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8060A - 콘크리트믹스플랜트 내 및/또는 콘크리트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 내에서 생 콘크리트의 품질유지 및 고착방지방법과 그의 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믹스플랜트 내 및/또는 콘크리트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 내에서 생 콘크리트의 품질유지 및 고착방지방법과 그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8060A
KR19990068060A KR1019990001862A KR19990001862A KR19990068060A KR 19990068060 A KR19990068060 A KR 19990068060A KR 1019990001862 A KR1019990001862 A KR 1019990001862A KR 19990001862 A KR19990001862 A KR 19990001862A KR 19990068060 A KR19990068060 A KR 19990068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mixer
rotary
mixer drum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카모토노리오
Original Assignee
사카모토 노리오
가부시키가이샤 레믹크아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6561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23713A/ja
Application filed by 사카모토 노리오, 가부시키가이샤 레믹크아사노 filed Critical 사카모토 노리오
Publication of KR19990068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06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mounted on vehicles with provision for mixing during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믹서드럼 외부의 개방공기온도가 높을 때 콘크리트믹서트럭 및/또는 콘크리트믹서플랜트의 회전 및/또는 정지된 믹서드럼 내의 믹서된 생 콘크리트 내로 냉각공기를 선택적으로 및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소정의 범위 내로 생 콘크리트의 온도를 유지하고 믹서된 생 콘크리트 경화시간을 지연하기 위하여, 믹서드럼 외부의 개방공기온도가 낮을 때 콘크리트믹서트럭의 회전식의 믹스 내의 믹서된 생 콘크리트 내로 더운 공기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회전식의 믹서드럼 내로 물을 뿌리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믹서트럭 및/또는 콘크리트믹서플랜트의 회전 및/또는 정지된 믹서드럼의 내부 표면과 복수의 회전식 블래이드에서 믹서된 생 콘크리트의 고착을 방지하는 방법과 장치.

Description

콘크리트믹스플랜트 내 및/또는 콘크리트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 내에서 생 콘크리트의 품질유지 및 고착방지방법과 그의 장치. {A method of and devic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fresh concrete and preventing adhesion and hardening of fresh concrete in a rotary mixer drum of a concrete mixer truck and/or in a concrete mixing plant}
본 발명은 생 콘크리트의 고착을 방지하고 생 콘크리트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계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콘크리드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 내 및/또는 콘크리트믹스플랜트 내에서 생 콘크리트의 고착을 방지하고 생 콘크리트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계되어, 생 콘크리트를 내리기 직전 또는 직후 그리고 또한 회전식 믹서드럼의 내부를 세정하기 직전에 냉각 또는 더운 공기가 선택적으로 및 연속적으로 콘크리트 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 및/또는 고정된 믹서드럼 내로 운반되어 요구된 온도에서 생 콘크리트의 온도를 유지하고, 생 콘크리트의 경화시간을 지연하게 되고, 남아 있는 생 콘크리트의 배출이 끝난 후에 연속적으로 물이 회전식 및/또는 고정된 믹서 드럼 내로 뿌려지고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전에 씻어낸다.
콘크리트는 시멘트, 모래 그리고 깨어진 돌등을 물과 혼합하고 이들 혼합물을 굳게하여 만들어지는 기초 등에 사용되는 인공적인 돌의 물질이다.
빠른 경화와 단단한 콘크리트는 건축재료에 불가피하다. 콘크리트의 이러한 단단함과 빠른 경화의 속성은 때때로 불이익할 수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회전식 믹서드럼(20)은 롤러체인(14)에 의해 회전식 믹서드럼(20)의 바닥부(20b)의 중앙부에서 설치된 기어(16)에 연결되는 유압모터(12)를 갖는 믹서트럭(10)의 차대(10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종래의 콘크리트 믹서트럭(10)과 콘크리트 믹서플랜트에서는 믹서된 생 콘크리트의 회학 반응이 일어나 회전식 콘크리트드럼의 내부면 주위와 복수의 회전식 블래이드에 접착하고 그곳에서 경화되는 성가신 문제점이 있어 왔다.
콘크리트 믹서플랜트 내와 콘크리트 믹서트럭(10)의 회전식 믹서드럼(20)의 내부면과 회전식 블래이드에 일단 접착되고 경화된 콘크리트는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
생 콘크리트를 회전식 믹서드럼(20) 밖으로 배출하거나 내려놓은 후 콘크리트 믹서트럭(10)의 회전식 믹서드럼(20)의 바닥부 및/또는 콘크리트 믹서플랜트 내에 남아있는 생 콘크리트가 물로 씻어내는 것이 이 기술분야에서 통례였다.
