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0284A - 이중화 운용 시스템에서 중앙처리장치 절체시 데이터 안정화방법 - Google Patents

이중화 운용 시스템에서 중앙처리장치 절체시 데이터 안정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0284A
KR19990070284A KR1019980005034A KR19980005034A KR19990070284A KR 19990070284 A KR19990070284 A KR 19990070284A KR 1019980005034 A KR1019980005034 A KR 1019980005034A KR 19980005034 A KR19980005034 A KR 19980005034A KR 19990070284 A KR19990070284 A KR 19990070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ocessing unit
central processing
transmission
redun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5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0284A/ko
Publication of KR19990070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284A/ko

Links

Landscapes

  • Hardware Redundanc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화로 운용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의 운용과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CPU) 절체시 현재 동작중인 중앙처리장치(CPU)에서 대기(STAND-BY)상태로 동작하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데이터를 빠르고 안전하게 전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FIFO(First Input First Out)를 이용한 이중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상기 FIFO를 이용한 이중화방법은 저속으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므로써 빠른 시간내에 이중화되지 않고, 또한 이중화 도중에 절체가 이루어지면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이중화로 운용중인 시스템에서 중앙처리장치(CPU) 절체시 현재 오퍼레이팅 중앙처리장치(CPU)에서 대기(STAND-BY)상태로 동작하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데이터를 빠르고 안전하게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중화 운용 시스템에서 이중포트메모리를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 절체시 오퍼레이팅 중앙처리장치에서 스탠-바이 중앙처리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중포트메모리를 이용하여 이중화데이터를 패킷형태로 전송하고, 이중화가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는 전송체크썸을 생성하고, 데이터 수신시에는 수신체크썸을 생성하여 상기 전송체크썸과 수신체크썸의 동일성을 비교하여 오류를 검정하고, 상기 전송체크썸과 수신체크썸이 동일한 경우에만 전송된 이중화 데이터를 기록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화 운용 시스템에서 중앙처리장치 절체시 데이터 안정화 방법
본 발명은 이중화로 운용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의 운용과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CPU) 절체시 현재 동작중인 중앙처리장치(CPU)에서 대기(STAND-BY)상태로 동작하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데이터를 빠르고 안전하게 전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FIFO(First Input First Out)를 이용한 이중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는데, 상기 FIFO(First Input First Out)란 먼저 입력된 데이터를 나중 어드레스에 기록하고, 출력시 먼저 입력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으로 먼저 입력한 데이터부터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FIFO를 이용한 종래의 이중화방법은 먼저 입력한 데이터부터 순차적으로 출력함에 따라 저속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므로써 빠른 시간내에 이중화되지 않고, 전송한 데이터의 정확성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중화 도중에 절체가 이루어지면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화로 운용중인 시스템에서 중앙처리장치(CPU) 절체시 현재 동작중인 중앙처리장치(CPU)에서 대기(STAND-BY)상태로 동작하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데이터를 빠르고 안전하게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중화 운용 시스템에서 이중포트메모리를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 절체시 오퍼레이팅 중앙처리장치에서 스탠-바이(stand-by) 중앙처리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중포트메모리를 이용하여 이중화데이터를 패킷형태로 전송하고, 이중화가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는 전송체크썸을 생성하고, 데이터 수신시에는 수신체크썸을 생성하여 상기 전송체크썸과 수신체크썸의 동일성을 비교하여 오류를 검정하고, 상기 전송체크썸과 수신체크썸이 동일한 경우에만 전송된 이중화 데이터를 기록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로 운용되는 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전송영역의 플래그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데이터의 송수신에 따른 안정화를 이루기 위한 제어흐름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로 운용되는 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 구성도로, 이중화로 운용되는 시스템 100내의 중앙처리장치 110, 120은 Active 110과 Stand-by 120의 이중화로 운영되며, 상기 Active 110 및 Stand-by 120 중앙처리장치는 각각 DPM(Dual Port Memory) 112, 122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전송영역의 플래그도로, 전송되는 이중화데이터는 어드레스, 길이, 데이터의 패킷단위로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PM을 이용하여 이중화데이터의 송수신에 따른 안정화를 이루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상술한 도 1-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201단계는 초기화 과정으로써 이중화하고자 하는 이중화데이터 전송영역을 설정한다. 즉, 이중화가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영역을 지정하는 단계이다. 이후 202단계에서 이중화가 실행가능한 액티브(Active) 상태인가를 검사하여 상기 이중화가 실행가능한 액티브 상태이면 203단계로 진행한다. 만약 이중화가 실행가능한 액티브 상태가 아니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상기 203단계에서는 이중화가 실행가능한 액티브(Active) 상태임을 확인하였으면 이중화 전송영역의 전송 플래그(FLAG)를 셋팅한다. 상기 이중화 전송영역의 전송 플래그는 도 2와 같다. 이후 204단계에서 시스템에서 각 동작을 수행도중에 이중화 전송영역의 데이터가 변화되었을 경우 205단계로 진행하여 이중화 전송을 요구한다. 즉, 이중화 DPM 112를 통해 이중화 전송영역의 데이터가 변화되었음을 인지하면 동작중인 중앙처리장치(OPERATING CPU) 110에서 대기중인 중앙처리장치(STAND-BY CPU) 120으로 이중화 전송을 요구한다. 그후 206단계에서는 DPM 112를 통해 필요한 값(어드레스, 길이, 데이터)을 취한 다음 이중화 전송 요구영역의 해당 플래그를 셋팅한다. 그런 다음 207단계에서 STAND-BY 중앙처리장치 120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이중화 데이터의 CHECKSUM(TXCHECKSUM)을 생성한다. 상기 TXCHECKSUM은 이중화데이터 전송의 정확성 확인시에 이용된다. 208단계에서 전송할 이중화데이터를 동작중인 중앙처리장치 110의 이중화 DPM 112에 기록한다. 209단계는 이중화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이중화 DPM의 플래그를 읽어서 어드레스, 길이, 데이터, RXCHECKSUM(수신된 데이터의 CHECKSUM)을 취한다. 이후 210단계에서는 상기 전송된 TXCHECKSUM과 RXCHECKSUM을 비교하여 전송/수신 CHECKSUM 값이 동일한가를 검사한다. 만약 211단계에서 전송/수신 CHECKSUM 값이 동일함이 확인되면 212단계에서 리턴코드를 정한 다음 전송을 종료하여 2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3단계에서는 전송된 내용을 읽어서 요구된 어드레스에 해당 길이만큼 겹쳐서 기록한다. 상기 211단계에서 두 CHECKSUM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207단계로 돌아가 이후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상술한 본 발명을 정리하면 이중화데이터 전송속도를 DPM을 이용하여 향상시키고, 이중화가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때 CHECKSUM을 이용하여 전송하므로써 전송한 데이터와 수신된 데이터의 동일성을 비교하는 동작을 거치므로써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중화시 이중포트메모리(DPM)를 이용하여 전송속도를 향상시키고, 전송한 데이터와 수신된 데이터의 일치성을 확인하므로써 정확한 데이터 전송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이중화 운용 시스템에서 이중포트메모리를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 절체시 동작중인 중앙처리장치에서 대기중인 중앙처리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중포트메모리를 이용하여 이중화데이터를 패킷형태로 전송하고, 이중화가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는 전송체크썸을 생성하고, 데이터 수신시에는 수신체크썸을 생성하여 상기 전송체크썸과 수신체크썸의 동일성을 비교하여 오류를 검정하고, 상기 전송체크썸과 수신체크썸이 동일한 경우에만 전송된 이중화 데이터를 기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이중화 운용 시스템에서 이중포트메모리를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 절체시 동작중인 중앙처리장치에서 대기중인 중앙처리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중화 전송영역을 지정한 후 이중화가 실행가능한 액티브 상태이면 이중화 전송영역의 플래그를 셋팅하는 과정과,
    상기 시스템 동작중 변화된 이중화 전송영역의 데이터를 취해 이중화 전송영역의 해당 플래그를 셋팅하는 과정과,
    전송하고자 하는 이중화데이터의 전송체크썸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이중화데이터 전송후 수신체크썸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체크썸과 수신체크썸을 비교하여 동일한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체크썸과 수신체크썸이 동일할 경우 전송을 종료하고 해당 플래그에 전송된 이중화데이터를 기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화 전송영역의 플래그는 어드레스, 길이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05034A 1998-02-18 1998-02-18 이중화 운용 시스템에서 중앙처리장치 절체시 데이터 안정화방법 KR199900702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034A KR19990070284A (ko) 1998-02-18 1998-02-18 이중화 운용 시스템에서 중앙처리장치 절체시 데이터 안정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034A KR19990070284A (ko) 1998-02-18 1998-02-18 이중화 운용 시스템에서 중앙처리장치 절체시 데이터 안정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284A true KR19990070284A (ko) 1999-09-15

