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8680A - 컨테이너항온항습기 - Google Patents

컨테이너항온항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8680A
KR19990068680A KR1019990021638A KR19990021638A KR19990068680A KR 19990068680 A KR19990068680 A KR 19990068680A KR 1019990021638 A KR1019990021638 A KR 1019990021638A KR 19990021638 A KR19990021638 A KR 19990021638A KR 19990068680 A KR19990068680 A KR 19990068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umidity
indoor unit
hygrostat
therm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9521B1 (ko
Inventor
백국현
Original Assignee
백국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국현 filed Critical 백국현
Priority to KR1019990021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9521B1/ko
Publication of KR19990068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5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particularly adapted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44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humidity
    • B60H2001/324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humidity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5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2S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3Vibrations

Landscapes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항온 항습기에 관한 것이다. 콘테이너 내부에 설치된 항온항습기 실내기(INDOOR UNIT)는 콤펙트형 (PACKAGE TYPE) 으로 운용조건 및 현장 여건에 따라 공기흐름(AIR FLOW)의 방향을 결정하며, 케이스 및 보호대(CASING 및 FRAME), 공기여과기(AIR FILTER), 증발기(D..X COIL)(3), 송풍기(SUPPLY FAN)(7), 모터(MOTOR), 냉매 조절 장치(THERMAL EXPANSION VALAE), 재열 (REHEATING) 및 가열(HEATING)장치, 가습기(HUMIDIFIER)(4) 및 자동제어장치 (CONTROLLER)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내기 맞은 편에 CCTV(5)를 설치하여 내부를 살필 수 있으며, 천장에는 에어블로잉(AIR BLOWING) 각도는 1.5R로 설치된 닥트(6)와, 슬라이드형식의 배출구(7)가 설치되어 있고, 컨테이너 항온항습기 실외기(OUTDOOR UNIT)는 운전석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동력 전달장치(ENGINE)(2), 압축기(COMPRESSOR)(20), 응축기(CONDENSER)코일(1), 응축기용 FIN 및 전동기, 수액기(RECEIVER TANK), 케이스 및 보호대(CASING 및 FRAME)로 구성되어 있고, 운전석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항온항습기를 조작할 수 있으며, 온도계(9), 습도계(10, 안전경보장치 및 표시장치, 파워램프, 온습도를 설정하는 모니터액정화면(11)으로 구성된 콘트롤판넬(8)과, 기타 냉매 배관 및 냉매 CYCLE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항온항습기

Description

컨테이너 항온항습기{AUTOMATIC HUMIDIFIER AND HEATING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산장비 및 종이 등 기타장비의 운용 여건상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필요로 하는 컨테이너에 설치되어 냉각(COOLING), 가열(HEATING), 재열(REHEATING), 제습(DEHUMIDITY), 공기청정(AIR CLEAING), 가습(HUMIDITY) 및 공기순환(AIR CLRCULATION)등의 기능으로 외기 온, 습도 조건에 관계없이 실내 온, 습도가 항상 일정하게 하여, 컨테이너 내에 설치된 장비가 운용 중 온, 습도 조건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고장 및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컨테이너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이다.
국내특허공보 특허번호 제131687호에 자동차의 엔진을 냉각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폐열을 이용하여 실내 측에 설치된 증발수조를 가열하여 건조한 차량의 실내에 지속적으로 증기를 공급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다습하게 유지시키는 자동차의 실내습도유지 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특허공보 특허번호 제129101호에 차량용 공기조화기의 냉난방작동에 따라 적정한 과열도를 설정할 수 있는 차량용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특허공보 공고번호 제97-4374호에 차량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를 감지한 결과에 따라 온방 또는 냉방운전이 자동으로 전환되어 수행 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자동 온, 냉방제어 장치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단순히 온 냉방 및 습도를 제공하는 장치에 불과하므로, 온도와 습도에 고도로 민감한 전자부품 및 화학 제품 등을 보관 및 운반할 경우에 일정한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장치 및 설비를 간소화하여 설치비 및 운전비용을 최소화하였으며, 컨테이너 내부 및 외부에 항온항습기장치를 설치하여 온도와 습도에 고도로 민감한 전자부품, 화학 제품, 신선한 고급야채 및 과일 등을 보관 및 운반할 경우에 일정한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항온항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제1도 본 발명의 컨테이너 항온항습기 상세도
제2도 본 발명의 컨테이너 항온항습기 정면도
제3도 본 발명의 컨테이너 항온항습기 평면도
제4도 본 발명의 컨테이너 항온항습기 콘트롤판넬
도면의 부호설명
(1)응축기 (2)엔진 (3)증발기 (4)가습기 (5)CCTV
(6)배출구 (7)팬 (8)콘트롤판넬(9)온도계 (10)습도계
(11)모니터액정화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덕 엔지니어링에서 특수 제작한 제품을 사용하며 기기 구성상 필요한 부품은 타사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ISO-9001 획득 이상의 제품이어야 하며, 컨테이너내부에 공기여과기, 증발기, 송풍기, 냉매조절장치, 가열장치, 가습기, 자동제어장치와 컨테이너외부에 동력전달장치, 압축기 응축기, 냉매공급기, 냉각기, 닥트, 경보장치 및 표시장치로 구성되어 컨테이너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컨테이너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이다.