여름의 강렬한 햇빛 아래에서 회전식 믹서드럼(20) 내의 온도는 약 40-50℃ 사이의 범위를 넘어 상승하여, 생 콘크리트의 운반 범위와 경화시간 모두를 단축하고 또한 경화된 콘크리트의 강도를 감소시킨다.
게다가, 믹서된 생 콘크리트를 콘크리트 믹서트럭(10)의 종래의 회전식 믹서드럼(20) 밖으로 내려놓을 때, 회전식 믹서드럼(20) 내의 온도가 갑자기 상승하여 남아 있는 생 콘크리트는 짧은 시간에 경화한다.
더욱이, 회전식 믹서드럼(20) 그 자체 내의 온도는 다소 높으므로, 생 콘크리트가 내려지기 전에 회전식 믹서드럼(20)의 바닥부에서 모이고, 생 콘크리트의 교반은 충분히 수행되지 않아, 생 콘크리트의 고착을 가속화한다.
이 때문에, 물이 생 콘크리트를 내려놓은 직후 회전식 믹서드럼(20) 내로 뿌려질 때, 일단 경화된 남아 있는 생 콘크리트는 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가 회전식 믹서드럼(20)에 들어가 해머로써 경화된 콘크리트를 긁어내거나 때어내는 것이 요구된다.
생 콘크리트가 배처(batcher) 타입의 콘크리트믹서로부터 내려진 직후에 물로 하는 세정이 항상 수행되나, 어떠한 종류의 물로 하는 세정이 수행되더라도 접착된 콘크리트의 일정한 양은 증가한다.
실무적으로, 작업자는 콘크리트 믹서트럭(10)과 콘크리트 믹서플랜트 양자의 회전식 믹서드럼(20)으로부터 일주일에 한번 접착된 콘크리트를 긁어 내는 것을 수행하여야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자가 콘크리트 믹서트럭(10)과 콘크리트 믹서플랜트의 회전식 믹서드럼(20) 내로 회전식 믹서드럼(20)으로부터 접착되고 경화된 콘크리트를 긁어 내기 위하여 들어가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작업자가 콘크리트 믹서트럭(10)에 설치된 회전식 믹서드럼(20) 내에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회전식 믹서드럼(20)이 부주위하게 회전하기 위해 구동됨으로서 많은 치명적인 사고가 유감스럽게도 매년 보도가 되고 있다.
이 같은 사고를 피하기 위하여, 회전식 믹서드럼(20) 내에 작업자가 있는지 감지하는 센서가 있는 안전한 장치가 제안되었다.
완전한 안전조치가 기대될 수 없기 때문에 회전식 믹서드럼(20) 내에서 작업자에 의한 긁는 동작과 물로 하는 세정은 수행되어서는 안 된다.
생 콘크리트를 혼합하는 것으로부터 생 콘크리트를 내려놓는 시점까지의 시간이 90분 이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JIS(일본 산업 표준) 하에 명기되어 있다.
시간이 90분을 초과할 때, 믹서된 생 콘크리트의 온도가 상승하여 생 콘크리트가 고온에 의해 나빠지게 되어 운반범위를 단축한다.
따라서 이로서 믹서된 생 콘크리트는 상기 표준 아래의 생산품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거절된 가능성이 있다.
콘크리트 믹서와 그것의 운반은 시간 싸움이라고 말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액화가스를 각각 사용하는 몇몇 냉각 시스템이내 냉각장치가 위치된 콘크리트의 강성을 증가하고, 배치된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고 그리고 콘크리트의 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생 콘크리트 자체온도를 냉각하기 위하여 제안되어 왔다.
이들 중에는 운송 전에 생 콘크리트가 직접적으로 냉각되도록 하는 많은 냉각시스템이 있다.
종래 냉각시스템의 하나는 생 콘크리트가 건축지역 또는 건설현장에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액화가스가 직접적으로 생 콘크리트 내로 주입하는 또 다른 종래 냉각시스템이 콘크리트 믹서트럭 위에 설치된다.(심사되지 않은 일본특허공보 NO.229507/1986을 보라)
하지만, 액화가스는 매우 비싸고, 비록 그것이 생 콘크리트의 일시적인 냉각에 적합할지라도, 많은 양의 액화 가스가 운송 도중에 연속적인 냉각을 위하여 요구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좋다.
