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5135A - 배전 계통의 정전 복구방법 - Google Patents
배전 계통의 정전 복구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65135A KR19990065135A KR1019980000263A KR19980000263A KR19990065135A KR 19990065135 A KR19990065135 A KR 19990065135A KR 1019980000263 A KR1019980000263 A KR 1019980000263A KR 19980000263 A KR19980000263 A KR 19980000263A KR 19990065135 A KR19990065135 A KR 199900651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zone
- tie switch
- recovery
- load
- data lin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 계통의 정전 복구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은 계통 운용자가 경험과 데이터를 참조하여 복구방안을 작성하고, 그 복구방안에 따라 복구를 수행함으로써 그 복구의 신뢰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복구방안을 복구할 건전구역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건전구역의 부하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건전구역의 타이스위치를 찾는 단계와; 상기 검출한 타이스위치중 첫 번째 타이스위치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타이스위치에 연결된 데이터라인이 부하를 감당할 수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라인이 부하를 감당할 수 없을 때 다음 타이스위치를 선택하여 상기 데이터라인 판단단계로 귀환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라인 판단단계에서 부하를 감당할 수 있을 때 복구방안에 포함시키고, 다음 타이스위치가 있는가를 판단하여 다음 타이스위치가 있는 경우 상기 다음 타이스위치 선택단계로 귀환하고, 없는 경우에는 또 다른 건전구역이 있는가를 판단하여 건전구역이 있는 경우 상기 타이스위치 검색단계로 귀환하는 단계와; 다른 건전구역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복구방안을 제시하는 복구방안 제시단계로 작성하여, 건전구역의 상태에 맞는 복구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복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전 계통의 정전 복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통 윤용자가 현장에 점검자를 투입하지 않고 현장의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하여, 그 상황에 따른 정전 복구여부를 판단하게 함으로써, 시간과 인력을 줄이는데 적당하도록 한 배전 계통의 정전 복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 계통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보호기기가 동작하고 이에 따라 배전 계통 내에는 정전구역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한 정전구역은 부하의 양에 따라 복구가능한 건전구간과 복구해도 부하의 양이 많아 다시 이상이 발생하는 이상구간으로 구분되며, 계통 운용자는 배전 계통의 기기를 제어하여 건전구간을 복구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계통 운용자는 현장에 점검자를 보내 정전구역 내의 부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며, 이와 같은 종래 배전 계통의 정전 복구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배전 계통의 정전 복구방법은 배전 계통에 존재하는 각종 기기와 설비의 상태를 알기위해서 현장에 점검자를 파견하였으며, 중앙 사령실의 계통 운용자는 현장의 상황을 점검자를 통해서만 알수 있었다.
이와 같이 점검자를 통해 현장의 상태가 접수되면 중앙 사령실의 계통 운용자는 현재 계통의 상태를 알지 못하므로, 현장에 파견된 복구 요원이 보내주는 정보와 과거의 경험 및 저장된 데이터에 의존하여 복구방안을 만들고, 이 복구방안에 맞춰 점검자를 통해 각종 기기를 조작하여 건전구간을 복구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배전 계통의 정전 복구방법은 복구방안을 계통 운용자의 경험에 의해 만들어 사용함으로써, 그 복구방안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힘들며, 복구방안을 만들 때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안전하고 타당한 건전 구간 복구방안을 점검자를 통하지 않고 신속하게 제시하여 정확한 배전 계통의 정전을 복구할 수 있는 배전 계통의 정전 복구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 배전 계통의 정전 복구방법을 적용한 배전 계통 시스템의 일실시예도.
도2는 고장 발생후 정전영역의 분리를 수행한 배전 계통의 구성도.
