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032A - 처리단을 갖는 이송라인 - Google Patents

처리단을 갖는 이송라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032A
KR19990072032A KR1019980704326A KR19980704326A KR19990072032A KR 19990072032 A KR19990072032 A KR 19990072032A KR 1019980704326 A KR1019980704326 A KR 1019980704326A KR 19980704326 A KR19980704326 A KR 19980704326A KR 19990072032 A KR19990072032 A KR 19990072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transfer line
base
control pane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너 알부스
호르스트 발머
토마스 바야하
율겐 카스퍼
지그문트 크밀니키
베렌드 덴케나
헬무트 에들러
베너 글로크
우베 괴르츠
한스 괴테
페터 헬러
볼프강 호른
칼-하인즈 랑
빌리 라이블레
게오르그 레우트게브
안드레아-다니엘라 마르클
루돌프 로이스
한스-베르너 슐츠
롤프 테우어러
베른드 발커
죄렌 벨브
헬무트 짐머만
디터 프뢰흘리흐
Original Assignee
하르퉁, 쿠프츠
휼러 휠레 게젤샤프트 미트 베슈랭크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퉁, 쿠프츠, 휼러 휠레 게젤샤프트 미트 베슈랭크터 filed Critical 하르퉁, 쿠프츠
Priority claimed from PCT/EP1996/005443 external-priority patent/WO1997021518A1/de
Publication of KR19990072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03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9/00Metal-working machines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each capable of performing a metal-work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09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기부(1), 이동될 수 있도록 처리유니트(4)가 착설된 중앙기부(1)의 측부를 따라 구성된 측방향 기부(5)와, 처리단을 위한 공급장치를 따라 공작물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이송라인에 관한 것이다. 이송라인에 대한 접근을 개선하고 구성 유니트를 단순화 하기 위하여 다음의 특징들이 제안된다. a) 공작물 이송방향을 따라 공급장치가 중앙기부(1)의 영역에 또는 그 상부에 배열되고, b) 공급장치가 짧고 분리가능한 연결부를 통하여 각 처리단에 연결되며, c) 차단장치가 수압, 윤활 및 공압을 위한 주요라인(23)에 제공되고, d) 차단장치(31)와 처리단 사이에 밸브(9)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블럭(10)이 제공된다. 또한 제어블럭(10)을 갖는 제어판넬(11)이 공작물 이송라인에 근접하여 제공되고 밸브 튜우브(23)를 통하여 분배블럭(8)에 연결되거나 수압, 윤활, 공압 등을 위한 주요라인(32)과 처리단의 소비처에 직접 연결되어야 한다.

Description

처리단을 갖는 이송라인
도 1과 도 2는 수개의 처리 유니트를 갖는 이송라인의 사시도.
도 3은 측방향 기부(5) 상에서 중앙기부(1)의 양측에 배치된 처리유니트(4)를 갖는 싸이클 유니트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이송라인의 중앙부분을 통한 수직 단면도.
본 발명은 중앙기부를 따라 공작물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 이동될 수 있도록 처리 유니트가 착설되는 중앙기부의 측부를 따라 구성된 측부기부와, 처리단을 위한 공급장치를 갖는 이송라인에 관한 것이다.
독일등록 실용신안 G 92 08 735.3 U1으로부터 이송라인에서 이동되는 공작물의 처리를 위한 처리단이 이송라인의 측방향으로 배열되고 처리단을 위한 공급라인이 측방향 유니트의 하측 과/또는 상측의 측부에서 이송라인에 평행하게 배치된 일반적인 이송라인이 알려져 있다. 이들 알려진 이송라인은 이들 자신의 공급라인과 이들 자신의 제어판넬이 이송라인의 양측에 배치된 처리단을 위하여 각각 외측에 배치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공작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를 갖는 테이블에 외측으로부터 처리단 사이로 직접 접근하기 위하여서는 작업자가 이송방향으로 주행하는 공급유니트의 상측 또는 하측을 통과하여야 한다. 이러한 구조물은 높이가 매우 높거나 통로가 협소하여 처리단과 이송라인에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 더우기 제어판넬이 양측에서 외측부에 착설되는 경우 처리단의 소비처, 특히 공압공구 텐션잭까지 기다란 유체라인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문제점을 가지지 아니하는 처리단을 갖는 개선된 이송라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과제의 해법은 청구범위 제 1 항과 제 2 항의 특징부에 기술되어 있다. 종속항인 제3항 - 제13항은 이러한 효과를 위한 합목적형의 구성을 포함한다.
