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6856A - 액정표시장치_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6856A
KR19990066856A KR1019980056402A KR19980056402A KR19990066856A KR 19990066856 A KR19990066856 A KR 19990066856A KR 1019980056402 A KR1019980056402 A KR 1019980056402A KR 19980056402 A KR19980056402 A KR 19980056402A KR 19990066856 A KR19990066856 A KR 19990066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cold cathode
discharge tub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1724B1 (ko
Inventor
사또시 마쓰바라
료헤이 가꾸따
히데아끼 나가꾸보
미쓰아끼 야마자끼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90066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액정표시장치 내에 필요한 공간을 삭감함으로써 케이스를 소형화함과 동시에, 조립효율을 향상시킨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과, 그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과, 액정표시패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광원이 고정되고, 액정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용 구동회로 및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광원용 구동회로가 형성된 인쇄배선판과, 액정표시패널, 광원 및 인쇄배선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간을 절약하여 설계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의 광원으로서 냉음극방전관을 사용하는 것이 있다. 액정표시장치의 케이스 내에서는 냉음극방전관은 측부 또는 저면에 수납되고, 액정표시패널의 이면에는 도광판 또는 확산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으로써 냉음극방전관의 광을 확산시켜, 액정표시패널의 전면을 비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에는 이와같은 냉음극방전관을 구동하기 위해 냉음극방전관 양단의 전극에 각각 하네스가 접속되고, 그 하네스가 냉음극방전관을 따라가는 형태로 배선되어 있었다.
도 16 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냉음극방전관(1)의 양단에는 이것을 구동하기 위한 하네스(2a, 2b)가 접속되어 있다. 또, 쌍방의 하네스의 선단에는 커넥터(3)가 부착되고, 냉음극방전관(1)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하네스(2a)는 냉음극방전관(1)을 따라가는 형태로 되어, 하부케이스(4)에 형성된 홈부(4a)에, 냉음극방전관(1)과 평행하게 수용되어 있다. 하네스(2a, 2b)에 의해 구동되는 냉음극방전관(1)은 백라이트부(5)를 비추도록 되어 있다. 냉음극방전관(1) 및 하네스(2a, 2b)는 뚜껑(6)으로 덮혀져 있고, 하부케이스(4)의 상부에는 인쇄배선판(8, 8)을 측면부에 구비한 액정표시패널(7), 상부케이스(9)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나사(10, 10)로 고정되어 있다. 그 인쇄배선판(8, 8)은 액정표시패널(7)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가 형성된 것으로서, 액정표시패널(7)의 공통전극, 세그먼트전극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구동용 LSI이 탑재되어 있다.
예를들면, 차탑재용 액정디스플레이 등, 특히 액정표시장치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 분야가 있는데,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하네스(2a)가 냉음극방전관(1)을 따라가는 형태로 하부케이스(4)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하네스(2a, 2b)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여 케이스의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 하네스(2a, 2b)를 하부케이스(4)에 수용하는 작업이 필요하므로, 조립작업효율의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내에 필요한 공간을 삭감함으로써 케이스를 소형화함과 동시에, 조립작업효율을 향상시킨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액정표시패널, 세그먼트전극측 인쇄배선판 및 공통전극측 인쇄배선판의 확대도이다.