항온항습기의 설치는 항온항습기 실내기, 실외기(CONDENSING UNIT), 전원공사, 냉매배관 및 가습탱크, 배수관 설치 및 시운전 조정 및 검사순서로 하며, 항온항습기 온습도 및 편차는 온도의 경우 DB 23℃ ± 3℃이며, 습도의 경우는 RH 55% ± 5%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항온항습기 상세도, 도2는 정면도, 도3은 평면도, 도4는 콘트롤판넬를 도시하였고, (1)응축기, (2)엔진, (3)증발기, (4)가습기, (5)CCTV, (6)배출구, (7) 팬, (8)콘트롤판넬, (9)온도계, (10)습도계, (11)모니터 액정화면임을 알 수 있다.
도1의 항온항습기 실내기(INDOOR UNIT)의 구성을 살펴보면, 콤펙트형 (PACKAGE TYPE) 으로 운용조건 및 현장 여건에 따라 공기흐름(AIR FLOW)의 방향을 결정하며,
케이스 및 보호대(CASING 및 FRAME), 공기여과기(AIR FILTER), 증발기(D..X COIL)(3), 송풍기(SUPPLY FAN)(7), 모터(MOTOR), 냉매 조절 장치(THERMAL EXPANSION VALAE), 재열(REHEATING) 및 가열(HEATING)장치, 가습기(HUMIDIFIER)(4) 및 자동제어장치(CONTROLLER)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내기 맞은 편에 CCTV(5)를 설치하여 내부를 살필 수 있으며,
항온항습기 실외기(OUTDOOR UNIT)는 운전석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동력전달장치(ENGINE), 압축기(COMPRESSOR), 응축기(CONDENSER)코일, 응축기용 FIN 및 전동기, 수액기 (RECEIVER TANK), 케이스 및 보호대(CASING 및 FRAME)로 구성되어 있고, 기타 냉매 배관 및 냉매 CYCLE, 닥트, 안전, 경보장치 및 표시장치로 구성되어 있어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항온항습기 실내기의 케이스(CASING)은 1.2THK 이상의 냉간압연강판을 사용하며 프레임(FRAME)은 2.0THK 이상의 냉간 압연강판을 절곡하여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갖으며 케이스(CASING)는 장비의 가동 중에도 내부를 점검하기 용이한 구조로 부착되어 있으며,
케이스(CASING)의 프레임(FRAME)에 대한 접촉부는 2.0THK 이상의 패킹(PACKING)을 삽입하여 공기의 누설이 없도록 하였고, 케이스(CASING)에는 난연성 보온재 마스터폰(P.E FOAM) 10THK를 사용하여 외부와의 열 전달을 최대로 억제하며 송풍기등에서 발생하는 음의 전달을 방지하며, 보온재와 보온재의 단면이 접촉하는 부위는 완전히 밀착하여 부착시켰으며,
케이스(CASING)의 도장은 탈지공정에 의해 탈지를 한 후 에폭시 프라이머트 방청처리를 하였고, 마감도장은 지정색으로 도장하여 소부 처리하며 미려한 외장 및 녹등 부식을 방지하며, 지정색이 없을 경우 마커(MAKER)표준색으로 도장할 수 있다.
