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6878A - 컴퓨터 및 일체식 전자통신 기구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 및 일체식 전자통신 기구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6878A
KR19990066878A KR1019980059704A KR19980059704A KR19990066878A KR 19990066878 A KR19990066878 A KR 19990066878A KR 1019980059704 A KR1019980059704 A KR 1019980059704A KR 19980059704 A KR19980059704 A KR 19980059704A KR 19990066878 A KR19990066878 A KR 19990066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unit
display
system unit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9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틴 리디포드
마틴 위츠
Original Assignee
피터 토마스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터 토마스,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피터 토마스
Publication of KR19990066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87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및 일체식 전자통신 기구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컴퓨터, 컴퓨터 키보드(2), 디스플레이 설비(11) 및 전자통신 기구를 공통 축(12)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모듈 내에서 수용된다.
이러한 장치(1)는 작동이 용이한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는 시스템 유닛(3), 디스플레이 유닛(11), 및 키보드 유닛(2)으로부터 조립되며, 각각의 경우 외부 시스템 유닛(3) 및 키보드 유닛(2)은 닫혀진 상태와 개방된 위치에서만 잠금될 수 있는 반면에, 시스템 유닛 및 키보드 유닛 사이에 배열된 디스플레이 유닛(11)은 시스템 유닛(3)에 대해 0 내지 90°의 각도에서 조절되며 잠금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및 일체식 전자통신 기구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본 발명은 컴퓨터 및 일체식 전자통신 기구를 포함한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컴퓨터 키보드, 디스플레이 설비, 및 전자통신 기구가 공동축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모듈내에 설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DE 실용신안 제 296 10 265호에 기술되어 있다. 닫혀 있거나 접혀진 상태에서, 컴퓨터 키보드 및 디스플레이 표면은 두 모듈의 내부면에서 서로 인접해 있는 반면에, 전자통신 기구의 키보드와 마이크로폰, 확성기,및 입력된 숫자 및 문자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모듈의 표면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장치로 인해, 디스플레이 표면이 입력펜에 의해서만 마크될 때, 두 개의 모듈에 대해 서로 안정한 위치 즉, 개방되거나 펼쳐진 상태에서만 사용된다는 단점이 고려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두 개의 모듈이 이러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없기 때문에, 수평의 단단한 베이스에 놓여진다.
유사하게, 전화의 키보드가 펼쳐진 상태에서 기저부에 놓여있는 경우, 장치가 작동되었을 때, 전화 키보드의 불의의 작동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입부에서 명명한 형태의 컴퓨터 및 일체식 전자통신 기구를 포함한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컴퓨터 키보드, 디스플레이 설비, 및 전자통신 기구가 공통축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모듈내에 설비되어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컴퓨터 및 일체식 전자통신 기구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를 닫혀진 위치에서 도시한 도면.
도 2는 개방되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 1 고정 위치에서 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 2 고정 위치에서 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휴대용 장치 2 : 키보드 유닛
3 : 시스템 유닛 4 : 스위치 온/오프 장치
5 : 확성기 커버 6 : 안테나
8 : 그립 10 : 리셉터클
15 : 컴퓨터 플랫폼 16 : 메모리
22 : LCD 디스플레이 24 : 디스플레이 하우징
27 : 키보드 31 : 덮개