도 3 은 냉음극방전관의 전극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도 3 의 전극에 대하여 사용하는 금속의 유지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도 4 의 금속의 유지부에 도 3 의 냉음극방전관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 은 전극이 리드선으로 되어 있는 냉음극방전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도 6 의 전극에 대하여 사용하는 금속의 유지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도 7 의 금속의 유지부에 도 6 의 냉음극방전관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 는 전극이 리드선으로 되어 있는 냉음극방전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도 9 의 전극에 대하여 사용하는 다른 형상의 금속의 유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은 도 10 의 금속의 유지부에 도 9 의 냉음극방전관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 는 전극이 판형상으로 되어 있는 냉음극방전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은 도 12 의 전극에 대하여 사용하는 금속의 유지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는 도 13 의 금속의 유지부에 도 12 의 냉음극방전관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액정표시장치 12 : 하부케이스
13 : 액정표시패널 14 : 상부케이스
17 : 세그먼트전극측 인쇄배선판
18 : 냉음극전극관 19 : 공통전극측 인쇄배선판
20a :(냉음극방전관용 구동회로의) 저압측배선
20b :(냉음극방전관용 구동회로의) 고압측배선
20c :(냉음극방전관용 구동회로의) 저압측배선
21 : 세그먼트전극 구동용 LSI 22 : 세그먼트전극 구동회로
22a : GND 배선(기준전위배선) 23 : 세그먼트전극
24 : 공통전극 구동용 LSI 25 : 공통전극 구동회로
26 : 공통전극 27, 28 : 커넥터
29 : 전극 29a : 전극본체
29b : 핀 30 : 금속의 유지부
30a : 구멍
하네스를 수용하는 공간을 삭감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액정표시패널의 구동회로가 설치되어 있는 인쇄배선판에 착안하여, 그 인쇄배선판 상에 광원용 구동회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되는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과, 그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과, 액정표시패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광원이 고정되고, 액정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용 구동회로 및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광원용 구동회로가 형성된 인쇄배선판과, 액정표시패널, 광원 및 인쇄배선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원용 구동회로를 인쇄배선판 상에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하네스가 불필요해져, 하네스의 수용에 필요하였던 액정표시장치 내의 공간을 삭감할 수 있다.
지금까지, 하네스는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홈부에 수용되었는데, 그 수용공정이 블필요해지므로, 공정수를 감소시켜 조립작업효율을 올릴 수 있다.
또,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인쇄배선판 상의 액정표시패널용 구동회로 내에서,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의 일방의 전극에 전위를 인가하기 위한 배선과, 액정표시패널용 구동회로의 기준전위배선을 공용으로 하여도 된다.
이로써, 광원용 구동회로가 형성되어 복잡해진 인쇄배선판 상의 배선패턴을 간략화할 수 있게 되어 저비용설계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액정표시장치는, 광원이 냉음극방전관으로, 그 냉음극방전관 양단의 각 전극은 원뿔형상 또는 다각뿔형상의 전극본체와, 그 전극본체의 정점으로부터 돌출하는 핀으로 이루어지고,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금속의 유지부가, 인쇄배선판 상에 고정되어 전극본체를 덮음과 동시에, 핀이 삽입통과하는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음극방전관 양단의 각 전극을 상기의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냉음극방전관의 전극면적이 증대되어, 금속의 유지부와의 접속이 장기간에 걸쳐 확실하게 가능함과 동시에 전극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 금속의 유지부에 설치된 구멍에 전극본체의 정점에서 돌출되는 핀을 삽입통과함으로써, 냉음극방전관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의해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11)는, 하부케이스(12), 액정표시패널(13), 상부케이스(14)로 개략 구성되어 있고, 액정표시패널(13)을 하부케이스(12) 및 상부케이스(14)사이에 끼워넣는 것처럼 수용하고, 나사(20, 20)로 고정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11)가 구성되어 있다. 하부케이스(12)의 내부에는 도광판(15)이 수용되어 있고, 상부케이스(14)의 중앙부에는 수용된 액정표시패널(13)에 대응하는 창(16)이 설치되고, 액정표시패널(13)의 표시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액정표시패널(13)의 장변의 하나에 부착된 세그먼트전극측 인쇄배선판(17)의 하면에는 냉음극방전관(광원; 18)이 설치되고, 액정표시패널(13)의 단변의 하나에는 공통전극측 인쇄배선판(19)이 부착되어 있다. 액정표시패널(13)과 세그먼트전극측 인쇄배선판(17) 및 액정표시패널(13)과 공통전극측 인쇄배선판(19)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2 는 도 1 의 액정표시패널(13), 세그먼트전극측 인쇄배선판(17) 및 공통전극측 인쇄배선판(19)의 확대도이다.