깨어진 얼음의 조각을 회전식 믹서드럼 내의 생 콘크리트 속으로 믹서한 또 다른 실시예가 제안되어 왔으나, 후자를 놓을시 생 콘크리트 내에 깨어진 얼음의 조각이 남아 있을 때, 생 콘크리트 내의 깨어진 얼음에서 틈이나 홈이 발생하여, 경화된 콘크리트의 강성을 저하한다는 불이익이 있다.
반면에 회전식 믹서드럼(20)을 전자에서의 온도를 강하하도록 추운 계절에 개방 공기로 드러낼 때, 믹서된 생 콘크리트의 강성은 저하한다.
이러한 불이익을 제거하기 위하여, 시멘트의 혼합비율을 개방공기의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대응조치가 수행되어 왔다. 이를 위한 믹서 조절은 매우 성가시고, 재료비용이 또한 증가한다.
남아 있는 시멘트의 고착은 역시 회전식 믹서드럼 내에 고온에서보다는 비록 적지만 추운 계절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콘크리트믹스플랜트 및/또는 콘크리드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의 내부면 주위와 복수의 회전식 블래이드에서 생 콘크리트의 고착을 방지하고 생 콘크리트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여, 냉각 또는 더운 공기가 선택적으로 및 연속적으로 콘크리트 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 내로 운반되어 요구된 온도에서 생 콘크리트의 온도를 유지하고, 생 콘크리트의 경화시간을 지연하고, 그것의 운반범위를 연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믹스플랜트 및/또는 콘크리드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의 내부면 주위와 복수의 회전식 블래이드에서 생 콘크리트의 고착을 방지하고 생 콘크리트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여, 냉각 또는 더운 공기가 선택적으로 및 연속적으로 콘크리트 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 내로 운반되어 요구된 온도 범위에서 생 콘크리트의 온도를 유지하고, 생 콘크리트의 경화시간을 지연하고, 그것의 운반범위를 연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믹스플랜트 및/또는 콘크리드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의 내부면 주위와 복수의 회전식 블래이드에서 생 콘크리트의 고착을 방지하고 생 콘크리트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여, 냉각 공기가 고온에서 연속적으로 회전식 믹서드럼 내로 운반되어 요구된 저온에서 생 콘크리트의 온도를 유지하고, 생 콘크리트의 경화시간을 지연하고, 그것의 운반범위를 연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를 제공하여, 생콘크리트의 질을 저하하지 않고 콘크리트 믹서플랜트 및/또는 콘크리트 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의 내부면에 생콘크리트의 고착을 방지하면서 생콘크리트의 긴 거리 운송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를 제공하여, 회전식 믹서드럼 내의 생콘크리트의 운송을 위한 시간이 콘크리트 믹서 릴레이 베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가능한 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를 제공하여, 콘크리트 믹서플랜트 및/또는 콘크리트 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 내의 남아 있는 생콘크리트의 물에 의한 세정이 쉽고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어 회전식 믹서드럼 내에서 작업자에 의해 접착된 콘크리트의 긁어내는 작동을 중지할 수 있어, 치명적인 사고를 피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 내의 생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생콘크리트가 생콘크리트 믹서플랜트나 콘크리트 믹서 릴레이 베이스가 위치하지 않은 지역에서 조차도 제조될 수 있어, 생콘크리트를 개별적으로 모래, 시멘트 그리고 물과 같은 콘크리트 재료를 가져오는 일없이 효과적으로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를 제공하여, 생콘크리트의 대부분이 방출된 후 남아 있는 생콘크리트의 접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 내로 냉각공기만 운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를 제공하여, 생콘크리트의 배치가 고온 또는 저온의 양자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 내의 생콘크리트의 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여, 회전식 믹서드럼의 외부 케이싱의 전체 또는 부분이 열절연 물질로 분리 가능하게 덮힌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절한 가격에서 회전식 믹서트럭에 설치되고 쉽게 제조될 수 있는 컴팩트하고 간단한 냉각 및 더운 공기 송풍기를 가지는 콘크리트 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 내의 생콘크리드의 고착을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콘크리트믹서트럭에 재치된 종래의 회전식 믹서드럼의 개략도이고,