본 발명에 따라, 컴퓨터 및 일체식 전자통신 기구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가 제공되며, 컴퓨터, 컴퓨터 키보드, 디스플레이 설비, 및 전자통신 기구는 공통 축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모듈 내에 수용되며, 이러한 장치는 시스템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및 키보드 유닛으로부터 조립되며, 이에 따라 시스템 유닛 및 키보드 유닛은 닫혀진 위치와 개방된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잠겨질 수 있으며, 개방된 위치에서 시스템 유닛 및 키보드 유닛은 서로에 대해 180°로 회전되는 반면, 시스템 유닛 및 키보드 유닛 사이에 배열된 디스플레이 유닛은 시스템 유닛에 대해 0 내지 90°에서 조절되고 잠금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설계로, 장치는 데이터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마크를 위해 180°로 펼쳐지거나 개방되어질 것을 요하는데, 이는 이 위치에서 장치가 잠겨지기 때문에, 회전가능한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안정한 기저부를 형성하다. 이러한 장치의 배치는 이동식 사용, 예를 들어 기차내에 제공되어, 디스플레이 유닛이 바람직하게 시스템 유닛 상에 놓여진다. 개방된 장치가 테이블 등의 고정된 기저부 위에 놓여질 때, 경량의 기계식 걸쇠가 해제된 이후에, 디스플레이 유닛은 소정의 경사진 위치에 놓여질 수 있으며, 이 위치에서 체결된다. 소정의 경사진 위치는 시스템 유닛에 대해 0° 내지 90°의 각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90°이다. 시스템 유닛 및 키보드 유닛의 잠겨진 위치, 및 디스플레이 유닛의 고정된 경사진 위치는 이러한 장치가 입력 펜에 의해 작동될 때 뒤집히지 않음을 보장한다. 즉, 디스플레이 설비 상에 기계적인 압력이 가해짐을 의미한다. 장치가 개방될 때, 디스플레이 유닛은 자동적으로 바람직한 경사진 위치에 놓여지고 고정된다. 필요하다면, 걸쇠가 풀려진 이후에, 디스플레이 유닛은 (시스템 유닛 상에 놓여있는) 편평한 기저부 위치로 반환될 수 있다. 더욱이, 시스템 유닛 상에 교체 및 유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유닛을 90° 이상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개선점에 따라, 전술한 공지된 장치로 키이 또는 다른 제어 요소의 고의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시스템 유닛의 표면 및 그 외부면 상의 키보드 유닛의 표면은 장치가 접혀진 상태에 있을 때 입력 요소가 없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치가 이동중에 또는 펼쳐진 상태에서 작동될 때에도, 입력 요소는 압축될 수 없으며, 이는 장치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자통신 기구는 모듈 및 확성기, 마이크로폰, 연결 및 단절 장치, 및 안테나 등 작업에 필요한 부품을 포함한 시스템 유닛 내부에 바람직하게 일체화된다. 이에 따라, 연결 및 단절 장치, 확성기, 마이크로폰, 및 안테나는 키보드 유닛에 의해 덮혀지지 않는 시스템 유닛의 내부면 또는 단부면 상에 놓여진다. 그 결과, 장치가 접혀진 상태에서도 전화 사용이 가능하다. 장치가 개방되어 있을 때, 키보드 유닛 또는 입력 펜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저장되거나 입력된 적절한 오퍼레이터 인터페이스에 의해 전화번호가 입력될 수 있다.
전자통신 기구 이외에도, 시스템 유닛은 컴퓨터 플랫폼, 고정 및 교환가능한 주변 부품, 소켓 및 부착가능한 밧테리 격실을 포함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컴퓨터 플랫폼은 컴퓨터 및 메모리 부품을 포함하는 동시에, 비 휘발성 메모리 및 리딩 장치는 고정된 주변 부품으로 제공된다. SIM 카드 및 메모리 카드는 각각의 경우 필요에 따라 교체가능한 주변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카드는 시스템 유닛의 표면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카드는 시스템 유닛의 내부면 상에 제공된 수용 슬롯에 의해 삽입될 수 있다.
더욱이, 시스템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용 리셉터클을 갖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유닛은 시스템 유닛 내의 공간 절약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장치의 이동 작업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안전하게 지지된다.
키보드 유닛은 키보드 및 입력 펜으로부터 형성되며, 이에 따라 키보드는 스냅식의 덮개에 의해 외부면상에 밀페된 키보드 하우징 내에 지지된다. 스냅식 덮개를 제거함으로써, 키보드 유닛 상의 유지 작업이 신속하게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키보드 하우징 내에 걸쇠 방식으로 지지된 키보드에 의해 키보드 유닛의 유지가 용이해진다.
이미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은 입력 펜에 의해 표시되고 입력 펜으로 터치함으로서 오퍼레이퍼 인터페이스 상에 배열된 문자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된다(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유닛은 LCD 디스플레이를 가지며 프레임 형상의 하우징 부품 내에 장착된다.
결국, 이러한 디스플레이 유닛은 보수 및 유지 목적에 따라 전체 모듈로 교체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되어질 것이다.
컴퓨터 및 일체식 전자통신 기구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1)는 각각의 부품, 즉 서로 공통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시스템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및 키보드 유닛으로 구성된다.