세그먼트전극측 인쇄배선판(17)의 상면에는 냉음극방전관용 구동회로(전원용 구동회로)의 저압측 배선(20a), 냉음극방전관용 구동회로의 고압측배선(20b), 세그먼트전극 구동용 LSI(21, 21…) 및 세그먼트전극 구동회로(액정표시패널용 구동회로; 22)가 설치되고, 세그먼트전극 구동용 LSI(21, 21…)과 세그먼트전극 구동회로(22)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세그먼트전극 구동용 LSI(21, 21…)과 액정표시패널(13)의 사이는, 다수의 세그먼트전극(23, 23 …)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세그먼트전극측 인쇄배선판(17)의 하면에 냉음극방전관(18)이 설치되고, 그 냉음극방전관(18)의 양단부의 전극에는, 저압측배선(20a), 고압측배선(20b)이 접속되어 있다. 그 저압측배선(20a), 고압측배선(20b)의 다른 일단은 커넥터(27)에 접속되어, 외부의 전원에 의해 전압이 인가된다.
공통전극측 인쇄배선판(19)의 상면에는, 공통전극 구동용 LSI(24, 24…) 및 공통전극 구동회로(액정표시패널용 구동회로; 25)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공통전극 구동용 LSI(24, 24 …)과 액정표시패널(13)의 사이는, 다수의 공통전극(26, 26 …)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냉음극방전관(18)을 세그먼트전극측 인쇄배선판(17)상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는, 금속의 유지부가 이용되고 있다. 그때, 사용하는 냉음극방전관의 전극의 형태에 부합하는 금속의 유지부를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도 3 은 냉음극방전관의 전극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는 도 3 의 전극에 대하여 사용하는 금속의 유지부의 형상을 나태낸 도면이다.
도 3 에 나타낸 냉음극방전관(18a)은, 전극(29)이 원뿔형상의 전극본체(29a)와, 전극본체(29a)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핀(29b)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냉음극방전관(18a)은, 핀(29b)이 원뿔형상의 전극본체(29a)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핀(29b)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극과 금속의 유지부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 냉음극방전관(18a)은 핀(29b)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금속의 유지부에 냉음극방전관을 부착했을 때에 부착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 냉음극방전관(18a)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금속의 유지부(30)는, 도 4 에 나타낸 바와같은, 전극본체(29a)를 덮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냉음극방전관(18a)을 금속의 유지부(30)에 부착했을 때에 핀(29b)이 삽입통과하는 구멍(30a)을 갖고 있다. 또, 다리부(30b)는 판스프링으로 되어 있어, 그 탄성력으로 냉음극방전관(18a)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5 는 금속의 유지부(30)에 냉음극방전관(18a)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세그먼트전극측 인쇄배선판(17)상에 고정된 금속의 유지부(30)의 구멍(30a)에 핀(29b)을 삽입통과시키고, 금속의 유지부(30)의 내벽면과 전극본체(29a)를 밀착시킴으로써, 금속의 유지부(30)에 냉음극방전관(18a)을 부착할 수 있다.
즉, 세그먼트전극측 인쇄배선판(17)상에 고정되고, 저압측 배선(20a), 고압측배선(20b)이 접속된 금속의 유지부(30, 30)에 냉음극방전관(18a)을 부착함으로써, 냉음극방전관(18a)을 지지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냉음극방전관은, 상기의 형상이외에 전극이 리드선으로 되어 있는 타입이 있다. 도 6 은 전극이 리드선으로 되어 있는 냉음극방전관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은 도 6 의 전극에 대하여 사용하는 금속의 유지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에 나타낸, 전극이 리드선(31)으로 되어 있는 냉음극방전관(18b)에서는, 도 7 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상부에 리드선(31)을 부착하는 슬릿(32a)을 갖는 금속의 유지부(32)를 사용한다.
도 8 은, 금속의 유지부(32)에 냉음극방전관(18b)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세그먼트전극측 인쇄배선판(17)상에 고정된 금속의 유지부(32)의 슬릿(32a)에 리드선(31)을 끼워넣음으로써, 금속의 유지부(32)에 냉음극방전관(18b)을 부착할 수 있다.
도 9 는 전극이 리드선으로 되어 있는 냉음극방전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은 도 9 의 전극에 대하여 사용하는 다른 형상의 금속의 유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에 나타낸, 전극이 리드선(31)으로 되어 있는 냉음극방전관(18b)에서는, 도 10 에 나타낸 바와같은, 2 장의 금속판(33a, 33b)을 대향시켜, 이들의 탄성력에 의해 리드선(31)을 사이에 끼워넣어 고정하는 방식의 금속의 유지부(33)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1 은, 금속의 유지부(33)에 냉음극방전관(18b)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세그먼트전극측 인쇄배선판(17)상에 고정된 금속의 유지부(33)의 2 장의 금속판(33a, 33b)사이에 리드선(31)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금속의 유지부(33)에 냉음극방전관(18b)을 부착할 수 있다.
