block 34 is rotated about the hinge 36 as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of the same figure, the impeller rod 2 is bent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C. When the vehicle C is separated from the stop bar 2, the rotary block 34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damper 37, so that the stop bar 2 returns to the straight state. Thus, even if the vehicle C touches the blocking rod 2, the blocking rod 2 is not damaged and the collision rod 2 is collided by the presence of the urethane foam layer and the damper 37 of the blocking rod 2. In this case, the shock applied to the vehicle C is alleviated, and the vehicle C is also not damaged.

또 저지봉(2)은 완충고무체(40)를 개재해서 회전블럭(34)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차량 C가 저지봉(2)에 충돌했을 시에는 완충고무체(40)의 완충기능이 작용해 저지봉(2)의 고정부분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opping rod 2 is fixed to the rotation block 34 via the buffer rubber body 40, when the vehicle C collides with the blocking rod 2, the buffering function of the buffer rubber body 40 works. The damage of the fixed part of the jersey bar 2 can also be prevented.

도 3 은 저지봉(2)를 개폐하는 구동기구부(9A) 및 기어모터(9)를 나타내고 있다. 저지봉(2)를 회전시키는 회전체(12)는 원동축(20)과 종동축(21)으로 구성되어 있고, 원동축(20)과 종동축(21)은 려자동작형 클러치(22)로 단속되는 것으로, 원동축(20)에는 풀리(23), 스토퍼 암(24)이 설치되고, 종동축(21)의 단부(21a)는 구동 케이스(48)의 단판(48b)에 천공 형성된(48c)로부터 돌출해서 이 종동축(21)의 단부(21a)에 저지봉(2)의 지주(3)가 설치되고, 또한 종동축(21)에는 도시되지 않은 리턴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이 리턴스프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저지봉(2)이 수평상태에서 정전된 경우에 저지봉(2)을 상방으로 회전시켜 차량 C의 출입구를 열기위한 스프링이다.FIG. 3 shows a drive mechanism 9A and a gear motor 9 which open and close the stopping rod 2. FIG. The rotating body 12 for rotating the stopping rod 2 is composed of a driving shaft 20 and a driven shaft 21, the driving shaft 20 and the driven shaft 21 is a self-actuating clutch 22. By being intermittent, the pulley 23 and the stopper arm 24 are provided in the drive shaft 20, and the end portion 21a of the driven shaft 21 is formed by punching in the end plate 48b of the drive case 48 (48c). Protruding from), the strut 3 of the stopping rod 2 is attached to the end 21a of the driven shaft 21, and a return spring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driven shaft 21. This return spring is a spring for opening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vehicle C by rotating the jersey rod 2 upward when the jersey rod 2 is out of power in a horizontal state as will be described later.

기어모터(9)의 구동축(27)에는 풀리(28)이 설치되고, 이 풀리(28)와 회전축 (12)의 원동축(20)의 풀리(23)와의 사이에는 벨트(29)가 걸쳐 있다.A pulley 28 is provided on the drive shaft 27 of the gear motor 9, and a belt 29 extends between the pulley 28 and the pulley 23 of the drive shaft 20 of the rotation shaft 12. .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22)는 원동축(20)과 종동축(21)을 접속하는 암튜어(30)와 전자석(31)을 갖추고, 암튜어(30)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을 개재해서 원동축(20)에 설치되고, 전자석(31)은 종동축(21)에 설치되며, 통전시에는 암튜어(30)는 상기 스프링의 힘에 대항해 이동해서 전자석(31)에 붙음으로써 원동축 (20)과 종동축(21)을 접속하고, 비통전시에는 암튜어(30)가 상기 스프링의 힘에 의해 전자석(31)로부터 떨어져서 원동축(20)과 종동축(21)을 차단한다.As shown in FIG. 3, the clutch 22 has an armature 30 and an electromagnet 31 for connecting the primary shaft 20 and the driven shaft 21, and the armature 30 has a spring (not shown). It is installed on the coaxial shaft 20, the electromagnet 31 is installed on the driven shaft 21, and when energized, the armature 30 moves against the force of the spring and attaches to the electromagnet 31. The coaxial 20 and the driven shaft 21 are connected, and at the time of non-energization, the armature 30 is separated from the electromagnet 31 by the force of the spring, and blocks the coaxial shaft 20 and the driven shaft 21.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동축(20)에는 근접 스위치 패널(25) 및 피검출부(25a)가 설치되고, 근접스위치패널(25)의 주위에는 근접스위치(32,33)가 설치된다. 이 근접스위치(32,33)는 피검출부(25a)를 검출하므로써 기어모터(9)의 구동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proximity shaft 20 and the to-be-detected part 25a are provided in the main shaft 20, and the proximity switches 32 and 33 are provided in the periphery of the proximity switch panel 25. As shown in FIG. . These proximity switches 32 and 33 are switche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ive circuit of the gear motor 9 by detecting the detected portion 25a.

그리고, 도 4의 파선으로 나타낸 저지봉(2)이 올라가 수직이 되었을 시는 근접스위치(33) 도 4의 실선으로 나타낸 피검출부(25a)를 검출해서 검출신호를 발신함으로써 기어모터(9)를 정지시키고, 그 후는 기어모터(9)의 도시하지 않은 기계 브레이크에 의해 저지봉(2)의 개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stopper rod 2 shown by the broken line in FIG. 4 rises and becomes vertical, the gear motor 9 is detected by detecting the detected part 25a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4 and transmitting a detection signal. After that, the open state of the stopping rod 2 is maintained by a mechanical brake (not shown) of the gear motor 9.

한편, 도 4의 파선으로 나타낸 저지봉(2)이 내려가 수평으로 되었을 시는 근접 스위치(32)가 도 4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피검출부(25a)를 검출해서 검출신호를 발신함으로써 기어모터(9)를 정지시키고, 그 후는 기어모터(9)의 도시하지 않은 기계브레이크에 의해 저지봉(2)의 폐상태는 유지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opper rod 2 shown by the broken line of FIG. 4 is lowered and becomes horizontal, the gear motor 9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by detecting the detected part 25a shown by the double-dotted line of FIG. ), And then the closed state of the stopping rod 2 is maintained by a mechanical brake (not shown) of the gear motor 9.

