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5543A -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5543A
KR19990065543A KR1019980000877A KR19980000877A KR19990065543A KR 19990065543 A KR19990065543 A KR 19990065543A KR 1019980000877 A KR1019980000877 A KR 1019980000877A KR 19980000877 A KR19980000877 A KR 19980000877A KR 19990065543 A KR19990065543 A KR 19990065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mode
cpu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7969B1 (ko
Inventor
김경섭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00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969B1/ko
Publication of KR19990065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5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969B1/ko

Links

Landscapes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원제어장치는 수신 모드에 따라 효율적으로 전원을 제어하여 전력 소모량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서, 튜너, A/D 컨버터 및 링크, 인터페이스, 트랜스포트 디먹스 및 메인 CPU로 형성되는 입력부의 MPEG 비디오 디코더 및 오디오 디코더, 인코더, D/A 컨버터를 포함하는 출력부를 가지는 디지털 TV 수신장치에서 상기 디지털 TV 수신장치의 입력부와 출력부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사용 모드에 따라 다르게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함에 그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원제어장치
본 발명은 사용 모드에 따라 구동 전원을 다르게 공급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STB(Digital Set Top Box) 또는 디지털 TV 수신기 등의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는 MPEG를 기본 근간으로 하는 수신장치로서,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튜너(2), A/D 컨버터 및 링크(3), 인터페이스(4), 트랜스포트 디먹스(5) 및 메인 CPU(6)로 형성되는 입력부(1)와, MPEG 비디오 디코더(8), 인코더(9), MPEG 오디오 디코더(10),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1) 및 TV의 편향장치(12)로 형성되는 출력부(7)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는 안테나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단부(1)의 튜너(2)와 A/D 컨버터 및 링크(3)를 거치게 하여 디지털 베이스밴드(baseband)가 검출된다.
상기 디지털 베이스밴드 데이터는 여러 방송 프로그램 및 방송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디지털 베이스밴드 데이터는 메인 CPU(6)의 제어로 트랜스포트 디먹스(5)에서 역다중화(DEMUX)되고 비디오 신호는 MPEG비디오 디코더(8)로 입력된 후 인코더(15)를 거쳐 출력되며, 상기 트랜스포트 디먹스(5)에서 역다중화되어 출력된 오디오 신호는 MPEG 오디오 디코더(10) 및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1)를 거쳐 출력되며, 디지털 TV 수신기의 경우 편향장치(12)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종래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TV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도, 조건 수신 데이터(conditional access data) 또는 서비스 정보 데이터(service information data)를, 인터페이스(4)를 이용하여 수신하기 위하여 입력단부(1) 또는 입력단부(1) 및 출력단부(7)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로 되어 있어 기존의 아날로그 위성 방송 TV 수신기에 비하여 전력 소모량이 크며 이로인하여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가 데이터 방송서비스, VCR에 의한 비디오 프로그램, 데이터의 기록, 서비스정보의 기능 향상(upgrade) 등이 필요한 상황에서 이에 따른 전원의 효율적인 제어가 큰 문제점으로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수신 모드에 따라 효율적으로 전원을 제어하여 전력 소모량을 줄이기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원 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 종래의 디지털 방송수신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 -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전원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6 -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 입력부 8, 28 : MPEG 비디오 디코더
2, 22 : 튜너 9, 29 : 인코더
3, 23 : A/D 컨버터 및 링크 10, 30 : MPEG 오디오 디코더
4, 24 : 인터페이스 11, 31 : D/A 컨버터
5, 25 : 트랜스포트 디먹스 12, 32 : 편향장치
6, 26 : 메인 CPU 13, 13' : 리모콘
33 : 전원 공급 제어부 34 : CPU
35 : 인터페이스 36 : ROM/EPROM
37 : 타이머 38 ; 전원 공급 선택회로
