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2280A - 전전자 교환기에서 내부 버스를 이용한 브이5.2 링크 수용장치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에서 내부 버스를 이용한 브이5.2 링크 수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2280A
KR19990062280A KR1019970082591A KR19970082591A KR19990062280A KR 19990062280 A KR19990062280 A KR 19990062280A KR 1019970082591 A KR1019970082591 A KR 1019970082591A KR 19970082591 A KR19970082591 A KR 19970082591A KR 19990062280 A KR19990062280 A KR 19990062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us
unit
subscriber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2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7067B1 (ko
Inventor
신현수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82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7067B1/ko
Publication of KR19990062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0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99B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5.2 인터페이스를 수용하는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V5.2 인터페이스용 E1 링크를 내부 버스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특정 E1 링크의 특정 채널로 V5.2 메세지의 송수신이 용이하도록 해 주는 전전자교환기에서 내부 버스를 이용한 V5.2 링크 수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V5.2 인터페이스를 수용하여 V5.2 가입자에 대한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V5.2 가입자부와 결합된 링크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링크정합부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링크정합부의 입력 또는 출력되는 메세지의 통신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V5.2 버스부, V5.2 가입자에 대하여 일련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V5.2 제어부, V5.2 제어부로부터 수신받은 메세지에 대하여 특정의 전송링크 및 전송채널을 지정하여 V5.2 버스부로 출력하는 V5.2 버스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에서 내부 버스를 이용한 브이5.2 링크 수용장치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V5.2 인터페이스를 수용하는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V5.2 인터페이스용 E1 링크를 내부 버스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특정 E1 링크의 특정 채널로 V5.2 메세지의 송수신이 용이하도록 해 주는 전전자교환기에서 내부 버스를 이용한 V5.2 링크 수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전자 교환기는 시내(Local), 시내/중계(Local/Tandom) 용도로 사용되고 있고, 궁극적으로 종합정보통신망(ISDN), 지능망등 다양한 망형태에서 융통성있는 교환기로 발전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있다.
전전자 교환기를 이용하는 공중교환망(PSTN) 또는 ISDN(Inter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가입자의 서비스는 교환기 내부에 있는 소정 가입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물리적인 회선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는 가입자에 대해서 가능하다.
전전자 교환기로부터 원거리에 있는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해서 기존 전전자 교환기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적인 자원을 모두 갖추고 있는 부시스템을 원거리에 위치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되었다.
그런데, 상기 부시스템은 기존의 전전자 교환기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인 자원을 모두 갖추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이 부시스템은 가입자정보에 대한 가공처리를 못하게 되어 있어 실제적으로는 전전자 교환기의 제어를 받게 되어 있다.
한편,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V5.2 인터페이스는 유럽통신표준인 ETS(Europe Telecommunication Standard)의 300과 347-1에 권고된 억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AN)와 교환기 사이의 신호프로토콜이다.
여기서, 억세스 네트워크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가입자를 수용하지만 그 가입자에 대한 능동적인 호처리기능은 구비하지 않으면서 V5.2 인터페이스 링크를 통해 교환기와 소정의 메세지를 송수신함으로써 가입자에 대한 호처리를 수행하는 통신망이다.