도3은 도1에 있어서, 복구방안 제시 모듈의 동작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피더 리모트 유닛 2:하위 통신 및 제어 유닛
3:프론트 엔드 프로세서 4:데이터 획득 및 제어부
5:리얼 타임 데이터 베이스 6:고장 발생 판단 모듈
7:복구방안 제시 모듈 11:건전구역
12,13,14:타이스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복구방안을 복구할 건전구역을 선택하는 건전구역선택단계와; 상기 선택된 건전구역의 부하량을 측정하는 부하량 측정단계와; 상기 선택된 건전구역의 타이스위치를 찾는 타이스위치 검색단계와; 상기 검출한 타이스위치중 첫 번째 타이스위치를 선택하는 타이스위치 선택단계와; 선택된 타이스위치에 연결된 데이터라인이 부하를 감당할 수 있는가를 판단하는 데이터라인 판단단계와; 상기 데이터라인이 부하를 감당할 수 없을 때 다음 타이스위치를 선택하여 상기 데이터라인 판단단계로 귀환하는 다음 타이스위치 선택단계와; 상기 데이터라인 판단단계에서 부하를 감당할 수 있을 때 복구방안에 포함시키고, 다음 타이스위치가 있는가를 판단하여 다음 타이스위치가 있는 경우 상기 다음 타이스위치 선택단계로 귀환하고, 없는 경우에는 또 다른 건전구역이 있는가를 판단하여 건전구역이 있는 경우 상기 타이스위치 검색단계로 귀환하는 건전구역 검색단계와; 상기 건전구역 검색단계에서 다른 건전구역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복구방안을 제시하는 복구방안 제시단계로 작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 배전 계통의 정전 복구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배전 계통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전 계통내의 개폐기 상태정보, 전압, 전류를 측정하는 다수의 피더 리모트 유닛(feeder remote unit, 1)과; 상기 피더 리모트 유닛(1)의 정보를 인가받아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하위 통신 및 제어 유닛(SCCU, 2)와; 상기 하위 통신 및 제어 유닛(2)으로 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프론트 엔드 프로세서(FEP, 3)와; 상기 프론트 엔드 프로세서(3)로부터 데이터를 인가받아 전송하며, 제어명령을 상기 프론트 엔드 프로세서(3)로 출력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데이터 획득 및 제어부(DAC, 4)와; 상기 데이터 획득 및 제어부(4)로부터 인가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리얼 타임 데이터 베이스(5)와; 상기 리얼 타임 데이터 베이스(5)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발생 판단 모듈(6)과; 상기 고장 발생 판단 모듈(6)에서 고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특정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복구 방안을 구하는 복구방안 제시 모듈(7)로 구성된다.
도2는 고장 발생후 정전영역의 분리를 수행한 배전 계통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영역에 이상이 발생하면 그 이상이 발생한 영역(8)에 연결된 회로 정지기(CIRCUIT BREAKER, CB)가 오픈되고, 스위치(9,10)를 오픈 시켜 고장구역이 다른 건전구역(11)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분리된 건전구역(11)은 그 건전구역(11)의 주변에 위치하는 타이스위치(12,13,14)를 닫아 복구할 수 있으며, 이때 각 타이스위치(12,13,14)에 연결된 데이터라인(DL1,DL2,DL3)에 부하량을 고려하여 부하가 큰경우에는 타이스위치(12,13)를 닫으면 다시 건전구역(11)이 정전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고려하여 타이스위치(12,13,14)를 닫아 건전구역(11)을 복구할 것인가를 판단해야한다.
