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0695A - 회전압축기의 플랜지 - Google Patents

회전압축기의 플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0695A
KR19990070695A KR1019980005672A KR19980005672A KR19990070695A KR 19990070695 A KR19990070695 A KR 19990070695A KR 1019980005672 A KR1019980005672 A KR 1019980005672A KR 19980005672 A KR19980005672 A KR 19980005672A KR 19990070695 A KR19990070695 A KR 19990070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rotary compressor
rotating shaft
cylind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남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5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0695A/ko
Publication of KR19990070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695A/ko

Links

Landscapes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회전압축기의 플랜지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그 본체의 내측에 구비된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본체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하측이 개재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상, 하측을 밀폐하며 상응 배치되되 상기 회전축의 하측이 끼워지는 축공을 갖춘 한쌍의 상, 하부 플랜지를 갖춘 회전압축기의 플랜지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축지하는 상기 플랜지의 내측에는 부시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압축기의 플랜지
본 발명은 회전압축기의 플랜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압축기가 구동을 시작하는 초기 기동시에 회전축과 플랜지의 사이에 오일이 유입되지 않더라도, 그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압축기의 플랜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압축기(또는 밀폐형 회전압축기)는, 냉동장치에서 기체가스를 고온 고압의 액체상태로 압축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즉, 회전압축기는 냉동장치에서 그 내부에 봉입된 가스상태의 냉매를 피스톤운동(또는 로터의 회전운동)에 의해 고온 고압의 액체상태로 압축시키고,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에서 응축되어 모세관을 경유할 때 압력이 급강하 되며 증발기에서 주위의 열을 빼앗아 증발하며 가스로 되어 다시 회전압축기로 회수된다.
이렇게 회수된 가스상태의 냉매는 압축기에 의해 다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는 상기의 동작을 반복 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회전 압축기의 일반적인 구성은 도 1과 같은 것이다.
즉, 회전압축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밀폐된 용기형상을 갖는 본체(100)는 그 상방에 토출관(110)이 관통 설치되고 그 외부 하측에는 흡입관(120)이설치된다.
상기 토출관(110)은 미도시한 냉매관에 의해 응축기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흡입관(120)은 그 일단부가 어큐물레이터(200)의 내측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고 돌출되며 타단부가 후술하는 실린더에 형성된 실린더실과 연통 설치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모터(130)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130)는 상기 본체(100)의 내주면에 고정된 고정자(131)와 그 중앙부에 배치된 회전자(132) 및 회전축(13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110)의 직하방에는 실린더(140)가 배치된다.
상기 실린더(140)는 상, 하부 플랜지(142)(143)에 의해 상기 회전축(133)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그 내측에는 상기 흡입관(120)과 연통되는 중공의 실린더실(141)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실(141)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기 회전축(133)의 하단부에는 편심된 크랭크(144)가 설치되며, 이 크랭크(144)에는 롤러(145)가 끼워진다.
상기 롤러(145)의 일측 외주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베인의 일측단부가 상기 롤러(145)의 외주면에 대해 상시 선 접촉되도록 탄지되어 상기 실린더실(141)을 흡입실과 압축실로 구획한다.
한편, 상기 상부 플랜지(142)의 상측에는 토출공(151)을 갖춘 머플러(150)가 씌워지며, 상부 플랜지(142)에는 상기 토출공(151)과 실린더실(141)에 관로를 형성하는 배기공(14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130)의 회전축(133)이 고속으로 회전하면 그 하단부에 편심되게 축설된 상기 크랭크(144)에 의해 상기 롤러(145)는 상기 실린더실(141)의 내측에서 자전과 공전을 반복한다.
자전과 공전을 반복하는 상기 롤러(145)는 증발기에서 열교환을 이룬후 상기 어큐물레이터(200)를 통하여 회수된 기체 냉매를, 다시 상기 실린더실(141)의 내측으로 흡입하는 기능과 흡입된 냉매를 압축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롤러(145)의 자전과 공전에 의해 상기 어큐물레이터(200)와 흡입관(120)을 통하여 실린더실(141)의 내측으로 흡입된 기체 냉매는 고온고압으로 압축된후, 도 1의 일점 화살표와 같이, 상기 머플러(150)에 형성된 토출공(151)을 통하여 본체(100)의 내부 상측으로 분출되며, 상기 토출관(110)을 통하여 토출되어 냉동장치의 유로를 따라 순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과 동작을 하는 일반적인 회전압축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압축기의 구동시에는 상기 회전축과 상부 플랜지의 사이로 소정량의 오일이 펌핑되며 윤활작용을 하게 되는데, 오일과 냉매가 분리된 상태에서 압축기가 구동을 시작하는 초기 기동시에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상부 플랜지의 사이에 오일이 유입되지 않고 냉매가 유입되어 심하게 마찰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부 플랜지와 회전축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반복되는 마찰력에 의해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회전압축기의 회전축을 축지하는 상부 플랜지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오일과 냉매가 분리된 상태에서 압축기가 구동을 시작하는 초기 기동시에 회전축과 상부 플랜지의 사이에 오일이 유입되지 않더라도, 그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그에 따라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는 회전압축기의 플랜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회전압축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회전압축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시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회전압축기 본체 110 ; 토출관