청구범위 제 1 항에 따른 본 발명의 이송라인은 다음 사항을 특징으로 한다.
a) 공작물의 이송방향으로 주행하는 공급라인이 중앙기부의 영역 과/또는 그 상부에 단독으로 배열된다.
b) 공급라인이 짧고 분리가능한 연결부를 통하여 각 처리단에 연결된다.
c) 차단장치가 수압, 윤활, 공압 등의 주요수단에 착설된다.
d) 밸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블럭이 차단장치와 처리단 사이에 착설된다.
공작물 이송방향으로 주행하는 공급유니트는 전도체 레일, 케이블 덕트, 수압, 윤활, 공압 등의 주요 유체수단과 고압 및 저압의 냉각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들 모든 공급라인은 측방향 유니트의 상하에 배치되어서는 아니되고 중앙기부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고압 및 저압의 냉각제 수단은 중앙기부의 측부 또는 완전히 그 내부에 착설된다. 다른 공급유니트는 중앙기부의 상부 와/또는 공작물 이송트랙을 둘러 싸고 있는 중앙터널 상에 착설되는 것이 좋다. 청구범위 제 6 항에 따른 특정 구성형태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케이블 덕트, 전도체 레일과 수압, 윤활, 공압 등의 주요수단이 지지체의 측부 또는 상부에 고정되고 지지체는 장치의 만곡동체 와/또는 중앙기부 상에 배치된다. 이들 공급유니트는 중앙터널이 상부에서 조차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을 정도로 중앙터널의 중앙 평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중앙터널 커어버의 분리 후 공구와 공작물이 상부로부터 접근가능하게 되거나 또는 필요한 경우 상부로부터 설치되거나 상부측으로 분해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공급유니트는 상기 특징부 항목 (b)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짧고 분리가능한 연결부를 통하여 각 처리단에 연결된다. 케이블 덕트와 전도체 레일은 공작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된 가지채널을 통하여 연결되고 스위치 캐비넷은 측방향 기부의 단부영역에서 외측부에 배치된다. 이들 가지채널은 두 측방향 기부 사이의 접근영역이 중앙기부를 향하는 쪽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롭도록 측방향 기부영역에 그리고 그 상부에 배치된다. 이를 위하여 냉각제를 위한 고압 과/또는 저압수단은 측방향 기부에 일체로 된 라인 과/또는 측방향 기부에 단일 측방향 또는 양측방향으로 착설된 라인을 통하여 처리유니트에 연결된다. 처리유니트에 대한 냉각제 공급을 위한 밸브는 측방향 기부의 외측 단부에서 급수덕트 상에 착설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처리유니트가 중앙기부 측으로 곧바로 연장된 측방향 기부 사이의 측부로부터 접근을 방해할 수도 있는 공작물 이송방향 또는 이에 대한 횡방향으로 공급 유니트가 착설되지 아니한다.
전체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작동의 편의성을 개선하고 이송라인의 적응성을 현저히 개선한다.
작동으로부터 각 싸이클 유니트를 취하거나 가능하다면 가장 완벽한 모듈화된 구성스타일에 대하여 다른 싸이클 유니트와 관계 없이 이를 분리 및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특징부 항목 (c)에서 밝힌 바와 같이 차단장치 또는 삽입 코넥터를 수압, 윤활, 공압 등의 주요수단 또는 가능하다면 케이블 덕트와 전도체 레일에 배열하는 것이 예상된다.
