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1929A - 산란저지형 공급회로에서 사용되는 분할된일차코일을 가진변압기 - Google Patents

산란저지형 공급회로에서 사용되는 분할된일차코일을 가진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1929A
KR19990071929A KR1019980704216A KR19980704216A KR19990071929A KR 19990071929 A KR19990071929 A KR 19990071929A KR 1019980704216 A KR1019980704216 A KR 1019980704216A KR 19980704216 A KR19980704216 A KR 19980704216A KR 19990071929 A KR19990071929 A KR 19990071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s
coil
spool body
partial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타르 보르호
로베르트 케른
요한 프로인도르퍼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19990071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92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46Preventing or reducing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9/00Fixed transformers or mutual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9/04Transformers or mutual inductances suitable for handling frequencies considerably beyond the audio range
    • H01F19/08Transformers having magnetic bias, e.g. for handling pulses
    • H01F2019/085Transformer for galvanic iso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산란저지형 공급회로에 있는 분할된 일차코일(P1a-c)을 갖고, 일차코일의 부분들 사이의 이차코일(S1), 공극을 가진 자기코어, 및 코어를 둘러싸고 그 위에는 각 코일들이 설치되어 있는 스풀 몸체, 그리고 코일들이 접속되어 있는 일련의 접속핀을 갖고 있는 변압기가, 일차코일은 세 개 이상의의 부분 코일(P1a-c)로 분할되어 있으며, 전력적으로 최대 용량으로 또한 가장 내구적으로 부하되는 그 이차코일이 적어도 두 부분 코일(S1a, S1b)로 분할되어 있으며, 이 부하-이차코일(S1)의 부분 코일들이 스풀 몸체 위에서 일차코일(P1)의 적어도 세 부분 코일중의 두 부분 코일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추가의 이차코일(S2)이 일차- 및 부하-이차코일의 부분 코일들의 코일집단(101)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산란저지형 공급회로에서 사용되는 분할된 일차코일을 가진 변압기
전자공학지 32/1993, 페이지 46 - 50에 Klaus Mock가 기고한 "회로망부재용 변압기"란 기사에는 산란차단-회로망부재에 적합한 여러 변압기가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그런 변압기는 소비전자공학에서 출력전압이 다수일 때에도 구조가 비교적 간단한 이유 때문에 널리 확보되어 있다. 회로망부재 내에 있어 변압기의 중요한 기능은 한 전압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압으로 전달하는 것과 다수 전류회로의 전류적 분할이다. 그러나 실제의 변압기는 손실전력도 발생하고 이것은 특히 다시 코어와 코일의 가열을 일으킨다. 여러 코일은 스풀 몸체 위에 배치되어 있고, 그 스풀 몸체는 공극(공기 틈)이 포함된 자기코어(자심)를 둘러싼다. 각 코일의 말단부는 다수의 접속핀에 인도되고 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 고정된다.
공극의 주위에서는 자기 흐름의 일부가 코어의 횡단면을 통해서가 아니라 주위 공기를 통해 또한 여러 코일들을 통해 이동한다. 그리하여 거기에는 와전류가 유도된다. 이것은 가끔 표피효과와 근접효과보다 훨씬 큰 손실을 일으킨다. 상기한 기사에서는 이 종류의 변형에 있어 산란유도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샌드위치"구조가 추천되어 있는데 이것에 의하면 일차코일이 두 개의 반분으로 분할되고 이차코일은 이들 두 반분 사이에 둘러싸여 배치된다. 따라서 이것은 적어도 둘, 대체로 세 개의 주 절연부를 필요로 하고 이것은 아주 큰 비용이 든다.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탐조등에 사용되는, 예컨대 고압 방전등용 공급회로에 그런 변압기를 특별히 사용하는 것에 관해서는, 상기한 기사로부터 공지된 변압기는, 여전히 너무 높은 손실 및 부분적으로 큰 비용이 드는 제법으로 인해 또한 공급회로의 요건에 최적하게 조화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해. 친화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대개념에 정의된 종류의 산란저지형 공급회로 내에 일차코일이 분할되어 있는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차측에 3개의 부분 코일과 이차측에 2개의 부분 코일 그리고 그 집합 외부의 한 추가의 이차코일을 가진 변압기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찬합식 삽입(네스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스풀 몸체 위의 각각의 코일층 및 그 접속핀에의 할당배치를 표시하는, 그리고 이차측에는 전부 3개의 코일이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실시예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직선적 교류전압경사를 달성하기 위해 코일 개시부가 스풀 몸체의 단지 일측면에만 배치되어 있는 것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변압기의 극 착오를 방지하는 실시에 있어 소속된 접속핀을 가진 코일평면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변압기의 정면측, 종방향측 및 접속핀측으로부터 도시한 세 도면.