도3은 본 발명 복구방안 제시 모듈의 동작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구할 건전구역을 선택하는 건전구역선택단계와; 상기 선택된 건전구역의 부하량을 측정하는 부하량 측정단계와; 상기 선택된 건전구역의 타이스위치를 찾는 타이스위치 검색단계와; 상기 검출한 타이스위치중 첫 번째 타이스위치를 선택하는 타이스위치 선택단계와; 선택된 타이스위치에 연결된 데이터라인이 부하를 감당할 수 있는가를 판단하는 데이터라인 판단단계와; 상기 데이터라인이 부하를 감당할 수 없을 때 다음 타이스위치를 선택하여 상기 데이터라인 판단단계로 귀환하는 다음 타이스위치 선택단계와; 상기 데이터라인 판단단계에서 부하를 감당할 수 있을 때 복구방안에 포함시키고, 다음 타이스위치가 있는가를 판단하여 다음 타이스위치가 있는 경우 상기 다음 타이스위치 선택단계로 귀환하고, 없는 경우에는 또 다른 건전구역이 있는가를 판단하여 건전구역이 있는 경우 상기 타이스위치 검색단계로 귀환하는 건전구역 검색단계와; 상기 건전구역 검색단계에서 다른 건전구역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복구방안을 제시하는 복구방안 제시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배전 계통의 정전 복구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전 계통의 특정영역(8)에 이상이 발생하면 그 주변부의 스위치를 차단하여 전원공급을 방지하여 정전영역을 형성한다. 이때 복구가 가능한 건전구역(11)또한 생기게 되며 이는 타이스위치(12,13,14)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닫아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복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피더 리모트 유닛(1)에서는 배전계통의 전압, 전류 및 건전구역(11)의 부하량을 측정하여 출력하며, 이는 하위 통신 및 제어 유닛(2)과 프론트 엔드 프로세서(3)를 통해 데이터 획득 및 제어부(4)로 전송되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데이터 획득 및 제어부(4)를 통해 메모리의 특정영역인 리얼 타임 데이터 베이스(5)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리얼 타임 데이터 베이스(5)에 데이터가 저장되면 복구방안 제시 모듈(7)에서는 그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복구방안을 제시하게 된다.
이때의 복구방안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건전구역선택단계에서 도2의 건전구역(11)을 선택한다.
그 다음, 부하량 측정단계에서는 상기 건전구역선택단계에서 선택한 건전구역(11)의 부하량을 측정한다. 이때 측정된 부하량은 리얼 타임 데이터 베이스(5)에 저장된다.
그 다음, 타이스위치 검색단계에서는 상기 선택된 건전구역(11)에 전원을 인가제어할 수 있는 타이스위치(12,13,14)를 찾는다.
그 다음, 타이스위치 선택단계에서는 상기 검출한 타이스위치(12,13,14)중 특정 타이스위치(12)를 선택하게 된다.
그 다음, 데이터라인 판단단계에서는 상기 선택된 타이스위치(12)에 연결된 데이터라인(DL1)이 부하를 감당할 수 있는가를 판단하며, 다음 타이스위치 선택단계에서는 상기 데이터라인(DL1)이 부하를 감당할 수 없을 때 다음 타이스위치(13)를 선택하여 다시 그 타이스위치(13)에 연결된 데이터라인(DL2)이 부하를 감당할 수 있는가를 판단한다. 이때 데이터라인(DL2)이 부하를 감당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건전구역 검색단계에서는 상기 판단의 결과를 복구방안에 포함시키고, 다음 타이스위치가 있는가를 판단하여 다음 타이스위치가 있는 경우 상기 다음 타이스위치 선택단계로 귀환하고, 없는 경우에는 또 다른 건전구역이 있는가를 판단하여 건전구역이 있는 경우 상기 타이스위치 검색단계로 귀환한다.
그 다음, 복구방안 제시단계에서는 상기 건전구역 검색단계에서 다른 건전구역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복구방안을 제시하게 되며, 건전구역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타이스위치 검색단계로 귀환하여 복구방안을 추가로 작성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자가 현장으로 직접 파견되지 않고도 건전구역의 정보를 입력받아 그 건전구역의 타이스위치에 연결된 부하량을 기준으로 건전구역을 복구할 것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하는 복구방안을 작성하여 그 복구방안에 따른 작업으로 복구작업이 용이해짐과 아울러 복구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와, 작업인력과 시간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배전 계통의 정전구역을 분리하여 건전구역을 판단하고, 그 건전구역의 상태에 따른 복구방안에 따라 배전 계통의 각종기기를 조작하여 건전구역을 복구하는 배전 계통의 정전 복구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구방안은 복구할 건전구역을 선택하는 건전구역선택단계와; 상기 선택된 건전구역의 부하량을 측정하는 부하량 측정단계와; 상기 선택된 건전구역의 타이스위치를 찾는 타이스위치 검색단계와; 상기 검출한 타이스위치중 첫 번째 타이스위치를 선택하는 타이스위치 선택단계와; 선택된 타이스위치에 연결된 데이터라인이 부하를 감당할 수 있는가를 판단하는 데이터라인 판단단계와; 상기 데이터라인이 부하를 감당할 수 없을 때 