또 저지봉(2)이 수평이 되기까지 회동했을 시는 상기의 스토퍼 암(24)이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에 닿아 저지봉(2)은 수평상태에서 확실하게 정지하고, 또 저지봉(2)이 수직이 되기까지 회동했을 시에는 스토퍼 암(24)이 도시하지 않은 다른 스토퍼에 닿아 저지봉(2)은는 수직상태에서 확실하게 정지한다.When the stopper rod 2 is rotated horizontally, the stopper arm 24 touches the stopper (not shown), and the stopper rod 2 stops reliably in a horizontal state. When it rotates to become vertical, the stopper arm 24 touches another stopper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and the stopper bar 2 stops reliably in a vertical state.

또 저지봉(2)이 수평상태에서 정지하고 있을 시에 정전된 경우는 전자석(31)의 려자가 끊겨 클러치(22)가 잘라짐으로써 종동축(21)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고, 저지봉(2)는 상기 리턴스프링에 의해 위로 회전해서 차량 C의 출입구를 연다.When the stop bar 2 is stopped while the stop bar 2 is in a horizontal state, the electromagnet 31 cuts off and the clutch 22 is cut off, and the driven shaft 21 becomes free, and the stop bar 2 ) Rotates upward by the return spring to open the doorway of vehicle C.

이렇게 정전으로 기어모터(9)에 의한 저지봉(2)의 동작이 불가능하게 되어도 저지봉(2)은 자동적으로 올라가므로 차량 C가 차단기(1)에 의해 멈춰있는 일은 없다.Thus,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rod 2 by the gear motor 9 becomes impossible due to the blackout, the stopper rod 2 automatically rises, so that the vehicle C is not stopped by the breaker 1.

상기 제어부(16)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대의 차단기(1,1)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고, 이 두 대의 차단기(1,1)는 도로공사장(13A)의 한쪽 교대통행 규제구역(13)의 진입구(14,15)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16)는 두 대의 차단기(1,1)에 각각 설치된 차량센서(6)의 상태모니터신호와 각 차단기(1,1)로부터 도로를 따라 15m 내지 30m 떨어져 설치된 제 2 차량센서(17)의 차량존재 데이터를 처리하고, 차단기(1,1)의 저지봉(2)의 구동회로와 신호기(4)의 신호회로에 적절한 신호를 발신해서 저지봉(2)의 개폐작동 및 신호기(4)의 청색등과 적색등을 교대로 점멸동작을 시키는 것이다.11 and 12, the control unit 16 is connected to the two breakers (1, 1) by wireless or wired, these two breakers (1, 1) is one side of the road construction site 13A It is provided at the entrances 14 and 15 of the shift passage control area 13, respectively. The controller 16 controls the state monitor signal of the vehicle sensors 6 installed in the two breakers 1 and 1 and the second vehicle sensors 17 installed 15 m to 30 m apart from the breakers 1 and 1 along the road. The vehicle presence data is processed, and appropriate signals are sent to the driving circuit of the stopping rod 2 of the breakers 1 and 1 and the signal circuit of the signaling device 4 to open and close the blocking rod 2 and to operate the signaling device 4. The blue and red lights alternately flash.

즉, 상향 차량 C를 한쪽 통행시키는 상태에서 대기를 위해 정지하고 있는 하향 차량 C를 하향 차량 C용 차단기(1)의 차량센서(6) 및 제 2 차량센서(17)가 검지했을 시는 이 차량센서(6) 및 제 2 차량센서(17)의 검지신호에 의해 제어부(16)는 차량센서(6)와 제 2 차량센서(17)사이에 소정수의 하향 차량 C가 대기중이라 판단하고, 상향 차량 C용 차단기(1)의 저지봉(2)을 닫음과 동시에, 이 차단기(1)의 신호기(4)를 정지신호(적색등)으로 전환하기위한 지령신호를 발신한다. 그리고, 한쪽 교대통행 규제구역(13)을 통과중의 상향 차량 C 전부가 같은 구역(13)을 통과한 시점에서 제어부(16)는 하향 차량 C용 차단기(1)의 저지봉(2)를 여는 것과 함께, 이 차단기(1)의 신호기(4)의 신호를 진행신호(청색등)으로 전환하기 위한 지령신호를 발신해서 대기하고 있는 하향 차량 C를 진행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6)는 상기 제어내용을 반복함으로써 상향 차량 C와 하향 차량 C를 교대로 한쪽 교대통행 규제구역(13)을 통과시킨다.That is, when the vehicle sensor 6 and the second vehicle sensor 17 of the down-vehicle C circuit breaker 1 detect the down-vehicle C which is stopped for waiting in the state where one side of the up-vehicle C is made to pass, this vehicle is detected.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sensor 6 and the second vehicle sensor 17, the control unit 16 determines that a predetermined number of downward vehicles C are waiting between the vehicle sensor 6 and the second vehicle sensor 17. At the same time as closing the stopping rod 2 of the breaker 1 for the up-vehicle C, a command signal for switching the signal 4 of the breaker 1 to a stop signal (red light) is transmitted. Then, the control unit 16 opens the blocking rod 2 of the breaker 1 for the downward vehicle C at the time when all of the upstream vehicle C passing through the one shift control region 13 passes the same region 13. In addition, a command signal for switching the signal of the signal breaker 4 of the circuit breaker 1 to a progress signal (blue light) is sent to advance the waiting vehicle C that is waiting. The controller 16 repeats the above-described control to alternately pass the uplink vehicle C and the downlink vehicle C alternately through one of the alternating traffic control zones 13.

또한 챠량센서(6)와 제 2 차량센서(17)와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차량 C의 진행하는 수에 따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즉 간격을 좁히면 야간등의 차량 C의 진행수가 적은 시간대에 대처할 수 있고, 간격을 넓히면 차량 C의 진행수가 많은 시간대에 대처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sensor 6 and the second vehicle sensor 17, it is possible to control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vehicle C. That is, narrowing the interval can cope with a time when the number of progresses of the vehicle C, such as night, is small, and widening the interval can cope with a time when the number of progresses of the vehicle C is high.