청구항 1의 특징부의 특징을 가진 일차코일이 분할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는, 상기에 반하여 효율은 개선된 가운데 일차코일과 부하-이차코일의 특히 밀접한 결합 및 코어손실과 코일손실의 최적 조화가능성의 이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코어와 코일 사이에는 실질적 온도차가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변압기는 간단하고 최적화 되고 비용 유리한 구조 및 거기 따른 유리한 제조를 허용한다. 그 위에 이 변압기는 여러 형태의 용도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이점은 원리적으로, 일차코일은 세 개 이상의의 부분 코일로 분할되어 있으며, 전력적으로 최대 용량으로 또한 가장 내구적으로 부하되는 그 이차코일이 적어도 두 부분 코일로 분할되어 있으며, 이 부하-이차코일의 부분 코일들이 스풀 몸체 위에서 일차코일의 적어도 세 부분 코일중의 두 부분 코일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추가의 이차코일이 일차- 및 부하-이차코일의 부분 코일들의 코일집단의 외부에 배치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추가의 청구항에 기재된 조치에 의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변압기의 유리한 추가양태 및 개선형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특히 적합한 양태에 있어 일차코일의 적어도 세 부분 코일은 외부적으로 병렬로 결선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개선형에 있어 부하-이차코일 중의 적어도 두 부분 코일이 내부적으로 병렬 결선된다.
본 발명의 대단히 유리하고 합목적적인 추가 양태에 있어, 공극을 통한 영역에는 권선이 배치되지 않는다. 그럼으로써 그곳의 산란장의 코일에 대한 영향이 실질적으로 완전히 제거되고 코일의 권선에서의 와전류의 발생이 결정적으로 감소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양태에 있어, 스풀 몸체에는 두 챔버가 있고 그들 챔버는 공극의 영역을 통하여 벽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그래서 여러 코일의 각 권선들은 간단한 방법으로 공극의 영역을 남겨두는 가운데 스풀 몸체 위에 설치된다. 이것은, 공극의 산란장에 의한 와전류가 유도될 수 있는 공극의 영역에는 권선이 없다는 달성되는 안전성과는 별도로, 특히 합리적이고 저렴한 제조를 위해 유리하다. 이 유리한 스풀 몸체 형상의 합목적적 양태에 따라, 챔버들을 분리하는 벽에는 코일의 와이어를 위한 통로가 한 챔버로부터 다른 챔버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양태에 있어, 일차코일 및/또는 부하-이차코일의 각 부분 코일 중에서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절반 부분은 공극영역의 한 쪽에, 또한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의 절반 부분은 다른 쪽에 배치되는, 또는 각각의 일부분이 스풀 몸체의 챔버들 중의 하나에 배치된다. 그리하여 권선 및 코일이 스풀 몸체의 길이에 걸쳐 대칭적이고도 균형있는 배분이 유리하게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추가양태에 따라, 각 추가의 이차코일에서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절반 부분은 공극영역의 한 쪽에, 또한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의 절반 부분은 다른 쪽에 배치되는, 또는 각각의 일부분이 스풀 몸체의 챔버들 중의 하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하고 합목적적인 양태에 따라, 스풀 몸체의 챔버의 폭, 사용된 코일와이어의 직경 및 부분 코일의 권취수가, 코일의 완전한 층이 그때 그때 특정 부분 코일에 할당배치되고 그리하여 전체 챔버폭이 피복되도록, 서로 서로 조화된다. 이 조치에 의해 코일의 폭은 현저히 단축될 수 있다. 권선들은 스풀 몸체에 걸쳐 유리하게도 높이로 다층으로 성층되고 길이로 배치된다.
한편으로는 철저히 열손실 감소를 위해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현저히 제조를 간단화 하는데 기여하는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양태에 있어, 모든 코일에는 단일 와이어굵기의 와이어가 권취되고 및/또는 연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양태에 의해 제안되는 것은, 모든 코일의 개시점은 스풀 몸체의 한 쪽에 배치되고 코일들의 말단점은 스풀 몸체의 다른 쪽에 배치되게 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교류전압 강하는 한 쪽에 다른 쪽으로 최대한 선형으로 유지되어 절연에 장애가 되는 코일들 사이의 교류전압 부하는 최소로 억제된다.