냉음극방전관은, 상기의 형상 이외의 전극이 판형상으로 되어 있는 타입이 있다. 도 12 는 전극이 판형상으로 되어 있는 냉음극방전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 은 도 12 의 전극에 대하여 사용하는 금속의 유지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에 나타낸, 판형상 전극(34)을 갖는 냉음극방전관(18c)에서는, 도 13 에 나타낸 바와같은, 2 장의 만곡된 금속판(35a, 35b)을 대향시키고, 이들의 탄성력으로 냉음극방전관(18c)을 사이에 끼워넣어 고정하고, 또한 판스프링(35c)이 판형상전극(34)에 맞닿는 방식의 금속의 유지부(35)를 사용한다.
도 14 는, 금속의 유지부(35)에 냉음극방전관(18c)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세그먼트전극측 배전판(17)상에 고정된 금속의 유지부(35)의 2 장의 금속판(35a, 35b)사이에 냉음극방전관(18c)을 끼워넣어 고정하고, 또한 판스프링(35c)이 판형상전극(34)에 맞닿음으로써, 금속의 유지부(35)에 냉음극방전관(18c)을 부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세그먼트전극측 인쇄배선판(17)의 하면에 냉음극방전관(18)을 부착하고, 세그먼트전극측 인쇄배선판(17)의 상면에는 냉음극방전관용 구동회로의 저압측배선(20a), 고압측배선(20b)을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구조에서 이용되었던 하네스가 불필요해져, 액정표시장치(11) 내에 필요한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종래에 필요하였던 하네스를 수용하는 작업을 삭감할 수 있어, 조립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와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개략구성도는 생략한다.
도 15 는,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의 인쇄배선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에 대하여,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 2 와 동일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에서, 냉음극방전관(18)에 접속되어 있는 냉음극방전관용 구동회로의 저압측(COLD측)배선(20c)은, 세그먼트전극 구동회로(22) 내의 GND 배선(기준전위배선; 2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커넥터(28)에는, 냉음극방전관용 구동회로의 고압측배선(20b)만이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세그먼트전극측 인쇄배선판(17)의 하면에 냉음극방전관(18)을 부착하고, 세그먼트전극측 인쇄배선판(17)의 상면에는 냉음극방전관용 구동회로의 고압측배선(20b), 저압측배선(20c)을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구조에서 사용되었던 하네스가 불필요해져, 액정표시장치(11) 내에 필요한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종래에 필요하였던 하네스를 수용하는 작업을 삭감하여 조립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저압측배선(20c)을 세그먼트전극 구동회로(22) 내의 GND 배선(22a)에 접속함으로써, 저압측배선(20c)의 배선에 필요한 공간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냉음극방전관(18)으로부터의 배선의 인출을 1 개로 할 수 있어, 저비용 설계를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외부전원에 접속하는 커넥터(28)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냉음극방전관을 세그먼트전극측 인쇄배선판 상에 고정하고 있는데, 그 냉음극방전관은 공통전극측 인쇄배선판 상에 고정하여도 된다. 또, 세그먼트전극측 인쇄배선판, 공통전극측 인쇄배선판은, 냉음극방전관을 고정하기 위한 충분한 강도가 있으면, 플렉시블프린트 배선판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냉음극방전관의 고정에 금속의 유지부를 사용했는데, 그 구성 대신에 커넥터를 사용하여도 되고, 땜납 등을 이용하여 직접 인쇄배선판에 냉음극방전관을 고정하여도 된다.
또, 도전층을 내부에 갖는 다층 인쇄배선판을 사용하고, 그 도전층의 하나를 GND 배선으로 하여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과, 그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과, 액정표시패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광원이 고정되고, 액정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용 구동회로 및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광원용 구동회로가 형성된 인쇄배선판과, 액정표시패널, 광원 및 인쇄배선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광원용 구동회로를 인쇄배선판 상에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하네스가 불필요해져, 하네스의 수용에 필요하였던 액정표시장치 내의 공간을 삭감할 수 있다.