또 제어부(16)는 상기 제어내용에 한정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신호기(4)의 신호전환시간 및 저지봉(2)의 개폐시간에 따라 신호기(4)의 신호의 전환 및 저지봉(2)의 개폐를 하는 제어내용으로 해도 좋다.In addition, the control part 16 is not limited to the said control content. For example, it is good also as control content which switches the signal of the signal signal 4, and opens and closes the stop rod 2 according to the signal switching time of the signal signal 4 previously set, and the opening / closing time of the blocking rod 2. As shown in FIG.

또, 차단기(1)은 저지봉(2)의 꺾여짐을 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저지봉 꺾여짐 검지센서 및 장해물을 검지하는 도면외의 장해물 센서의 상태 스위치에 의해 동작을 하는 것으로, 상태스위치의 상태신호를 제어부(16)에 발신하고, 제어부(16)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의거해 동작을 실시하며, 동작상황의 신호를 제어부(16)에 반신하므로써 자동제어에 의해 한쪽 교대통행 규제 구역(13)의 상향과 하향의 차량 C를 교대로 통행시켜 차량 C를 정체하는 일 없이 부드럽게 흐르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eaker 1 is operated by a state bar of a stop rod bend detection sensor (not shown) which detects the break of the stop rod 2 and a state switch of an obstacle sensor other than the figure which detects the obstacle, and thus the state signal of the state switch.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6, the oper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command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6, and the signal of the operation status is returned to the control unit 16. The vehicle C up and down can be alternately made to flow smoothly without stalling the vehicle C.

상기 장해물 센서는 저지봉(2)의 폐동작의 장해가 되는 장해물, 특히 진입하는 차량 C를 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16)는 장해물센서의 장해물 검지신호를 받아 폐동작중의 저지봉(2)을 개동작으로 옮기고, 장해물센서가 장해물을 검지하지 않았을 시에는 상술한 차량센서(6) 및 제 2 차량센서(17)의 차량검지신호에 의해 차량수를 판단하며, 차량수에 따라 신호기의 신호전환 및 저지봉(2)의 개폐를 해서 차량 C를 정체시키는 일 없이 진행시키는 것이다.The obstacle sensor detects an obstacle that is an obstacle of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topping rod 2, in particular, a vehicle C entering. The control unit 16 receives the obstacle detection signal of the obstacle sensor and moves the blocking rod 2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to the open operation, and when the obstacle sensor does not detect the obstacle, the vehicle sensor 6 and the second vehicle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vehicles is judged by the vehicl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17, and the signal C of the signal is switched and the stop bar 2 is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vehicles to proceed without stagnation of the vehicle C.

또 차단기(1)는 저지봉(2) 및 신호기(4)의 제어에 대해 자동제어와 수동제어의 전환을 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 수동제어로서 완전수동형과 반수동형의 어느 한형을 채용해도 좋다. 완전수동형은 저지봉(2)의 개폐와 신호기(4)의 신호등의 운동을 담당자의 눈 판단으로 수동리모콘 조작에 의해 제어하는 것으로 주로 긴급시에 사용된다. 반수동형은 두 대의 차단기중 한 대의 차단기(1)를 모기(친기)로 한사람의 담당자가 눈 판단으로 수동리모콘 조작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고, 또 한 대의 차단기(1)는 모기의 동작과 연동하며 주로 작업현장이 복잡하고 공사용 차량이 많은 경우에 사용된다.The breaker 1 is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automatic control and manual control with respect to the control of the stop bar 2 and the signal detector 4. As the manual control, either a fully passive type or a semi-passive type may be adopted. The fully manual type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top bar 2 and the movement of the signal of the signal unit 4 by manual remote control operation at the eyes of the person in charge, and is mainly used in an emergency. Semi-passive type is one of two circuit breakers (1) is a mosquito (main body) by a person in charge to control by manual remote control by eye judgment, another breaker (1) is linked to the operation of the mosquito mainly It is used when the work site is complex and there are many construction vehicles.

또 상기 자동제어로 완전자동형과 반자동형 어느 한형을 채용해도 좋다. 완전자동형은 차량센서(6) 및 제 2 차량센서(17)의 데이터를 시스템판단해서 지령신호를 각 차단기(1)에 발신함으로써 제어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As the automatic control, either a fully automatic type or a semi-auto type may be adopted. The fully automatic type is generally used to control the system by judging data of the vehicle sensor 6 and the second vehicle sensor 17 and sending a command signal to each breaker 1.

반자동형은 완전자동형에 끼어 들어 처리를 하는 경우 담당자의 수동리모콘 조작이 행해졌을 시에 이 수동조작을 우선하는 제어를 하는 것으로 구급차등의 긴급용 차량이나 공사용 차량의 통과를 우선시킬 시에 사용된다.Semi-automatic type is used to control the priority of the passage of emergency vehicle or construction vehicle such as ambulance when the manual remote control operation of the person in charge is performed when the process is inserted into the fully automatic type. do.

도 13 내지 도 16은 저지봉(2)을 좌우 양방향으로 꺾임 자유자재로 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부터 진입하는 차량 C뿐 아니라 역방향으로터 진입하는 차량 C에 대해서도 저지봉(2)이 꺾여지게 되어 있다.13 to 16 show a structure in which the stopping rod 2 is bent freely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at is, as described above, not only the vehicle C entering from one direction but also the vehicle C entering from the reverse direction, the stopping rod 2 is bent.

저지봉 지지받이(75)는 양측판(75A), Top 판(75B), Base 판(75C) 및 단부판 (75D)으로 직사각형 상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저지봉(2)이 설치되는 측에는 개구부(75A)를 설치하고 있으며, 개구부(75A)의 내부에는 속판(75E)가 설치되어 있다.The stopper support plate 75 is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with both side plates 75A, top plate 75B, base plate 75C, and end plate 75D, and has an opening on the side where the stopper bar 2 is installed. 75 A is provided, and the inner plate 75E is provided in 75 A of opening parts.