극 착오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그리하여 실제상 결정적 가치가 있는 본 발명의 추가의 특히 중요한 양태에 따라, 같은 수의 2열로 스풀 몸체의 양측에 배치된 접속핀의 피복이 부분 코일 및 코일의 개시점과 말단점으로, 변압기가 특히 시험장치 내에서 그의 접속핀에 의해 극 확실하게 될 수 있도록 및/또는 극 확실하게 2층으로 제어판 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수행된다.
본 발명의 특히 중요한 추가양태에 따라, 변압기의 자기코어의 크기 및 스풀 몸체 위에 배치된 코일의 전기저항이, 코어 및 코일에서의 열손실이, 코어와 코일 사이에 실질적 온도차가 생기지 않게 할 코어와 코일의 가열을 일으키도록, 서로 조화된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변압기는 다면적으로 적합화되고 대응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추가양태에 따라, 이 변압기는, 차량의 탐조등에 사용되는, 특히 고압 가스방전등의 공급회로에 사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변압기는 다수의 추가의 이차코일을 가진 대응적 구성의 경우 그런 공급회로에 있는 대단히 합목적적이고 비용이 유리한 부품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다수의 실시예에 따라 이하의 기재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일차측에 있는 세 부분 코일과 부하-이차코일의 두 부분 코일, 그리고 그 코일집단 외부에 있는 한 추가의 이차코일을 가진 변압기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네스팅이 표시되어 있다. 변압기(100)는 상자(101)로 표시된 영역의 내부에 세 부분 코일(P1a, P1b 및 P1c)로 분할된 일차코일(P1)과 두 부분 코일(S1a 및 S1b)로 분할된 이차코일(S1)의 네스팅(상자에 넣음)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네스팅에서는, 대체로 적어도 세 부분 코일로된 일차코일 및 전력적으로 최대로 또한 가장 내구성 있게 부하되는, 부하-이차코일로서의 이차코일이 적어도 두 부분 코일로 분할되도록 하고 있다. 이차코일(P1)과 부하-이차코일(S1)의 이 부분 코일들 사이에 최대한 접근된 결합이 생기도록, 일차코일의 n 부분 코일에 대해 부하-이차코일(S1)의 n-1개의 부분 코일이 배치되게 한다. 네스팅은 부하-이차코일의 한 부분 코일이 일차코일(P1)의 두 부분 코일로 둘러싸이도록 행해진다.
이것은 도 1에 표시된 실시예에서는, 부하-이차코일(S1)의 부분 코일(S1a)이 일차코일(P1)의 부분 코일(P1a)과 (P1b)에 의해 둘러싸이고 부하-이차코일(S1)의 두 번째 부분 코일(S1b)은 일차코일의 부분 코일(P1b)과 (P1c)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 특별한 네스팅영역(101) 외부에는 도 1에 두 번째 이차코일(S2)로 표시된 것처럼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의 이차코일도 배치될 수 있다. 이 추가의 이차코일은 일반적으로 다른 이차전압의 발생을 위해 배치된다. 이것이 단지 때때로 또한 덜 결정적인 분야에서 부하-이차코일(S1)로서 또한 그것에 의해 발생된 이차전압이 요구될 때에는, 특히 이 이차코일을 네스팅 외부영역에 배치하고 비분할된 코일로 실시한다.
도 1에 추가로 표시되고 화살표(102)로 표시된 것처럼, 각 부분 코일(P1a-c, S1a-b, S2)이, 자철심의 공극에 걸친 일정 영역에는 코일의 권선이 배치되지 않도록, 스풀 몸체 위에 설치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공극에서 특히 현저한 누설장에 의해 생기는 유도전류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공극(102)을 통한 코일의 절약에 의해 부분 코일 또는 코일은 두 부분으로, 바람직하게 두 개의 반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의미있고 간단한 제조방법으로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스풀 몸체에는 나중에 도 5 - 7과 관련하여 더 설명될 것이지만 바람직하게는 같은 길이의 두 개의 챔버(수용공간)가 배치된다. 각 챔버에는 각각의 코일 또는 부분 코일의 반분이 설치된다.