도 1은 닫혀진 상태에서 휴대용 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제어 소자가 없는 키보드 유닛(2)의 후면과 시스템 유닛(3)의 내부면이 인지될 수 있다. 스위치 온 오프 장치(4) 및 확성기 덮개(5) 및 전자통신 기구용 안테나(6)가 시스템 유닛(3) 상에 배열되어 있다. 또한, 밧테리 격실(7)은 전력 공급원을 제공하며 정지 연결부에 의해 시스템 유닛에 꼭 맞는 밧테리를 함유한다. 더욱이, 도면의 상부면에 도시되어 있는 오목한 그립부(8)와 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9)가 도시되어 있다.
오목한 그립(8) 뒤를 결합함으로써, 키보드 유닛은 도 2에 도시된 위치로 펼쳐진다. 공정에서, 키보드 유닛(2)은 시스템 유닛(3) 에 대해 180°회전되며 이 위치에서 잠겨진다. 제 3 부품인 디스플레이 유닛(11)은 시스템 유닛 내에 있는 리셉터클(10) 내의 축(1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축(12)에 이웃하여, 침하부 형상의 입력 펜(14)이 놓이는 곳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위치는 이동식 사용, 예를 들어 기차 내에서 제공된다.
더 나은 작동을 위해, 테이블 등의 고정면 위에 디스플레이 유닛이 놓여져 있으며, 입력 펜(14)에 의해 쓰여진다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유닛 위치들 중의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은 연속 및 단계별로 리셉터클(10)의 외부인 소정의 위치로 회전되며, 체결되는 반면, 키보드 유닛(2) 및 시스템 유닛(3)의 위치는 그대로 유지된다. 단단한 기저부 상에서, 체결된 디스플레이 유닛은 키보드 유닛 및 시스템 유닛이 안전한 기저부에 함께 형성되기 때문에 마크할 때 뒤집어지지 않는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장치(1)가 개방될 때 디스플레이 유닛(11)은 특정화된 경사진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되며, 경사진 위치로부터 정지 연결이 해제된 이후에 도 2에 도시된 위치로 되돌아간다.
도 5는 도면의 중간 부분에서 조립된 장치(1) 조립체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면의 상부면에 위치된 시스템 유닛은 이미 언급한 제어 요소(4,9)와, 안테나(6), 컴퓨터 및 메모리(16)를 갖는 컴퓨터 플랫폼(15), 대응 모듈(17) 및 통신 작업을 위한 확성기(18) 및 마이크로폰, 헤드폰, 밧테리 격실, 및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판독 장치증의 부가적 주변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대응 플러그 접속식 부품을 갖는다. 컴퓨터 플랫폼(15)은 종축상에 회전 축 리셉터클(20)을 갖는 덮개(19)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덮개(19)는 컴퓨터 플랫폼으로부터 전화 작동 또는 메모리 카드용 SIM 카드의 도입을 위해 외부로부터 측면으로 향햐여 있다. 장치가 작동될 때, 전화 연결은 키보드(27)에 의해 숫자를 입력시키거나, LCD 디스플레이(22) 상에 나타나는 기호를 가볍게 건드리거나, 또는 LCD 디스플레이(22) 상에 입력 펜(14)으로 숫자 또는 문자를 기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시스템 유닛(3)의 외부면은 장치가 접혀진 상태일 때 키보드 유닛(2)의 외부 측면과 같이 제어 소자 없이 존재하며, 그 결과 장치가 실수로 작동되었을 때 임의의 작동의 불의의 개시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면의 중간 부분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유닛은 덮개 프레임(21), 리본 케이블(26)을 갖는 LCD 디스플레이(22), 스페이싱 플레이트(23), 디스플레이 하우징(24), 및 고정부(33)로 구성된다. 두 개의 회전 축을 갖는 리셉터클(25)은 그 종방향 가장자리 중의 하나 위의 디스플레이 하우징(24) 상에 차례로 배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펜(14)에 의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목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11)은 시스템 유닛(3)의 리셉터클(10) 내에 편평하게 놓여져 있거나 90°직각으로 세워져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유닛(11)은 시스템 유닛(3) 의 표면 상에 주변부 유닛에 보다 가능한 접근을 위해 90° 이상의 각도로 회전한다.