저지봉 지지받이(75)의 개구부(75A)의 좌우양측에는 단면원형의 제 1 종핀 (76) 및 제 2 종핀(77)이 설치되고, 저지봉 지지받이(75)의 측판(75)과 제 1 종핀(76) 사이에는 후술할 회전판(78)의 제 1 걸림부(78B)를 삽입하기 위한 간격 (79)이 형성되어 있고, 저지봉 지지받이(75)의 측판(75A)과 제 2 종핀(77)사이에는 회전판(78)의 제 2 걸림부(78C)를 삽입하기 위한 간격(80)이 형성되어 있다.A first longitudinal pin 76 and a second longitudinal pin 77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pening 75A of the stopper support 75, and the side plates 75 and the first stop pin 75 of the stopper support 75 are provided. A gap 79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ins 76 to insert the first engaging portion 78B of the rotating plate 78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ide plate 75A and the second vertical pins of the stopping rod support 75 are provided. An interval 80 for inserting the second engaging portion 78C of the rotating plate 78 is formed between the 77.

제 1 종핀(76) 및 제 2 종핀(77)의 상하양단은 나사(81)로 Top 판(75B)과 Base판(75C)에 고정되어 있다.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longitudinal pin 76 and the second longitudinal pin 77 are fixed to the top plate 75B and the base plate 75C with screws 81.

저지봉 지지받이(75)의 개구부(75A)에는 회전판(78)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판(78)은,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형 회전판 본체(78A)와, 회전판 본체(78A)의 좌우양측에 형성되는 평면단면 갈고리형의 제 1 걸림부(78B) 및 제 2 걸림부(78C)와, 회전판 본체(78A)의 배면 중부부터 뒤로 돌출되는 연결공(78H)부착 연결편(78D)과, 회전판 본체(78A)의 배면 상부 및 하부부터 뒤로 돌출 설치된 고정공(78I) 부착의 고정편(78E,78E)과, 회전판 본체(78)의 위 가장자리부 및 아래 가장자리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상 위치 결정 고정편(78F) 및 하 위치 결정 고정편(78G)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rotating plate 78 is provided in the opening portion 75A of the stopping rod support base 75. 13 to 16, the plate-shaped rotary plate main body 78A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78B and the flat cross-sectional hook-shaped hooks form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otary plate main body 78A and the first rotary plate 78A are shown in FIGS. 2 engaging part 78C, the connection piece 78D with the connection hole 78H which protrudes from the back center part of the rotating plate main body 78A, and the fixing hole 78I provided which protruded from the back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rotation plate main body 78A. ) Fixing pieces 78E, 78E, upper positioning pieces 78F and lower positioning pieces 78G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rotating plate main body 78. It is.

제 1 걸림부(78B)의 내주측은 제 1종핀(76)의 원주길이의 약 4/1의 길이에 걸쳐 접촉하도록 둥굴게 설치되고, 제 2 걸림부(78C)의 원주측은 제 2 종핀(77)의 원주길이의 약 4/1의 길이에 걸쳐 접촉하도록 둥굴게 설치되어 있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78B is rounded so as to contact over the length of about 4/1 of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first type pin 76, and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second locking portion 78C is the second longitudinal pin 77. It is installed roundly so as to contact over the length of about 4/1 of the circumference length of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판(78)의 연결편(78D)의 양측과 제 1 걸림부 (78B) 및 제 2 걸림부(78C)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종핀(76,77)이 끼워지는 간격 (82)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판(78)의 고정편(78E, 78E)의 양측과 제 1 걸림부(78B) 및 제 2 걸림부(78C)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종핀 (76,77)이 끼워넣어진 간격(83)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판(78)의 상하의 위치결정 고정편(78F,78G)의 양측과 제 1 및 제 2 걸림부 (78B,78C)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종핀(76,77)이 끼워넣어지는 간격(84)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pins 76 and 77 are fitted betwee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iece 78D of the rotating plate 78 and between the first locking portion 78B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78C. The gap 82 is form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6,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pins 76, between both sides of the fixing pieces 78E and 78E of the rotating plate 78, and between the first locking portion 78B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78C. The space | interval 83 into which 77 is inserted is formed. As shown in Fig. 15,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pins 76,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ing fixing pieces 78F, 78G of the rotating plate 78, and the first and second catching portions 78B, 78C. An interval 84 into which 77 is fitted is formed.

그리고, 도 13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판(78)의 연결편(78D)과 고정편(78E,78G)과 상하의 위치결정 고정편(78F,78G)을 개구부(75A)로부터 저지봉 지지받이(75)내에 삽입함과 동시에 회전판(78)의 제 1 및 제 2 걸림부(78B,78C)를 제 1 및 제 2 종핀(76,77)에 끼워 넣음으로써 회전판(78)이 저지봉 지지받이(75)의 개구부(75A)에 설치되고, 또 회전판(78)의 상하의 위치결정 고정편(78F,78G)가 저지봉 지지받이(75)의 Top 판(75B)과 Base 판(75C)에 슬라이드 자유자재로 접촉하므로써 회전판(78)의 상하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다.13 and 16, the connecting piece 78D, the fixing pieces 78E, 78G, and the upper and lower positioning fixing pieces 78F, 78G of the rotating plate 78 are supported by the stopper rod from the opening 75A. The rotary plate 78 is supported by the stop rod by inserting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78B and 78C of the rotary plate 78 into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pins 76 and 77 at the same time. It is provided in 75 A of opening part of 75, and the upper and lower positioning fixing piece 78F, 78G of the rotating plate 78 slides in the top plate 75B and the base plate 75C of the stopper support base 75, respectively. By contacting freely, the movement of the rotating plate 78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restricted.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지봉 지지받이(78)내에는 댐퍼(37)가 수납되어 있다. 댐퍼(37)는 가스실린더(37B)와 이 가스실린더(37B)의 상하에 설치된 인장 스프링(37A)으로 구성되어 있고, 인장 스프링(37A)의 양단에는 훅(37C)이 설치되고, 가스실린더(37B)의 양단에는 연결편(37D)이 설치되어 있다. 인장 스프링(37A)의 일단의 훅(37C)은 회전판(78)의 고정편(78E,78F)의 고정공(78I)에 걸려있고, 인장 스프링(37A)의 타단의 훅(37C)은 저지봉 지지받이(75)의 속판(75E)에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75F)에 걸려 있다. 또 가스실린더(37B)의 일단부의 연결편(37D)은 회전판(78)의 연결편(78D)에 핀(75J)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 자유자재로 연결되어 있고, 가스실린더(37B)의 타단부의 연결편(37D)은 저지봉 지지받이(75)의 속판 (75E)에 고정된 연결 플레이트(75G)에 핀(75K)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 자유자재로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damper 37 is accommodated in the stopper support base 78. As shown in FIG. The damper 37 is composed of a gas cylinder 37B and a tension spring 37A provided above and below the gas cylinder 37B. A hook 37C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ension spring 37A, and a gas cylinder ( The connecting piece 37D is provided at both ends of 37B). The hook 37C of one end of the tension spring 37A is caught in the fixing hole 78I of the fixing pieces 78E, 78F of the rotary plate 78, and the hook 37C of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spring 37A is a stop bar. It hangs on the fixed plate 75F fixed to the inner plate 75E of the support base 75.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connecting piece 37D of one end of the gas cylinder 37B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ece 78D of the rotary plate 78 in a horizontally rotatable manner by the pin 75J, and the other end of the gas cylinder 37B is provided. The connecting piece 37D is freely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pin 75K to the connecting plate 75G fixed to the inner plate 75E of the stopper support base 75.