도 2에는 스풀 몸체(104) 위에서의 각 코일층 및 접속핀(1 - 12)에의 할당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가 대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접속핀(1 - 12)은 예컨대 스풀 몸체의 양쪽에 2열로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차측에는 S1a과 S1b를 가진 S1, S2 및 S3의 전체 세 개의 코일이 배치되어 있다. 각 코일층은 스풀 몸체(104)로부터 보아 외측으로 향하여 직경증가와 더불어 처음에는 이 몸체 위에 그리고 그 다음은 각각 그 아래에 위치하는 층 위로 성층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부분 코일(P1a)은 제 1층(105)으로 스풀 몸체(104) 바로 위에 최하 코일층을 구성한다. 이 제 1 코일층(105)은 2번, 즉 각 챔버에 한 번씩 존재한다. 다음 코일층(106)은 제 1 코일층(105) 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 층은 제 1층과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고 접속핀(10,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층(105)과 (106)의 좌측의 점들 및 모든 추가점은 코일의 권취개시점을 의미한다. 일차코일(P1)의 제 1부분 코일(P1a)의 코일층(106) 위에는 접속핀(11,5) 사이에서 부하-이차코일(S1)의 제 1부분 코일(S1a)의 제 1코일층(107)이 후속한다. 더 외부측으로는 이제는 다시 두 코일층(108,109)가 서로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어 접속핀(9,3) 사이에서 후속한다. 그 위에 역시 접속핀(11)과 (5)사이에 연결된, 부하-이차코일(S1)의 제 2부분 코일(S1b)의 추가코일층(110)이 후속한다. 그리하여 부하-이차코일의 두 부분 코일(S1a 및 S1b)은 내부적으로 병렬 연결된다. 그리고 부분 코일(S1b)의 통전을 위한 제 3부분 코일(P1c)의 제 1코일층(111) 및 코일층(111)에 전기적 병렬 결선된 추가의 코일층(112)이 접속핀(8)과 (4) 사이에 후속한다. 그런 뒤 이 코일층 위에는 제 2이차코일(S2)의 추가코일층(113) 또한 그 위에는 다시 제 3이차코일(S3)의 코일층(114)이 설치된다.
여러 코일의 코일층을 상기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특히 장기간 작동에 노출되는 이차코일(S1)과 관련하여 일차코일(P1) 또는 그의 부분 코일(P1a - P1c)과의 특히 밀접한 결합이 보장된다. 그리하여 소망하는 전력전달의 양호한 효율이 보장된다.
도 2 및 기타 도면의 표시에 있어 코일들의 각 부분들 옆이나 코일들의 부분들의 또는 코일층의 부분 옆의 점들은 각각 코일개시부를 나타낸다. 도 3에는 이것이 다시 한 번,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변압기에 있어서는, 코일의 개시점은 항상 스풀 몸체(104)의 한쪽, 예를 들면 도 2에 의한 일렬로 배치된 접속핀들(7 - 12)에 배치되고 코일의 종단부는 항상 다른 쪽, 예컨대 두 번째 줄에 위치하는 접속핀(1 -6)에 배치되도록 코일들이 실시된다는 것을 고려하여, 특별히 표시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화살표(115)로 표시된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의 교류전압 강하(△U∼)가 가급적 직선적으로 유지되게 하여 코일들 사이의 절연에 방해적인 교류전압 부하가 최소로 유지되게 하려는 목적이 달성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변압기(100)의 극착오방지적 실시를 위한 소속된 접속핀을 가진 코일의 평면도가 약시되어 있다. 접속핀(1 - 12)은, 1은 12에 대향하고 6은 7에 대향하는, 1-6과 7-12의 2열로서 스풀 몸체의 대향하는 종방향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각 코일은 접속핀들 사이의 선으로 상징 표시되어 있다. 극 착오 방지적 배치를 이루기 위해, 일차코일(P1)의 세 부분 코일은, 접속핀(10)에서 (2), (9)에서 (3) 그리고 (8)에서 (4)로 뻗고, 부하-이차코일(S1)은 접속핀(11)에서 (5)로, 이차코일(S2)은 접속핀(12)에서 (6)로 또한 이차코일(S3)은 접속핀(7)에서 (1)로 뻗고있다. 접속핀들을 이렇게 배치하면 극 안전하고 제조를 위해 최적하다. 그래서 제조시 변압기가 180°회전되어 삽입되더라도, 각 코일은 그 자체 점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한쪽 또는 다른쪽으로 180°회전된 위치에 있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변압기를, 제어판 내에 설치하는 것은 무해할 것이다. 일차코일의 세 부분 코일(P1a - c)은 외부에, 예컨대 제어판 위에서 서로 병렬로 결선된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변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외부적 병렬 연결된, 스위칭하려는 세개의 일차-부분 코일을 갖고 있다. 그리고 각 부분 코일 내에서는 내부적으로 각각 두 개의 코일층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 조치에 의해 이 코일의 직류전압저항은 현저히 감소된다. 그 위에 이 바람직한 변압기는 내부적으로 병렬 연결된 두 부분 코일(S1a, S1b)을 가졌고 그것들은 주 전력(주 성능)을 위해 배치되어 있다. 두 번째 이차코일(S2)은 마찬가지로 높은 전력수요가 존재하는 의도된 용도에 있어 주 전력을 지원하기 위해 또한 음의 출력전압의 발생을 위한 콘덴서를 접속차단하기 위해 배치된다. 세 번째로 제공된 이차코일(S3)은 단지 단시간적으로 요구되는 보조전압을 발생하고 그런 후 단전된다.