주요수단에서 차단장치에 관련하여 처리단의 작동을 위한 차단장치에 가능한 한 가장 근접하게 밸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블럭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블럭은 종래의 경우와 같이 측방향 기부의 극단부에 착설되지 아니하고 중앙기부의 영역에 착설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수압 및 공압제어신호의 신호화 시간을 줄이는 것에 관련하여 처리단으로의 라인길이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수압, 공압 및 윤활밸브는 일측부로부터 투시할 수 있고 접근가능하며 기계가 운전중인 경우에도 조절이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부에 대한 다른 실시형태로서, 청구범위 제 2 항에서 밝힌 바와 같이 공작물의 이송트랙에 근접하여 또는 이송트랙의 상부에 배치된 공급유니트에 근접하여 제어블럭을 갖는 제어판넬을 착설하기 위한 하나의 이송라인이 제안되며, 제어블럭은 밸브 튜우브를 통하여 주요수단에 일체로 된 분배블럭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 제어블럭은 처리단의 소비처에 연결된다.
또한 제어블럭이 속하는 제어판넬은 처리단으로의 연결라인이 가능한 한 짧게 되고 구성이 매우 콤팩트 하다 하여도 외부로부터의 충분한 접근성과 보수유지 적응성이 제공될 수 있도록 배열된다.
각각 적당한 고정형 연결부를 갖는 하나의 분배블럭이 각 처리단을 위한 주요수단에 단위 구성체로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 밸브 튜우브를 갖는 사전조립형 분배블럭이 최단시간 내에 부분적으로 설치되거나 보수를 위하여 교환될 수 있다.
제어판넬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공작물의 이송트랙을 둘러싸는 중앙터널의 커어버로 구성하고 제어블럭을 제어판넬의 하측에 착설하며 제어판넬에 같은 방법으로 공작물을 위한 고정실린더를 고정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제어판넬은 단일분할형 또는 다중분할형 구조일 수 있으며 공급유니트와는 별도로 전체 유니트 또는 단일 구성요소로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는 장치기부동체의 수직 지지체 상에 착설될 수 있다. 제어판넬은 공작물 이송방향으로 싸이클 유니트의 전길이를 커어버토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단, 좋기로는 하나의 가공단과 공작물이 측정되고 모니터 되는 하나의 공전단을 커어버 한다. 제어판넬에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공작물의 처리시 발생되는 가스의 방출을 위한 흡인노즐 과/또는 압력방출 플랩이 배열될 수 있다. 제어판넬에는 공작물의 인출을 위한 잠금형의 한 개방부가 구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도면은 공작물(3)이 이동되는 장치기부동체(2)가 고정되는 중앙기부(1)를 보이고 있다. 측방향 기부(5)에서 처리유니트(4)는 공작물 이송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공작물(3)의 이송트랙에는 측방향으로 수직 지지체(21)가 장치기부동체(2)에 착설되고 제어판넬(11)이 이들 지지체 상에 놓인다. 일측 종방향 측부에서 지지체(11)는 지지체(22) 둘레의 상부를 향하여 길이가 연장되고 여기에서 공작물(3)의 이송방향으로 외측의 상측 단부에 케이블 덕트(6), 전도체 레일(7), 수압, 윤활 및 공압 등의 주요수단과, 주요수단(32) 사이의 분배블럭(8)이 고정된다. 지지체(22)에서 외측의 공급유니트의 배열에 의하여 고정 실린더(19)가 고정된 제어판넬(11), 흡인노즐(20)과 밸브 튜우브(23)(24)가 상부로부터 접근가능하게 되고 필요한 경우 공급유니트를 분해할 필요없이 언제든지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분배블럭(8)이 주요수단(32)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인접단의 주요수단(32)에서 차단콕크(31)를 폐쇄할 수 있다. 관련된 단의 분배블럭(8)의 밸브가 제어판넬(11)을 상부 측으로 분해할 수 있도록 폐쇄되는 경우에 분배블럭(8) 또는 제어블럭(10)에서 밸브 튜우브(23)의 연결상태가 느슨하게 될 수 있다. 