도 2는, 후방에서 본 발8명에 따른 회전식 콘크리트믹서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회전식 콘크리트믹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부분적으로 드러난 회전식 믹서드럼을 가지는 도 3에 유사한 회전식 콘크리트믹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리인Ⅴ-Ⅴ에 따른 확대된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냉각공기를 콘크리트믹스플랜트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공기송풍덕트와 회전식 믹서드럼의 주위를 덮는 열절연 물질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공기공급장치의 확대된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교반 타입 회전식 콘크리트믹서에 재치된 냉각 및 더운 공기 송풍기의 확대된 단면도이고,
도 10은, 배처(batcher) 콘크리트 회전식 믹서플랜트에 재치된 냉각 및 더운 공기 송풍기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믹서트럭 12 : 유압모터
14 :롤러체인 16 : 기어
20 : 믹서드럼 22, 26, 48 : 덕트
24, 30 : 송풍기 28 : 열절연 물질
32, 52 : 케이싱 34 : 제습기
36 : 플레이트 38 : 모터
40 : 히터 42, : 흡입파이프
44 : 압축기 46 : 배기파이프
54 : 열교환기 56 : 베이스 작동유니트
60 : 조절패널 68 : 전기선
70 믹서탱크 72 : 샤프트
74 : 교반기 76 : 구동유니트
본 발명은 콘크리트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 내의 생 콘크리트의 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관련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송풍기(24)가 냉각공기를 회전식 믹서드럼(20) 내의 믹서된 생 콘크리트 내로 연속적으로 불기 위하여 운전자실(10b)과 회전식 믹서드럼(20) 사이에 위치하여 콘크리트믹서트럭(10)의 차대(10a) 위에 설치된다.
물탱크(22)가 회전식 믹스드럼의 내부면을 세정하기 위하여 차대(10a) 위에 설치된다.
송풍덕트(26)가 회전식 믹서드럼(20)에 인접하여 위에 설치되고, 한 끝단부(26a)는 송풍기(24)와 연결되고 또 다른 끝단부(20a)는 회전식 믹서드럼(20)의 호퍼(hopper)(20a)에 부분적으로 들어가도록 안내된다.
회전식 믹서드럼(20) 내의 내부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온도센서나 온도계(도시되지 않음)가 공기덕트(26)의 한 끝단부(26b)에 설치된다.
온도센서에 의해 회전식 믹서드럼(20) 내의 믹서된 생 콘크리트의 온도가 소정의 범위를 넘어 상승하였을 때, 송풍기(24)는 구동되어 온도를 감소하고 소정의 범위 (약 1℃와 약 15℃ 사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냉각공기를 보낸다.
회전식 믹서드럼(20) 외부의 개방공기온도가 28℃가 되고 회전식 믹서드럼(20) 내의 온도가 약 15℃로 상승할 때, 공기 송풍기(24)는 구동되어 온도를 떨어지게 하기 위하여 약 3℃의 냉각공기를 보내고, 따라서 회전식 믹서드럼(20) 내의 온도를 약 12℃ 아래로 유지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다.
회전식 믹서드럼(20) 외부의 개방공기온도가 약 12℃일 때, 전자 내의 온도가 개방공기의 온도보다 상승하고, 어떤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다면, 회전식 믹서드럼(20) 내의 온도는 약 15℃ 이상으로 상승하여, 개방공기온도가 약 15℃ 이하일지라도, 공기 송풍기(24)는 구동되어 냉각공기를 회전식 믹서드럼(20) 내로 보낸다.
여름에는, 회전식 믹서드럼(20) 외부의 한낮 개방공기온도는 항상 약 15℃보다 높다.
반면에, 회전식 믹서드럼(20) 외부의 개방공기온도는 겨울의 개방공기온도보다 낮을 것이다.
따라서, 온도센서와 같은 온도조절기를 사용하지 않고 열절연 물질로 덮힌 회전식 믹서드럼(20)과 함께 공기 송풍기(24)의 고정 냉각온도는 5월과 10월 사이의 계절동안 기계적으로 10℃에 맞추어지고, 11월과 다음 4월 사이의 계절동안 고정냉각온도는 5℃에 맞추어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한 고정온도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냉각 및 더운 공기의 조절의 상승효과에 의한 시멘트와 함께 회전식 믹서드럼(20) 내로 운반되는 물의 온도(항상 방 온도에서)를 조절함으로서 회전식 믹서드럼(20) 내의 믹서된 생 콘크리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여름에 1℃와 5℃ 사이의 온도와, 가을과 겨울에 30℃과 70℃ 사이의 온도를 유지한다.