지금까지, 하네스는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홈부에 수용되었는데, 그 수용공정이 불필요해지므로, 공정수를 감소시켜 조립작업효율을 올릴 수 있다.
또, 광원의 일방의 전극에 전위를 인가하기 위한 배선과 액정표시패널용 구동회로의 기준전위배선을 공용으로 한 경우, 광원용 구동회로가 형성되어 복잡해진 인쇄배선판 상의 배선패턴을 단순화할 수 있게 되어 저비용 설계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광원이 냉음극방전관으로, 그 냉음극방전관 양단의 각 전극은 원뿔형상 또는 다각뿔형상의 전극본체와, 그 전극본체의 정점에서 돌출되는 핀으로 이루어져,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금속의 유지부가, 인쇄배선판 상에 고정되어 전극본체를 덮음과 동시에, 핀이 삽입통과하는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냉음극방전관 양단의 각 전극을 이와같은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냉음극방전관의 전극면적이 증대되어, 금속의 유지부와의 접속을 장기간에 걸쳐 확실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극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금속의 유지부에 설치된 구멍에 전극본체의 정점에서 돌출되는 핀을 삽입통과함으로써, 냉음극방전관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3)

  1. 액정표시패널,
    이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광원이 고정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용 구동회로 및 상기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광원용 구동회로가 형성된 인쇄배선판,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 상기 광원 및 상기 인쇄배선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용 구동회로 내에서, 상기 광원의 일방의 전극에 전위를 인가하기 위한 배선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용 구동회로의 기준전위배선이 공용으로 되 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이 냉음극방전관으로, 상기 냉음극방전관 양단의 각 전극은 원뿔형상 또는 다각뿔형상의 전극본체와, 상기 전극본체의 정점으로부터 돌출하는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금속의 유지부가, 상기 인쇄배선판 상에 고정되어 상기 전극본체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핀이 삽입통과하는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9980056402A 1998-01-06 1998-12-19 액정표시장치 KR100331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01127A JPH11194356A (ja) 1998-01-06 1998-01-06 液晶表示装置
JP98-1127 1998-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856A true KR19990066856A (ko) 1999-08-16
KR100331724B1 KR100331724B1 (ko) 2002-05-09

Family

ID=1149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402A KR100331724B1 (ko) 1998-01-06 1998-12-19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1194356A (ko)
KR (1) KR100331724B1 (ko)
TW (1) TW5135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833B1 (ko) * 2005-03-03 2011-09-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오픈 램프 감지를 위한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램프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0983A (ja) * 2009-03-11 2010-09-24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833B1 (ko) * 2005-03-03 2011-09-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오픈 램프 감지를 위한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램프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13587B (en) 2002-12-11
KR100331724B1 (ko) 2002-05-09
JPH11194356A (ja) 1999-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140B1 (ko) 액정 표시 장치
JP3127774B2 (ja) シールド材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4296457A (en) Apparatu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tacts
JPH10289610A (ja) 液晶用バックライトソケット
CN101777720A (zh) 灯座
JPH0922021A (ja) 液晶表示装置
US9482810B2 (en) Circuit board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circuit board
US4799771A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stopper pins in guide means
KR100275310B1 (ko) 액정 백라이트 소켓
US7717748B2 (en) Lamp connection socket, and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H11133394A (ja) 液晶表示装置
KR100331724B1 (ko) 액정표시장치
EP2149814B1 (en) Light supplying un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3167231A (ja) 表示モジュール
KR200163007Y1 (ko)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KR19990080034A (ko)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의 조립 방법
KR0183755B1 (ko)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및 그 배선방법
JP2008034387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有する表示装置
JPH1138433A (ja) 液晶表示装置
US20110122333A1 (en) Slim lcd module and a socket therefor
KR100433803B1 (ko) 엘시디용 백라이트 유닛
KR100950674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200153209Y1 (ko)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고정 구조
JP2008292625A (ja) 液晶モジュール用の中継基板及び液晶モジュール
KR100468205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