제어판넬(11)은 장치기부동체(2)에 의하여 저면에서 그리고 지지체(21)에 고정된 외장체(27)에 의하여 측방향으로 구성된 중앙터널의 상부 커어버를 제공한다. 제어판넬(11)의 하측에는 자동작동형 밸브(9)를 갖는 제어블럭(10)이 배열된다. 밸브 튜우브(23)(24)는 상부로부터 제어판넬(11)을 통하여 안내되고 제어블럭(10)에 연결된다. 처리단의 여러 소비처에 대한 제어블럭의 중앙터널 내에 있는 연결수단은 도시하지 않았다. 일측 제어판넬로부터 인접한 제어판넬 측으로의 전이영역에서 가지채널(14와 15)이 공작물(3)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가지채널은 케이블 덕트(6), 전도체 레일(7) 및 분기박스(30)를 스위치 캐비넷(16과 17)에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이들 가지채널(14와 15) 역시 이들이 제어판넬(11)을 분해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제어판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이들 사이로 연장된다. 일반적으로 제어판넬(11)은 하나의 작업단과 하나의 공전단을 덮는다. 공전단의 영역에서 제어판넬(11)은 잠금형 개방부(29)를 가지며 이를 통하여 공작물이나 측정 및 시험장치가 상부로부터 용이하게 접근될 수 있다.
고압 냉각제 수단(12)과 저압 냉각제 수단(13)은 칩 슈트(33)의 하측에서 중앙기부(1) 내에 수용되고 측방향 기부(5)에 측방향으로 고정된 라인(28)을 통하여 각 처리유니트(4)에 연결된다. 측방향 기부(5) 상에 구성된 처리유니트(4)는 예를 들어 슬라이딩 도어로 구성되는 외장체(26)에 의하여 수용되는 반면에 공작물의 이송트랙으로 유도된 영역은 개방된 상태로 놓인다. 제어 캐비넷(16)이 가지채널(도시하지 않았음)을 통하여 전원회로 캐비넷에 연결된다. 전원회로 캐비넷(17)에는 냉각 집합체(18)가 도시되어 있다. 두 싸이클 유니트가 통상적인 연결스트립(25)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Claims (13)

  1. 중앙기부(1)를 따라 공작물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 이동될 수 있도록 처리 유니트(4)가 착설되는 중앙기부(1)의 측부를 따라 구성된 측방향 기부(5)와, 처리단을 위한 공급장치를 갖는 이송라인에 있어서, 공작물 이송방향으로 연장된 공급라인이 중앙기부(1)의 영역 내에 또는 그 상부에 배열되고, 공급라인이 짧고 분해가능한 연결부를 통하여 각 처리단에 연결되며, 차단장치(31)가 수압, 윤활, 공압 등을 위한 주요수단(32)에 배열되고, 밸브(9)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어블럭(10)이 차단장치(31)와 처리단 사이에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단을 갖는 이송라인.
  2. 중앙기부(1)를 따라 공작물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 이동될 수 있도록 처리유니트(4)가 착설되는 중앙기부(1)의 측부를 따라 구성된 측방향 기부(5)와, 처리단을 위한 공급장치를 갖는 이송라인에 있어서, 제어블럭(10)을 갖는 제어판넬(11)이 공작물의 이송트랙에 근접하여 착설되고 상기 제어블럭이 한편으로는 밸브 튜우브(23)를 통하여 분배블럭(8)에 연결되거나 수압,윤활,공압등의 주요수단(32)에 직접 배열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처리단의 소비처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라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당한 고정형 연결부를 갖는 분배블럭(8)이 구성 유니트로서 각 처리단을 위한 주요수단(32)에 설치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라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블럭(10)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공작물의 이송트랙을 둘러싸는 중앙터널의 커어버로 구성되고 공작물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실린더(19)가 고정되는 제어판넬(11)의 하측에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라인.