120 ; 흡입관 130 ; 모터
131 ; 고정자 132 ; 회전자
133 ; 회전축 140 ; 실린더
141 ; 실린더실 142, 143 ; 상, 하부 플랜지
144 ; 크랭크 145 ; 롤러
146 ; 배기공 150 ; 머플러
151 ; 토출공 300 ; 부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 본체의 내측에 구비된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본체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하측이 개재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상, 하측을 밀폐하며 상응 배치되되 상기 회전축의 하측이 끼워지는 축공을 갖춘 한쌍의 상, 하부 플랜지를 갖춘 회전압축기의 플랜지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축지하는 상기 플랜지의 내측에는 부시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압축기의 플랜지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회전압축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시와 상부 플랜지를 보인 사시도 로써,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였다.
부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시에 대해서는 도면부호 300을 부여하여 설명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압축기의 본체(100)는 그 상방에 토출관(110)이 관통 설치되고 그 외부 하측에는 흡입관(120)이 설치된다.
상기 토출관(110)은 미도시한 냉매관에 의해 응축기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흡입관(120)은 일단부는 어큐물레이터(200)의 내측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고 돌출되며 타단부는 후술하는 실린더에 형성된 실린더실과 연통 설치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모터(130)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130)는 상기 본체(100)의 내주면에 고정된 고정자(131)와 그 중앙부에 배치된 회전자(132) 및 회전축(13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110)의 직하방에는 실린더(140)가 배치된다.
상기 실린더(140)는 상, 하부 플랜지(142)(143)에 의해 상기 회전축(133)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그 내측에는 상기 흡입관(120)과 연통되는 중공의 실린더실(141)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실(141)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기 회전축(133)의 하단부에는 편심된 크랭크(144)가 설치되며, 이 크랭크(144)에는 롤러(145)가 끼워진다.
상기 롤러(145)의 일측 외주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베인의 일측단부가 상기 롤러(145)의 일측 외주면에 대해 상시 선 접촉되도록 탄지되어 상기 실린더실(141)을 흡입실과 압축실로 구획한다.
한편, 상기 상부 플랜지(142)의 상측에는 토출공(151)을 갖춘 머플러(150)가 씌워지며, 상부 플랜지(142)에는 상기 토출공(151)과 실린더실(141)에 관로를 형성하는 배기공(146)이 형성되는데 이들 구성요소는 상술했던 일반적인 회전압축기의 내부구성과 대동소이 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징부는, 상기 회전축(133)과 그 회전축(133)의 하측을 축지하는 상기 상, 하부 플랜지(142)(143)의 어느 일측에는 부시(300)가 개재된다는 점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시(300)는 상기 상부 플랜지(142)의 내측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지만, 소정의 길이를 갖고 일정구간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이 적용된 회전압축기의 동작은 일반적인 회전압축기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에 따른 부시의 기능에 대해서만 한정하여 설명한다.
즉, 종래와 동일하게, 압축기의 구동시에는 상기 회전축(133)과 상부 플랜지(142)의 사이에는 소정량의 오일이 펌핑되며 윤활작용을 하게 되는데, 오일과 냉매가 분리된 상태에서 압축기가 구동을 시작하는 초기 기동시에는 상기 회전축(133)과 상기 상부 플랜지(142)의 사이에는 오일이 유입되지 않고 냉매가 유입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회전축(133)과 상기 상부 플랜지(142)의 사이에 오일이 유입되지 않고 냉매가 유입된다 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플랜지(142)의 사이에는 부시(300)가 개재되어 심한 마찰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즉, 압축기의 초기 기동시에는 회전축(133)과 상부 플랜지(142)의 사이로 냉매가 유입된다 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부시가 그들 사이에 개재된 구조에 의해 상부 플랜지(142)의 내주면과 회전축(133)의 외주면 사이에서 심한 마찰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회전압축기가 구동을 시작하는 초기 기동시에회전축과 상부 플랜지의 사이에 오일이 유입되지 않고 냉매가 유입되어 그들 사이에서 심한 마찰이 발생되고, 또, 그 마찰력에 의해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었던 종래의 문제점은 적극적으로 해결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압축기가 구동을 시작하는 초기 기동시에 회전축과 상부 플랜지의 사이에 오일이 유입되지 않더라도, 그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그에 따라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는 등의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그 본체의 내측에 구비된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본체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하측이 개재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상, 하측을 밀폐하며 상응 배치되되 상기 회전축의 하측이 끼워지는 축공을 갖춘 한쌍의 상, 하부 플랜지를 갖춘 회전압축기의 플랜지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축지하는 상기 플랜지의 내측에는 부시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압축기의 플랜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상기 플랜지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압축기의 플랜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부 플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압축기의 플랜지.
KR1019980005672A 1998-02-24 1998-02-24 회전압축기의 플랜지 KR19990070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672A KR19990070695A (ko) 1998-02-24 1998-02-24 회전압축기의 플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672A KR19990070695A (ko) 1998-02-24 1998-02-24 회전압축기의 플랜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695A true KR19990070695A (ko) 1999-09-15

