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2744A - Resin sealing device - Google Patents

Resin seal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2744A
KR19990062744A KR1019980052638A KR19980052638A KR19990062744A KR 19990062744 A KR19990062744 A KR 19990062744A KR 1019980052638 A KR1019980052638 A KR 1019980052638A KR 19980052638 A KR19980052638 A KR 19980052638A KR 19990062744 A KR19990062744 A KR 19990062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ie bar
moving table
resi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6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16438B1 (en
Inventor
야스시 오오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 다다오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 다다오,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 다다오
Publication of KR19990062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7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438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26Apparatus for sealing, encapsulating, glassing, decapsulating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중량을 경감하고, 또한 상하이동부의 경량화에 따른 상하이동의 고속화를 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상, 하 금형(1, 2)의 한쪽을 상하이동시켜 형 체결하는 더블토글기구(60)와, 상부열반(熱盤)(3)을 지지하는 테이블(31)과, 하부열반(4)을 지지하는 테이블(36)과, 더블토글기구의 일단과 연결되는 테이블(32)으로 이루어지고, 테이블내 2개가 타이 바(tie-bar)(33)에 의해 상하로 대향상태로 배치 고정되며, 나머지 테이블이 상기 대향 배치된 2개의 테이블사이에 존재하는 수지봉지(封止)장치로, 더블토글기구(60)의 토글 링크 회동방향을 상기 상, 하 금형(2) 및 플랜져 박스(7)의 탈착방향과 동 방향으로 구성했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productivity by lowering the weight of the apparatus and increasing the speed of the upper and lower joints according to the weight reduction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upper and lower dies. The double toggle mechanism 60 A table 36 for supporting the lower thermal bar 4 and a table 32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ouble toggle mechanism , Two of the tables are placed and fixed vertically in an opposed state by a tie-bar 33, and the remaining tables are present between the opposed two tables. The toggle mechanism 60 is configured so that the toggle link pivoting direction is the same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metal molds 2 and the flange box 7 are attached and detached.

Description

수지봉지장치Resin sealing device

본 발명은 리드 프레임에 탑재된 반도체소자를 수지봉지하기 위한 수지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in encapsulation device for encapsulating a semiconductor element mounted on a lead frame.

이러한 종류의 수지봉지장치의 종래예를 도5에 도시한다. 도면은 종래장치의 정면도이다.A conventional example of this type of resin sealing apparatus is shown in Fig. The figure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apparatus.

상하 한쌍의 상 금형(1) 및 하 금형(2)은 상부열반(3) 및 하부열반(4)에 각각 탈착 자유롭게 감합 장착되어 있다. 하 금형(2)내에는 수지를 장전하기 위한 소요개수의 포트(5)와, 장전된 수지를 용융하여 주입하기 위한 플랜져(6)가, 대응하는 개수만큼 배설되며, 플랜져(6)는 하금형(2)하부에 금형과 마찬가지로 탈착 자유롭게 감합 장착되는 플랜져 박스(7)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부열반(4) 하부의 서포트 블록(8)은, 수지투입 및 수지주입시에, 플랜져 박스(7)에 간섭하지않도록 분할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서포트 블록(8)은 플랜져 박스(포트열방향으로 세로로 긴 형상)가 상하이동하는 영역을 피하도록 배설되므로, 포트열방향으로 세로로 긴 형상이 된다. 그리고, 플랜져 박스 및 플랜져 박스를 구동하는 구동부와의 연결등의 관계로 플랜져 박스를 끼워넣는 형상으로 분할하여 세워 설치되어 있다.The upper and lower pairs of the upper die 1 and the lower die 2 are detachably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row cylinders 3 and 4, respectively. A required number of ports 5 for loading the resin and a flanger 6 for melting and injecting the loaded resin are arranged in a corresponding number in the lower die 2, And is connected to a flange box 7 which is detachably fitted and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mold 2 like a mold. Therefore, the support block 8 under the lower tray 4 is provid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lange box 7 at the time of resin injection and the receipt of a resin stock. In other words, since the support block 8 is arranged so as to avoid the area in which the flange box (longitudinal shape in the port column direction) moves up and down, the support block 8 becomes longitudinally long in the port column direction. In addition, the flange box is divided into a shape for fitting the flange box and is installed upright in relation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ange box and th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lange box.

상부열반(3)을 지지하는 상부 테이블(9)은, 하부 테이블(10)에서 세워 설치된 타이 바(11) 및 고정 너트(12)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타이 바(11)는 하부 테이블(10) 상면에 단층부가 걸리는 형상으로 삽입되며, 하부 테이블(10)의 하면측에서 고정 너트(13)로 고정되어 있다. 상부 테이블(9) 및 하부 테이블(10) 사이에, 하부열반(4)을 지지하는 이동 테이블(14)이 타이 바(11)를 따라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열반(4)의 상하이동에 있어서는 간섭하지 않는 칫수 관계로 타이 바(11)와 하부열반(4) 사이에는 리드 프레임 및 수지 테블릿을 하 금형(2)상에 공급하는 로우더(도시하지 않음) 및 성형품을 금형내에서 취출하는 언 로우더(도시하지 않음), 성형후의 금형을 청소하는 다이클리너(도시하지 않음)의 가이드 레일(15)이 설치되어 있다. 이동 테이블(14) 하면에는 트랜스퍼 유니트(16)가 고정되며, 볼 나사를 사용한 구동력변환기구(17)를 내장하고, 플랜져 박스(7) 및 플랜져(6)를 상하이동시킨다. 구동력 변환기구(17)의 하부에는, 벨트 전달기구(18)에 의해 도5의 종이면 직교방향 안측에 설치된 전동기와 연결되어 있다.The upper table 9 supporting the upper nipple 3 is fixedly supported by a tie bar 11 and a fixing nut 12 installed upright from the lower table 10. The tie bar 11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table 10 in such a manner that a monolayer portion is attached thereto and is fixed by a fixing nut 13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lower table 10. Between the upper table 9 and the lower table 10, a moving table 14 for supporting the lower thermal plate 4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tie bar 11. [ A lead frame and a loader for supplying the resin tablet to the lower mold 2 are disposed between the tie bar 11 and the lower heat bar 4 in a dimensionless relationship i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ower thermal bar 4 An unloader (not shown) for taking the molded article out of the mold, and a guide rail 15 for a die cleaner (not shown) for cleaning the mold after molding. A transfer unit 16 is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moving table 14 and incorporates a driving force converting mechanism 17 using a ball screw to move the flange box 7 and the flange 6 up and down. A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force converting mechanism 17 is connected to an electric motor provided on the inner side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aper surface of Fig. 5 by a belt transmitting mechanism 18. [

트랜스퍼 유니트(16)와 하부 테이블(10)사이에는, 이동 테이블(14)을 상하동시키는 더블토글기구(1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더블토글기구(19)는 하부 테이블(10) 중앙에 트랜스퍼 유니트(16)와 같은 볼 나사를 사용한 구동력 변환기구(20)를 내장하고, 볼 나사 상단부에 고정된 크로스 헤드(21), 짧은링크(22), 일단을 하부 테이블(10)에 지점 핀(23)에 의해 회동 자유롭게 연결된 기준링크(24) 및 트랜스퍼 유니트(16) 하부의 좌우양측에 지점 핀(25)에 의해 회동자유롭게 연결된 긴링크(26)등으로 이루어지는 토글기구가 구동력 변환기구(20)에 대해 좌우대칭으로 배치된다. 또한, 이들 각 링크는 상호 다른 지점 핀에 의해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구동력 변환기구(20) 하부는, 벨트 전달기구(27)에 의해 도면의 종이면 직교방향안측에 설치된 전동기와 연결되어 있다.Between the transfer unit 16 and the lower table 10, there is provided a double toggle mechanism 19 for moving the moving table 14 up and down. The double toggle mechanism 19 has a structure in which a driving force converting mechanism 20 using a ball screw like the transfer unit 16 is built in the center of the lower table 10 and a crosshead 21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ball screw, A base link 24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table 10 by a branch pin 23 and a long link 22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unit 16 by branch pins 25, (26) and the like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driving force converting mechanism (20). Further, each of these links is rotatably connected by mutually different point pins. The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force converting mechanism 20 is connected to an electric motor provided on the inner side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aper surface of the drawing by the belt transmission mechanism 27. [

도6은 도5 A-A 단면도인데, 이 도면에 도시하는 Tw 칫수는 4개의 타이 바(11)의 횡 피치, 즉 장치를 정면에서 봤을 때의 폭 피치 칫수이다. Td칫수는 타이 바(11)의 깊이 피치 칫수이다. 또한, 하금형(2)은 도6의 종이면 하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되어 있고, 도5의 플랜져 박스(7)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열반자체도 탑재금형칫수가 변경되면 장치위로부터 탈착하는 경우도 있다. 도6중 파선으로 표시한 것은 더블 토글기구(19)의 지점 핀(23)으로, 회동 스페이스 및 장치의 확보 스페이스상, 대부분의 경우, 지점 핀(23)의 축선상에 타이 바(11)의 외경의 일부가 걸린다. 따라서 지점 핀(23)의 메인티넌스시의 해체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상기 이유로 상기 Tw 칫수 및 Td 칫수의 관계는, 타이 바(11)의 외경칫수를 d, 금형폭칫수를 K, 지점 핀(23)의 전체길이 칫수를 L로 하면,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5A-A, where the Tw dimension shown in this figure is the transverse pitch of the four tie bars 11, that is, the width pitch dimens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apparatus. The Td dimension is the depth pitch dimension of the tie bars 11. Further, the lower mold 2 is detachable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paper surface of Fig. 6, and the flange box 7 of Fig. 5 is also the same. In addition, the heat plate itself may be detached from the apparatus when the dimension of the mounting die is changed. 6 is the branch pin 23 of the double toggle mechanism 19 and is located on the axial line of the branch pin 23 on the space for securing the rotation space and the apparatus in most cases Part of the outer diameter is caugh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a dismantling space for maintenance of the branch pin 23. For the above reas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 dimension and the Td dimension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where d is the outer diameter dimension of the tie bar 11, K is the mold width dimension, and L is the overall length dimension of the branch pin 23. [

Tw - dK …… (1)Tw - dK ... ... (One)

Td - d3 · L …… (2)Td - d3 · L ... ... (2)

또한, 자동장치의 경우, 가이드 레일(15)이 존재하므로, Tw 칫수는 (1)식으로 구해지는 칫수보다 가이드 레일(15) 칫수만큼 커지게 된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apparatus, since the guide rail 15 exists, the Tw dimension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obtained by the formula (1) by the dimension of the guide rail 15. [

그런데, 도5에 도시하는 수지봉지장치는, 다음에 기술하는 것과 같은 결점을 가지고 있다.Incidentally, the resin encapsulation device shown in Fig. 5 has the following drawbacks.