도 13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판(78)의 표면측의 중앙에는 저지봉(2)의 기단이 회전판(78)과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3 and FIG. 16, the base end of the stopping rod 2 is fixed perpendicularly to the rotating plate 78 at the center of the surface side of the rotating plate 78.

따라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C가 화살표(X)의 방향에서 진입해서 저지봉(2)에 닿은 경우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낸바와 같이 회전판(78)의 제 2 걸림부 (78C)가 제 2 종핀(77)으로부터 벗어나고, 회전판(78)은 제 1 종핀(76)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저지봉(2)은 화살표(X) 방향으로 꺾여진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6, when the vehicle C enter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X and touches the stopping rod 2, the second locking portion 78C of the rotating plate 78 is second as shown by the double-dotted line. Departing from the longitudinal pin 77, the rotary plate 78 is rotated about the first longitudinal pin 76, the stopper bar 2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X).

또 동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C가 회살표(Y)의 방향 (화살표 X의 방향과는 역방향)에서 진입해서 저지봉(2)에 닿은 경우는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판(78)의 제 1 걸림부(78B)가 제 1 종핀(76)에서 벗어나 회전판(78)은 제 2 종핀(77)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저지봉(2)은 화살표(Y)의 방향으로 꺾여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vehicle C enter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Y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X) and touches the stopping rod 2,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of the rotating plate 78 The first locking portion 78B moves away from the first longitudinal pin 76, and the rotating plate 78 rotates about the second longitudinal pin 77 so that the stopping rod 2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Y.

그리고, 회전한 저지봉(2) 및 회전판(78)은 댐퍼(37)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Then, the rotated bar 2 and the rotating plate 78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state by the damper 37.

이렇게 저지봉(2)은 좌우 양방향으로 꺾임 자유자재로 되어 있으므로 예를들면 상기 한쪽 교대통행 규제구역에 있어 상향과 하향의 어느 한쪽의 차량 C가 저지봉(2)에 닿더라도 저지봉(2)의 파손등을 방지할 수 있다.Thus, since the stop bar 2 is free to be bent in both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or example, even if the vehicle C, which is either up or down, touches the stop bar 2 in the one-way traffic control area, the stop bar 2 Can be damaged.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고착구(52)와 지지구(53)로 된 고정구(54)를 이용해 구동 케이스(48)를 베어링대(47) 위에 착탈 자유자재로 설치했으나 도시하지 않은 이른바 패칭 자물쇠로 구동 케이스(48)를 베어링대(47)에 착탈 자유자재로 설치해도 좋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drive case 48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earing stand 47 using the fixing tool 54 formed of the fixing tool 52 and the supporter 53, but with a so-called patching lock not shown. The drive case 48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earing base 47.

도 17은 두 대의 차단기(1,1)를 일반 주차장의 출구(68) 및 입구(69)에 각각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FIG. 17 shows a state in which two breakers 1 and 1 are provided at the exit 68 and the entrance 69 of the general parking lot, respectively.

이 두 대의 차단기(1,1)의 제어내용은 주차장내의 차량이 주차장의 수용능력을 넘지않도록 차단기(1,1)의 각각의 저지봉(2) 및 신호기(4)를 제어하는 것이다.The control contents of the two breakers 1 and 1 control the respective stop rods 2 and the beacon 4 of the breakers 1 and 1 so that the vehicle in the parking lot does not exceed the capacity of the parking lot.

즉, 주차장이 만차가 아닐 때에 입구(69)에 위치하는 차단기(1)의 차량센서 (6)가 진입차량을 검지하면 제어부(16)는 이 검지신호에 의거해 입구(69)측의 차단기(1)의 저지봉(2)을 열고, 동시에 이 차단기(1)의 신호기(4)의 신호를 진행신호(청색등)로 전환하기 위한 지령신호를 발생해서 차량을 주차장내에 진입시킨다. 한편, 주차장이 만차가 되었을 시에 입구(69)에 위치하는 차단기(1)의 차량센서(6)가 진입차량을 검지하면 제어부(16)는 이 검지신호에 의거해 차단기(1)의 저지봉(2) 및 신호기(4)를 제어해서 차량의 진입을 저지한다. 또 만차의 주차장으로부터 나온 차량을 출구(68)측 차단기(1)의 차량센서(6)가 검지하면 제어부(16)는 이 검지신호에 의거해 입구(69)측의 차단기(1)의 저지봉(2) 및 신호기(4)를 제어해서 입구측에서 대기중의 차량을 주차장내에 진입시킨다.That is, when the vehicle sensor 6 of the breaker 1 located at the entrance 69 detects the entry vehicle when the parking lot is not full, the control unit 16 controls the breaker at the entrance 69 sid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The stop rod 2 of 1) is opened, and at the same time, a command signal for converting the signal of the signal breaker 4 of the breaker 1 into a progress signal (blue light) is generated to allow the vehicle to enter the parking lot. On the other hand, if the vehicle sensor 6 of the breaker 1 located at the entrance 69 detects the entry vehicle when the parking lot is full, the controller 16 stops the stopper of the breaker 1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2) and the beacon 4 are controlled to prevent entry of the vehicle.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sensor 6 of the breaker 1 of the exit 68 detects the vehicle exiting the parking lot of full capacity, the control unit 16 stops the blocking rod of the breaker 1 of the inlet 69 side based on this detection signal. (2) and the beacon 4 are controlled to enter the waiting vehicle in the parking lot from the entrance side.