도면 하단의 중간부에 도시된 키보드 유닛(2)은 예를 들어, 고정 장치(30)에 의해 키보드 하우징(29) 내부로 도입되어 구속된 리본 케이블(28)을 갖는 키보드(27)를 포함한다. 덮개(31)는 기기가 접혀진 상태일 때 존재하는 외부면상에 스냅식으로 고정되며, 필요하다면 키보드 유닛(2)의 부품에 접근 가능하다. 더욱이, 입력 펜(14)용 저장 위치(13)는 키보드 하우징(29) 내부로 도입된다. 키보드 하우징의 종방향 가장자리 상에, 모든 세 개의 부품에 공통인 축을 수용하기 위해 원뿔 형상의 베어링 부쉬(32)가 존재한다.
키보드 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2,3)은 유지 및 보수 작업에 대한 전체 모듈로 교체될 수 있다.
장치가 이동중에 또는 펼쳐진 상태에서 작동될 때에도 입력 요소가 압축되지 않아 장치의 안정성이 증가된다.

Claims (14)

  1. 컴퓨터 및 일체식 전자통신 기구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로서, 컴퓨터, 컴퓨터 키보드, 디스플레이 설비, 및 전자통신 기구가 공통 축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모듈 내에 수용되어 있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시스템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및 키보드 유닛으로부터 조립되며, 상기 시스템 유닛 및 상기 키보드 유닛은 닫혀진 위치와 개방된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잠금될 수 있으며, 개방된 위치에서 상기 시스템 유닛 및 상기 키보드 유닛은 서로에 대해 180°로 회전되는 반면에, 상기 시스템 유닛과 상기 키보드 유닛 사이에 배열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시스템 유닛에 대해 0 내지 90°의 각도에서 조절되고 잠금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닫혀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시스템 유닛 및 상기 키보드 유닛의 외부면은 입력 요소가 없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및 확성기, 마이크로폰, 스위치 온 오프 장치, 및 안테나 등의 작업에 필요한 부품을 갖춘 상기 전자통신 기구는 상기 시스템 유닛 내에 일체화되어 있는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유닛은 컴퓨터 플랫품, 고정 및 교체가능한 주변 부품, 소켓 및 부착가능한 밧테리 격실로 형성되어 있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플랫폼은 상기 컴퓨터 및 메모리 부품을 포함하는 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비 휘발성 메모리 및 판독 장치가 고정된 주변 부품으로 제공되어 있는 장치.
  7. 제 4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SIM 카드 및 메모리 카드가 교체가능한 주변 부품으로 사용되며, 상기 SIM 카드 및 메모리 카드는 상기 외부면을 경유하여 상기 시스템 유닛에 공급되는 장치.
  8. 제 4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용 리셉터클을 갖는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유닛은 상기 키보드 및 입력 펜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키보드는 키보드 하우징 내에 지지되며, 상기 키보드 하우징은 그 외부면이 스냅식 결합 덮개에 의해 닫혀지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는 상기 키보드 하우징 내에 걸쇠 방식으로 지지되는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프레임 형상의 하우징 부분 내에 지지되는 LCD 디스플레이를 갖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LCD 디스플레이는 스페이싱 플레이트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하우징 내부로 도입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은 덮개 프레임에 의해 닫혀지는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유닛은 완전한 모듈로 교체가능한 장치.
  14.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된 장치.
KR1019980059704A 1998-01-05 1998-12-28 컴퓨터 및 일체식 전자통신 기구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KR199900668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800119.1 1998-01-05
GB9800119A GB2333005A (en) 1998-01-05 1998-01-05 A device comprising a computer and integrated telecommunicat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878A true KR19990066878A (ko) 1999-08-16

Family

ID=1082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9704A KR19990066878A (ko) 1998-01-05 1998-12-28 컴퓨터 및 일체식 전자통신 기구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0927924B1 (ko)
KR (1) KR19990066878A (ko)
AT (1) ATE237154T1 (ko)
AU (1) AU749072B2 (ko)
CA (1) CA2257700A1 (ko)
DE (1) DE59807851D1 (ko)
DK (1) DK0927924T3 (ko)
ES (1) ES2196469T3 (ko)
GB (1) GB2333005A (ko)
HK (1) HK1018824A1 (ko)
NO (1) NO986061L (ko)
PT (1) PT927924E (ko)
SG (1) SG7066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179B1 (ko) * 2002-04-15 2004-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713360B1 (ko) * 2001-12-31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스타일러스와 보조 입력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24643D0 (en) * 1999-10-19 1999-12-22 New Transducers Ltd Electronic apparatus containing loudspeaker
JP3528745B2 (ja) 2000-03-06 2004-05-2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機
FI118073B (fi) 2000-08-03 2007-06-15 Nokia Corp Kannettava, ainakin kaksi käyttöasentoa käsittävä taitettava elektroninen laite, sekä saranamekanismi sitä varten