첫째로, 형 체결력 전달의 최종 역(力)점 위치가 금형폭(K)(도6 참조)보다 넓은 위치이므로, 형 체결시, 트랜스퍼 유니트(16) 및 이동 테이블(14)에 상당한 강성이 필요해지고, 강성확보를 위해 장치중량 증대 나아가서는 상하이동의 구동력 증강이 필요해진다. 또한, 이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종단면 2차 모멘트를 크게 하면 되는데, 이런 칫수증대는 장치 패스라인의 상승을 동반하여, 작업성을 악화시킨다.First, since the final force point position of the mold clamping force transmission is wider than the mold width K (see Fig. 6), a considerable rigidity is required for the transfer unit 16 and the moving table 14 at the time of mold clamping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device and further increase the driving force of the upper and lower motions in order to secure rigidity. In order to secure this rigidity, the second-order moment of the longitudinal section can be increased. Such an increase in dimension is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the device pass line, thereby deteriorating workability.

둘째로, 토글기구(19)의 회동방향이 금형 및 플랜져 박스(7)의 탈착방향, 즉 열반 및 서포트 블록 분할선 방향과는 직교방향에 있으므로, 서로 대향하는 더블링크의 이동 테이블에 대한 역점이, 서포트 블록 분할선을 사이에 두고 2분할되게 되고, 도8(a)에 요부 설명도를 도시하는 바와같이, 서포트 블록의 존재가 굽힘강성의 향상으로 연결되지 않고, 또한 상술의 강성 부족의 휘어짐영향을 받아, 금형 맞춤면의 불균일이 발생하여 버르(burr)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Secondly, since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toggle mechanism 19 is orthogonal to the attaching / detaching direction of the mold and the flange box 7,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row and the support block dividing line, Is divided into two with the support block dividing lin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presence of the support block is not connec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bending rigidity as shown in the explanatory drawing of the main part in Fig. 8 (a) It is affected by warpage, and unevenness of the metal fitting surface is generated, and problems such as burrs are likely to occur.

세째로, 상술의 역점위치와 타이 바 위치가 대략 동일하므로, 좌우의 토글 링크의 칫수편차의 좌우 타이 바 신장량의 다름, 그에따른 좌우의 형 체결력 언밸런스가 발생한다. 이것은 우 토글 링크의 길이와 좌 토글 링크의 길이가 완전 동일할 가능성은 매우 낮고, 동시가공을 행했다고 해도 칫수오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들면, 우 토글 링크의 칫수가 좌 토글 링크의 칫수보다 0.01mm 길다고 하면, 타이 바 배치위치와 토글 링크 배치위치가 같고, 또한 크로스 헤드(21)는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가이드되어 있으므로, 우측 타이 바는 0.01mm 더 신장되게 된다. 타이 바 신장의 총합은, 즉 형 체결력의 반력(反力)에 상당하게 된다. 따라서 좌우의 연장차가 크면 클수록 형 체결력이 좌우로 달라지게 된다.Third, since the above-mentioned depression position and the tie bar position are substantially the same, the left and right tie bar extension amounts of the dimensional deviation of the left and right toggle link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ccordingly, the left and right mold clamping force unbalance occurs. It is very unlikely that the length of the right toggle link and the length of the left toggle link are completely the same, and even if simultaneous processing is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a dimensional error occurs. For example, if the dimension of the right toggle link is longer than the dimension of the left toggle link by 0.01 mm, the tie bar placement position and the toggle link placement position are the same and the cross head 21 is guided not to move left and right, And the right tie bar is stretched by 0.01 mm. The sum of the tie bar elongation is equivalent to the reaction force of the mold clamping force. Therefore, the great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extensions, the more the clamping force varies from side to side.

네째로, 제4에 하부 테이블(10)에의 타이 바 고정형상에 있어서, 타이 바에 단층부착이 실시되어 있으므로, 그 부위의 응력 집중을 더하면, 타이 바의 지름 전체를 크게 하는 수단을 취하는데, 크게 하는 것은 동일 힘을 가해도 신장량이 적어지므로, 링크 칫수차에 대한 민감함이 증대하여, 상술의 형 체결력 언밸런스를 증대시킨다.Fourthly, since the tie bars are adhered to the tie bars in the fixed shape of the tie bars on the lower table 10, the means for increasing the total diameter of the tie bars is adopted, , The elongation is small even when the same force is applied, so that sensitivity to the difference in the link dimension is increased, which increases the above-mentioned mold clamping force unbalance.

다섯째로, 자동장치에 있어서 생산성을 높히기 위해 도5에서 도시한 장치를 다수대 폭방향으로 배열해 사용했을 때, 가이드 레일(15)폭을 극소화 혹은 폐지, 및 타이 바 지름을 작게 하기 위해 고장력강등을 채용해도, 결국 더블토글기구(19)의 구성 칫수 이하의 폭으로는 할 수 없으므로 설치 스페이스를 많이 취하게 된다.Fifth, in order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in the automatic apparatus, when the apparatuses shown in Fig. 5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widthwise directions, in order to minimize or eliminate the width of the guide rails 15 and reduce the tie bar diameter, The width of the double toggle mechanism 19 can not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double-toggle mechanism 19, so that a large installation space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 실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휘어짐의 영향을 저감하고, 구부러짐강성을 높임으로써, 장치하중을 경감시키고, 또한 상하이동부의 경량화에 따른 상하이동의 고속화를 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productivity by reducing the influence of warpage and increasing bending stiffness, thereby reducing the device load and increasing the speed of the upper / .

또한 본 발명은 버르발생을 초래하는 휘어짐을 억제함으로써 성형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molding quality by suppressing warpage which causes burr gen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장치폭을 축소하여 다수대 배열해도 설치 스페이스가 적어도 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in which installation space is reduced even if a plurality of units are arranged by reducing the apparatus width.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수지봉지장치를 2대 병렬로 배치한 전체 정면도로, 정면좌측은 형 분리한 상태도, 동 우측은 형 체결하고 있는 상태도,Fig. 1 is an entire front view of two resin encapsulating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d in parallel. Fig. 1 is a state in which the front left side is separated from a mold,

도2는 형 체결상태의 우측면도로, 링크가 연장된 상사점 상태를 표시하는 우측면도,Fig. 2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nk is extended, a right side view showing a top dead center state in which the link is extended,

도3은 형 분리한 상태의 좌측면도,3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ld is separated,

도4는 연결구의 실시형태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connector,

도5는 종래장치의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device,

도6은 도5의 A-A 단면도,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A-A in Fig. 5,

도7은 도1의 A-A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A-A in Fig. 1,

도8은 본 발명과 종래예와의 힘의 방향과 플랜져 박스의 방향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비교도,8 is a compara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ion of the force betwee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example and the direction of the flange box,

도9는 본 발명의 링크 칫수 차이에 기인하는 타이 바 칩 피치와 반력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9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bia chip pitch and the reaction force due to the link size differ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 : 상 금형 2 : 하 금형1: Phase mold 2: Lower mold

3 : 상부열반 4 : 하부열반3: upper nirvana 4: lower nirvana

5 : 포트 6 : 플랜져5: Port 6: Flanger

7 : 플랜져 박스 8 : 서포트 블록7: Flanger box 8: Support block

9 : 상부 테이블 10 : 하부 테이블9: upper table 10: lower table

11 : 타이 바 12 : 고정 너트11: Tie bar 12: Fixing nut

13 : 고정 너트 14 : 이동 테이블13: Fixing nut 14: Moving table

15 : 가이드 레일 16 : 트랜스퍼 유니트15: guide rail 16: transfer unit

17 : 구동력 변환기구 18 : 벨트 전달기구17: driving force converting mechanism 18: belt transferring mechanism

19 : 더블토글기구 20 : 구동력 변환기구19: Double toggle mechanism 20: Driving force conversion mechanism

21 : 크로스 헤드 22 : 짧은링크 2221: Crosshead 22: Short Link 22

23 : 지점 핀 24 : 기준링크23: Branch pin 24: Reference link

25 : 지점 핀 26 : 긴링크25: Branch Pin 26: Long Link

27 : 벨트 전달기구 30 : 서포트 블록27: belt transmission mechanism 30: support block

31 : 상부 테이블 32 : 하부 테이블31: upper table 32: lower table

33 : 타이 바 34 : 고정 너트33: Tie bar 34: Fixing nut

35 : 고정 너트 36 : 이동 테이블35: Fixing nut 36: Moving table

40 : 트랜스퍼 유니트 41 : 홀더40: transfer unit 41: holder

42 : 볼 스플라인 43 : 하중변환기42: ball spline 43: load transducer

44 : 플랜져 박스 홀더 50 : 구동력 변환기구44: flange box holder 50: driving force conversion mechanism

51 : 풀리 52 : 풀리51: pulley 52: pulley

53 : 타이밍 벨트 54 : 벨트 전달기구53: timing belt 54: belt transfer mechanism

55 : 감속기 부착 전동기 60 : 더블토글기구55: Motor with reducer 60: Double toggle mechanism

61 : 크로스헤드 62 : 짧은링크61: Crosshead 62: Short Link

63 : 지점 핀 64 : 기준링크63: Branch pin 64: Reference link

65 : 지점 핀 66 : 긴링크65: Branch pin 66: Long link

67 : 연결 블록 68 : 볼 스플라인67: connection block 68: ball spline

69 : 우레탄 고무 스토퍼 70 : 구동력 변환기구69: urethane rubber stopper 70: driving force converting mechanism

71 : 큰풀리 72 : 풀리71: large pulley 72: pulley

73 : 타이밍벨트 74 : 벨트 전달기구73: timing belt 74: belt transmission mechanism

75 : 전동기 80 : 가이드 레일75: electric motor 80: guide rail

81 : 분할 체결 끼움목 90 : 로우더81: Split fastening fitting 90: Loader

91 : 언 로우더 100 : 연결구91: unloader 100: connector

본 발명의 수지봉지장치는, 첫째로 더블토글기구의 토글 링크 회동방향을 수지 테블릿 배열과 같은 방향 즉, 플랜져 박스의 배열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sin encapsu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irst, the toggle link pivoting direction of the double toggle mechanism is configured to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resin tablet array, that i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lange box.