또한 공기여과기(AIR FILTER)의 여과재는 화학섬유제로서 세척 후 재사용이 가능(WASHABLE TYPE)하며, 순환되는 공기의 분진 등을 제거하여 다른 장비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여과재(FILTER)의 커버(CASE)는 알몰드(AL MOLD) 제품으로서 여과재 전면과 후면에는 알메쉬(AL MESH)를 부착하여 여과재를 보호하며 플랫과 유니트형(FLAT & UNIT TYPE)으로 하여 취부가 용이하며, 여과재(FILTER)의 공기여과 능력은 중량법(AFI) 80% 이상의 고효율의 제품을 사용하여 여과재(FILTER)의 두께는 20THK로 한다.
증발기(D..X COIL)의 증발기용 코일(COIL)은 동일 공간 내에서 전열면적을 높이기 위하여 Φ⅜" 동관이 지그 재그식(ZIGZAG) 배열에 슬릿형핀(SLIT TYPE FIN)을 부착시킨 교차핀튜브형(CROSS FINED TUBE TYPE)의 구조로서, 동관은 순도 99.9% 이상의 인탈산 동관 0.5THK를 사용하며 알핀(AL FIN) 은 순도 99.9% 이상의 알플레이트(AL PLATE 0.14THK)를 사용하며, 동관에 삽입하는 알핀(AL FIN)의 수는 10FPI를 기준으로 하며 핀피치(FIN PITCH)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전 핀(FIN)의 구성은 역 버링(BURRING) 되어야 한다. 동관과 핀(FIN)의 접촉면은 전열계수의 향상을 위하여 유압 등을 이용한 강제 확관 하여야 한다.
이중사이클(DUAL CYCLE)의 경우에 냉매 분배기에서 증발기로 배열은 지그재그(ZIGZAG) 배열하여 1사이클의 가동 중에도 증발기 전면에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증발기의 내압시험 및 기밀시험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증발기의 튜브시트(TUBE SHEET)와 프레임(FRAME)은 아연도 강판 1.6THK를 사용하며 튜브시트(TUBE SHEET)와 동관의 접촉면은 열(BURRING) 처리하여 접촉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다.
송풍기(SUPPLY FAN) 및 소음방지 진동기(MOTOR)를 설명하면, 양흡입 당비형(SIROCCO FAN)송풍기를 사용하여 정숙하며 안정된 운전상태를 유지하며, 운전 시 소음 및 진동이 적도록 하며, 송풍기의 날개(IMPELLER)는 정, 동 밸런스 작업을 하여 정숙 운전이 되도록 하며 축(SHAFT)은 기계구조용 탄소강을 사용하여 기계적 결함이 없도록 하였고, 베아링(BEARING)은 볼베아링(BALL BEARING)을 사용하여 래디알(RADIAL) 및 트러스트(THRUST)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고 장시간 운전에도 지장이 없도록 하며 보수 유지가 용이한 구조로 부착하였고, 송풍기 동력 전달 방법은 직접운행형식(DIRECT DRIVE TYPE)으로 하며, 풀리(PULLEY)의 규격은 전동기 용량별 최소의경 이상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다음 냉매 조절 장치(THERMAL EXPANSION VALAE)의 온도식 자동 팽창변은 증발능력에 합당한 규격을 사용하며 증발기의 과열도에 따른 냉매의 유량 조절 및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재열(REHEATING) 및 가열 (HEATING)장치의 가열장치(HEATER)는 단계별(STEP)제어가 가능하도록 비례식 또는 2단계(STEP)이상으로 구성하며 항온항습기 조절기 (CONTROLLER)에의 정밀한 온도 유지와 단계의(STEP)범위 작동에 의한 동력 절감방식으로 하였고, 가스(GAS) 또는 물(WATER)식 스피랄핀가열장치(SPIRAL FIN HEATER)를 사용하며 효율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핀(FIN) 과 가열튜브(HEATER TUBE)와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고 와트(WATT)를 최소화하여 가열장치(HEATER)의 수명을 증대시킨다. 상기 송풍기의 작동에 이상 발생 시 가열장치(HEATER)의 과열방지를 위한 과열방지기(OVER HEAT PROTECTOR)를 부착하며 송풍기 정지 시에는 가열장치(HEATER)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였다.
가습기를 장치 내에 설치시는 팬모터(FAN MOTOR) 설치부위를 피하고 가습기에 의한 팬모터(FAN MOTOR)의 결함(TROUBLE)을 배제하였고, 단수 시 가열장치(HEATER)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는 단수장치를 설치하였으며, 공급 수량을 자동 제어시킬 수 있는 수위조절센서(FLOAT SENSOR)를 부착하였고, 수위조절기(LEVEL CONTROLLER)가 고장날 경우 넘치는 물을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관(DRAIN LINE)과 고장을 대비하여 급수 일정량 공급 장치를 설치하였다.