공기덕트(22)의 한 끝단부(22a)는 회전식 믹서드럼(20)의 상단부 내로 위치되게 배치되어서 냉각공기는 회전식 믹서드럼(20) 내로 그것의 전체 내부면을 냉각하기 위하여 아래로 흐른다.
냉각공기가 종래 교반 타입의 콘크리트믹서트럭(심사되지 않은 일본특허공보 No. 229507/1986을 보면)의 회전식 믹서드럼(20) 내의 생 콘크리트 내로 운반될 때, 공기거품이 생 콘크리트 내로 발생되고, 따라서 생 콘크리트의 강성을 저하하므로 공기덕트(22)의 한 끝단부(22a)가 회전식 믹서드럼(20)의 중간 또는 바닥부에 위치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좋다.
공기 송풍기(24)는 가정용 전력원이나 자동차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므로 연속적인 냉각이 수행될 수 있다.
전력원이나 자동차 엔진을 사용하여 냉각공기를 생산하는 비용은 액화 가스를 사용할 때의 것보다 실질적으로 작다.
회전식 믹서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트럭엔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교반 타입의 콘크리트믹서트럭에 따라서 생 콘크리트를 긴 시간동안 연속적인 냉각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해 졌다.
본 발명은 믹서된 생 콘크리트가 긴 시간 동안 저온에서 운반되더라도 생 콘크리트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을 발휘한다.
회전식 믹서드럼(20) 내의 온도는 여름의 직사광선 하에서는 40℃ 까지 높이 올라간다.
도 9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식 믹서드럼(20)의 외부면 주위로 덮힌 열절연 물질(28)은 열 상승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공기 송풍기(24)의 모터에 하중을 감소하고 또한 에너지소비의 감소를 도와줄 수 있다.
열절연 물질(28)은 겨울의 저온에서는 회전식 믹서드럼(20)에 요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열절연 물질(28)을 회전식 믹서드럼(20) 주위로 분리 가능하게 감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절연 물질을 공급하기 위하여, 비닐시트(28b), 비닐시트에 폴리스티롤을 형성하여 만든 복수의 길고 좁은 열전열 물질(28b) 그리고 비닐시트(28b)의 한 끝단부를 따라 설치된 훅 또는 점착테이프(28d)와 같은 많은 고정수단를 포함하는 몽키벨트(monkey belt)가 회전식 믹서드럼(20) 주위로 감긴다.
햇빛에 노출되지 않는 회전식 믹서드럼(20)의 바닥부(20a)는 열절연 물질(28)로 덮히지 않지만, 측면표면부(20b)와 상부표면부(20c)는 열절연 물질로 덮혀 뛰어난 열절연 효과를 갖는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스티롤을 형성하여 만들어진 열절연 물질(28)은 온도상승을 방지하고 열효율을 감소하기 위하여 공기덕트(26) 주위로 둘러싼다.
물탱크(26)는 콘크리트믹서트럭(10) 위에 회전식 믹서드럼(20)의 내부면을 세정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공기는 회전식 믹서드럼(20)으로 연속적으로 운반되어 그것의 내부온도를 약 15℃보다 낮게 유지하므로, 믹스된 생 콘크리트의 경화시간이 두드러지게 지연될 수 있다.
도 9에서, 이전 장에서 기술된 송풍기(24) 대신에 냉각 및 더운 공기 송풍기(30)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 및 더운 공기 송풍기(30)가 모터(38)의 구동기어(38a)와 플레이트(36)와 맞춤된 풀리(36a)에 의해 구동된 회전식 제습기 플랜트(36)를 가지고 케이싱(32) 내에 위치한 제습기(34)를 구비하는 케이싱(30a)을 포함하는 교반 회전식 콘크리트믹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히터(40)는 회전식 제습기 플레이트(36) 근처에 위치되고, 그것의 중간부에서 압축기(44)를 가지는 흡입파이프(42)그리고 배기파이프(46), 양자는 케이싱(32)의 외부 플레이트에서 연결된다.
다른 흡입 파이프(54)는 케이싱(32)의 다른 측면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히터(40)를 대향한다.
제습기(34)는 덕트(48)를 통하여 케이싱(52)의 상부에 위치한 열교환기(54)와 그것의 하부에 설치된 베이스 작동유니트(56)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50)의 케이싱(52)에 연결되고, 열교환기(54)와 베이스 작동유니트(56)의 양자는 덕트(4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베이스 작동유니트(56)는 압축기, 모터 그리고 냉각콘테이너(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냉각패널(60)은 전기선(68)에 의해 베이스 작동유니트(56)에 연결된다.