유리한 방법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에는 단일 와이어 두께의 와이어로 권취되고 그럼으로써 제조가 현저히 간단하게 된다. 그 위에 연선(꼰 와이어)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고주파용 연선 20×0.1Ø이 사용된다.
한편으로는 제조를 더욱 간단화 하고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코일들의 결합을 증진시키기 위해, 스풀 몸체의 챔버의 폭, 사용된 권선의 직경 및 부분 코일 또는 코일의 권취는, 완전 층 또는 그의 정수배(도 2의 코일층(105 - 114)을 비교하라)가 특정 부분 코일이나 코일에 챔버의 폭에 걸쳐 할당배치되어 권취되도록, 서로 조화일치되게 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코일층들(105 - 112)의 각각은 예컨대 각각 3 + 3 권취수를 포함하며, 코일층(113 및 114)은 각각 6 + 6 권취수를 포함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각 챔버 내에 코일 두 층이 서로 직접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합목적적 방법으로 코일폭이 감소하게도 되는데, 그 이유는 높이 방향으로 권취되기 때문이다. 중간 절연층이 포기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주 전력을 위한 코일의 경우 각 코일들의 양호한 결합이 얻어지고 이것을 위해 추가의 코일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코일(P1 및 S1)에 그의 부분 코일 및 내부나 외부의 전기결선을 본 발명에 따라 네스팅함에 의해, 전기적 직류저항을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다. 공극을 통한 영역의 코일절약 및 적절한 크기의 고주파연선의 사용에 의해, 교류손실도 적게 유지될 수 있고 제어성이 개선되거나 측정가능해지기 때문에, 어떤 테두리 내에서는 코일을 가열시키는 전기적으로 결정되는 손실은 변압기의 자기 코어에서 생기는 손실과 일치하게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코어쪽에서는 코어크기를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외각 코일부쪽에) 적합화 될 수 있다. 여기서의 목표는, 코어와 코일집단 사이에 현저한 온도차는 발생하지 않도록, 코어에서의 열손실과 코어나 코일집단을 가열되게 하는 코일에서의 열손실이 일치되게 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그렇지 않은 경우이면 생길 특수 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변압기는 특히 고압-가스방전등의 공급- 및 제어회로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그런 등(램프)은 차량의 전조등에서의 사용이 점증하고 있다. 이들 등은 그 점화, 시동 및 작동을 위해, 공급- 및 제어회로에 상당한 요구를 하는 특별한 제어부를 필요로 한다.
예컨대 변압기가 실제로 설치된 제어장치(조종장치) 내에 있어 125℃까지의 온도가 허용되는 가운데, 제어장치가 자기가열된 변압기와 마찬가지로 - 40℃ 내지 +105℃(정지공기에서)의 온도범위에서 완벽하게 작동되어야 한다는 것은 상기 요구에 속한다. 효율 90%이상인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는 양호한 변압기의 구조로 인하여 엄밀한 사용조건 하에서의 제어장치의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대단히 낮은 배터리 전압으로 제어장치는 충분히 작동가능하다. 등의 점등은 이미 제어장치 입구에서의 Ubat 7.0V에서 가능하고, 등의 개시동작은 제어장치의 출력이 85W이하에서 35W까지의 범위일 때 Ubat = 7.0V 내지 6.0V에서 이미 가능하고, 작열동작은 공급출력 35W의 경우 Ubat = 6.0V에서 가능하다.