  5. 제 2 항 -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판넬(11)이 장치기부동체(2)의 지지체(21) 상에 놓이고, 단일분할형 또는 다중분할형의 구성이며 공급유니트(6, 7, 8, 14, 15)와 관계 없이 전체 유니트 또는 구성부품으로서 분리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라인.
  6. 전기 청구범위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작물 이송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 덕트(6), 전도체 레일(7)과 수압, 윤활 및 공압 등의 주요수단(32)이 지지체(21, 22)의 측방향에 또는 장치기부동체(2) 상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라인.
  7. 전기 청구법위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덕트(6) 와/또는 전도체 레일(7)이 제어판넬(11)의 측방향 또는 이들 사이로 연장된 가지채널(14, 15)를 통하여 측방향 기부(5)의 단부영역에서 외측에 배열된 스위치 캐비넷(16, 17)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라인.
  8. 전기 청구범위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작물 이송방향으로 각 제어판넬(11)이 두개의 단, 즉 하나의 작업단과 하나의 공전단을 덮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라인.
  9. 전기 청구범위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공정시 발생되는 가스의 배출을 위한 흡인노즐(20) 과/또는 압력방출 플랩이 제어판넬(11)에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라인.
  10. 전기 청구범위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터널로부터 상부측으로 공작물을 인출하기 위한 잠금형 개방부(29)가 제어판넬(11)에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라인.
  11. 전기 청구범위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제를 위한 고압 과/또는 저압수단(12, 13)이 중앙기부(1)에 일체가 되거나 중앙기부(1)의 측방향에 착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라인.
  12. 제 11 항에 있어서, 냉각제를 위한 고압 과/또는 저압수단(12, 13)이 측방향기부(5)에 일체이거나 측방향 기부(5)에 단일측방향 또는 양측방향으로 착설된 라인(28)을 통하여 처리유니트(4)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라인.
  13. 전기 청구범위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유니트(4)에 냉각제를 공급하기 위한 밸브가 측방향 기부의 극단부에서 급수덕트의 상부에 착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라인.
KR1019980704326A 1995-12-09 1996-12-05 처리단을 갖는 이송라인 KR199900720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46030.8 1995-12-09
DE19546030 1995-12-09
DE19626581A DE19626581A1 (de) 1995-12-09 1996-07-02 Transferstraße mit Bearbeitungsstationen
DE19626581.9 1996-07-02
PCT/EP1996/005443 WO1997021518A1 (de) 1995-12-09 1996-12-05 Transferstrasse mit bearbeitungsstation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032A true KR19990072032A (ko) 1999-09-27

Family

ID=777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326A KR19990072032A (ko) 1995-12-09 1996-12-05 처리단을 갖는 이송라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9990072032A (ko)
DE (2) DE196265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9369C5 (de) * 1997-07-09 2008-08-21 Teamtechnik Maschinen Und Anlagen Gmbh Autarker Bearbeitungsplatz und daraus bestehende Bearbeitungsstraße
DE19758743B4 (de) * 1997-07-09 2011-08-11 teamtechnik Maschinen und Anlagen GmbH, 71691 Prozeßmodul für einen Bearbeitungsplatz
DE19756278B4 (de) * 1997-12-18 2004-02-26 Starragheckert Gmbh Maschinensystem zum Bearbeiten insbesondere kubischer Werkstücke
DE19826507A1 (de) * 1998-06-15 1999-12-16 Wilfried Taubner Bearbeitungsmodulsystem
DE10302985A1 (de) * 2002-03-22 2003-10-23 Grob Werke Burkhart Grob Ek Bearbeitungszentrum
DE10231017A1 (de) * 2002-07-09 2004-04-08 Burkhart Grob E.K. Grob-Werke Transferstraße
