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5247A - 광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광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5247A
KR19990065247A KR1019980000461A KR19980000461A KR19990065247A KR 19990065247 A KR19990065247 A KR 19990065247A KR 1019980000461 A KR1019980000461 A KR 1019980000461A KR 19980000461 A KR19980000461 A KR 19980000461A KR 19990065247 A KR19990065247 A KR 19990065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data
optical communication
transmitt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성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00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5247A/ko
Publication of KR19990065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5247A/ko

Links

Landscapes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광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송신부 및 수신부에 연결되고 하나의 전송로에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데이터가 송/수신 되도록 다중 모드에서 단일 모드로 변환하는 테이퍼(taper) 구조를 갖는 광결합/분리부로 구성함으로써, 1개의 광섬유를 송신 및 수신 양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해 2배로 전송 용량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광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본 발명은 광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통신이란 빛을 매체로 하여 통신을 하는 방법을 말하는데, 기존의 전기 통신에 비해 변조 주파수를 훨씬 높게 사용하고 중계기 없이 보다 멀리 보낼 수 있으며 간섭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아 활발히 연구되고 있고 장거리 기간망을 중심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또한, 전파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에 비하면 지향성을 날카롭게 할 수 있으므로 방해 받는 일이 적고 비밀 유지에도 유효하며 또한 많은 통화로를 가질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급속한 통신 용량의 급증에 힘입어 기존에 포설된 광섬유로는 통신 용량을 감당하기 어려워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신기술은 대부분 단일 모드 광섬유를 기반으로 하는 초고속 장거리 광통신에 대한 것들이다.
예를 들면,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변조 주파수를 높이거나 파장분할다중화를 이용하는 것들이 주요 기술이다.
이에 반해 초기에 널리 포설된 광섬유의 대부분은 다중모드 광섬유여서 위에 열거한 신기술을 적용할 수 없다.
그래서 대규모의 용량 증대를 필요로 하는 구간에 대해서는 필연적으로 광섬유를 교체해야 한다.
그런데 용량의 증대가 그리 많이 필요하지는 않으나 용량 증대가 필요한 경우 광섬유를 추가로 증설하는 것은 상당히 많은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종래의 광섬유 통신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광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광섬유 통신은 데이터 송신과 데이터 수신에 대해 각각 다른 광섬유를 사용하여 2개의 광섬유를 쌍으로 사용하였다.
즉, 기존의 송신기와 수신기는 각각 광섬유가 연결되어 단방향으로만 통신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 따른 광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송신기와 수신기에 각각 광섬유가 연결되어 2개의 광섬유를 쌍으로 사용하므로 용량 증대가 필요한 경우 광섬유 추가 증설에 많은 비용이 든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광섬유의 용량을 증설하지 않고도 입출력단에 간단한 장치를 추가하여 용량을 2배로 증가시킬 수 있는 광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광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결합/분리기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광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특징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송신부 및 수신부에 연결되고 하나의 전송로에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데이터가 송/수신 되도록 다중 모드에서 단일 모드로 변환하는 테이퍼(taper) 구조를 갖는 광결합/분리부로 구성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광섬유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기존의 구조를 변경하여 전송 용량을 2배로 증가시킨 것이다.
즉, 데이터 송신과 수신에 대해 각각 다른 광섬유를 사용하여 2개의 광섬유를 쌍으로 사용한 기존의 단방향 전송을 본 발명에서는 1개의 광섬유를 송/수신 양방향으로 사용하는 양방향 전송으로 변환하여 전송 용량을 늘리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광결합/분리기를 사용하였다.
이 광결합/분리기(optical combiner/spitter)의 형태는 여러 가지로 생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크기도 작고 집적화시키기에 유리한 광도파로(optical waveguide) 형태의 방향성 결합기(directional coupler) 구조를 사용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결합/분리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모드(multimode) 광섬유를 송신단과 수신단 2곳에 연결시키고, 또한 전송단 1곳과 연결시킨다.
이 광결합/분리기는 방향성 결합기와 열광학 전극으로 구성되는데, 방향성 결합기는 단일모드(single mode)로 동작하므로 광도파로 연결부위는 다중모드에서 단일모드로 변환하는 테이퍼(taper) 구조를 가지도록 제작한다.
또한, 방향성 결합기는 단일모드에서도 TE(Transverse Electric) 모드와 TM(Transverse Magnetic) 모드에 대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므로 TE나 TM 모드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변환되도록 테이퍼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광결합/분리기의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광결합/분리기 제작시, 서로 다른 파장의 빔을 방향성 결합시키면 결합길이가 달라 하나의 파장에 대해서는 직선으로 전송하고, 다른 파장에 대해서는 X자 형태의 결합(cross-over)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송신 및 수신이 필요한 광원의 파장은 서로 다르게 짝(pair)을 이루어야 한다.
그리고, 사용 파장의 변화나 소자의 제작 오차(tolerance)에 의한 송신 및 수신의 성능 저하를 막기 위해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구조와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광도파로를 고분자(polymer)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방향성 결합기의 튜닝을 위한 수단으로 열광학(thermal optic) 효과를 이용한다.
즉, 방향성 결합기 위에 발열체(heater) 역할을 하는 저항성 전극을 설치하여 전류를 흘리게 되면 전극이 발열되어 전극 아래에 있는 고분자 재료의 온도가 올라간다.
열광학 효과는 온도가 올라가면 고분자 재료의 굴절률을 감소시키는 특성을 가지므로 방향성 결합기는 특성이 바뀌면서 방향성 결합기의 파장에 따른 분산(dispersion) 특성을 이용하여 미세하게 방향성 결합 특성을 튜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광섬유의 용량을 증설하지 않고도 상기와 같은 광결합/분리기를 설치하여 전송 용량을 2배로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개의 광섬유를 송신 및 수신 양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해 2배의 전송 용량을 증가시킨다.