그런 낮은 배터리전압의 조건의 경우 제어장치의 수납전류가 소정치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변압기는 포화현상을 보이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변압기는 스위칭이 외부적으로 행해진다. 그것에 따라 변압기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은 대응하는 제어부재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점화시에는 큰 전압, 시초에는 작은 전압 또한 등의 작열동작에는 중간의 전압이 이용된다.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변압기(100)의 특별한 실시예들이 도 5 내지 7의 3개의 직교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정면, 도 6은 종방향 측면 또한 도 7은 상부로부터, 즉 스풀 몸체(104)의 종방향측면을 따라 2열로 접속핀들 1 내지 6 및 7 내지 12가 설치되어 있는 그 측면으로의 변압기(100)를 보여준다. 스풀 몸체(104)는 한 벽(132)에 의해 형성된 두 개의 챔버(131 및 132)를 갖는다. 벽(132)은 자기코어(150)의 공극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그 벽에 의해 도 5 내지 7로부터는 스풀 몸체(104)로 가려져 있어 볼 수 없는 공극을 통하여서는 아무 코일도 배치되지 않는다. 자기코어(150)는 두 개의 U-형 반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것들은 자기역류회로 내에서 표면(151)에 서로 접촉되어 있다. 권취된 스풀 몸체(104)를 코어(150)의 중앙부 위로 밀어 넣은 뒤 부재들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그것들을 접착시킨다. 이 접착은, 특히 공극을 포함하고있고 스풀 몸체(104)의 코일 담지부분 내에 위치하는 중앙부분에서 행해진다. 약 3mm일 수 있는 벽(132)에 의해 공극을 통해서는 권선이 위치하지 않는다. 챔버(130)와 (131) 사이에는 통로(133)가 배치되어 있고 그것을 통해 코일와이어들(134)이 이 챔버에서 저 챔버로 횡단된다. 모든 그런 횡단을 단지 한 통로에서 수행하는 것이 합목적적인데, 그 이유는 그 때에는 공극을 통해 최소의 누설장의 교차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개별적 코일들의 권선들 자체는 2열의 접속핀 1 - 6 및 7 - 12에 평행하게 뻗는다. 코어크기와 코어(150)의 종류는 예컨대 EF25일 수 있고 그것은 한 측면이 연마되어 있을 수 있다. 대체로 정격전압 예컨대 13.2 V 이하가 되는 배터리 전압의 경우 35W로 장기적으로 부하시킬 때 측정된 자체가열은 약 22℃로서 대단히 낮다.
발명에 따라 구성된 변압기의 이점은 특히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코일제작 및 제법이 비용이 유리하다; 코일몸체 및 페라이트 코어를 위한 추가지지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코일폭이 감소되고, 그것에 의해 제어장치에 적합하게 결합된다; 개별적 코일들의 결합은, 코일들이 제어장치에 최적하게 적합화되고 거기에서 또한 전체적으로 극히 적은 손실전력이 발생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자기가열은 대단히 적고 코어어와 코일집단에서 광범하게 동일하다; 효율은 90% 이상으로 대단히 양호하다; 양호한 구조로 인해 엄밀한 사용조건을 위한 제어장치가 실현될 수 있다.

Claims (14)

  1. 산란저지형 공급회로에 있는 분할된 일차코일(P1)을 갖고, 일차코일의 부분들 사이의 이차코일(S1), 공극(102)을 가진 자기코어(150), 및 코어를 둘러싸고 그 위에는 각 코일들이 설치되어 있는 스풀 몸체(104), 그리고 코일들이 접속되어 있는 일련의 접속핀(1 - 12)을 갖고 있은 변압기(100)에 있어서,
    일차코일(P1)은 세 개 이상의의 부분 코일(P1a, P1b, P1c)로 분할되어 있으며,
    전력적으로 최대 용량으로 또한 가장 내구적으로 부하되는 그 이차코일(S1)이 적어도 두 부분 코일(S1a, S1b)로 분할되어 있으며,
    이 부하-이차코일(S1)의 부분 코일들(S1a,S1b)이 스풀 몸체(104) 위에서 일차코일(P1)의 적어도 세 부분 코일(P1a,P1b,P1c)중의 두 부분 코일(P1a,P1b 및 P1b,P1c)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추가의 이차코일(S2,S3)이 일차- 및 부하-이차코일의 부분 코일들(P1a,P1b,P1c; S1a,S1b)의 코일집단(101)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변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일차코일(P1)의 적어도 세 부분 코일(P1a,P1b,P1c)은 외부적으로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변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부하-이차코일(S1) 중의 적어도 두 부분 코일(S1a,S1b)이 내부적으로 병렬 연결되어 있는 변압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극(102)을 통한 영역에는 권선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변압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풀 몸체(104)에는 적어도 두 챔버(130,131)가 있고 그들 챔버는 공극(102)의 영역을 통하여 벽(132)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변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챔버들(130,131)을 분리하는 벽(132)에는 코일(P1,S1,S2,S3)의 와이어(134)를 위한 통로(133)가 한 챔버(130)로부터 다른 챔버(131)로 배치되어 있는 변압기.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차코일(P1) 또는 부하-이차코일(S1)의 각 부분 코일(P1a,P1b,P1c; S1a,S1b) 중에서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절반 부분은 공극(102)영역의 한 쪽에, 또한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의 절반 부분은 다른 쪽에 배치되는, 또는 각각의 일부분이 스풀 몸체(104)의 챔버들(130,131)중의 하나에 배치되는 변압기.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추가의 이차코일(S2,S3)에서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절반 부분은 공극(102)영역의 한 쪽에, 또한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의 절반 부분은 다른 쪽에 배치되는, 또는 각각의 일부분이 스풀 몸체(104)의 챔버들(130,131)중의 하나에 배치되는 변압기.