FI118621B (fi) 2000-08-03 2008-01-15 Nokia Corp Kannettava, avatun ja suljetun käyttöasennon käsittävä, taitettava elektroninen laite sekä sen kahvajärjestely
CN1190735C (zh) 2002-09-26 2005-02-23 深圳市朗科科技有限公司 数据交换及存储方法与装置
KR100640231B1 (ko) * 2003-08-01 200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테블릿 컴퓨터용 키보드
US7907121B2 (en) 2003-11-19 2011-03-15 Qualcomm Incorporated Portable device with versatile keyboard
US7142420B2 (en) 2004-09-20 2006-11-28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yers of an electronic device
US7252511B2 (en) * 2004-09-20 2007-08-07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yers of an electronic device
TWI704441B (zh) * 2018-04-27 2020-09-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組件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9837A (en) * 1986-06-04 1989-06-13 Chang Bo E Three layered laptop computer
US4718740A (en) * 1986-10-28 1988-01-12 Allied Corporation Housing and stowage mechanism for terminal keyboard and display panel
US5229757A (en) * 1989-10-18 1993-07-20 Sharp Kabushiki Kaisha Computer device having detachable keyboard mounted on a rotatable display
JPH0553685A (ja) * 1991-08-23 1993-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入出力端末装置
AU668700B2 (en) * 1991-12-13 1996-05-16 Kabushiki Kaisha Ace Denken Electronic notepad
DE19520947C5 (de) * 1995-06-02 2012-04-05 Constin Design Gmbh Tragbarer Computer mit Telekommunikationseinrichtung
GB9519556D0 (en) * 1995-09-26 1995-11-29 Psion Plc Casing for computing equipment
FI111897B (fi) * 1995-11-24 2003-09-30 Nokia Corp Kaksitoiminen tiedonvälityslai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360B1 (ko) * 2001-12-31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스타일러스와 보조 입력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KR100461179B1 (ko) * 2002-04-15 2004-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000499A (en) 1999-07-22
DE59807851D1 (de) 2003-05-15
EP0927924B1 (de) 2003-04-09
SG70664A1 (en) 2000-02-22
ATE237154T1 (de) 2003-04-15
NO986061D0 (no) 1998-12-22
NO986061L (no) 1999-07-06
ES2196469T3 (es) 2003-12-16
HK1018824A1 (en) 2000-01-07
DK0927924T3 (da) 2003-07-07
GB2333005A (en) 1999-07-07
AU749072B2 (en) 2002-06-20
CA2257700A1 (en) 1999-07-05
EP0927924A1 (de) 1999-07-07
GB9800119D0 (en) 1998-03-04
PT927924E (pt) 200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51468C1 (ru) Переносное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компьютером
KR19990066878A (ko) 컴퓨터 및 일체식 전자통신 기구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KR19990077513A (ko) 가변키보드를갖는전자장치
JP5238654B2 (ja) 携帯端末
RU98101123A (ru) Переносное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компьютером
KR20030058623A (ko) 힌지 스타일러스와 보조 입력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US7925309B2 (en) Rotatable module with two input devices for a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CN209748968U (zh) 保护壳以及具有该保护壳的电子设备
US20020149915A1 (en) Computing device with a card receptacle
GB2332925A (en) Hinge arrangement.
CN101997939A (zh) 移动通信装置
JPH1039945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適用する拡張ユニット
KR100338638B1 (ko) 입력 장치가 구비된 단말기의 하우징
AU751311B2 (en) Device comprising a computer and integrated telecommunication apparatus
JP2003186572A (ja) 装着台
CN101023464B (zh) 手持式电子装置
CN115793870A (zh) 可拆卸皮套键盘及使用方法
JP2006311141A (ja) 携帯端末装置
TW470871B (en) A device comprising a computer and integrated telecommunication apparatus
KR20030016990A (ko) 키보드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GB2367389A (en) An electronic notebook and textbook with removable hinges
KR20000015212A (ko) 컴퓨터 시스템에 휴대형 통신 단말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구조
KR20070001578A (ko) 회전형 조작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80043977A (ko) 이동통신 단말기
JP2008182576A (ja) 電子機器及びそ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