두째로, 상기 더블토글기구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토글 링크의 역점을 연결하는 선이 상기 플랜져의 배열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Second, lines connecting the points of the mutually opposing two toggle links of the double toggle mechanism are paralle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langes.

셋째로, 토글 링크의 최종역점 피치 칫수가 금형 전후 칫수보다 작고, 또한 금형좌우의 타이 바 깊이 피치 칫수가 장치의 대상 리드 프레임 길이칫수 이하로 상기 역점 피치 칫수보다 작은 협피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aspe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mension of the final reference point pitch of the toggle link is smaller than the dimension before and after the mold and the dimension of the tie bar depth pitch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ld is smaller than the dimension of the reference lead frame length of the apparatus .

넷째로, 타이 바 형상을 스트레이트로 하고, 또한 타이 바 지름을 부재의 반복 인장 피로한도치에서 안전율2∼3으로 계산한 단순칫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ourthly, the tie bar shape is made straight and the tie bar diameter is made to be a simple dimension calculated from the safety factor of 2 to 3 in the repeated tensile fatigue stance of the member.

다섯째로, 토글 링크의 지점 핀에 접촉·지지하여 회동시키는 베어링의 부착을 트랜스퍼 유니트 및 하부 테이블, 크로스 헤드 이외의 링크 부재측에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ifth, the attachment of the bearing which rotates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the branch pin of the toggle link is disposed on the link member side other than the transfer unit, the lower table, and the crosshead.

여섯째로, 제1 장치에 있어서, 가열기구를, 상 및 하 금형을 가열하는 상 및 하열반으로 구성하고, 상기 상열반은 상기 상부 테이블의 하면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하열반은 상기 이동 테이블 상면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더블토글기구는 상기 이동 테이블과 하부 테이블사이에, 이동 테이블을 상하이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Sixth, in the first apparatus, the heating mechanism is constituted by upper and lower heating plates for heating the upper and lower molds, and the heating unit is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able, And the double toggle mechanism is configured to move the moving table up and down between the moving table and the lower table.

일곱째로, 상기 지름이 좁은 협피치 타이 바에 있어서, 고속화하는데 있어서의 장치의 흔들림 방지책으로서 하부 테이블과 이동 테이블 사이 및 이동 테이블과 상부 테이블사이에 협피치 타이 바끼리 연결하는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Seventhly, in the above narrow-pitch tie bar having a narrow diameter, a member for connecting the narrow-pitch tie bar between the lower table and the moving table and between the moving table and the upper table is provided as a device for preventing the apparatus from being shaken during speed- do.

여덟째로, 상기 지름이 좁은 협피치 타이 바의 흔들림 방지책으로서 수지봉지장치를 다수개 병렬적으로 배설하고, 상기 상부 테이블 또는 하부 테이블끼리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Eighth, a plurality of resin sealing devices are arranged in parallel as a shake prevention measure of the narrow diameter narrow pitch tie bar, and the upper table or the lower tab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아홉째로, 상기 지름이 좁은 협피치 타이 바의 흔들림 방지책으로서, 상부 테이블과 주변장치 혹은 횡으로 나란한 동일한 상부 테이블끼리 연결방향 및/ 또는 상하방향 자유롭게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ninth anti-shake device for narrow-pitch tie bars, the upper table and the peripheral devices or the same upper tables arranged side by side are freely connected in the connecting direction and / or vertically.

열번째로, 상기 플랜져 박스는 상기 상 및 하부 금형내에 용융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플랜져를 하 금형 하부에 연결 지지하고, 상, 하금형의 탈착방향과 같은방향으로 탈착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In the tenth, the flange box supports a plurality of flanges for injecting the molten resin into the upper and lower molds, and is detachably suppo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ttaching / detaching dir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

열한번째로, 상기 더블토글기구는 볼 나사 축단에 고정된 크로스 헤드를 가지고, 상기 볼 나사축에 나사결합하는 볼 나사 너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력 변환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Eleventh, the double toggle mechanism includes a crosshead fixed to a ball screw shaft end, and a driving force converting mechanism for rotating a ball screw nut screwed to the ball screw shaft.

열두번째로, 상기 더블토글기구는 상기 크로스 헤드와 상기 볼 나사 너트사이에 소정 칫수 이하로 접근했을 때 상호 접촉하도록 구성된 마찰계수가 큰 휘어짐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win toggle mechanis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uble toggle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warp member having a large frictional coefficient which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crosshead and the ball screw nut approach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mension or less.

작용Action

더블토글기구의 토글 링크 회동방향 즉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토글 링크의 역점을 연결하는 선이 도8(b) 및 도8(c)(도8(c)는 도8(b)의 직교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포트 블록의 분할선을 형성하는 플랜져의 배열방향과 평행(수지 테블릿 배열방향 즉 금형 및 플랜져 박스(7)의 탈착방향과 같은방향)으로 구성하였으므로, 금형 혹은 열반·서포트 블록(30)의 강성을 활용할 수 있어 장치전체의 강성확보가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이것은 도8(a)에 도시한 종래기술과 본원 발명인 도8(b) 및 도8(c)의 비교에서도 명백하다. 이에따라 이동체를 경량화·고속화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치전체의 중량을 경감할 수 있다.8 (b) and 8 (c)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connecting lines of the toggle link pivoting directions of the double toggle mechanism, that is, the connecting points of two mutually facing toggle link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resin tablet, that is, the attaching / detaching direction of the mold and the flange box 7), as shown in Fig. The rigidity of the mold or the nerves / support block 30 can be utilized, and the rigidity of the entire apparatus can be easily secured. This is also evident from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ior art shown in Fig. 8 (a) and Figs. 8 (b) and 8 (c)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moving body can be lightened and increased in spe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weight of the entire device can be reduced.

토글 링크의 최종 역점 피치 칫수가 금형 전후 칫수보다 작고 또한 금형좌우의 타이 바 깊이 피치 칫수가 장치의 대상 리드 프레임 길이 칫수 이하로 상기 역점 피치 칫수보다 작은 협피치로 함으로써, 더블토글기구의 토글 링크 칫수에 차이가 발생해도 그 차이에 의한 형 체결력 언밸런스가 경감된다.The toggle link has a finer pitch dimension that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mold before and after the mold and the tie bar depth pitch dimensions of the left and right molds are smaller than the target lead frame length dimension of the apparatus to be smaller than the focus pitch dimension. The unclamping force unbalance due to the difference is reduced.

이 점에 대해 도9에 설명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우선 링크 칫수차이(△K)는 절대적으로 불변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상부 테이블 및 상형은 단순한 대들보로써 생각하고, 또한, 부재의 휘어짐에 대해서는 무시하기로 한다.This poin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Here, the first-order link dimension difference? K is considered to be absolutely unchanged. Further, the upper table and the upper mold are considered as simple girders, and the warp of the member is ignored.

각 타이 바의 반력을 R1, R2로 하고, 링크 칫수차이에 의해 기울어진 하형이 최초로 형터치하는 점의 힘을 F로 한다. 기울어진 하형의 경사 칫수를 △K로 한다.Let the reaction force of each tie bar be R1 and R2, and let F be the force of the point at which the lower type tilted by the difference in the link dimension first touches the mold. The inclined dimension of the inclined lower mold is defined as DELTA K.

우선 하형전면이 형 접촉시에는First, when the bottom face of the bottom type contacts

(R1 ·D - R2 ·D) / W = △K/2C …… ①(R1 · D-R2 · D) / W = ΔK / 2C ... ①

D = L/ (A · E)D = L / (A E)

L : 타이 바 길이L: Tie bar length

A : 타이 바 단면적A: Tie bar cross-sectional area

E : 종탄성계수E: Young's modulus

의 관계가 있다..

최초에 형 접촉하는 점의 힘(F)이 W 칫수에 의해 어떻게 변하는가를 구하기 위해서는In order to determine how the force (F) of the initial point-to-point contact varies with the W dimension

R1 · W = (W/2 + C) ·F 에서 R1 = ((W + 2C) / 2W) ·F …… ②R1? W = (W / 2 + C) 占 F? R1 = ((W + 2C) / 2W) ... ②

R2 · W = (W/2 - C) ·F 에서 R2 = ((W - 2C) / 2W) ·F …… ③R2 = ((W - 2C) / 2W) · F (W / 2 - C) ... ③

①식에 ②, ③식을 대입하여 정리하면① In the equation, ② and ③

(2C / W2) ·F · D = △K/2C(2C / W 2 ) · F · D = ΔK / 2C

F = △K/ (4C2·D) · W2…… ④ F = △ K / (4C 2 · D) · W 2 ... ... ④

로 된다..

④식에서 이하의 두가지를 추측할 수 있다.④ The following two can be deduced from the equation.

·W 칫수가 작아지면 F를 작게할 수 있다.• If the W dimension becomes smaller, F can be made smaller.

·D가 커지면 F를 작게할 수 있다. (타이 바 지름을 짧게하면 D는 커진다)· When D becomes large, F can be made small. (Shortening the tie bar diameter increases D)

또한, 타이 바 형상을 스트레이트로 하고 타이 바 지름을 가늘게 함으로써, 상기 토글 링크 칫수차이에 의한 형 체결력 언발란스가 발생하기 어려워짐과 동시에, 타이 바의 신장량도 증가되므로 형 체결력 설정의 분해능이 향상하여 정밀한 형 체결력 제어가 가능해진다. 이에따라, 성형시의 버르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ie bar shape is made straight and the tie bar diameter is made narrow, the unbraided clamping force unbalanc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toggle link is hardly generated and the tie bar extension is also increased, The clamping force control becomes possible. Accordingly, occurrence of burr at the time of molding can be suppressed.