  9.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풀 몸체(104)의 챔버(130,131)의 폭, 사용된 코일와이어(134)의 직경 및 부분 코일(P1a,P1b,P1c; S1a,S1b)의 권취수가, 코일의 완전한 층이 그때 그때 특정 부분 코일에 할당배치되고 그리하여 전체 챔버폭이 피복되도록, 서로 서로 조화되어 있는 변압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코일(P1,S1,S2,S3)에는 단일 와이어굵기의 와이어가 권취되고 또는 연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변압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코일의 개시점은 스풀 몸체(104)의 한 쪽(접속핀 7 - 12)에 배치되고 코일들의 말단점은 스풀 몸체(104)의 다른 쪽(접속핀 1 - 6)에 배치되어 있는 변압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같은 수의 2열(1 - 6; 7 - 12)로 스풀 몸체의 양측에 배치된 접속핀(1 - 12)의 피복이 부분 코일(P1a,P1b,P1c; S1a,S1b) 및 코일(S2,S3)의 개시점과 말단점으로, 변압기(100)가 특히 시험장치 내에서 그의 접속핀(1 -12)에 의해 극 착오 확실방지적으로 될 수 있도록 또는 극 착오 확실방지적으로 2층으로 제어판 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수행되는 변압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압기(100)의 자기코어(150)의 크기 및 스풀 몸체 위에 배치된 코일(P1,S1,S2,S3)의 전기저항이, 코어(150) 및 코일(P1,S1,S2,S3)에서의 열손실이, 코어(150)와 코일(P1,S1,S2,S3) 사이에 실질적 온도차가 생기지 않게 할 코어(150)와 코일(P1,S1,S2,S3)의 가열을 일으키도록, 서로 조화되어 있는 변압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탐조등에 사용되는, 특히 고압 가스방전등의 공급회로에 사용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는 변압기.
KR1019980704216A 1995-12-05 1996-09-19 산란저지형 공급회로에서 사용되는 분할된일차코일을 가진변압기 KR199900719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45304.2 1995-12-05
DE19545304A DE19545304A1 (de) 1995-12-05 1995-12-05 Transformator mit aufgeteilter Primärwicklung in einer Sperrwandler-Versorgungsschaltung
PCT/DE1996/001774 WO1997021232A1 (de) 1995-12-05 1996-09-19 Transformator mit aufgeteilter primärwicklung in einer sperrwandler-versorgungsschal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929A true KR19990071929A (ko) 1999-09-27

Family

ID=7779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216A KR19990071929A (ko) 1995-12-05 1996-09-19 산란저지형 공급회로에서 사용되는 분할된일차코일을 가진변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50914A (ko)
EP (1) EP0865656B1 (ko)
JP (1) JP2000501246A (ko)
KR (1) KR19990071929A (ko)
DE (2) DE19545304A1 (ko)
WO (1) WO19970212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7427B2 (ja) * 1998-08-11 2003-01-14 株式会社高岳製作所 単相三線式変圧器
ES2151443B1 (es) * 1999-01-18 2001-07-01 Es De Electromedicina Y Calida Transformador de alta tension.