Family

ID=6589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672A KR19990070695A (ko) 1998-02-24 1998-02-24 회전압축기의 플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06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4585A (ko) 밀폐형 회전 압축기
KR19990070695A (ko) 회전압축기의 플랜지
JP3600694B2 (ja) ロータリ圧縮機
JPH08232878A (ja) ロータリ式密閉型圧縮機
KR100285830B1 (ko) 회전압축기의플랜지
KR100407741B1 (ko) 에어콘용 밀폐형 콤프레샤
KR100270871B1 (ko) 회전압축기
KR100229643B1 (ko) 회전압축기
JPH06159274A (ja) ローリングピストン型圧縮機
KR20010105814A (ko) 압축기
KR100299589B1 (ko) 유체기계
KR19990019119A (ko) 회전압축기의 회전축 지지장치
KR100229633B1 (ko) 회전압축기
KR100873680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마모 방지구조
KR100219432B1 (ko) 회전압축기
KR200239620Y1 (ko) 로터리 압축기
KR0159553B1 (ko) 밀폐형 회전압축기
KR100531282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0351148B1 (ko) 압축기
KR0128917Y1 (ko) 회전압축기
KR19990080881A (ko) 압축기
JPH06307362A (ja) ロータリ圧縮機
KR19980056681U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실린더 구조
KR20010097684A (ko) 압축기의 회전축 지지구조
KR19990018235A (ko) 회전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