또한, 상기 토글 링크 회동방향과 타이 바 배설위치 및 타이 바 지름에 의한 장치폭을 작게할 수 있고, 다수대의 장치를 병렬배치하면 많은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vice width due to the toggle link pivoting direction, the tie bar position, and the tie bar diameter, and if a plurality of devices are arranged in parallel,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without securing a large installation space.

토글링크의 지지점에 있어서, 트랜스퍼 유니트, 하부 테이블 및 크로스헤드라고 하는 분해 곤란한 부재측에 지점 핀의 고정지지를 행하게 하고, 링크 부재측에 회전지지 베어링을 배설함으로써, 베어링 마모등에 의한 오버 홀시의 분해·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In the supporting point of the toggle link, the stationary pin is fixedly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disassembly member called the transfer unit, the lower table and the crosshead, and the rotary support bearing is provided on the link member side, Exchange can be easily performed.

상부 테이블과 이동 테이블사이 및 이동 테이블과 하부 테이블사이에, 협 피치로 배설된 타이 바끼리를 연결하는 것 및/ 또는 상부 테이블과 다른 주변장치 혹은 병렬설치장치의 동일한 상부 테이블끼리 연결방향 및/ 또는 상하방향 자유롭게 연결함으로써, 협피치와 작은 지름에 의해 발생하는 토글 링크 회동방향에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tie bars disposed at the narrow pitch between the upper table and the moving table and between the moving table and the lower table and / or to connect the upper tables of the upper table and other peripheral devices or parallel mounting devices to each other in the connecting direction and / It is possible to prevent shaking in the toggle link rotating direction caused by the narrow pitch and the small diameter.

실시형태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1 내지 도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수지봉지장치를 2대 병렬로 배치한 정면도로 좌측은 형분리되어 있는 상태도, 우측은 형 체결되어 있는 상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형 체결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3은 형 분리상태의 좌측면도이며, 도4는 연결구의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5와 실질 동일 부품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또한 도7은 도1의 A-A 단면도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Fig. 1 is a front view of two resin encapsulating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state in which the left side is separated and a state in which the right side is clamped. Fig. 2 is a right side view of the mold clamping stat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left side view of the mold releasing state,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connector. 5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우선, 도1에서 칫수(P)는, 본 장치의 설치간격칫수이고, 장치 횡폭 칫수는 소요 극간(5mm∼10mm)을 가지고 병렬되므로 칫수(P)보다 그만큼 작게 되어 있다.First, the dimension P in Fig. 1 is the dimension of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present apparatus, and the dimension of the horizontal width of the apparatus is smaller than the dimension P because it is parallel with the required gap (5 mm to 10 mm).

상하 한쌍의 상 금형(1) 및 하 금형(2)은 상부열반(3) 및 하부열반(4)에 각각 탈착 자유롭게 감합 장착되어 있다. 하 금형(2)내에는 소요 개수의 수지를 장전하기 위한 포트(5)와 장전된 수지를 용융 주입하기 위한 플랜져(6)가 대응하는 개수만큼 배설되며, 플랜져(6)는 하금형(2) 하부에 금형과 마찬가지로 탈착 자유롭게 감합 장착되는 플랜져 박스(7)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부열반(4) 하부의 서포트 블록(30)은 플랜져 박스(7)를 탈착할 시 필요한 높이만큼, 또한 플랜져 박스(7)에 간섭하지 않도록 분할하여 설치되어 있다.The upper and lower pairs of the upper die 1 and the lower die 2 are detachably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row cylinders 3 and 4, respectively. A number of ports 5 for loading a required number of resin and a number of flangers 6 for injecting the loaded resin are arranged in the lower mold 2. The flanger 6 is connected to a lower mold 2) is connected to a flange box 7, which is detachably fitted and mounted in the same manner as a mold. Therefore, the support block 30 under the lower heating plate 4 is provid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lange box 7 by the height required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lange box 7.

상부열반(3)을 지지하는 상부 테이블(31)은 하부 테이블(32)에서 세워 설치된 타이 바(33) 및 고정 너트(34)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타이 바(33)는 하부 테이블(32)에 있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하면에서 고정 너트(35)(도2)로 고정되어 있다. 타이 바 지름은 사용부재의 반복 인장 피로 한도치를 기준으로 하여 안전율2∼3을 취한 칫수로 하고, 본 실시형태의 경우, 타이 바 재질S45C(피로한도응력 220N/mm2), 형체결력 600kN일 때, 단순계산결과는 직경 41.7mm(안전율2)∼51.0mm(안전율3)로 되고, 타이 바 지름을 45mm로 하고 있다. 종래예의 단층부착 형상이면 단층 부착부의 응력집중계수 약 2배를 고려할 필요가 있어, 타이 바 지름은 58.9mm∼72.2mm 필요하게 된다.The upper table 31 for supporting the upper nipple 3 is fixedly supported by a tie bar 33 and a fixing nut 34 installed upright from the lower table 32. The tie bars 33 are also fixed to the lower table 32 by fixing nuts 35 (Fig. 2) 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s described above. The tie bar diameter is a dimension obtained by taking a safety factor of 2 to 3 on the basis of the repeated tensile fatigue limit value of the member to be used.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ie bar material is S45C (fatigue strength 220 N / mm 2 ) , The result of the simple calculation is 41.7 mm in diameter (safety factor 2) to 51.0 mm (safety factor 3), and the tie bar diameter is 45 m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stress concentration factor of about twice the stress concentration factor of the single layer attachment portion in the conventional example, and the tie bar diameter is required to be 58.9 mm to 72.2 mm.

상부 테이블(31)은 연결구(100)에 의해 인접하는 동장치 혹은 주변장치에 대해 연결방향 또는 상하방향 혹은 어느 방향으로도 미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The upper table 31 is finely connected to the adjacent device or peripheral device by the connector 100 in the connection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or any direction.

타이 바(33)의 배설위치는, 본 실시형태의 전체구성을 설명한 후에 설명한다.The position of the tie bar 33 to be laid out will be described after explain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하부열반(4)을 지지하는 이동 테이블(36)은 상부 테이블(31) 및 하부 테이블(32)사이에, 타이 바(33)를 따라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동 테이블(36) 중앙부에는 플랜져 박스(7)가 수지투입 및 수지주입시 상하이동하는 만큼, 플랜져 박스(7)의 폭보다 약간 큰 폭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플랜져 박스(7)의 탈착시에만 이동 테이블상에 플랜져 박스(7) 전체가 나타나는 칫수로 되어 있다.A moving table 36 for supporting the lower thermal bar 4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table 31 and the lower table 32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tie bar 33. [ A hole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lange box 7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oving table 36 so that the flange box 7 moves up and down when the resin is injected and resin is injected. The entire flange box 7 appears on the moving table only at the time of detachment.

이동 테이블(36) 하면에는 트랜스퍼 유니트(40)가 고정되며, 볼 나사를 사용한 구동력 변환기구(50)를 내장하고, 이 구동력 변환기구(50)의 볼 나사축 상단부에 고정된 홀더(41)는 2개의 볼 스플라인(42)에서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홀더(41) 상면에는 하중변환기(43)를 개재하여 플랜져 박스 홀더(44)가 설치되며, 그 상면에 플랜져 박스(7)가 감합 장착되며, 플랜져 박스(7) 및 플랜져(6)를 상하이동시킨다. 구동력 변환기구(50) 하부에는 풀리(51)가 고정되며, 풀리(51, 52) 및 타이밍 벨트(53)로 이루어지는 벨트 전달기구(54)에 의해 트랜스퍼 유니트(40)의 금형 탈착면측과는 반대면측에 설치된 감속기 부착 전동기(55)(도2 참조)와 연결되어 있다. 구동력 변환기구(50)는 볼 나사 너트가 2쌍의 슬러스트 베어링과 래디얼 베어링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볼 나사 너트의 하단면에 풀리(51)가 고정되어 있다.A transfer unit 40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table 36 and a driving force converting mechanism 50 using a ball screw is incorporated. A holder 41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ball screw shaft of the driving force converting mechanism 50 A flange box holder 44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41 via a load transducer 43 while being gu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two ball splines 42. A flange box 7 is fitted And the flange box 7 and the flange 6 are moved up and down. A pulley 51 is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force converting mechanism 50 and is opposed to the mold removal surface side of the transfer unit 40 by a belt transmission mechanism 54 including pulleys 51 and 52 and a timing belt 53 And is connected to the speed reducer-equipped electric motor 55 (see Fig. In the driving force converting mechanism 50, a ball screw nut is rotatably supported by two pairs of slosstress bearings and a radial bearing, and a pulley 51 is fixed to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ball screw nut.

트랜스퍼 유니트(40)와 하부 테이블(32)사이에는 이동 테이블(36)을 상하이동시키는 더블토글기구(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더블토글기구(60)는 하부 테이블(32) 중앙에 트랜스퍼 유니트(40)와 같은 볼 나사를 사용한 구동력 변환기구(70)를 내장하고, 이 구동력 변환기구(70)에 대해 전후 대칭 즉 수지 테블릿 배열 및 금형탈착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며, 볼 나사축 상단부에 고정된 크로스 헤드(61)에서 시작되고, 짧은링크(62), 일단을 하부 테이블(32)에 지점 핀(63)에 의해 회동 자유롭게 연결된 기준링크(64) 및 트랜스퍼 유니트(40)하부의 전후양측에 지점 핀(65)에 의해 회동 자유롭게 연결된 긴링크(66)로 이루어지고, 이들 각 링크는 상호 다른 지점 핀에 의해 회동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구동력 변환기구(70)하부에는 큰풀리(71)가 고정되며, 풀리(72) 및 타이밍 벨트(73)로 이루어지는 벨트 전달기구(74)에 의해 하부 테이블(32)의 금형탈착면측과는 반대면측에 설치된 전동기(75)(도2)와 연결되어 있다. 구동력 변환기구(70)는 볼 나사 너트가 2쌍의 스러스트 베어링과 래디얼 베어링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볼 나사 너트의 하단면에 상기 큰풀리(71)가 고정되어 있다.Between the transfer unit 40 and the lower table 32, there is provided a double toggle mechanism 60 for moving the moving table 36 up and down. The double toggle mechanism 60 has a structure in which a driving force converting mechanism 70 using a ball screw such as the transfer unit 40 is built in the center of the lower table 32, And a short link 62,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table 32 by a branch pin 63. The short link 62 is connected to the lower table 32 by a branch pin 63, And a long link 66 rotatably connected to both the forward and rearward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unit 40 by a point pin 65. These links are freely rotatable by mutually different point pins It is connected. A large pulley 71 is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force converting mechanism 70 and is supported by a belt transfer mechanism 74 composed of a pulley 72 and a timing belt 73 on the side opposite to the mold removal surface side of the lower table 32 And is connected to an electric motor 75 (Fig. In the driving force converting mechanism 70, a ball screw nut is rotatably supported by two pairs of thrust bearings and a radial bearing, and the large pulley 71 is fixed to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ball screw nut.