Claims (2)

  1.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에 연결되고 하나의 전송로에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데이터가 송/수신 되도록 다중 모드에서 단일 모드로 변환하는 테이퍼(taper) 구조를 갖는 광결합/분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합/분리부는
    하나의 파장에 대해서는 직선으로 전송하고 다른 파장에 대해서는 X자 형태로 결합하여 전송하도록 방향성 결합 특성을 튜닝하는 방향성 결합기;
    상기 방향성 결합기의 방향성 결합 특성이 튜닝되도록 열을 가하는 열광학 전극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1019980000461A 1998-01-10 1998-01-10 광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19990065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461A KR19990065247A (ko) 1998-01-10 1998-01-10 광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461A KR19990065247A (ko) 1998-01-10 1998-01-10 광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247A true KR19990065247A (ko) 1999-08-05

Family

ID=65728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461A KR19990065247A (ko) 1998-01-10 1998-01-10 광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524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5705A (ja) * 1990-11-09 1992-06-23 Hitachi Ltd 波長多重送受信モジュール
KR920010323A (ko) * 1990-11-16 1992-06-26 제이 엘. 세이트칙 광 화이버 커플리(Optical Fiber Coupler)
KR930006467A (ko) * 1991-09-09 1993-04-21 쿠라우찌 노리타카 광 파이버 커플러의 제조 및 평가 방법, 그리고 제조장치
JPH0738531A (ja) * 1991-12-26 1995-02-07 Nakagawa Applied Res:Kk 波長多重アナログ光通信装置
KR19990035461A (ko) * 1997-10-31 1999-05-15 윤종용 광섬유 어레이 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5705A (ja) * 1990-11-09 1992-06-23 Hitachi Ltd 波長多重送受信モジュール
KR920010323A (ko) * 1990-11-16 1992-06-26 제이 엘. 세이트칙 광 화이버 커플리(Optical Fiber Coupler)
KR930006467A (ko) * 1991-09-09 1993-04-21 쿠라우찌 노리타카 광 파이버 커플러의 제조 및 평가 방법, 그리고 제조장치
JPH0738531A (ja) * 1991-12-26 1995-02-07 Nakagawa Applied Res:Kk 波長多重アナログ光通信装置
KR19990035461A (ko) * 1997-10-31 1999-05-15 윤종용 광섬유 어레이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7029B1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Kuri et al. 60-GHz-band full-duplex radio-on-fiber system using two-RF-port electroabsorption transceiver
US1043972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 optical connection service interface
Amiri et al. All-optical generation of two IEEE802. 11n signals for 2$\times $2 MIMO-RoF via MRR system
CN102084611A (zh) 光学调制器中射频响应的谐振腔辅助控制
Lunardi et al. Tunable dispersion compensation at 40-Gb/s using a multicavity etalon all-pass filter with NRZ, RZ, and CS-RZ modulation
US10367598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optical signal
WO2001059960A9 (en) Optical compensation for dispersion-induced power fading in optical transmission of double-sideband signals
Reyes-Vera et al. Advances in electromagnetic applications and communications
Iovanna et al. Optical components for transport network enabling the path to 6G
JP2014079013A (ja) チューニング可能なレーザーを備える通信システム
US20040161240A1 (en) Module having two bi-directional optical transceivers
KR19990065247A (ko) 광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US200400476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high bit-rate optical time division multiplexing (OTDM)
Bhatia et al. Performance improvement of 60‐GHz wireless optical systems with reverse‐parallel hybrid modulation scheme
KR102060987B1 (ko) 5g 통신용 광파 회로와 이를 이용한 단일 채널의 전이중 광통신 시스템
US6529305B1 (en)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JP2010206768A (ja) 光送信装置及び方法
US20040240771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processing and transmitting optical an electrical signa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device
Thummar et al. Optimizing high data rate transmission using 64-channel DWDM system with DCF and NRZ modulation
Turkiewicz Analysis of the SSMF zero-dispersion wavelength location and its influence on high capacity 1310 nm transmission
Reyes-Vera et al. Avances en aplicaciones electromagnéticas y comunicaciones
Chen et al. Integrated tunable sideband suppressor for application of remote optical carrier reuse
Liu et al. Graded-index seven-core fiber optimized for high density and ultra-wideband parallel transmission application
Penty et al. Physical layer strategies for 10 Gigabit Ether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