도 18은 두 대의 차단기(1,1)를 건축공사현장의 외벽(73)의 양측에 위치하는 출구(70) 및 입구(71)에 각각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FIG. 18 shows a state in which two breakers 1 and 1 are provided at the outlet 70 and the inlet 71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wall 73 of the construction site, respectively.

이 두 대의 차단기(1,1)를 제어하는 제어부(16)의 제어내용은 현장부지내에 다수의 공사차량이 도입되는 경우, 예를 들면 콘크리트 타설시에 다수의 콘크리트믹서차가 도입될 경우는 현장이 혼란하지 않도록 제어부(16)에 의해 상기 두 대의 차단기(1,1)의 저지봉(2) 및 신호기(4)를 제어하는 것이다.The control content of the control unit 16 for controlling the two breakers 1 and 1 indicates that when a large number of construction vehicles are introduced into the site site, for example, when a large number of concrete mixer cars are introduced during concrete placement, In order not to be confused, the control unit 16 controls the stopping rods 2 and the signal unit 4 of the two circuit breakers 1 and 1.

즉 현장부지내의 공사차량이 소정수에 달하지 않을 시에 진입공사 차량을 입구(71)측의 차단기(1)의 차량센서(6)가 검지하면 제어부(16)는 이 검지신호에 근거해 입구(71)측의 차단기(1)의 저지봉(2) 및 신호기(4)를 제어해서 공사차량을 현장부지내에 들인다. 한편 현장부지내의 공사차량이 소정수에 달했을 시에 진입공사차량을 입구(71)측의 차단기(1)의 차량센서(6)가 검지하면, 제어부(16)는 이 검지신호에 근거해 차단기(1)의 저지봉(2) 및 신호기(4)를 제어해서 공사차량의 진입을 저지한다. 또 공사차량이 소정수에 달한 현장부지내로부터 나온 차량을 출구(68)측의 차단기(1)의 차량센서(6)가 검지하면, 제어부(16)는 이 검지신호에 근거해 입구(71)측의 차단기(1)의 저지봉(2) 및 신호기(4)를 제어해서 입구(71)에서 대기하는 공사차량을 현장부지내에 넣는다.That is, when the vehicle sensor 6 of the breaker 1 of the inlet 71 side detects the entrance construction vehicle when the construction vehicle in the site site does not reach a predetermined number, the controller 16 controls the entranc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The stopping rod 2 and the signal detector 4 of the circuit breaker 1 on the 71 side are controlled to bring the construction vehicle into the site site.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sensor 6 of the breaker 1 on the inlet 71 side detects the entry construction vehicle when the construction vehicle in the site site reaches a predetermined number, the control unit 16 determines the breaker ( The stop rod 2 and the signal 4 of 1) are controlled to prevent entry of the construction vehicle.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sensor 6 of the breaker 1 on the exit 68 side detects a vehicle that has come out of the site site where the construction vehicle reaches a predetermined number, the control unit 16 determines the entrance 71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The stop rod 2 and the beacon 4 of the breaker 1 on the side are controlled to put the construction vehicle waiting at the entrance 71 into the site site.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단기(1)의 맞은 측에 차단기(1)의 신호기(4)와는 다른 신호기(4A)를 설치해도 좋다. 이 다른 신호기(4A)는 제어부(16)로 제어되고, 차단기(1)의 신호기(4)의 신호와 같은 내용의 신호를 운전자에게 보냄으로써 운전자에 의한 신호의 보지못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FIG. 18, you may provide the signal 4A different from the signal 4 of the circuit breaker 1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ircuit breaker 1. As shown in FIG. This other signal 4A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6, and is for preventing the driver from seeing the signal by sending a signal having the same content as that of the signal 4 of the breaker 1 to the driver.

도 19는 차량입출관리를 하는 공장 병원등의 차량의 출입과 입구가 병용된 입출구(72)에 한 대의 차단기(1)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Fig. 19 shows a state in which one breaker 1 is provided at an entrance and exit 72 in which entrance and exit of a vehicle, such as a factory hospital, which manages vehicle entry and exit, are used together.

차단기(1)를 제어하는 제어부(16)의 제어내용은 공장 병원등의 종류나 규모등에 따라 다르고, 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대의 차단기(1)에 의한 차량입출관리가 행해질 수 있게 되었다.The control contents of the control unit 16 for controlling the breaker 1 vary depending on the type and size of the factory hospital and the like, and as illustrated, vehicle access control by the single breaker 1 can be performed.

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기(1)는 출입구(72)에 인접하는 외벽(74)의 가까이에 설치되고, 차단기(1)의 맞은 편에는 운전자에 의한 신호의 못봄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16)에 의해 제어되는 신호기(4A)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circuit breaker 1 is installed near the outer wall 74 adjacent to the doorway 72, and the control unit 16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ircuit breaker 1 to prevent the driver from seeing a signal. 4A, which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의 차단기에 의하면, 개폐동작에 의해 차량의 진입 및 정지의 제어를 하는 저지봉을 차단기 본체에 착탈 자유자재로 설치하므로, 길이가 긴 저지봉을 차단기 본체로부터 떼내어 컴펙트하게 정리해 반송할 수 있고, 운반작업이 용이하고, 현장에서의 차단기의 설치작업 및 현장으로부터의 철거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ircuit breaker of claim 1, since the blocking rod for controlling the entry and stop of the vehicle by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freely attached to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the long blocking rod is removed from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It can be conveyed in a simple manner, conveyance is easy, and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breaker at the site and the removal from the site can be promptly performed.