Family

ID=6589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034A KR19990070284A (ko) 1998-02-18 1998-02-18 이중화 운용 시스템에서 중앙처리장치 절체시 데이터 안정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02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653B1 (ko) * 2001-08-31 2003-12-06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3지 비동기 시스템에서 운영체제 이중화 지원 방법
KR100729930B1 (ko) * 2005-12-16 2007-06-1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이중화 시스템의 절체 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653B1 (ko) * 2001-08-31 2003-12-06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3지 비동기 시스템에서 운영체제 이중화 지원 방법
KR100729930B1 (ko) * 2005-12-16 2007-06-1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이중화 시스템의 절체 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98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packets in a computer system having a memory hub architecture
US4809217A (en) Remote I/O port for transfer of I/O data in a programmable controller
KR100239973B1 (ko) 데이타 처리장치에서의 데이타교환 및/또는 신호처리의 동기를 위한 구조화 메시지방법
US7444540B2 (en) Memory mirroring apparatus and method
US6182267B1 (en) Ensuring accurate data checksum
US6694360B1 (en) Multi-mode network interface having loadable software images
EP3065323B1 (e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management data input/output multi-source agreements
EP3796615B1 (en) Fault tolerance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erver
US6157651A (en) Rogue data packet removal method and apparatus
US20050144339A1 (en) Speculative processing of transaction layer packets
US6208645B1 (en) Time multiplexing of cyclic redundancy functions in point-to-point ringlet-based computer systems
US8291270B2 (en) Request processing device, request processing system, and access testing method
US200901099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configuring an ethernet switch using ethernet packets
KR19990070284A (ko) 이중화 운용 시스템에서 중앙처리장치 절체시 데이터 안정화방법
US20060114892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transmit state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link
CA2307968A1 (en) A memory management technique for maintaining packet order in a packet processing system
KR20080013973A (ko) 통신 시스템의 적어도 2개의 가입자들 간의 통신을 위한방법
US69414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cyclic buffer access
KR19990069282A (ko) 피씨아이(pci) 이더넷(ethernet)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4741750B2 (ja) メインマイクロプロセッサと、バス送受信ユニットに対するプロセッサインタフェースとを有する制御装置
JP3194371B2 (ja) シリアルバスインタフェースマクロ回路の動作テスト方法
JPH07123134A (ja) 通信処理装置およびそのデバッグ方法
US6546019B1 (en) Duplex memory control apparatus
JPH0218623B2 (ko)
KR0154470B1 (ko) 보조제어장치와 외부장치간 정합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