최근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전자 교환기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인 자원을 갖추고 있지 않아 직접적인 호처리를 제어하지 않으면서 V5.2 인터페이스상으로 아날로그 라인상태정보를 전전자 교환기측으로 전송하는 억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에 대한 전반적인 호처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V5.2 인터페이스를 수용할 수 있는 전전자교환기에서 하나 이상의 E1 링크를 수용하게 되는 경우 소정의 메세지를 특정 링크 및 특정 채널로 자유롭게 송수신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V5.2 인터페이스를 수용하는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V5.2 인터페이스용 E1 링크를 내부 버스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특정 E1 링크의 특정 채널로 V5.2 메세지의 송수신이 용이하도록 해 주는 전전자교환기에서 내부 버스를 이용한 V5.2 링크 수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에서 내부 버스를 이용한 V5.2 링크 수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의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V5.2 사용자부 20 : V5.2 메세지 처리부
30 : V5.2 버스 제어부 40 : V5.2 버스부
50, 60 : E1 링크정합부 70 : 가입자 정합장치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에서 내부 버스를 이용한 V5.2 링크 수용장치는 V5.2 인터페이스를 수용하여 V5.2 가입자에 대한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V5.2 가입자부와 결합된 링크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링크정합부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링크정합부의 입력 또는 출력되는 메세지의 통신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V5.2 버스부, V5.2 가입자에 대하여 일련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V5.2 제어부, V5.2 제어부로부터 수신받은 메세지에 대하여 특정의 전송링크 및 전송채널을 지정하여 V5.2 버스부로 출력하는 V5.2 버스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에 의하면, 하나 또는 다수의 V5.2 E1 링크를 내부 버스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특정 링크 및 특정 채널을 이용한 메세지 송수신이 용이하게 된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에서 내부 버스를 이용한 V5.2 링크 수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0은 V5.2 인터페이스되어 있는 공중교환망 또는 ISDN 가입자에 대한 전반적인 호제어를 수행함은 물론 V5.2 가입자의 요구에 따른 소정의 V5.2 자원의 관리, 과금, 상태 및 통계관리를 수행하게 되는 V5.2 사용자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20은 이후에 설명할 V5.2 버스 제어부(30)와 상기 V5.2 사용자부(10)간에 적절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V5,2 메세지처리부로서, 특히 이 V5.2 메세지처리부(20)는 V5.2 버스제어부(30)에서 입력되는 소정의 V5.2 제어메세지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판단함은 물론 유효한 V5.2 메세지에 대하여 약정된 신호처리를 수행한 후 이를 V5.2 사용자부(10)로 출력하고, V5.2 사용자부(10)로부터 입력되는 시스템자원에 대한 제어메세지 및 호 할당/해지에 따른 제어메세지를 약정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V5.2 버스 제어부(30)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참조번호 30은 상기 V5.2 메세지처리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메세지 및 호관련메세지에 대하여 V5.2 버스부(40)를 통해 적절한 제어를 수행하여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E1 링크정합부(501∼50N)의 특정 링크 및 특정 채널로 메세지를 전송제어하는 V5.2 버스제어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40은 상기 V5.2 버스제어부(30)와 이후에 설명할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E1 링크정합부(501∼50N)간의 소정의 V5.2 메세지에 대한 통신경로를 제공하게 되는 V5.2 버스부이고, 50(501∼50N)은 전전자교환기와 원격지의 원격가입자부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물리적라인(E1)의 정합을 가능하게 해 주는 E1 링크정합부로서, 이 E1 링크정합부(501∼50N)는 V5.2 버스부(40)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메세지 또는 호관련메세지를 근거로 이를 특정 채널을 이용하여 원격가입자측으로 출력하고, 원격가입자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메세지를 V5.2 버스부(40)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참조번호 60(601∼60N)은 원격가입자측과 전전자교환기의 사이의 E1 링크정합을 가능하게 해 주는 E1 링크정합부이고, 70은 물리적인 회선으로 직접 연결된 공중교환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또는 ISDN(Intergrated Service Data Network) 가입자를 정합하기 위한 가입자정합장치로서, 이 가입자정합장치(70)는 가입자로부터 가입자상태의 변화에 따른 소정의 신호(예컨대, 오프-훅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E1 링크정합부(60)로 출력하거나 E1 링크정합부(60)를 통해 입력되는 가입자상태에 대한 제어메세지를 근거로 가입자에게 약정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정합장치(70)는 아날로그 가입자, BRI(Basic Rate Interface), PRI(Primary Rate Interface), 아날로그 중계선, 디지털 중계선 및 원격교환장치 등을 동시에 접속제어할 수 있다.
이어, 도 1의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도 2의 동작흐름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전전자교환기측에서 원격지에 있는 가입자측으로 송신메세지가 생성되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V5.2 사용자부(10)에서 원격가입자부로 송신할 메세지가 생성되게 되면(ST1 단계), V5.2 사용자부(10)가 V5.2 메세지처리부(20)로 송신하고자하는 메세지를 전송하게 된다(ST2 단계).
이어, V5.2 사용자부(10)로부터 메세지를 수신받은 V5.2 메세지처리부(20)는 해당 송신메세지에 대하여 약정된 신호처리를 수행한 후, 이를 V5.2 버스 제어부(30)로 전달하게 된다(ST3 단계).
