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5240A -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 - Google Patents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5240A
KR19990065240A KR1019980000454A KR19980000454A KR19990065240A KR 19990065240 A KR19990065240 A KR 19990065240A KR 1019980000454 A KR1019980000454 A KR 1019980000454A KR 19980000454 A KR19980000454 A KR 19980000454A KR 19990065240 A KR19990065240 A KR 19990065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wavelength
optical waveguide
unit
gener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성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00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5240A/ko
Publication of KR19990065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5240A/ko

Links

Landscapes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에 관한 것으로, 강유전체로 이루어진 기판과, 기판상에 형성되는 분극반전영역과, 분극반전영역으로 레이저 빔을 도파시키는 광도파로와, 레이저 빔의 파장을 튜닝하고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광도파로로 구성된 디비알(DBR)부와, 디비알부가 위상정합된 파장으로 레이저 빔의 파장을 연속적으로 튜닝하도록 도파로내의 굴절률을 변화시키는 전극부와, 디비알부에서 위상정합을 위해 출력되는 레이저 빔의 일부를 광검출부에서 모니터하여 모니터된 레이저 빔의 출력변화에 따라 피드백 콘트롤하여 전극부에 걸리는 전압의 방향 및 크기를 조절하는 콘트롤부로 구성됨으로써, 제조 비용이 적고, 항상 일정한 위상정합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용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
본 발명은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소형 청색 레이저를 얻는 방법으로 분극 반전시킨 기판에 광도파로를 이용한 제 2 고조파 소자가 널리 연구되어 왔다.
그런데, 이 경우 펌핑 광원인 레이저 다이오드의 파장과 분극 반전 격자의 준위상 정합 파장이 정확히 일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실제 사용이 가능한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에는 파장을 튜닝하는 기능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도파로 출력단에 그레이팅(grating)을 설치하여 레이저 다이오드의 파장을 튜닝하는 방법,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도파로내에 브레그(bragg) 격자를 삽입하여 레이저 다이오드의 파장을 고정시킴으로써 위상 정합을 시키는 방법,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 출력단에 투과 파장 영역이 매우 좁은 필터를 삽입하는 방법 등이 연구되어 왔다.
도 1에 도시된 방법은 일일이 그레이팅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해야 하고 부피가 커진다.
그리고, 실제로 상용화시 그레이팅 비용, 패키징 비용, 각각 미세 조절하는 공정을 추가해야 하므로 비용과 제작 공정이 생산에 적합하지 않아 실용성이 없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방법은 우선 필터 비용이 크며 실제 사용할 때 파장의 튜닝 기능이 없어 온도 보상 등 상용화 가능성이 거의 없다.
따라서, 실제 사용할 때 레이저 다이오드의 파장을 튜닝하면서 항상 일정하게 위상 정합 조건을 만족시키는 구조와 기능을 가져야 상용화 가능한 청색 레이저를 구현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제조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항상 일정한 위상 정합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구조와 기능이 없어 상용화가 어렵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광학효과를 이용하여 항상 위상 정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제 2 고조파 발생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는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2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를 보여주는 도면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2 : 분극 반전 영역