가열기(HEATER)는 수중용 쉬티가열장치(SHEATHED HEATER)로써 교체가 용이하며 과열시 침전물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열 방지 장치를 부착하였고, 가열장치(HEATER)는 STS 304 가열장치(HEATER)를 사용하며 항습기(HUMIDISTAT)를 설치 실내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자동제어장치(CONTROLLER)는 항온항습기에 설치되며, 미세조절(MICRO PROCESSOR CONTROL) 방식으로 자가 진단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에너지 절감 및 로타리 운전방식으로 각 부분의 수명 연장과 송풍기(COMPRESSOR)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자동 절제 기능이 내장되어 자체적으로 응급조치를 할 수 있으며,
재가열장치(COOLING REHEATING)와 가열장치(HEATING) 및 가열습도기 (HUMIDITY HEATER) 부분이 로타리 운전방식으로 각 부품의 가동시간을 균등하게 분배하므로써 부품별 가동 시간을 일정하게 운전할 수 있고, 장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담당자 외의 타인에 의해 온, 습도의 설정값을 변형시키지 못하도록 잠금장치(LOCK)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동절기 또는 냉매배관 LINE 이 긴 경우 최초 가동시 저압력(LOW PRESSURE)의 잦은 작동으로 송풍기(COMPRESSOR)의 파손을 방지하였고, 정전 후 복귀시 여러 장비가 동시 가동할 때 발생되는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장비별로 START 시간을 조정하여 순차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정상 운전 중장비를 정지시키면 가열장치(HEATER)의 발열과 가습기 가열장치(HEATER) 등에서 발열되는 열 등으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대비하기 위하여 송풍기를 지연(DELAY) 기능을 설치하였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항온항습기 실외기(OUTDOOR UNIT)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동력전달장치(ENGINE) DD3기통 19HP이며, 압축기(COMPRESSOR)는 DD-C4로 하고, 사용냉매는 항온항습조건에 적합한 FREON-22를 사용하며 운전가동 중 윤활이 원활한 구조이며, 압축기 모터의 냉각은 흡입되는 냉각가스로 하고 그 입구에는 진공흡입기(SUCTION STRAINER)를 부착하여 이 물질의 흡입을 방지한다. 압축기에는 크랭크케이스가열장치(CRANK CASE HEATER)를 설치하여 기름형성(OIL FOAMING)등 기타 위해를 방지하며 펌프다운형식(PUMP DOWN SYSTEM)을 채택하여 액충격(LIQID HAMMER)을 방지하였으며, 압축기의 부착시에는 하부에 방진장치를 부착하여 진동의 전달과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며 압축기 베이스와 견고히 고정시켰다.
응축기(CONDENSER)의 공기냉각식(AIR COOLED TYPE)의 응축기용 코일은 동일공간에서 전열면적을 높이기 위하여 직경Ø3/8" 동관을 지그재그배열 하여 슬릿형핀(SLIT TYPE FIN)을 부착시킨 교체핀튜브형(CROSS FINNED TUBE TYPE)의 구조로 하였다. 동관은 순도 99.9%이상의 인탈산동관과 AL FIN은 99.9%이상의 AL PLATE O.14t를 사용하였으며, 동관에 삽입하는 알핀(AL FIN)의 수는 12FPI를 기준으로 하며 핀피치(FIN PITCH)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전 핀(FIN)의 구성은 역 버닝(BURRRING)되도록 하였고, 동관과 핀(FIN)의 접촉면은 전열계수의 향상을 위하여 유압등을 이용한 강제확관하여 동관과 핀(FIN)의 접촉을 좋게 하였고, 코일의 튜브시트(TUBE SHEET)와 프레임(FRAME)은 아연도철판1.6t를 사용하며 튜브시트와 동관의 접촉면은 열(BURRING)처리하여 접촉면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였고, 코일의 핀(FIN)부분에는 보호망을 부착하여 FIN을 보호하였다.
응축기용 핀(FIN) 및 모터를 살펴보면, 응축기용 핀(FIN)은 날개형(PROPELLER TYPE)으로서 정, 동바란스 작업을 하여 정숙한 운전이 되어야 하며 브래드(BLADE)의 재질은 알플레이트(AL PLATE)로 하였으며, 전동기(MOTOR)는 프로펠러팬(PROPELLER FAN)과 직경, 또는 벨트로 연결하며 전폐형의 구조이며, 팬(FAN) 토출구에는 보호망을 부착하여 이 물질의 침입 또는 안전사고를 예방하였다.