청구항 2 의 차단기에 의하면, 구동 케이스를 베어링대에 착탈 자유자재로 설치해서 상기 차단기 본체를 형성했으므로 차단기를 더욱 세분할 수 있고, 차단기의 운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circuit breaker of claim 2, since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is formed by attaching a drive case to a bearing stand freely and detachably, the circuit breaker can be further subdivided and the conveyance of the circuit breaker becomes easy.

청구항 3 의 차단기에 의하면, 저지봉을 차량의 진입방향으로 꺾어짐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했으므로 차량이 정지위치를 오버한 경우라도 저지봉이 파손되지 않고 차량이 상처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ircuit breaker of claim 3, since the stopping rod is configured to be bent in the direction of entry of the vehicle, the stopping rod is not damaged and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even when the vehicle exceeds the stop position.

청구항 4 의 차단기에 의하면, 꺾여진 상기 저지봉은 자동적으로 복귀하므로 저지봉의 복귀작업에 수반하는 차량의 정체를 회피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ircuit breaker of claim 4, since the buckled rod is automatically returned, congestion of the vehicle associated with the return operation of the jersey rod can be avoided.

청구항 5 의 차단기에 의하면, 차량센서의 챠량의 검지신호에 의해 차량의 통행상태를 파악하고, 이 차량의 통행상황에 따라 상기 신호기의 신호전환 및 상기 저지봉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추었으므로 담당자의 판단미스등을 없앨 수 있고, 차량을 정체시키는 일 없이 부드럽게 진행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ircuit breaker of claim 5,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etect a traffic state of the vehicle by means of a vehicle detection signal of the vehicle sensor, and to control the signal switching of the signal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locking rod according to the traffic state of the vehicle. I can eliminate the mistake of judgment and can make it go smoothly without stopping the vehicle.

청구항 6 의 차단기에 의하면, 차량의 통행수등과의 관계로부터 자동제어할 수 없는 경우는 저지봉의 개폐 및 신호기의 신호의 전환을 수동제어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ircuit breaker of claim 6, in the case where automatic control cannot be made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number of passes of the vehicle or the lik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locking rod and the switching of the signal of the signal can be controlled manually.

청구항 7 의 차단기에 의하면, 차량의 통행수가 안정된 장소에서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저지봉의 개폐 및 신호기의 신호 전환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ircuit breaker of claim 7, the stopper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signal can be switched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time at a place where the number of passages of the vehicle is stable.

청구항 8 의 차단기에 의하면, 장해물 센서가 장해물을 검지해서 폐동작중의 저지봉을 개동작으로 옮겨서 저지봉이 장해물을 회피하고, 장해물 센서에 의해 장해물을 검지하지 않았을 시에는 통상의 제어로 저지봉의 개폐를 하므로 장해물에 의해 차량이 정체하는 일이 없어진다.According to the circuit breaker of claim 8, the obstacle sensor detects the obstacle and moves the blocking rod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to the open operation so that the blocking rod avoids the obstacle and when the obstacle sensor is not detected by the obstacle senso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locking rod is carried out under normal control. This prevents the vehicle from stalling due to obstacles.

Claims (8)

개폐동작으로 차량의 진입 및 정지 제어를 하는 저지봉을 차단기 본체에 착탈 자유자재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A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jersey rod for controlling the entry and stop of the vehicle b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freely attached to the circuit breaker body. 청구항 1 에 있어, 구동케이스를 베어링대에 착탈 자유자재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차단기 본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is formed by attaching a drive case to a bearing stand freely. 개폐동작으로 차량의 진입 및 정지 제어를 하는 저지봉을 차량의 진입방향으로 꺾임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able to be bent in the direction of entry of the jersey bar to control the entry and stop of the vehicle b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청구항 3 에 있어, 꺾여진 상기 저지봉을 자동적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4.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break bar is automatically returned. 개폐동작으로 차량의 진입 및 정지 제어를 하는 저지봉과,A jersey rod for controlling the entry and stop of the vehicle by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진입차량을 검지하는 차량센서와,A vehicle sensor detecting an entry vehicle, 진입신호 및 정지신호의 전환을 하는 신호기와,A signal for switching the entry signal and the stop signal, 상기 차량센서의 차량의 검지신호에 의해 차량의 통행상황을 판단하고, 이 차량의 통행상황에 따라 상기 신호기의 신호전환 및 상기 저지봉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에 의한 차량제어 시스템.A vehicle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traffic state of the vehicle based on a detection signal of the vehicle by the vehicle sensor, and controlling a signal switching of the signal and opening / closing of the blocking rod according to the traffic state of the vehicle; system. 청구항 5 에 있어, 상기 신호기 및 상기 저지봉의 자동제어/수동제어의 전환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에 의한 차량제어 시스템.The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switching between the automatic control / manual control of the signal and the stopper is enabled.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 에 있어, 상기 신호기의 신호 전환 시간 및 상기 저지봉의 개폐시간이 설정되고, 이 설정시간에 따라 상기 신호기의 신호전환 및 상기 저지봉의 개폐를 하는 상기 제어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에 의한 차량제어 시스템.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the signal switching time of the signal and the opening / closing time of the blocking rod are set, and the circuit breaker is provided with the control unit for switching the signal of the signal a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blocking rod according to the setting time. Vehicle control system.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의 어느 한항에 있어, 상기 저지봉의 폐동작의 장해가 되는 장해물을 검지하는 장해물 센서와,The obstacle sensor of any one of Claims 5-7 which detects the obstacle which becomes the obstacle of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aid stopper bar, 상기 저지봉의 폐동작중에 상기 장해물 센서가 상기 장해물을 검지했을 시에는 상기 저지봉을 폐동작으로부터 옮기고, 또 상기 장해물센서에 의해 상기 장해물을 검지하지 않았을 시에는 상기 차량센서의 차량의 검지신호에 의해 차량의 통행상황을 판단하며, 이 통행상황에 따라 상기 신호기의 신호전환 및 상기 저지봉의 개폐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에 의한 차량제어 시스템.When the obstacle sensor detects the obstacle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blocking rod, the blocking rod is moved out of the closing operation, and when the obstacle is not detected by the obstacle sensor, the vehicle detects the signal by the vehicle sensor. And a control unit for judging the traffic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the signal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locking rod according to the traffic condition.
KR1019990006503A 1998-02-26 1999-02-26 Lifting Gate and Vehicles Control System by Lifting Gate KR1999007298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HEI10-45743 1998-02-26
JP4574398 1998-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984A true KR19990072984A (en) 1999-09-27