다음 타이스위치를 선택하여 상기 데이터라인 판단단계로 귀환하는 다음 타이스위치 선택단계와; 상기 데이터라인 판단단계에서 부하를 감당할 수 있을 때 복구방안에 포함시키고, 다음 타이스위치가 있는가를 판단하여 다음 타이스위치가 있는 경우 상기 다음 타이스위치 선택단계로 귀환하고, 없는 경우에는 또 다른 건전구역이 있는가를 판단하여 건전구역이 있는 경우 상기 타이스위치 검색단계로 귀환하는 건전구역 검색단계와; 상기 건전구역 검색단계에서 다른 건전구역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복구방안을 제시하는 복구방안 제시단계로 작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계통의 정전 복구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00263A KR19990065135A (ko) | 1998-01-08 | 1998-01-08 | 배전 계통의 정전 복구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00263A KR19990065135A (ko) | 1998-01-08 | 1998-01-08 | 배전 계통의 정전 복구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65135A true KR19990065135A (ko) | 1999-08-05 |
Family
ID=65728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00263A KR19990065135A (ko) | 1998-01-08 | 1998-01-08 | 배전 계통의 정전 복구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6513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0657B1 (ko) * | 2000-05-10 | 2003-04-18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송전선로의 자동 복구 방법 |
KR20200012464A (ko) | 2018-07-27 | 2020-02-05 | 한국전력공사 | 배전선로 고장 복구시 진공차단기 자동투입장치 및 방법 |
-
1998
- 1998-01-08 KR KR1019980000263A patent/KR1999006513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0657B1 (ko) * | 2000-05-10 | 2003-04-18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송전선로의 자동 복구 방법 |
KR20200012464A (ko) | 2018-07-27 | 2020-02-05 | 한국전력공사 | 배전선로 고장 복구시 진공차단기 자동투입장치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8268B1 (ko) | 고장판단 및 고장복구 시나리오 자동생성 기능을 탑재한 변전소 자동화시스템 운영장치 | |
CN106124935A (zh) | 中低压配电网络故障定位方法 | |
CN101594004A (zh) | 变电站自动化系统的智能控制方法 | |
CN110350660B (zh) | 一种继电保护功能压板在线监视方法和系统 | |
KR100755277B1 (ko) | 배전 자동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보조 단말 장치 및 이를이용한 고장 위치 확인 및 복구 방법 | |
KR100863672B1 (ko) | 배전 자동화 교육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 |
KR19990065135A (ko) | 배전 계통의 정전 복구방법 | |
CN103227512B (zh) | 防误顺控过程检测方法和系统 | |
Ng et al. | Intelligent distributed smart grid network—Reconfiguration | |
KR19990065136A (ko) | 배전 계통의 정전 복구방법 | |
Zin et al. | The utilization of digital fault recorders in protection system analysis on Tenaga Nasional Berhad transmission system | |
CN111756048B (zh) | 一种配电网合环负荷转供方法 | |
KR20010026828A (ko) | 전원의 전압가변 시험 장치 및 방법 | |
CN113484684A (zh) | 一种非健全故障信息下的配电网多重故障诊断系统及方法 | |
JP2000004538A (ja) | 電力系統監視制御装置 | |
KR102005231B1 (ko) | 전력설비의 고장 추적 분석 시스템 | |
KR100441946B1 (ko) | 배전자동화용 단말시험 측정장치 | |
KR101693081B1 (ko) | 중수로 원전의 원격 감시망과 발전정지유발기기 감시 프로그램 연계를 이용한 발전정지 원인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 |
JP2006280024A (ja) | 機器自動試験システムおよび機器自動試験方法 | |
CN114899944B (zh) | 通讯管理机 | |
KR20120052084A (ko) | 로직회로를 이용한 전력용 변압기 자동 부하공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
JPH0783564B2 (ja) | 配電線の地絡点認識装置 | |
CN108229863A (zh) | 一种配电网供电可靠率计算方法 | |
Bhatt et al. | A Novel Method of Executing Main-Tie-Main LV Secondary Selective Systems | |
JPH118949A (ja) | 系統制御システムの不正制御防止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