덕트팬(62)은 덕트(48)와 케이싱(52)의 연결된 부분에 설치된다.
송풍기 덕트(26)의 한 끝단부(26a)는 케이싱(32)을 통하여 침투하여 공기조화기(50)의 케이싱(52)에 연결된다.
또 다른 덕트팬(62a)은 케이싱(52)와 송풍기 덕트(26)의 연결된 부분에 설치되고, 댐퍼(66)가 덕트팬(62a) 주위에 위치하기 위하여 송풍기 덕트(26) 내로 설치된다.
송풍기 덕트(26)의 또 다른 끝단부(26a)는 회전식 믹스드럼(20)의 호퍼(20a)로 부분적으로 들어가기 위해 연장된다.
배수코크(62)는 케이싱(52)의 바닥부에 설치된다.
조절패널(60)은 또한 구동유니트(20b), 덕트팬(62,62a), 모터(38), 히터(40) 그리고 압축기(44)에 연결된다.
도 10에서, 또 다른 냉각 및 더운 공기 송풍기(30)가 제습기(34), 공기조화기(50)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예의 것과 같은 다른 유니트를 포함하는 배처 플랜트(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나, 정지된 콘크리트 믹서트럭(70)은 배처 플랜트에 설치된다.
샤프트(72) 주위에 복수의 교반기(74)를 가지는 회전 가능한 샤프트(72)가 그들의 외부 끝단부(72a,72b)가 한 쌍의 개구(72a)를 통하여 관통하도록 바닥부(70a) 근처에서 수평적으로 연장되고, 하나의 끝단부(72a)가 바닥부에 설치된 구동유니트(76)에 연결되고 전기선(68)에 의해 조절패널(60)에 연결된다.
계절과 지역의 외부온도 때문에, 냉각 또는 더운 공기의 어느쪽이 선택적으로 교반 콘크리트 믹스트럭(10)의 회전식 콘크리트믹스드럼(20) 내 또는 배처 플랜트의 고정된 믹스탱크(70)로 운반되어, 소정의 범위 내에서 믹서된 생 콘크리트의 온도를 유지하고, 믹서된 생 콘크리트의 질을 유지하고, 그것의 경화 시간을 지연한다.
본 발명의 방법과 장치는 콘크리트 믹서 릴레이베이스(relay base)를 사용하지 않고 생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시간을 연장할 수 있고, 동시에 믹서드럼(20)의 보통의 긁는 동작이 중단될 수 있다.
앞에서 기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변화 또는 변용이 이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라는 것이 이해되는 것이 좋다.
이전의 설명이 한정하기 보다 예시적으로 간주되고, 그것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도록 의도된, 모든 균등을 포함하는 이후의 클레임이다는 것이 의도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콘크리트믹스플랜트 및/또는 콘크리드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의 내부면 주위와 복수의 회전식 블래이드에서 생 콘크리트의 고착을 방지하고 생 콘크리트의 질을 향상하며 생 콘크리트의의 운반범위를 연장하는 등의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8)

  1. (a) 믹서드럼 외부의 개방공기온도가 높을 때 콘크리트믹서트럭 및/또는 콘크리트믹서플랜트의 회전 및/또는 정지된 믹서드럼 내의 믹서된 생 콘크리트 내로 냉각공기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정과;
    (b) 소정의 범위 내로 생 콘크리트의 온도를 유지하고 믹서된 생 경화시간을 지연하기 위하여, 믹서드럼 외부의 개방공기온도가 낮을 때 콘크리트믹서트럭의 회전식의 믹스 내의 믹서된 생 콘크리트 내로 더운공기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정과; 그리고
    (c) 회전식의 믹서드럼 내로 물을 뿌리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믹서트럭 및/또는 콘크리트믹서플랜트의 회전 및/또는 정지된 믹서드럼의 내부 표면과 복수의 회전블레이드에서 믹서된 생 콘크리트의 고착을 방지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a) 믹서된 생 콘크리트를 내리기 직전 또는 직후 그리고 회전식 또는 고정된 믹서드럼의 내부를 세정하기 직전 동안에 콘크리트믹서트럭 및/또는 콘크리트믹서플랜트의 상기 회전식 및/또는 고정된 믹서드럼 내로 냉각 또는 더운 공기를 선택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공정과;
    (b) 회전식 믹서드럼 내로 물을 뿌리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믹서된 생 콘크리트의 고착을 방지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콘크리트믹서트럭 및/또는 콘크리트믹서플랜트의 상기 회전식 및/또는 고정된 믹서드럼 내로 제습된 냉각 또는 더운 공기를 선택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믹서된 생 콘크리트의 고착을 방지하는 방법.