하형에 형 체결력을 전달하는 긴링크(66)의 역점인 지점 핀(65)의 피치 칫수는 하형 전후 칫수보다 작은 칫수로 설치되며, 상기 기준링크(64)와의 최종 도달위치관계는 힘 벡터가 금형 중앙으로 향하는 상태 전후 모두 연직보다 12도의 각도를 가지게 되어 있다. 이에따라 형 체결 동작초기단계에서 힘 벡터가 금형중앙으로 향하므로, 전후의 지점 핀(65)을 연결하고 있는 트랜스퍼 유니트(40)의 내압이 상승하여 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크로스 헤드(61)의 이동은 2개의 볼 스플라인(68)으로 안내된다. 볼 스플라인(68)은 장치 좌우의 타이 바사이에, 하단을 하부 테이블(32)에 감입되어 상단을 상기 타이 바사이에 상호 연결하는 연결 블록(67)에 고정되어 있고, 이 2개의 볼 스플라인(68)에 의해 크로스 헤드(61)는 회전 및 경사없이상하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크로스 헤드(61)의 하면에는, 우레탄 고무 스토퍼(69)가 부착되어 있고, 소정 위치 이상에 크로스 헤드(61)가 볼 나사 너트에 근접하면 우레탄 고무 스토퍼(69)가 볼 나사 너트 상면에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각 링크의 지지점은 지점 핀 및 고정 지지측과 회전 지지 베어링측으로 구성되어 있고, 트랜스퍼 유니트(40) 및 하부 테이블(32), 크로스 헤드(61)의 지점부는 전체 고정 지지측으로 하고, 긴링크(66) 및 기준링크(64), 짧은링크(62)의 고정지지측과의 연결부는 회전 지지 베어링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지점 핀 혹은 회전 지지 베어링의 마모등에 의해 장치의 오버 홀을 생각하는 이상으로, 비교적 가벼운 링크부품만을 분해·교환하면 되고, 장치전체를 수리공장등으로 운반할 필요가 없어져 경제적으로 된다.The pitch dimension of the branch pin 65, which is a point of the long link 66 for transmitting the clamping force to the lower die, is set to a dimension smaller than the dimension before and after the lower die, and the final arrival positional relation with the reference link 64, And both have an angle of 12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before and after the state toward the center. Accordingly, since the force vector is directed to the center of the mold in the initial stage of the clamping operatio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ransfer unit 40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branch pins 65 is increased to improve the rigidity. The movement of the crosshead 61 is guided by two ball splines 68. The ball spline 68 is fixed to a tie bar between the left and right tie bars of the apparatus and a connecting block 67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wer table 32 to connect the upper end to the tie bars. The crosshead 61 can be moved up and down without rotation and inclination. A urethane rubber stopper 69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rosshead 61. When the crosshead 61 approaches the ball screw nu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r more and the urethane rubber stopper 69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screw nut And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ulcrums of the transfer unit 40 and the lower table 32 and the crosshead 61 constitute the entire fixed support side and the long links 66 and the long links 66, And the base link 64 and the short link 62 are formed as a rotation support bearing. This is economical because it is only necessary to disassemble and replace the relatively light link parts, rather than considering the overhole of the device by abrasion of the branch pin or the rotary support bearing.

트랜스퍼 유니트(40)의 벨트 전달기구(54)의 타이밍 벨트(53)는 긴링크(66)의 한쪽을 둘러싸도록 연장되어 있고, 벨트 교환에 있어서는 풀리(51), (52)에서 타이밍 벨트(53)를 먼저 푼 후, 긴링크를 회동 자유롭게 연결하고 있는 지점 핀중 어느 한쪽을 제거하면 가능하다. 당연히 지점 핀을 제거할 때는 이동 테이블(36)을 상부 테이블(31)에 스터드 볼트(도시하지 않음)등으로 매달아올려 두던지 하부 테이블(32)과 이동 테이블(36)사이에 물리는 물건을 넣어둘 필요가 있다.The timing belt 53 of the belt transfer mechanism 54 of the transfer unit 40 extends to surround one side of the long link 66. In the belt exchange, the pulleys 51 and 52, the timing belt 53 ), And then remove either of the branch pins that are pivotally connected to the long link. Naturally, when the branch pin is removed, the moving table 36 is hung on the upper table 31 with a stud bolt (not shown) or the like, or the object between the lower table 32 and the moving table 36 is put There is a need.

타이 바(33)의 금형폭 방향 피치(f)는 이동 테이블(36)의 상하이동에 있어, 타이 바(33)에 부대(附帶)되어 있는 부품이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설되어 있다. 타이 바(33)의 금형 전후 방향 즉 깊이 피치는 대상 리드 프레임 길이보다 짧은 피치 칫수이고, 또한 형 체결력의 역점 피치보다 좁은 위치에서, 장치측면 즉 토글링크 지점 축선측에서 봐서 타이 바 외경과 역점부 지점 핀(65) 외경이 지점 핀(65)을 제거할 때 간섭하지 않는 칫수관계로 구성되어 있다. 타이 바 부대품으로서는, 도면 중 80으로 표시하는 가이드 레일이거나, 상부 테이블(31)을 고정하는 고정 너트(34)이다. 가이드 레일(80)은 장치 뒷면측에서 금형내로 진퇴하는 로우더(90)·언 로우더(91)·다이클리너(도시하지 않음)등의 주행 가이드의 역할을 하는 것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테이블 고정 너트(34)의 두께와 동일한 칫수로 타이 바 내면에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80)의 타이 바(33)에의 고정방법은, 각 타이 바(33)에 각각 분할 체결 고정된 분할 체결 끼움목(81)으로 지지고정을 행하고 있다. 분할 체결을 직접 가이드 레일에서 행하지 않는 것은, 분할 체결부를 볼트로 나사조임할 시 가이드 레일이 볼트 조임 방향으로 이끌려 구부러지는 것을 막기위함이다.The mold width direction pitch f of the tie bar 33 is arranged at a position where parts attached to the tie bar 33 do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movable table 36. The depth of the tie bar 3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ld, that is, the depth pitch, is a pitch dimension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target lead frame and narrower than the fixed pitch of the mold clamping force.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ranch pin (65) is configured so as not to interfere when removing the branch pin (65). The tie bar is a guide rail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80 in the drawing or a fixing nut 34 for fixing the upper table 31. The guide rail 80 serves as a traveling guide such as a loader 90, an unloader 91, a die cleaner (not shown), and the like which move into and out of the mold from the rear side of the apparatus. In this embodimen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ie bar with the same dimension as the thickness of the nut (34). The method of fixing the guide rail 80 to the tie bars 33 is to support and fix the tie bars 33 with the split fastening members 81 split and fastened to the tie bars 33 respectively. The reason why the split fastening is not performed directly on the guide rails is to prevent the guide rails from being bent in the bolt tightening direction when the split fastening portions are screwed with bolts.

다음에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action and effect will be described.

우선, 도1, 도2, 도7에서, 더블토글기구(60)를 장치의 전후방향(l) 즉 포트 배열방향과 동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배치한 것, 및 금형좌우의 타이 바(33)의 금형전후방향(b) 즉 깊이 피치(e)를 대상 리드 프레임 길이(h)보다 짧은 피치 칫수로, 또한 형 체결력의 역점 피치(m)보다 좁은 위치에서, 장치 측면 즉 토글 링크 지점 축선측에서 봐서 타이 바 외경과 역점부 지점 핀(65) 외경이 상기 지점 핀(65)을 제거할 때 간섭하지 않는 칫수관계로 구성하였으므로, 형 체결시에 형 체결력의 반력을 받는 지점 핀(63), (65)의 길이에 관계없이 타이 바 좌우 피치(g)를 결정할 수 있고, 또한 타이 바(33)를 짧은 지름으로 함으로써, 상부 테이블(31), 이동 테이블(36), 하부 테이블(32)의 폭을 작게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크로스 헤드(61) 및 짧은링크(62)의 지지점은, 상기 지점 핀(63), (65)에 비해 반력이 작기 때문에 핀길이도 짧아도 되고, 예를들어 타이 바(33)의 형체에 가려져 있어도 제거에 있어서 지장을 주는 일은 없다. 기준링크 지점 핀(63)의 길이는 인접하는 본 실시예 장치의 동일 부품사이 또는 다른 주변장치의 동일 위치사이에 분해하여 스페이스가 확보될 수 있으면 되고, 도면 중 기준링크 기점 핀(63)의 길이를 T로 하면, 장치간 피치칫수(P)는 P ≥ 2 · T의 조건을 만족하면 된다. 이 때문에 종래장치에 비해 폭방향으로 매우 작은 스페이스에 다수대 설치가능해진다. 따라서, 큰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in FIGS. 1, 2 and 7, the double toggle mechanism 60 is arranged so as to rotat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1, that 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ort arrangement direction, (B), that is, the depth pitch (e) is smaller than the target lead frame length (h), and at a position narrower than the fixed pitch (m) of the mold clamping force, Since the outside diameter of the tie bar and the outside diameter of the turning point pin 65 are dimensionless such that they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when the branch pin 65 is removed, the branch pins 63 and 65, which receive the reaction force of the mold clamping force at the time of clamping, The width of the upper table 31, the moving table 36, and the lower table 32 can be determined by setting the width of the tie bar 33 to a short diameter, It is possible to make it smaller. Since the support points of the crosshead 61 and the short link 62 are smaller in the reaction force than those of the branch pins 63 and 65, the pin lengths may be short. For example, in the shape of the tie bars 33 There is no obstacle to removal even if it is covered. The length of the reference link point pin 63 may be divided between the same parts of the adjacent apparatuses of the present embodiment or between the same positions of the other peripheral apparatuses so that a space can be secured. Is T, the pitch size P between devices may satisfy the condition of P? 2? T. This makes it possible to mount a plurality of units in a very small space in the width direction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pparatus. Therefor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without securing a large installation space.