US20020053901A1 (en) * 2000-10-05 2002-05-09 Strayer Lance Ronald Linear inductive fluid level sensor
US6577219B2 (en) 2001-06-29 2003-06-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ple-interleaved integrated circuit transformer
JP4509544B2 (ja) * 2003-01-21 2010-07-21 和夫 河野 巻線型トランス及びこの巻線型トランスを使用した電源装置
US8212643B1 (en) 2008-07-09 2012-07-03 Universal Lighting Technologies, Inc. Bobbin for an inductive electronic component
MX2017004361A (es) 2017-04-03 2018-11-09 Prolec Ge Int S De R L De C V Arreglo de devanados secundarios intercalados para transformadores monofásico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65407A (fr) * 1906-04-19 1906-09-07 Jacob Bruckner échalas de vignoble et de houblonnière
DE1802830C3 (de) * 1968-10-12 1975-08-28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treuarmer Transformator
DE1816345A1 (de) * 1968-10-21 1970-07-02 Oberspree Kabelwerke Veb K Schalenkernspule mit mindestens zwei symmetrischen Teilwicklungen
US3638155A (en) * 1970-11-06 1972-01-25 Mega Power Corp Electrical coil having integrated capacitance and inductance
JPS5574111A (en) * 1978-11-29 1980-06-04 Hitachi Ltd Transformer
DE3129381A1 (de) * 1981-07-25 1983-02-10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Schaltnetzteil-transformator, insbesondere fuer einen fernsehempfaenger
JPH0217452Y2 (ko) * 1984-10-30 1990-05-16
DE3617348A1 (de) * 1986-05-23 1987-11-26 Electronic Werke Deutschland Elektrischer wandler
DE3732558A1 (de) * 1987-09-26 1989-04-06 Electronic Werke Deutschland Transformator, insbesondere fuer ein schaltnetzteil
JPH01227410A (ja) * 1988-03-08 1989-09-11 Kijima:Kk 小形トランス
US5576681A (en) * 1990-12-10 1996-11-19 Deutsche Thomson-Brandt Gmbh High voltage transformer
US5696477A (en) * 1994-05-30 1997-12-09 Tabuchi Electric Co., Ltd. Transformer
US5751205A (en) * 1995-02-27 1998-05-12 Deutsche Thomson Brandt Gmbh High-voltage transformer for a television receiver
DE19515226A1 (de) * 1995-04-28 1996-11-07 Thomson Brandt Gmbh Hochspannungstransformator für einen Fernsehempfä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501246A (ja) 2000-02-02
WO1997021232A1 (de) 1997-06-12
US6150914A (en) 2000-11-21
EP0865656B1 (de) 2000-03-22
DE59604803D1 (de) 2000-04-27
EP0865656A1 (de) 1998-09-23
DE19545304A1 (de) 199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7518A (en) High voltage transformer with secondary coil windings on opposing bobbins
US8106738B2 (en) Ballast for multiple lamp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813320B2 (ja) 高電圧用途のための高周波変圧器
US20120299684A1 (en) Transformer with low eddy current and magnetic hysteresis lo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80309444A1 (en) Electrical Winding
KR19990071929A (ko) 산란저지형 공급회로에서 사용되는 분할된일차코일을 가진변압기
US7436279B2 (en) High voltage transformer
US7148779B2 (en) Pulse type transformer with increased coupling coefficient through configuration of plural primary windings
US5430274A (en) Improvements made to the cooling of coils of an induction heating system
US8643458B2 (en) Winding and method for producing a winding
EP0040262B1 (en) Electrical reactor with foil windings
US7969268B2 (en) Ignition coil with spaced secondary sector windings
KR102185604B1 (ko) 적어도 2개의 충전 포인트로 차량을 전기 충전하기 위한 충전소용 변압 장치
US4213076A (en) Constant-current transformer for gas-discharge tubes
FI82341C (fi) Hoegspaenningstransformator foer en videoaotergivningsanordning.
EP3155625B1 (en) Ignition coil
US6352069B1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N101283418B (zh) 照明应用的变感扼流圈
US3702451A (en) Electrical inductive apparatus
US4270111A (en) Electrical inductive apparatus
US3710292A (en) Electrical windings
KR200145827Y1 (ko) 형광등용 바라스타
CN220456224U (zh) 线圈结构、发电机变压器及发电升压系统
KR102561384B1 (ko) 전기 컴포넌트, 특히 변압기 또는 인덕터
KR102275643B1 (ko) 유도코일을 포함하는 변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