수액기 (RECEIVER TANK)는 응축기코일(CONDENSER COIL)에서 응축된 냉매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용량으로서 제작완료 후 압력시험을 하여 이상이 없어야 하며 가용전을 부착하여 이상고압시 냉매를 분출하였고, 케이스(CASING) CASING은 냉간압연강판 1.2t이상 또는 알 엠보싱(AL EMBOSSING)을 사용하고 프레임(FRAME)은 냉간압연강판 2.0t를 사용하여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갖도록 하였고, 도장은 냉간압연강판을 사용할 경우 실내기의) 케이스(CASING) 및 프레임(FRAME)과 같이 처리하며 알 엠보싱플레이트(AL EMBOSSING PLATE)일 경우에는 무도장(NO PAINT) 한다.
냉매 액관에는 냉매의 순환상태 및 건습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분검출기(MOISTURE INDICATOR)를 설치하여 냉매의 순환상태를 확인하며, 냉매 배관에는 디스터부터(DISTRIBUTOR), 엑스펜션밸브(EXPANSION VALVE),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 건조여과기(FILTER DRIER), 계기(SIGHT GLASS) 등의 부품과 압력게이지(HIGH, LOW PRESSURE GAUGE)가 설치되어 있고, 배관에 사용되는 동관은 이음매 없는 인탈산동관을 사용하여 용접부위는 질소를 봉입한 상태에서 은납용접을 하며 누설이나 부식이 없도록 하였으며, 배관 작업시 필요부위에는 솔리브를 사용하고 배관의 기울기를 형성시켜 OIL회수가 용이하도록 앞내림 구배를 하며 가동 및 정지중에 냉매액이 배관상에 대량으로 고이지 않게 하였고, 배관경 및 배관접속품은 압력손실이 많이 걸리지 않게 설치하고 액관(LIQUID LINE)에는 압력 저하로 인한 플레시가스(FLESH GAS)가 생기지 않도록 하였으며, 배관 시공후 내압 및 기밀시험을 실시하여 이상이 없을 경우 보온 후 보온마감 테이프로 마감 처리하였다.
닥트는 밀폐된 공간의 항온항습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3과 같이 제작 설치하였고, 에어블로잉(AIR BLOWING) 각도는 1.5R로 하였으며, 닥트 재질은 알 플레이트(AL PLATE) 또는 STS 304 0.8T이상으로 하였고, 닥트의 풍량은 180CMH 이상이며, 정압은 15mmAQ 이상으로 하였다.
도4의 콘트롤판넬의 항온항습기 안전 경보장치는 스위치(DUAL(HI-LOW) PRESSURE SWITCH), 팬모터과열방지기(FAN MOTER OVERLOAD PROTECTOR), 응축기팬모터과열방지기(CONDENSER FAN MOTOR PROTECTOR), 가열장치크랭크케이스(CRANK CASE HEATER), 가열장치 및 습도기가열방지장치(HEATING COIL& HUMIDIFIER HEATER OVERHEATING PROTECTOR), 조작회로단락 FUSE 및 NFB, 수액탱크의 퍼시블플랜지(RECEIVER TANK 의 FUSIBLE PLUGE), 컴퓨레샤압력조절기(COMPRESSOR PRESSURE CONTROL), 압력게이지(HIGH-LOW PRESSURE GAUGE), 습도기솔로노이드밸브(HUMIDIFRER SOLENOID VALVE) 및 이상발생시 경보등(ALARM LAMP)의 표지 및 경보기(BUZZER)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시장치는 파워등(POWER LAMP), 현재의 온도 상태, 현재의 습도 상태, 현재의 동작기능 상태, ALARM 표시장치 및 온, 습도 설정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압축기(COMPRESSOR)는 구조(3톤 이상)에 따라 운전석 하부 즉 차량의 엔진부근에 설치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기 및 부품은 수요자의 요구와 온, 습도 조건 등 사용목적상 운용자에게 편의를 줄 수 있으며, 현장 설치조건 및 환경 여건을 충분히 고려하여 제작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소형이며, 설비가 간단하여 작동이 간편하며, 자동온도 및 습도조절장치의 지시에 따라 컨테이너에 설치된 가열 및 습도장치가 작동되어 짧은 시간 내에 일정한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여 온도 및 습도에 민감한 물품을 장기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컨테이너 항온항습기에 있어서,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된 항온항습기 실내기(INDOOR UNIT)는 콤펙트형 (PACKAGE TYPE) 으로 운용조건 및 현장 여건에 따라 공기흐름(AIR FLOW)의 방향을 결정하며, 케이스 및 보호대(CASING 및 FRAME), 공기여과기(AIR FILTER), 증발기(D..X COIL)(3), 송풍기(SUPPLY FAN)(7), 모터(MOTOR), 냉매 조절 장치(THERMAL EXPANSION VALAE), 재열(REHEATING) 및 가열(HEATING)장치, 가습기(HUMIDIFIER)(4) 및 자동제어장치(CONTROLLER)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내기 맞은 편에 CCTV(5)를 설치하여 내부를 살필 수 있으며,
    천장에는 에어블로잉(AIR BLOWING) 각도는 1.5R로 설치된 닥트(6)와, 슬라이드형식의 배출구(7)가 설치되어 있고,