3 : 광도파로 4 : 디비알
5 : 전극 6 : 광분할기
7 : 광검출기
본 발명에 따른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의 특징은 강유전체로 이루어진 기판과, 기판상에 형성되는 분극반전영역과, 분극반전영역으로 레이저 빔을 도파시키는 광도파로와, 레이저 빔의 파장을 튜닝하고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광도파로로 구성된 디비알(DBR)부와, 디비알부가 위상정합된 파장으로 레이저 빔의 파장을 연속적으로 튜닝하도록 도파로내의 굴절률을 변화시키는 전극부와, 디비알부에서 위상정합을 위해 출력되는 레이저 빔의 일부를 광검출부에서 모니터하여 모니터된 레이저 빔의 출력변화에 따라 피드백 콘트롤하여 전극부에 걸리는 전압의 방향 및 크기를 조절하는 콘트롤부로 구성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개념은 브레그(Bragg)격자를 광도파로에 삽입하고 이를 전기광학효과를 이용하여 펌핑 레이저 다이오드의 레이저 파장을 튜닝하고 그 출력광을 모니터하여 피드백(feedback)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전기광학효과의 양을 조절하여 굴절율의 변화를 조절하여 항상 위상정합을 유지하는데 있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2 고조파 발생이 가능한 비선형광학결정으로 이루어진 기판(1)과, 그 위에 분극 반전 영역(domain inverted area)(2)과, 펌핑 레이저 빔(pumping laser beam)을 분극 반전 영역(2)으로 도파시키는 광도파로(optical waveguide)(3)와, 분극 반전 영역(2)을 지난 후, 펌핑 레이저 파장을 튜닝하기 위한 디비알(Distributed Bragg Reflector ; DBR)부(4)와, 위상정합을 위해 레이저 빔의 파장을 튜닝하기 위한 전극(5)으로 소자가 구성된다.
여기서, 디비알부(4)는 광도파로를 세그먼트(segment)로 만들어서 구현한다.
그리고, 레이저 빔의 파장을 튜닝하기 위해 출력된 제 2 고조파 레이저 빔의 일부를 광분할기(beam splitter)(6)를 이용하여 광검출기(7)로 입력시켜 그 레이저 빔의 출력을 모니터하고, 모니터된 레이저 빔의 출력 변화에 따라 피드백 콘트롤(feedback control)하여 전극(5)에 걸리는 전압의 방향과 크기를 조절하여 위상정합 파장을 연속적으로 튜닝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의 기판은 KTP, LiNbO3, LiTaO3등의 강유전체(ferroelectric material)를 사용한다.
그리고, 분극 반전 방법으로 KTP의 경우에는 전계에 의한 분극(poling)이나 이온 교환(ion exchange)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고, LiNbO3의 경우에는 전계에 의한 분극이나 금속 증착후 고온 열확산을 이용하며, LiTaO3의 경우에는 전계에 의한 분극이나 양자 교환후 급속 열처리(quick heat treatment)를 사용한다.
또한, 기판은 모두 제트-컷(Z-cut)을 사용하며 분극 방법에 따라 + 방향 또는 - 방향의 기판을 이용한다.
그리고, 광도파로는 KTP의 경우 이온 교환 방법을 이용하며, LiNbO3와 LiTaO3의 경우는 양자 교환 방법으로 제작된다.
디비알부는 광도파로와 동시에 만들어지며 광도파로를 세그먼트로 만들어 광도파 진행 방향으로 굴절률의 변화를 주어 브레그 조건을 만족시킨 다음, 펌핑 레이저 빔 중에서 위상정합이 되는 파장의 레이저 빔만을 선택적으로 반사시켜서 펌핑 레이저 다이오드로 되돌려 보낸후 펌핑 레이저 다이오드의 파장을 선택한다.
이 선택 파장의 튜닝은 전극을 이용하여 실시하게 되는데, 강유전체의 전기광학효과를 이용하여 도파로내의 굴절률을 변화시키면 브레그 격자 주기를 변화시켜 주게 되므로 반사되는 레이저 빔의 파장을 튜닝할 수 있다.
즉, 전극에 가해지는 전압의 방향을 바꾸면 굴절률 변화의 부호를 바꾸게 되고 또한 전압의 크기를 바꾸면 굴절률의 변화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소자 제작시 오차나 사용할 때 온도 변화에 따른 위상정합 파장의 변화를 이러한 방법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빔 분할기는 기존의 판(plate) 형태의 것을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소자의 크기를 줄이고 정렬 오차(alignment tolerance)를 줄이기 위해서는 광도파로 형태로 소자를 집적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도파로 형태로 소자에 집적화하는 경우에는 출력광의 일부를 방향성 결합기 구조의 광도파로를 삽입하여 분리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그리고, 그 출력은 광섬유나 거울 등을 이용해서 광검출기로 입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복잡한 장치가 필요없으므로 제조 비용이 적고, 항상 일정한 위상정합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용화할 수 있다.