  4. (a) 회전식 믹서드럼 근처에 위치하여 냉각공기를 상기 회전식 믹서드럼 내로 연속적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믹서트럭의 차체 위에 설치되는 공기 송풍기와;
    (b) 한 끝단부가 상기 송풍기에 연결되고 또 다른 끝단부가 상기 회전식 믹서드럼의 호퍼에 부분적으로 들어가도록 위치한 상기 회전식 믹서드럼에 설치된 송풍기 덕트와;
    (c) 운전석과 상기 회전식 믹서드럼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차대에 설치된 물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믹서트럭 및/또는 콘크리트믹서플랜트의 회전 및/또는 정지된 믹서드럼의 내부면과 복수의 회전블레이드에서 믹서된 생 콘크리트의 고착을 방지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 덕트와 상기 회전식 믹서드럼은 상기 송풍기 덕트와 상기 회전식 믹서드럼의 외부 표면 주위에 분리 가능하게 덮는 열절연 물질을 가지는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믹서트럭의 내부면과 복수의 회전블레이드에서 믹서된 생 콘크리트의 고착을 방지하는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서, 상기 열절연 물질은 폴리스티롤 형성으로 만들어지는 콘크리트믹서트럭의 내부면과 복수의 회전블레이드에서 믹서된 생 콘크리트의 고착을 방지하는 장치.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a) 모터의 구동기어와 플레이트와 맞춤된 풀리에 의해 구동되는 제습플레이트, 회전식 제습플레이트 근처에 위치한 히터, 상기 케이싱의 외부 플레이트에서 서로 연결되는 배기파이프와 중간부에서 압축기를 가지는 흡입파이프, 히터와 대향하기 위한 케이싱의 또 다른 측면 플레이트에 연결된 또 다른 흡입파이프, 덕트를 통하여 공기도화기의 케이싱에 연결된 제습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회전식 믹서드럼 근처에 위치하여 냉각 또는 더운 공기를 상기 회전식 믹서드럼 내로 연속적으로 및 선택적으로 운반하기 위한 콘크리트 믹서트럭의 차대에 설치한 냉각 및 더운 공기 송풍기와;
    (b) 상기 공기 조화기는 덕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케이싱의 상부에 위치한 열교환기와 그것의 하부에 설치된 베이스 작동 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c) 상기 베이스 작동 유니트는 모터와 냉각 콘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d) 전선에 의해 상기 베이스 작동 유니트에 연결된 조절 패널과; 그리고
    (e) 덕트와 케이싱의 연결부에 설치된 덕트팬, 공기조화기의 케이싱에 연결되도록 케이싱을 통하여 관통되는 송??기 덕트의 한 끝단부, 케이싱과 송풍기 덕트의 연결부에서 설치된 또 다른 덕트팬, 덕트팬 근처에 위치하도록 송풍기 덕트 내로 설치된 댐퍼, 회전식 믹서드럼의 호프에 부분적으로 들어가도록 연장되는 송풍기 덕트의 또 다른 끝단부, 케이싱의 바닥부에 설치된 배수콕과, 상기 조절패널은 구동유니트, 덕트팬, 모터히터 그리고 압축기에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믹서트럭 및/또는 콘크리트믹서플랜트의 회전 및/또는 정지된 믹서드럼의 내부면과 복수의 회전블레이드에서 믹서된 생 콘크리트의 고착을 방지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열절연층은 회전식 믹서드럼 주위에 감기는 콘크리트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의 내부면과 복수의 회전블레이드에서 믹서된 생 콘크리트의 고착을 방지하는 장치.