더블토글기구(60)를, 전후로 회동배치해도 제거가 곤란한 트랜스퍼 유니트(40) 및 하부 테이블(32), 크로스 헤드(61)의 지점부는 모두 고정 지지측으로 하고, 긴링크(66) 및 기준링크(64), 짧은링크(62)의 상기 고정 지지측과의 연결부를 회전축 지지함으로써, 베어링 마모등에 의한 장치의 오버 홀은, 비교적 가벼운 링크 부품만을 분해·교환하면 되고, 장치전체를 수리 공장등으로 운반할 필요가 없어져 경제적으로 된다.The fulcrum portions of the transfer unit 40 and the lower table 32 and the crosshead 61 which are difficult to remove even when the double toggle mechanism 60 is arranged to rotate back and forth are both fixedly supported, 64, and the short link 62 is supported by the rotation shaft, the overhole of the apparatus due to bearing wear or the like can be achieved only by disassembling or exchanging relatively light link components, and by transferring the entire apparatus to a repair shop or the like There is no need to economize.

또한, 장치의 운전이 시작되면, 전동기(75)가 회전을 시작하고, 벨트 전달기구(74)를 통하여 구동력 전환기구(70)에 회전 및 회전력이 전달된다. 볼 나사 너트가 회전하면 그에 나사결합하는 볼 나사축, 즉 크로스 헤드(61)가 상승하고, 이와같이 하여 상기 전동기(75)의 회전력은 추력으로 변환되며, 상기 추력은 더블토글기구(60) 및 트랜스퍼 유니트(40)를 통하여 이동 테이블(36)에 전달된다.Further, when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is started, the electric motor 75 starts to rotate, and rotation and rotational force are transmitted to the driving force switching mechanism 70 through the belt transmission mechanism 74. When the ball screw nut rotates, the ball screw shaft, that is, the crosshead 61, which is screwed to the ball screw nut rotat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75 is converted into a thrust, and the thrust is transmitted to the double toggle mechanism 60 and the transfer And transferred to the moving table 36 through the unit 40. [

여기서, 더블토글기구(60)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 더블토글기구(60)는 상술과 같이 전후 대칭이므로, 도3의 우측 즉 장치전면측의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술과 같이 볼 나사 너트의 회전에 의해 크로스 헤드(61)가 상승하고, 이에따라, 짧은링크(62)도 상승하면서 지점(61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기준링크(64)가 지점 핀(6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따라, 긴링크(66)는 지점 핀(6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트랜스퍼 유니트(40) 및 이동 테이블(36)을 상방으로 고속으로 밀어올린다. 크로스 헤드(61)가 하강 한도 부근에 존재할 때는, 크로스 헤드(61)의 이동량에 비해 이동 테이블(36)의 이동량쪽이 크고, 그만큼 전동기 회전력 즉 추력도 크게 필요해진다. 이에 대해 크로스 헤드(61)가 상승 한도 직전이 되면 상술의 작용과 반대의 일이 일어난다. 긴링크(66)와 기준링크(64)가 대략 일직선이 되기 직전부터 이동 테이블(36)에 대한 상승추력으로서 매우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형터치 바로앞에서 전동기의 회전속도를 떨어트림과 동시에 전동기의 출력을 상승회전방향에 대해 다운시켜, 하강회전방향에 대해서는 출력제한을 풀어준다. 이에따라 틀린값으로 상승위치를 결정하여 금형에 충돌했다고 해도 금형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테이블(31)의 타이 바(33)에의 고정위치는, 더블토글기구(60)의 상사점 위치에 대한 이동 테이블(36)의 상사점 위치에서 형 체결 여유도(이동 테이블 이동량 환산으로 약 0.3mm∼0.5mm)와 토글 링크부분의 회동접동의 마모량(이동 테이블 이동량 환산으로 약 0.3mm∼0.5mm)으로 장치전체의 형 체결시의 변형량(이동 테이블 이동량 환산으로 약 0.7mm∼1.0mm)을 총합한 칫수만큼 미리 하방수정한 위치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형체결 완료시에도 실제로는 긴링크(66) 및 기준링크(64)가 일직선상으로 되는 일은 없다.Here, the operation of the double toggle mechanism 6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owever, since the double toggle mechanism 60 is symmetrical in the back and forth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only the right side of Fig. 3, that is, the front side of the apparatus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crosshead 61 is raised by the rotation of the ball screw nut, so that the short link 62 also rises and rotates clockwise around the point 61A. At the same time, the reference link 64 rotates clockwise about the fulcrum pin 63 so that the long link 66 rotates counterclockwise about the fulcrum pin 65, The moving table 36 is pushed upward at a high speed. When the crosshead 61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lowering limit, the movement amount of the movement table 36 is larger than the movement amount of the crosshead 61, and the motor rotation force, that is, the thrust is also requi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rosshead 61 comes just before the rise, the opposite action to the above-mentioned action occurs. A very large force can be generated as the upward thrust force with respect to the moving table 36 just before the long link 66 and the reference link 64 become approximately straight. At the same time, the output of the motor is lowered in the direction of the upward rotation and the output restriction is released in the direction of the downward rot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ld from being damaged even if it collides with the mold by determining the rising position at an incorrect value. The fixing position of the upper table 31 to the tie bar 33 is set such that the fastening allowance at the top dead center position of the moving table 36 relative to the top dead center position of the double toggle mechanism 60 (about 0.7 mm to 1.0 mm in terms of moving table movement) when the entire device is clamped with a wear amount (about 0.3 mm to 0.5 mm in terms of moving table moving amount) of the sliding contact of the toggle link portion And is fixed at a position that has been downwardly corrected by a total sum of dimensions. Therefore, even when the clamping is completed, the long link 66 and the reference link 64 do not actually become straight.

형 체결력은 크로스 헤드(61)의 상승위치 결정위치로 제어하고, 미리 형 터치 칫수를 자동 검출하고, 그 위치에서 이동 테이블(36)을 어느만큼 상승시키면 되는가를 토글 링크의 각 링크 칫수 및 장치의 변형계수가 입력된 계산식으로 판단하고, 소정 형 체결력을 발생시키는 위치에 상승 위치결정한다.The mold clamping force is controlled to the ascending position of the crosshead 61 to automatically detect the type of touch size in advance and to ascertain the position of the movable table 36 at that position, 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calculation formula in which the deformation coefficient is inputted, and the elevating position is determined at the position for generating the predetermined mold clamping force.

이 때, 타이 바(33)의 하부 테이블(32) 부근에 부착된 변형 게이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타이 바(33)의 변형을 검출하고, 소정의 형 체결력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체크한다. 이 체크는 형 체결 동작할 때마다 행하고, 규정량 이상의 형 체결력 부족 또는 형 체결력 과다의 경우는 다음회의 성형을 정지시킨다. 규정량 이하의 변동에 대해서는 그때마다 위치결정위치를 보정하고, 안정된 형 체결력을 발생시킨다.At this time, the deformation of the tie bar 33 is detected by a strain gauge (not shown) attached near the lower table 32 of the tie bar 33, and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mold clamping force is generated. This check is performed every time the mold clamping operation is performed. If the mold clamping force is over the specified amount or the mold clamping force is excessive, the next molding is stopped. For the fluctuation below the specified amount, the positioning position is corrected each time, and stable clamping force is generated.

본 실시예에서는 타이 바(33)를 지름을 짧게한 것으로 형 체결시의 변형량을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형 체결력 설정의 분해능이 향상되어 정밀한 형 체결력 제어가 가능해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tie bar 33 is made shorter in diameter, the deformation amount at the time of clamping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clamping force setting is improved and accurate clamping force control becomes possible.

또한, 토글 링크의 회동방향측의 타이 바(33)의 배치가 토글 링크의 역점 피치보다 더 협피치화되어 있으므로, 예를들면 전후의 토글 링크 칫수에 차가 있는 경우, 타이 바 지름이 종래 지름이고, 타이 바 피치도 종래 피치인데 비해, 전후 형 체결력의 언밸런스도가 대폭 경감된다. 토글 링크의 회동방향측의 타이 바 피치가 협피치인 것 및 타이 바 지름이 짧아지는 것에서 링크 회동방향측의 강성이 약해지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상부 테이블(31)과 이동 테이블(36)사이 및 이동 테이블(36)과 하부 테이블(32)사이에 있어서 상호 타이 바를 연결하는 부재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동 테이블(36)의 상하이동에 있어서 장치의 전후방향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타이 바의 지름이 짧아지는 것 및 협피치화를 행할 경우는, 상부 테이블(31)과 다른 주변장치 혹은 병렬 설치장치의 동 상부 테이블끼리 혹은 하부 테이블끼리 연결방향 및 상하방향 자유롭게 연결함에 의해 장치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arrangement of the tie bars 33 on the turning direction side of the toggle link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toggle links, for example, whe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toggle link dimensions, the tie bar diameter is a conventional diameter , While the tie bar pitch is also a conventional pitch, the unbalance of the front and rear clamping forces is greatly reduced.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tie bar pitch on the turning direction side of the toggle link is narrow and the tie bar diameter is shortened so that the rigidity on the link rotating direction side is weakened. Since the members for connecting the tie bars are provided between the moving table 36 and the lower table 3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pparatus from moving back and forth i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oving table 36. [ When the diameter of the tie bar is shortened and the pitch of the tie bar is narrowed, the upper tables 31 and the upper tables of the other peripheral devices or the parallel mounting devices are freely connected in the connecting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The shaking of the apparatus can be suppressed.