Claims (3)

  1. 강유전체로 이루어진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는 분극반전영역;
    상기 분극반전영역으로 레이저 빔을 도파시키는 광도파로;
    상기 레이저 빔의 파장을 튜닝하고,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광도파로로 구성된 디비알(DBR)부;
    상기 디비알부가 위상정합된 파장으로 상기 레이저 빔의 파장을 연속적으로 튜닝하도록 상기 도파로내의 굴절률을 변화시키는 전극부;
    상기 디비알부에서 위상정합을 위해 출력되는 레이저 빔의 일부를 광검출부에서 모니터하여 모니터된 레이저 빔의 출력변화에 따라 피드백 콘트롤하여 상기 전극부에 걸리는 전압의 방향 및 크기를 조절하는 콘트롤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비알부에서 출력되는 빔의 일부는 빔 분할기에 의해 상기 광검출부로 반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비알부에서 출력되는 빔의 일부는 방향성 결합기 구조를 갖는 광도파로에 의해 분리되어 광섬유 또는 거울을 통해 상기 광검출부로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
KR1019980000454A 1998-01-10 1998-01-10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 KR19990065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454A KR19990065240A (ko) 1998-01-10 1998-01-10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454A KR19990065240A (ko) 1998-01-10 1998-01-10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240A true KR19990065240A (ko) 1999-08-05

Family

ID=6572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454A KR19990065240A (ko) 1998-01-10 1998-01-10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52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871B1 (ko) * 2005-12-30 2007-08-16 전자부품연구원 광도파로와 광변조 전극이 융합된 파장가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871B1 (ko) * 2005-12-30 2007-08-16 전자부품연구원 광도파로와 광변조 전극이 융합된 파장가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11403B (zh) 基于交叉调制的带有可调谐电光光学回音壁模谐振腔的光电振荡器
US7505492B2 (en) Alignment of lasing wavelength with wavelength conversion peak using modulated wavelength control signal
JP7451656B2 (ja) レーザビームの方法及びシステム
WO2011134177A1 (zh) 可调谐激光器
US5253259A (en) Frequency doubler and visible laser source having a heater
WO2011120246A1 (zh) 可调谐激光器
US5159487A (en) Optical parametric oscillator OPO having a variable line narrowed output
US5517525A (en) Optical wavelength converting device
US6731660B2 (en) Method for tuning nonlinear frequency mixing devices through degeneracy
US20090086774A1 (en) Control device, laser device, wavelength converting method, and program
KR19990065240A (ko) 제 2 고조파 발생 소자
JP3366160B2 (ja) 高調波出力安定化方法及びそれを利用する短波長レーザ光源
WO1991012556A1 (en) Light source
JP3454810B2 (ja) 短波長レーザ光源
JPH06175175A (ja) 第二高調波発生装置
JPH01168085A (ja) 周波数安定化光源
JP2002062556A (ja) 高調波出力安定化方法及びそれを利用する短波長レーザ光源
JP3492337B2 (ja) 短波長レーザ光源
JP2002084034A (ja) 高調波出力制御方法及びそれを利用する短波長レーザ光源
JP2004212824A (ja) 干渉型変調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調波光源装置
JP2003315859A (ja) 波長変換レーザ装置
JPH11174506A (ja) 波長変換素子
Birkin et al. Efficient direct frequency conversion of a non-resonant injection-seeded laser diode using a periodically-poled KTP waveguide crystal
JPH04155878A (ja) 半導体レーザの周波数安定化装置
JP2000314903A (ja) 光波長変換モジュールの作製方法及び光波長変換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