39 : 전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원제어장치는, 튜너, A/D 컨버터 및 링크, 인터페이스, 트랜스포트 디먹스 및 메인 CPU로 형성되는 입력부와 MPEG 비디오 디코더 및 오디오 디코더, 인코더, D/A 컨버터를 포함하는 출력부를 가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에서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사용 모드에 따라 다르게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 수신기의 전원 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디지털 TV 수신장치의 전원 제어장치는,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튜너(22), A/D 컨버터 및 링크(23), 인터페이스(24), 트랜스포트디먹스(25) 및 메인 CPU(26)로 형성되는 입력부(21)와, MPEG 비디오 디코더(28), 인코더(29), MPEG 오디오 디코더(30), D/A 컨버터(31) 및 TV 편향장치(32)로 형성되는 출력부(27)를 가진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21)의 메인 CPU(26)에 접속되는 인터페이스(34), CPU(35), ROM/EPROM(36), 타이머(37) 및 전원 공급 선택회로(38)로 형성되는 전원공급제어부(3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공급선택회로(38)의 전원 공급라인 a는 상기 전원공급제어부(33) 및 메인 CPU(26)에, 그리고 전원공급라인 b는 상기 입력부(21){단 메인 CPU(26)는 제외}에, 그리고 전원 공급라인 c는 상기 출력부(27)에 구동전원이 공급되게 접속되어 있으며, 스탠드바이모드시에 상기 전원공급라인 a만이 상기 전원부(39)에 접속되고,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기록 모드시에는 상기 전원 공급라인 a와 b가 상기 전원부(39)에 접속되며,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드시에는 시스템의 전체에 구동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라인 a, b 및 c가 상기 전원부(39)에 접속되도록 상기 전원공급선택회로(38)가 상기 CPU(4)의 제어하에서 작동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플로우 챠트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사용자 모드 설정은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로서, 먼저 S11단계에서 사용자가 모드 선택을 하면, S12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가 스탠드바이 모드, 디스플레이 모드, 프로그램 및 데이터 기록모드중 어느 것인가를 체크하여, 스탠드바이 모드라면, S13단계에서 상기 전원공급제어부(33)의 CPU(34) 메모리내에 대기하고자하는 시작 시간(시간1), 날짜(날짜1) 및 몇시부터 몇시까지 대기할 것인가의 기간(기간1)을 기록하며, 디스플레이모드인 경우에는 S14단계에서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시작시간(시간2), 날짜(날짜2) 및 기간(기간2)를 저장하며, 프로그램 및 데이터 기록 모드인 경우에는 체크하면, S15단계에서, 수동조작인지 아니면 EPG(방송국에서 일정시간간격으로 보내오는 방송프로그램)에의한 것인지의 사용자 요구가 어떤것인가를 체크하여, EPG를 이용하는 것이라면 S16 및 S17단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선택한 후 EIT테이블에서 선택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와 관련된 시간, 날짜 및 기간을 추출하고 S15단계에서 수동조작이라고 체크되면, 각 신문 등에 게시되어 있는 방송국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직접 추출하여, S18단계에서 기록하고자 하는 기록시간(시작3), 날짜(날짜3) 및 기간(기간3)을 설정하여 상기 CPU(34)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S19단계에서 추가하여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기록 요구가 있는지 없는지를 체크하여 있다면 S15단계로 루틴하여 전술한 과정으로 추가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와 같은 루틴은 사용자가 원하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기록 요구가 만족할 때까지 반복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사용자 모드가 설정되어 저장된 후에, 상기 사용자 설정 모드는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수행된다.
즉 전원공급제어부(33)의 CPU(34)는 S20단계에서 타이머(37)와 상기 설정된 스탠드바이모드의 시작 시간1 및 날짜1을 비교하여 일치하면, CPU(34)는 전원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원공급선택회로(38)가 전원공급라인 a만을 기동되게 하여 구동전원을 대기 상태인 메인 CPU(26)와 전원공급제어부(33)만 공급하게 한 후, 기간1과 전원제어신호 발생후의 시간과를 비교하여 S23단계에서 불일치하면 계속 전원공급라인 a만을 가동되게 하고,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여 일치하면, S24단계에서 사용자설정모드가 프로그램 및 데이터 기록 모드인지 디스플레이 모드인지를 체크하여(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이 두가지 모드만이 있음) 프로그램 및 데이터 기록모드라면 S25단계에서 CPU(34)의 전원제어신호에 의해 가동되게 하여 입력부(21) 및 전원공급 제어부(33)에 전원이 공급되게 하고, 디스플레이모드라고 확인되면 S26단계에서 CPU(34)는 전원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전원공급선택회로(38)가 전원공급라인 a, b 및 c 모두가 가동되게 하여 전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S27단계에서 상기 CPU(34)가 타이머(37)와 상기 설정된 디스플레이모드시의 시작시간(시간2) 및 날짜(날짜2)와 일치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S28단계에서 CPU(34)는 전원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원공급선택회로(38)가 전원공급라인 a, b 및 c를 가동하게 하여 출력부(27)를 포함하여 전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한 후 S29 및 S30단계에서 설정된 기간(기간2)과 전원제어신호 발생후의 시간을 비교하여 일치할때까지 계속 전원공급라인 a, b 및 c가 가동되게 하며, 디스플레이모드의 설정시간이 경과된 기간(기간2)과 전원제어신호 발생후의 시간이 일치하면 CPU(34)는 S31단계에서 전원공급라인 a만이 가동되는 대기상태가 되도록 전원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S32단계에서 타이머(37)와 프로그램 및 데이터 기록모드로 설정된 시작 시간(시간3) 및 날짜(날짜3)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S33단계에서 CPU(34)는 전원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원공급선택회로(38)가 전원공급라인 a 와 b가 가동되게 하여 입력부(21) 및 전원공급제어부(33)에 구동전원이 공급되게 하고 이것에 의해 프로그램 및 데이터의 기록을 인터페이스(24)를 경유하여 VCR(미도시) 등에 하게 된다.