형 체결력의 전달 및 구성부재의 강성을 생각한 경우, 종래장치에서는, 서포트 블록(8) 및 열반의 분할선과 직교하도록 형 체결력의 모멘트가 걸려있는데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서포트 블록(30) 및 열반(3, 4) 나아가서는 금형(1, 2)의 강성이 가장 강한 방향 즉 구성부재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걸린다. 즉 포트열 방향에 평행으로 서포트 블록이 배설된다는 것은 그 방향의 구부러짐 강성이 그 직교방향의 구부러짐 강성보다 강해진다(직교방향측은 서포트 블록이 분단(분할)되어 있으므로 서포트 블록이 구부러짐 강성재로 될 수 없다), 또한, 리드 프레임의 폭방향 칫수(길이방향 칫수보다 짧다)로 강성확보하면 양호하게 되므로, 종래장치에 비해 이동 테이블(36) 및 서포트 블록(30) 및 트랜스퍼 유니트(40)를 경량화할 수 있다.The support block 8 and the moments of the clamping force are orthogonal so as to perpendicularly intersect the dividing line of the heat bar. In contras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block 30 and the nibbles 3, 4), and furthermore, a mom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igidity of the molds 1, 2 is the strongest,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ponent member passes. That is, if the support block is disposed parallel to the port column direction, the bending stiffness in the direction becomes stronger than the bending stiffness in the orthogonal direction (since the support block is divided (divid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side, the support block can not be a bending stiffness material The movable table 36, the support block 30 and the transfer unit 40 can be made lighter in weight than the conventional device. have.

즉 같은 종강성을 확보할 때 폭이 좁고 두께 칫수가 두꺼운 쪽이 경량화된다. 수지봉지장치에 이용되는 금형은 휘어짐량을 꺼리므로, 종칫수(두께)는 폭칫수의 3승으로 효과를 내게되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ame longitudinal stiffness is secured, the width is narrowed and the thickness dimension is thickened. Since the mold used in the resin encapsulation device is reluctant to bend, the longitudinal dimension (thickness) is effective at the third power of the width dimension, and the weight can be reduced.

이와같이 하여, 경량화한 만큼, 고속동작이 가능해지고, 생산성을 향상시켜, 구성부재의 강성이 헛되지않게 금형에 전달되므로, 버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In this way, high-speed operation becomes possible as the weight is reduced, productivity is improved, and the stiffness of the constituent members is transferred to the molds in vain, thereby suppressing occurrence of burrs.

또한, 작용의 연속인데, 형 체결의 개시와 함께 트랜스퍼 유니트(40)를 구동하는 감속기 부착 전동기(55)가 회전하기 시작하고, 상술의 크로스 헤드 상승동작과 같은 원리로, 벨트 구동기구(54)를 통하여 구동력 변환기구(50)에 의해 볼 나사축 즉 홀더(41)가 상승하고, 하중변환기(43) 및 플랜져 박스 홀더(44), 플랜져 박스(7) 및 플랜져(6)가 상승하고, 하형내에 투입된 수지를 상하형내에 형성된 캐비티에 용융 주입한다. 용융주입동작은 수지가 캐비티에 거의 충전되기까지 전동기의 소정 속도에 의한 속도제어에 의해 상승시키고, 그 사이 하중변환기(43)의 출력신호는 이상 주입력이 발생하지 않는지의 체크에 사용되며, 거의 충전이 다된 위치에 플랜져(6)가 상승하면 하중변환기(43)의 출력신호를 피드 백하여 소정속도를 상한으로 하여 정역(正逆)의 속도제어를 행하여 소요 큐어(cure)력이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수지주입압력이 올라가기까지 형 체결이 완료되는 것이 필요하고 형 체결 전동기(75)와 수지봉입 전동기(55)는 상호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에 의해 연동되어 있다. 큐어시간이 경과하면, 우선 트랜스퍼의 전동기가 상술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플랜져(6)를 하강시킨다.The motor 55 with the speed reducer for driving the transfer unit 40 starts to rotate and the belt drive mechanism 54 is driven on the same principle as the above-mentioned crosshead lifting operation, The ball screw shaft or holder 41 is raised by the driving force converting mechanism 50 and the load transducer 43 and the flange box holder 44 and the flange box 7 and the flange 6 are raised And the resin injected into the lower mold is melt-injected into the cavity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molds. The melt injecting operation is carried out by speed control by a predetermined speed of the motor until the resin is almost filled in the cavity, while the output signal of the load converter 43 is used for checking whether abnormal main input is not generated, When the flange 6 rises at the position where the filling is completed, the output signal of the load converter 43 is fed back so that the speed control of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is performed with the predetermined speed as the upper limit so that the desired cure force is constant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mold clamping must be completed until the resin injection pressure is increased. The mold clamping motor 75 and the resin-sealed motor 55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a control device not shown. When the cure time has elapsed, the motor of the transfer first rotat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bove, and the flange 6 is lowered.

그 후, 형 체결이 종료되어 이동 테이블(36)은 하강한다. 상하형이 완전히 분리되기 까지는 이동 테이블 속도를 10mm/sec 이하로 하고, 완전히 분리된 위치에서는 성형품 이젝트 위치 직전까지 고속으로 하강한다. 성형품 이젝트 위치에 있어서는, 이젝트 속도와 트랜스퍼의 플랜져 상승속도를 동기시켜, 포트(5)부에 있는 컬(불필요한 수지부)과 캐비티부의 제품을 동시에 밀어올려, 하형(2)에서 이젝트시킨다. 전동기를 동기시킴으로써 수지 크랙, 게이트 잔류등의 문제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lamping is completed and the moving table 36 is lowered. The moving table speed is set to 10 mm / sec or less until the upper and lower molds are completely separated, and at a completely separated position, the mold is lowered at a high speed until just before the molded article is ejected. At the position of the molded product ejection, the curl (unnecessary resin portion) in the port 5 portion and the product of the cavity portion are simultaneously pushed up in synchronism with the ejection speed and the flange rising speed of the transfer, and ejected from the lower mold 2. By synchronizing the electric motor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problems such as resin cracks and gate residuals.

이동 테이블 고속 하강중에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고, 하강 한도에 위치결정해서 정지할 수 없어 그대로 하강한 경우 하강 한도보다 조금 하방향으로 설정된 오버런 검출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작용하고, 전동기(75)에 부속의 브레이크를 제동시킴과 동시에 전동기 전원을 끊는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이 고속회전중의 구동력 변환기구(70)와 토글기구 특유의 링크 꺽임시에 가속이 붙고, 전동기(75)의 브레이크로 완전히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오버런 영역을 상당 확보할 필요가 생긴다. 여기서, 상술의 크로스 헤드(61) 하면에 부착한 우레탄 고무 스토퍼(69)가 회전중의 볼 나사 너트 상면에 당접함으로써, 회전부에 제동을 걸어 급속하게 회전 에너지를 소비시켜, 적은 영역에서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따라 강체끼리 충돌이 발생하지 않아, 장치의 예기치 않은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반도체공장에 있어서는 바닥의 내하중문제를 클리어할 수 있다.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control device (not shown) during the rapid descent of the moving table, the overrun detection sensor (not shown) set in a direction slightly lower than the descent limit And the brakes attached to the electric motor 75 are braked, and at the same time, the electric power of the electric motor is cut off. However, as described above, accelerating at the time of link breaking unique to the driving force converting mechanism 70 and the toggle mechanism during high-speed rotation requires accelerating and completely stopping the braking of the electric motor 75 in order to secure a large overrun area. Here, the urethane rubber stopper 69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rosshead 61 abuts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ball screw nut, thereby braking the rotating portion, rapidly consuming the rotational energy, . As a result, no collision occurs between the rigid bodies, thereby preventing unexpected breakage of the apparatus,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clear the load bearing problem of the bottom in the semiconductor factory.

그 이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실시예 기재의 상부 테이블, 하부 테이블은 상하 반대로 되어도 상관없다. 즉, 실시예 기재의 상부 테이블이 하부 베이스에 고정되며, 형 체결시 이동 테이블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해도 본 발명의 효과는 변하지 않는다. 연결구(100)는 베이스 고정부에서 먼 위치에 있는 부재를 연결시키면 된다. 또한, 실시예 기재의 이동 테이블이 고정되며, 상하 테이블이 상대적으로 상하이동할 경우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의 이동 테이블을 고정하여 상부 및 하부 테이블을 자유롭게 했을 때와 작용·효과 모두 본 실시예 기재의 것과 변함없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table and the lower table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may be reversed upside down. That is, the upper 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fixed to the lower base, and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hange even when the moving table mov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connector 100 may be connected to a member located at a position remote from the base fixing portion. Even when the moving 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fixed and the upper and lower tables are moved up and down relative to each other, both the upper and lower tables are freed by fixing the moving table of this embodiment, Unchanged.

또한, 본 실시형태에 기재의 연결구(100)의 다른 실시예 형상을 도4a, b, c, d에 도시했는데, 각각 연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던지 2개의 가이드 기구(a, b)로 슬라이드시키는 방법으로, 이미 기술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4A, 4B, 4C, and 4D, the shap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connecting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wo guide mechanisms (a, b) , The above-described effects can be exhibited.

본 발명의 수지봉지장치에 의하면, 더블토글기구의 토글 링크 회동을 수지 테블릿 배열방향 즉 금형 및 플랜져 박스 탈착방향과 동방향으로 구성하였으므로, 금형 혹은 열반·서포트 블록의 강성을 활용할 수 있어 장치 전체의 강성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따라 이동체를 경량화·고속화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치전체의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sin encapsu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oggle link pivoting of the double toggle mechanism is configured in the resin tablet arranging direction, that 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ld and flange box attachment / detachment direction, the rigidity of the mold, The rigidity of the whole can be easily secured. Accordingly, the moving body can be lightened and increased in spe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Further, the weight of the entire apparatus can be reduced.

또한, 토글 링크의 최종 역점 피치 칫수가 금형 전후 칫수보다 작고, 또한 금형좌우의 타이 바 깊이 피치 치수가 장치의 대상 리드 프레임 길이 칫수 이하로서 상기 역점 피치 칫수보다 작은 협피치로 함으로써, 더블토글기구의 토글 링크 칫수에 차이가 발생해도 그 차이에 의한 형 체결력 언밸런스가 경감된다. 또한, 타이 바 형상을 스트레이트로 하고 타이 바 지름을 짧게 함으로써, 다시 상기 언발란스가 발생하기 어렵게 됨과 동시에, 타이 바의 신장량도 늘어나므로 형 체결력 설정의 분해능이 향상되어 정밀한 형 체결력 제어가 가능해진다. 이에따라, 성형시의 버르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Further, by setting the final pitching pitch of the toggle link to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mold before and after the mold, and the pitch depth of the tie ba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ld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target lead frame length dimension of the apparatus,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toggle link, the unbalance of the clamping force due to the difference is reduced. Further, by making the shape of the tie bar straight and shortening the tie bar diameter, the unbalance is less likely to occur again, and the tie bar is also increased in elongation,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setting of the mold clamping force is improved and accurate mold clamping force control becomes possible. Accordingly, occurrence of burr at the time of molding can be suppressed.