KR1019990001862A 1998-01-22 1999-01-22 콘크리트믹스플랜트 내 및/또는 콘크리트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 내에서 생 콘크리트의 품질유지 및 고착방지방법과 그의 장치. KR199900680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56198A JPH11123713A (ja) 1997-08-18 1998-01-22 攪拌機内における生コンクリ−トの品質保持並びに固着防止方法と、その装置
JP26561 1998-0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060A true KR19990068060A (ko) 1999-08-25

Family

ID=12196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862A KR19990068060A (ko) 1998-01-22 1999-01-22 콘크리트믹스플랜트 내 및/또는 콘크리트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 내에서 생 콘크리트의 품질유지 및 고착방지방법과 그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9990068060A (ko)
SG (1) SG72918A1 (ko)
TW (1) TW43412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844B1 (ko) * 2015-11-18 2017-04-06 (주)티에이치엔 와이퍼 장치
CN115674445A (zh) * 2022-11-02 2023-02-03 湖北四通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隧道作业类水泥搅拌车
KR102497209B1 (ko) * 2022-01-18 2023-02-07 유한회사 대산플랜트 레미콘 차량의 호퍼 결합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2639A (ja) * 1982-03-05 1983-09-10 Sumino Jimusho:Kk 粉・粒・塊状物の乾燥車
JPH01120304A (ja) * 1987-11-04 1989-05-12 Ohbayashi Corp トラックミキサー用コンクリート冷却装置
KR960020655U (ko) * 1994-12-30 1996-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콘크리트 믹서 트럭의 드럼 냉각장치
KR970012379U (ko) * 1995-09-14 1997-04-25 김태숙 레미콘 차의 혼합통 보온구
JPH09227245A (ja) * 1996-02-28 1997-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ラズマ対向材の製造方法
KR19980033565U (ko) * 1996-12-09 1998-09-05 박병재 믹서 트럭의 동결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2639A (ja) * 1982-03-05 1983-09-10 Sumino Jimusho:Kk 粉・粒・塊状物の乾燥車
JPH01120304A (ja) * 1987-11-04 1989-05-12 Ohbayashi Corp トラックミキサー用コンクリート冷却装置
KR960020655U (ko) * 1994-12-30 1996-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콘크리트 믹서 트럭의 드럼 냉각장치
KR970012379U (ko) * 1995-09-14 1997-04-25 김태숙 레미콘 차의 혼합통 보온구
JPH09227245A (ja) * 1996-02-28 1997-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ラズマ対向材の製造方法
KR19980033565U (ko) * 1996-12-09 1998-09-05 박병재 믹서 트럭의 동결 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844B1 (ko) * 2015-11-18 2017-04-06 (주)티에이치엔 와이퍼 장치
KR102497209B1 (ko) * 2022-01-18 2023-02-07 유한회사 대산플랜트 레미콘 차량의 호퍼 결합체
CN115674445A (zh) * 2022-11-02 2023-02-03 湖北四通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隧道作业类水泥搅拌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34126B (en) 2001-05-16
SG72918A1 (en) 2000-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6352A (en) Method of and devic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fresh concrete and preventing adhesion and hardening of the fresh concrete in a mixer drum of a concrete mixer truck or of a concrete mixing plant
CA2701021C (en) A method and system for hot asphalt recycling
KR101478347B1 (ko) 현장가열 아스팔트 표층 재생장치
CN108867288B (zh) 一种适用于沥青路面修补的多功能养护车
JP2008036970A (ja) ドラムカバーおよびコンクリートミキサー車
CN210712492U (zh) 沥青路面微波养护车
CN111254790A (zh) 一种公路路面裂缝修补设备
CN201125361Y (zh) 车载式沥青路面养护车
KR19990068060A (ko) 콘크리트믹스플랜트 내 및/또는 콘크리트믹서트럭의 회전식 믹서드럼 내에서 생 콘크리트의 품질유지 및 고착방지방법과 그의 장치.
CN211815442U (zh) 沥青路面养护系统及路面养护车
CN112252137B (zh) 一种冬季路面施工用混凝土面层的保温装置
US20090231950A1 (en) Apparatus for the thermal conditioning of concrete
KR102122061B1 (ko)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표면균열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표면균열 보수공법
KR0151943B1 (ko) 동절기 콘크리트구조체의 시공방법
CN212077543U (zh) 一种基于微波加热的沥青拌和站
CN112537922B (zh) 一种大体积混凝土的快速浇筑及温控方法
JP2006132307A (ja) アスファルト合材加熱練り機
JP3680124B2 (ja) 攪拌機内における生コンクリ−ト固着防止方法と、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生コンクリ−ト固着防止装置
CN210500830U (zh) 一种复合自保温砌块的混凝土浆料用混合装置
US5149196A (en) Compost handling machine
CN216838874U (zh) 一种路面养护用沥青施工装置
JPH11123713A (ja) 攪拌機内における生コンクリ−トの品質保持並びに固着防止方法と、その装置
CN208668222U (zh) 一种沥青混凝土再生设备
CN219862286U (zh) 一种沥青路面修复装置
JPH053664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