이어 S34단계 및 S35단계에서 전원제어신호 발생후의 시간이 기록 시간의 설정기간(기간3)이 되때까지 계속 전원공급라인 a, b을 가동되게 한 후 설정기간(기간3)이 경과하면 S36단계에서 대기상태인 전원공급라인 a만이 가동되게 CPU(34)로부터 전원제어신호가 발생한다.
이어 S37 및 S38단계에서 추가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 기록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체크하여, 있다면 전술한 과정과 동일 과정으로 전원공급라인 a 및 b를 가동하게 CPU(34)로부터 추가 설정기간동안 전원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추가 또는 데이터 기록모드 설정이 없다면 S36단계에서 대기상태인 전원공급라인 a만이 가동되게 CPU(34)로부터 전원제어신호가 발생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의 전원제어장치에 의하면 설정모드에 따라 전원공급을 다르게 하므로 필요없이 전력이 소모되는 일이 없으며, 더욱이나 데이터 방송 서비스, VCR에 의한 비디오 프로그램과 데이터 기록, 서비스 정보의 기능 향상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는 상황하에서는 더욱 효율적으로 전력을 제어할 수 있어 전력 소모량을 대폭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튜너, A/D 컨버터 및 링크, 인터페이스, 트랜스포트 디먹스 및 메인 CPU로 형성되는 입력부와, MPEG 비디오 디코더 및 오디오 디코더, 인코더, D/A 컨버터를 포함하는 출력부를 가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의 입력부와 출력부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사용모드에 따라 다르게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공급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원공급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모드는 스탠드바이 모드, 디스플레이 모드, 프로그램 및 데이터 기록모드이고, 스탠드바이 모드시에는 상기 전원공급제어부 및 상기 입력부의 메인 CPU에만, 상기 디스플레이모드시에는 시스템전체에, 상기 프로그램 및 데이터 기록 모드시에는 상기 입력부 및 전원 공급제어부에만 전원을 각각 공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원 공급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제어부는 상기 입려부의 메인 CPU에 의해 제어되는 CPU와; 상기 CPU와 상기 메인 CPU를 연결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CPU의 운영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EPROM과; 사용모드의 작동시간을 체크하기 위한 타이머와; 상기 CPU의 제어에 의하여 전원을 선택하여 시스템에 공급하는 전원공급선택회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원공급제어장치.
KR1019980000877A 1998-01-14 1998-01-14 디지털방송수신기의전원제어장치 KR100277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877A KR100277969B1 (ko) 1998-01-14 1998-01-14 디지털방송수신기의전원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877A KR100277969B1 (ko) 1998-01-14 1998-01-14 디지털방송수신기의전원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543A true KR19990065543A (ko) 1999-08-05
KR100277969B1 KR100277969B1 (ko) 2001-01-15

Family

ID=6572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877A KR100277969B1 (ko) 1998-01-14 1998-01-14 디지털방송수신기의전원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765B1 (ko) * 2012-05-25 2014-01-10 전자부품연구원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8936A (ja) * 1993-03-16 1994-09-22 Sharp Corp 衛星放送受信機能内蔵テレビジョン受像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7969B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9099B1 (ko) 채널 선국방법 및 장치
KR20080003535A (ko) 방송 수신장치의 자동 업그레이드방법 및 그 장치
KR100795644B1 (ko) 수신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
US7934246B2 (en) Broadcast receiver
KR19990065543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원제어장치
KR100246915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방법
KR101410507B1 (ko) 대기 모드에서 소비전력을 절전하기 위한 셋톱박스
KR100965165B1 (ko) Dmb 수신기의 예약 녹화 장치 및 방법
JP2000268440A (ja) 放送受信装置及び予約録画システム
KR0164701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모듈레이터 출력을 자동으로 오프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068334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의 전자 프로그램 안내정보 처리 방법
KR20060119548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모드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970011507B1 (ko) 방송시간예약기능을 이용한 기상시간경보장치
KR100624487B1 (ko) 다채널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절전모드 구현 방법
KR100246914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제어방법과 장치
KR200152803Y1 (ko) 예약 녹화시의 케이블 티브이 콘버터 파워 제어회로
JP2001186426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80064670A (ko) 텔레비전의 간이 전원 오프 장치 및 그 방법
KR10115488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9980035452A (ko) 개선된 방송프로그램 예약녹화실행방법
KR19980083804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시간 및 채널 예약방법
KR100782188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탐색 장치 및 방법
KR100222699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제어방법
KR0174461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서의 유선 방송 예약 녹화 방법
JPH09289615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