또한, 상기 토글 링크 회동방향과 타이 바 배설 위치 및 타이 바 지름에 의해 장치폭을 작게할 수 있고, 다수대의 장치를 병렬배치하면 많은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apparatus width can be reduced by the toggle link pivoting direction, the tie bar laying position, and the tie bar diameter, and if a plurality of apparatuses are arranged in parallel,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without securing a large installation space.

또한, 토글 링크의 지지점에 있어서, 트랜스퍼 유니트 및 하부 테이블 및 크로스 헤드라고 하는 분해곤란한 부재측에 지점 핀의 고정지지를 행하게 해, 링크부재측에 회전지지 베어링을 배설함으로써, 베어링 마모등에 의한 오버 홀시의 분해·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Further, in the support point of the toggle link, the branch pin is fixedly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transfer member, the lower table, and the cross member, which are difficult to disassemble, and the rotation support bearing is provided on the link member side,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상부 테이블과 이동 테이블사이 및 이동 테이블과 하부 테이블사이에 협피치로 배설된 타이 바끼리 연결하는 것, 및/ 또는 상부 테이블과 다른 주변장치 혹은 병렬 설치장치의 동일 상부 테이블끼리 혹은 하부 테이블끼리 연결방향 및/ 또는 상하방향 자유롭게 연결함으로써, 협피치와 짧은 지름에 의해 발생하는 토글 링크 회동방향에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tie bars arranged at a narrow pitch between the upper table and the moving table and between the moving table and the lower table, and / or to connect the upper tables and the upper tables or lower tables of other peripheral devices or parallel mounting devices By freely connecting in the connection direction and / or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winging in the toggle link pivoting direction caused by the narrow pitch and the short diameter.

Claims (12)

상하로 서로 대향하도록 타이 바에 고정된 상부 및 하부 테이블과, 상기 상부 및 하부 테이블 사이에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배설된 이동 테이블과, 한쪽이 상기 상부 및 하부 테이블중 대응하는 측의 한쪽에, 나머지 한쪽이 상기 이동 테이블에 탈착 자유롭게 고정된 상하 한쌍의 상 금형 및 하 금형과, 상기 이동 테이블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이동 테이블에 고정된 상기 상 금형 또는 하 금형의 한쪽을 상하이동시켜 형 체결을 행하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토글 링크를 가지는 더블토글기구와, 상기 형체결에 의해 상기 상 금형 및 하 금형내에 형성되는 공간에, 용융수지를 주입하는 플랜져를 배열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플랜져 박스와, 상기 상 금형 및 하 금형을 가열하는 가열기구를 구비하고, 반도체장치의 수지봉지를 행하는 수지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 하 금형의 탈착방향은, 상기 플랜져 박스의 탈착방향과 동일방향이고, 상기 더블토글기구의 토글 링크 회동방향은 플랜져 박스 탈착방향과 동일방향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봉지장치.An upper and a lower table fixed to a tie bar so as to face each other vertically, a moving table arrang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ables, and a movable tab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upper and lower tables, An upper and a lower pair of upper and lower dies that are detachably fixed to the moving table,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die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oving table and the other of the upper and lower dies fixed to the moving table, A flange box in which a flange for injecting a molten resin is fixed and fixed in a space formed i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by the mold clamping, And a heating mechanism for heating the lower mold, wherein in the resin encapsulation device for encapsulating the semiconductor device, Wherein the detachment dir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dies is the same direction as the detachment direction of the flange box and the toggle link rotation direction of the double toggle mechanism is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detachment of the flange box.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토글기구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토글 링크의 역점을 연결하는 선이 상기 플랜져의 배열방향과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봉지장치.The resin encapsul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ine connecting the points of intersection of two mutually opposing toggle links of the double toggle mechanism is parallel to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lang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 바는 금형전후 및 좌우로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설된 4개의 타이 바로 이루어지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상기 토글 링크의 최종 역점을 연결하는 역점 피치 칫수가 금형 전후 칫수보다 작고, 또한 금형좌우의 타이 바 깊이 피치 칫수가 장치의 대상 리드 프레임 길이 칫수 이하로 상기 역점 피치 칫수보다 작은 협피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봉지장치.The tie ba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ie bar is made up of four tie bars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twee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old, Wherein the dimensions are smaller than the front and rear dimensions of the mold and the depth pitch dimensions of the tie ba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ld are smaller than the dimension of the target lead frame length of the device to a narrow pitch smaller than the above-mentioned critical point pitch siz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 바는 형상이 스트레이트이고, 최대 형 체결시의 외경 응력치가 부재의 반복 인장 피로한도의 1/2에서 1/3배의 범위의 외경칫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봉지장치.The tie ba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ie bar is straight and the outer diameter stress value at the time of maximum-type fastening is an outer diameter dimension in a range of 1/2 to 1/3 times the repeated tensile fatigue limit of the member Seal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링크의 지지점에 있어서, 링크부재측에만 회전지지 베어링을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봉지장치.The resin encapsul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otation support bearing is provided only at a link member side at a supporting point of the toggle li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구는 상 및 하 금형을 가열하는 상 및 하열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열반은 상기 상부 테이블의 하면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하열반은 상기 이동 테이블 상면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더블토글기구는 상기 이동 테이블과 하부 테이블사이에, 이동 테이블을 상하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봉지장치.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ing mechanism comprises upper and lower heating plates for heating the upper and lower molds, the heating unit is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able, and the lower heating plate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table And the double toggle mechanism is configured to move the moving table up and down between the moving table and the lower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테이블과 이동 테이블 사이 및 이동 테이블과 하부 테이블사이에서 상기 타이 바끼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봉지장치.The resin encapsul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ie bars are connected between the upper table and the moving table and between the moving table and the lower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봉지장치는 다수개 병렬적으로 배설되어 있고, 상기 상부 테이블 또는 하부 테이블끼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봉지장치.The resin encapsul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resin encapsulation devices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the upper table or the lower tab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테이블 또는 하부 테이블은 다른 주변장치 혹은 병렬 설치장치의 상부 테이블끼리 혹은 하부 테이블끼리 연결방향 또는 상하방향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봉지장치.The resin encapsul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table or the lower table is freely connected to the upper tables of the other peripheral devices or the parallel mounting devices or the lower tables in the connecting direction or vertic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져 박스는, 상기 하 금형내에 용융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플랜져를, 하 금형 하부에 연결지지하고, 상, 하 금형의 탈착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탈착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봉지장치.2. The flange box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ange box comprises: a plurality of flanges for injecting molten resin into the lower metal mold, the lower flange being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lower metal mold, Wherein the resin encapsulant is a resin encapsula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토글기구는, 볼 나사 축단에 고정된 크로스 헤드를 가지고, 상기 볼 나사에 나합하는 볼 나사 너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력 변환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봉지장치.2. The resin encapsul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uble toggle mechanism comprises a crosshead fixed to a ball screw shaft end, and a driving force converting mechanism for rotating a ball screw nut coinciding with the ball screw.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토글기구는 상기 크로스 헤드와 상기 볼 나사 너트 사이에 소정 칫수 이하로 접근했을 때 상호 접촉하도록 구성된 마찰계수가 큰 휘어짐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봉지장치.12. The resin encaps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double toggle mechanism comprises a warp member having a large friction coefficient and configured to contact each other when the crosshead and the ball screw nut approach each other by less than a predetermined dimension.
KR10-1998-0052638A 1997-12-02 1998-12-02 Resin Encapsulation Device KR10051643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7-370325 1997-12-02
JP37032597 1997-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744A true KR19990062744A (en) 1999-07-26
KR100516438B1 KR100516438B1 (en) 2005-12-14

Family

ID=27621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638A KR100516438B1 (en) 1997-12-02 1998-12-02 Resin Encapsulation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16438B1 (en)
TW (1) TW507334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8169B2 (en) * 2010-03-26 2014-06-25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Polishing pa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953A (en) * 1992-01-20 1993-08-03 Toshiba Corp Mold press device
JP2908628B2 (en) * 1992-03-24 1999-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Mold clamping device
JP2996427B2 (en) * 1993-06-08 1999-12-27 エムテックスマツムラ株式会社 Electronic component mold
JPH08207051A (en) * 1995-02-03 1996-08-13 Toshiba Fa Syst Eng Kk Mold clamping device
JP2903042B2 (en) * 1996-05-23 1999-06-07 トーワ株式会社 Multi-plunger resin molding machine for semiconductor encapsulation suitable for multi-product small-lot 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07334B (en) 2002-10-21
KR100516438B1 (en)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0541B2 (en) Toggle type clamping mechanism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JP4169354B2 (en) Molding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KR910006906B1 (en) Compacting clamping means
US20080124419A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4066057B1 (en) Electric vertical injection molding machine
EP2251173B1 (en) Mold holding member and mold clamping device
US6524095B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with nozzle touch mechanism
KR19990062744A (en) Resin sealing device
US8888484B2 (en) Guide shoe for a guiding device of a plastic processing machine clamping unit
JP5187567B2 (en) Pouring frame device for pouring
JPH11235740A (en) Resin sealing apparatus
US6866500B2 (en) Clamping apparatus
JP2003025378A (en) Fixed mold support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JP4714705B2 (en) Molding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JP4842645B2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ity of pressure detector provided i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4636977B2 (en) Total height adjustment method of vertical injection molding machine
US8092211B2 (en) Vertical type injection molding machine
JP3246393B2 (en) Moving device of injection unit in horizontal injection molding machine
CN107030999B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6802703B2 (en) Injection unit of electric injection molding machine
CN108698291B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CN107225727B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7394007B2 (en) Base fram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JP3783214B2 (en) Clamping device tie bar and clamping device
JP6426016B2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