Family

ID=12727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503A KR19990072984A (en) 1998-02-26 1999-02-26 Lifting Gate and Vehicles Control System by Lifting Gat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9990072984A (en)
TW (1) TW406156B (e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475B1 (en) * 2007-05-10 2008-08-26 문현민 The blocking bar automatic reinstatement equipment of interrupter for vehicle control
KR100862694B1 (en) * 2008-02-20 2008-10-10 주식회사 포스트엠비 Crossing gate for vehicle safety automatocally opening in powerfailure
KR100867674B1 (en) * 2008-04-07 2008-11-10 주식회사 베스트 일렉트로닉스 Crossing gate having function opening or closing wthein a 0.4 second
KR100867673B1 (en) * 2008-04-07 2008-11-10 주식회사 베스트 일렉트로닉스 Crossing gate for vehicle having automatic reversible crossing bar in bending cross bar
KR100870672B1 (en) * 2007-05-02 2008-11-26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 vehicle blocking system
KR100896765B1 (en) * 2007-08-31 2009-05-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Gate block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0956233B1 (en) * 2007-10-04 2010-05-04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 vehicle blocking system
KR101127074B1 (en) * 2009-10-08 2012-03-23 주식회사 제이디씨텍 Crossing gate system for vehicle of control
KR101234750B1 (en) * 2012-08-14 2013-02-19 권봉원 Block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393471B1 (en) * 2009-02-25 2014-05-13 니시니폰 고소쿠도로 파실리티즈 가부시키가이샤 Vehicle passage control device
KR101404110B1 (en) * 2013-06-05 2014-06-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latform crossing gate
CN112647446A (en) * 2020-12-16 2021-04-13 潍坊科技学院 Computer intelligent control's vehicle banister device that passes
WO2021195721A1 (en) * 2020-04-02 2021-10-07 K & L Ea Pty Ltd Portable boom gate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1650590A1 (en) * 2016-05-02 2017-11-03 Wexiö Maskinautomation Ab Roadwork safety arrangement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672B1 (en) * 2007-05-02 2008-11-26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 vehicle blocking system
KR100854475B1 (en) * 2007-05-10 2008-08-26 문현민 The blocking bar automatic reinstatement equipment of interrupter for vehicle control
KR100896765B1 (en) * 2007-08-31 2009-05-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Gate block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0956233B1 (en) * 2007-10-04 2010-05-04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 vehicle blocking system
KR100862694B1 (en) * 2008-02-20 2008-10-10 주식회사 포스트엠비 Crossing gate for vehicle safety automatocally opening in powerfailure
KR100867673B1 (en) * 2008-04-07 2008-11-10 주식회사 베스트 일렉트로닉스 Crossing gate for vehicle having automatic reversible crossing bar in bending cross bar
KR100867674B1 (en) * 2008-04-07 2008-11-10 주식회사 베스트 일렉트로닉스 Crossing gate having function opening or closing wthein a 0.4 second
KR101393471B1 (en) * 2009-02-25 2014-05-13 니시니폰 고소쿠도로 파실리티즈 가부시키가이샤 Vehicle passage control device
KR101127074B1 (en) * 2009-10-08 2012-03-23 주식회사 제이디씨텍 Crossing gate system for vehicle of control
KR101234750B1 (en) * 2012-08-14 2013-02-19 권봉원 Block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404110B1 (en) * 2013-06-05 2014-06-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latform crossing gate
WO2021195721A1 (en) * 2020-04-02 2021-10-07 K & L Ea Pty Ltd Portable boom gate apparatus
CN112647446A (en) * 2020-12-16 2021-04-13 潍坊科技学院 Computer intelligent control's vehicle banister device that pa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06156B (en) 200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2984A (en) Lifting Gate and Vehicles Control System by Lifting Gate
JP6401227B2 (en) Switchgear
JP5640118B2 (en) Mechanical switching body stop device for switchgear
KR100759957B1 (en) A lifting gate having an automatic return barrier bar
JPH11315517A (en) Crossing gate and vehicle control system thereby
JP2009127301A (en) Opening prevention method of opening/closing body for vehicle and opening prevention apparatus of opening/closing body
JP5524520B2 (en) Opening / closing member stop device for opening / closing device
US5261186A (en) Fire door closure reset system
JP5530667B2 (en) Opening / closing member stop device for opening / closing device
JP2000211859A (en) Elevator door device
KR20020051730A (en) cabin tilting device for truck
KR930003108Y1 (en) Refrigerator door
KR100645162B1 (en) Guide roller device to install optical ground wire under live line condition
JP5752829B2 (en) Opening / closing member stop device for opening / closing device
JP2013256864A (en) Opening and closing body stopping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3851311B2 (en) Gas station guard device
JPH11256532A (en) Chain gate
JPH0771125A6 (en) Garage safety management control device
JPH0336337A (en) Lift arm drop preventing device for shovel loader
JP2544677Y2 (en) Drive mechanism and drive unit of automatic gate for construction site
JP2015034463A (en) Opening/closing member stop device of opening/closing apparatus
KR200181393Y1 (en) Sense of chain&#39;s severance
JPH0748812A (en) Automatic crossing gate
KR100315262B1 (en) A safety device in parking lot
KR19990007850U (en) Mobile piercing device for vehicle escape preven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