DE10347913A1 (de) * 2003-10-10 2005-05-04 Grob Werke Burkhart Grob Ek Produktionslinie
DE10334285A1 (de) * 2003-07-25 2005-02-24 Grob-Werke Burkhart Grob E.K. Bearbeitungsmaschine mit zwei Bearbeitungseinheiten
DE102013207309A1 (de) * 2013-04-23 2014-10-2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ertigungslinie zur Herstellung von Blechformteilen mit wenigstens einer Messvorrichtung zur Überprüfung der hergestellten Blechformteile
CN112108839A (zh) * 2020-09-02 2020-12-22 王小华 一种布风板自动化加工方法
CN112008434B (zh) * 2020-09-02 2021-06-29 王小华 布风板自动化加工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8557A (en) * 1950-03-21 1954-02-09 American Tool Works Co Conduit system for machine tools
US2892388A (en) * 1951-07-24 1959-06-30 Giddings & Lewis Multiple line feed for translatable machine elements
IT1127752B (it) * 1978-12-27 1986-05-21 Maurice Prodel Macchina transfert a piu stazioni per l'assemblaggio e/o la lavorazione di pezzi
AT392050B (de) * 1984-02-06 1991-01-10 Sticht Walter Fertigungsanlage mit mehreren einzelstationen
DE9203125U1 (ko) * 1992-03-10 1992-04-23 Berliner Werkzeugmaschinenfabrik Gmbh, O-1140 Berlin, De
DE9208584U1 (ko) * 1992-06-22 1992-09-24 Afag Ag Fuer Automatische Fertigungstechnik, Aarberg, Ch
DE9208735U1 (ko) * 1992-06-30 1992-09-10 Grob Werke Gmbh & Co Kg, 8948 Mindelheim,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606887D1 (de) 2001-06-13
DE19626581A1 (de) 199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2032A (ko) 처리단을 갖는 이송라인
US6098269A (en) Transfer line with processing stations
CA2803119C (en) Roller device for forming strand-guiding segment
ZA959872B (en) Twin-roll continuous casting device having an inerting shroud
JP3459591B2 (ja) 作業場供給装置
CA2388472A1 (en) Strip-casting machine for producing a metal strip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A2149396A1 (en) System for Lubricating and Cooling Main Spindle Head of Machine Tool
NL8200412A (nl) Machine voor het behandelen van houders.
US4359316A (en) Supply unit for the individual supply of dental handpieces
ATE185096T1 (de) Niederdruck-kokillengiessanlage
KR102203467B1 (ko) 배기 가스 측정 설비들을 위한 스위치 캐비닛
KR100605303B1 (ko) 롤 스탠드의 유체 작동 매체용 공급라인, 배출라인 및 분배라인 시스템
ES2041335T3 (es) Instalacion compuesta por varios elementos para tratamientos termicos.
CN205484588U (zh) 一种开关柜的自动测试设备
SE9100599L (sv) Saett foer behandling av luft vid ett slutet luftfoeringssystem innefattande minst en serie av intill varandra placerade och mot omgivningen isolerade staellverksskaap
EP0490514A2 (en) Plunger mechanism for I.S. machine
ATE208830T1 (de) Vorrichtung zum flüssigmetall-transport in der giesshalle eines schachtofens und verfahren zum betrieb dieser vorrichtung
CN116365372B (zh) 一种便于光缆插接的配电柜
BR9710627A (pt) Disposi-Æo para a guia de cabos ou linhas
CN207651956U (zh) 一种电信通信基站机房走线架
US20180043426A1 (en) Roller device
CN217769162U (zh) 用于电控柜柜内操作的移动工作台
CN209682161U (zh) 一种继电保护检修用工具车
WO2000073557A3 (de) Heizeinrichtung
SU539812A1 (ru) Ремонтно-монтажна станци контейнерной пневмотранспортной установ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