    컨테이너 항온항습기 실외기(OUTDOOR UNIT)는 운전석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동력전달장치(ENGINE)(2), 압축기(COMPRESSOR)(20), 응축기(CONDENSER) 코일(1), 응축기용 FIN 및 전동기, 수액기 (RECEIVER TANK), 케이스 및 보호대(CASING 및 FRAME)로 구성되어 있고,
    운전석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항온항습기를 조작할 수 있으며, 온도계(9), 습도계(10, 안전경보장치 및 표시장치, 파워램프, 온습도를 설정하는 모니터액정화면(11)으로 구성된 콘트롤판넬(8)과,
    기타 냉매 배관 및 냉매 CYCLE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항온항습기
KR1019990021638A 1999-06-10 1999-06-10 컨테이너 항온항습기 KR100319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638A KR100319521B1 (ko) 1999-06-10 1999-06-10 컨테이너 항온항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638A KR100319521B1 (ko) 1999-06-10 1999-06-10 컨테이너 항온항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680A true KR19990068680A (ko) 1999-09-06
KR100319521B1 KR100319521B1 (ko) 2002-01-05

Family

ID=5475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638A KR100319521B1 (ko) 1999-06-10 1999-06-10 컨테이너 항온항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95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510B1 (ko) * 1999-09-21 2002-04-26 장근호 이동용 컨테이너 오븐
KR100812924B1 (ko) * 2007-04-18 2008-03-11 이정수 선박 도색용 열풍기
KR102010585B1 (ko) * 2018-07-04 2019-08-13 김찬영 유압 모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카고 크레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510B1 (ko) * 1999-09-21 2002-04-26 장근호 이동용 컨테이너 오븐
KR100812924B1 (ko) * 2007-04-18 2008-03-11 이정수 선박 도색용 열풍기
KR102010585B1 (ko) * 2018-07-04 2019-08-13 김찬영 유압 모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카고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9521B1 (ko) 200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21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US83276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US4320630A (en) Heat pump water heater
US200800410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US20020166334A1 (en) Modular liquid-cooled air conditioning system
CN1515848A (zh) 太阳能-空气热泵热水器
US20180356116A1 (en) Condensate recycling system for hvac system
EP1015833A1 (en) Rotating disk evaporative cooler
US3608625A (en) Closed loop heat pump systems
KR100319521B1 (ko) 컨테이너 항온항습기
US20210255649A1 (en) Economizer temperature extrapola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3042586A (ja) 室外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CN107642897A (zh) 一种空调冷凝水处理方法和空调器
US20020088239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RU193484U1 (ru) Двухконтурный чиллер с двумя компрессорами в каждом контуре
RU191953U1 (ru) Одноконтурный чиллер
CN112696743A (zh) 一种除湿机及其控制方法
CN201155847Y (zh) 冷凝水蒸发装置和自干型分体式空调器
CN101251296B (zh) 冷凝水蒸发装置和自干型分体式空调器
KR200193266Y1 (ko) 일체형 항온항습기
CN216384556U (zh) 一种工业厂房风机盘管凝结水回收装置
US20240044546A1 (en) Water-to-water, water source heat pump with domestic hot water heat priority refrigeration circuit
JP7258174B2 (ja) ショーケース
CN2231773Y (zh) 一体化便移式空调柜机
Spencer Specifying steam surface conden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