이어, V5.2 버스제어부(30)는 수신된 V5.2 메세지에 대하여 약정된 신호처리를 수행한 후, 이용가능한 E1 링크 및 채널을 인지하여 신호처리된 송신메세지를 V5.2 버스부(40)로 출력하게 된다(ST4 단계).
그리고, V5.2 버스부(40)는 V5.2 버스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V5.2 메세지를 해당 E1 링크정합부(501∼50N)로 출력하게 되고, V5.2 버스부(40)를 통해 송신메세지를 수신받은 E1 링크정합부(501∼50N)는 지정된 특정의 채널을 통해 송신메세지를 원격가입자부로 출력하게 된다(ST5 단계).
그러면, 원격가입자부의 E1 링크정합부(601∼60N)는 수신되는 제어메세지를 가입자정합장치(70)로 출력하게 되고, 가입자정합장치(70)는 수신메세지를 근거로 해당 가입자에게 소정의 메세지를 출력하게 된다.
이어, 원격지에 있는 가입자측에서 전전자교환기측으로 메세지가 송신되어 전전자교환기가 메세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임의의 V5.2 가입자에 대한 상태가 변경되게 되면 이를 인지하게 되는 가입자정합장치(70)는 해당 가입자에 대한 소정의 상태메세지를 해당 E1 링크정합부(601∼60N)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E1 링크정합부(601∼60N)는 입력되는 상태메세지를 특정의 E1 채널을 통해 대응되는 전전자교환기측의 E1 링크정합부(501∼50N)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E1 링크정합부(501∼50N)에서 특정의 E1 링크는 특정의 채널을 원격가입자부에서 수신되는 메세지를 언제든지 수신할 수 있도록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T11 단계).
이때, 즉 상기 E1 링크정합부(501∼50N)가 원격가입자부에서 수신되는 메세지를 대기하는 상태에서 E1 링크를 통해 원격가입자부로부터 소정의 메세지를 수신받게 되면(ST12 단계), 해당 E1 링크정합부(501∼50N)는 수신된 V5.2 메세지를 V5.2 버스부(40)로 출력하게 되고, 이 V5.2 버스부(40)는 통신경로를 따라 V5.2 버스 제어부(30)로 메세지를 출력하게 된다(ST13 단계).
이어, V5.2 버스제어부(30)는 V5.2 버스부(40)로부터 수신받은 V5.2 메세지에 대하여 약정된 신호처리를 수행한 후, 이를 V5.2 메세지처리부(20)로 출력하게 된다(ST14 단계).
그러면, V5.2 메세지처리부(20)는 입력되는 메세지의 유효성을 판단한 후, 유효한 메세지에 대하여 V5.2 사용자부(10)로 출력하게 된다(ST15 단계).
따라서, 상기한 바에 의하면, 하나 또는 다수의 V5.2 E1 링크를 내부 버스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특정 링크 및 특정 채널을 이용한 메세지 송수신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V5.2 인터페이스를 수용하는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V5.2 인터페이스용 E1 링크를 내부 버스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특정 E1 링크의 특정 채널로 V5.2 메세지의 송수신이 용이하도록 해 주는 전전자교환기에서 내부 버스를 이용한 V5.2 링크 수용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V5.2 인터페이스를 수용하여 V5.2 가입자에 대한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V5.2 가입자부와 결합된 링크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링크정합부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링크정합부의 입력 또는 출력되는 메세지의 통신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V5.2 버스부,
    V5.2 가입자에 대하여 일련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V5.2 제어부,
    V5.2 제어부로부터 수신받은 메세지에 대하여 특정의 전송링크 및 전송채널을 지정하여 V5.2 버스부로 출력하는 V5.2 버스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 내부 버스를 이용한 V5.2 링크 수용장치.
KR1019970082591A 1997-12-31 1997-12-31 전전자 교환기에서 내부 버스를 이용한 브이5.2 링크 수용장치 KR100267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591A KR100267067B1 (ko) 1997-12-31 1997-12-31 전전자 교환기에서 내부 버스를 이용한 브이5.2 링크 수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591A KR100267067B1 (ko) 1997-12-31 1997-12-31 전전자 교환기에서 내부 버스를 이용한 브이5.2 링크 수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280A true KR19990062280A (ko) 1999-07-26
KR100267067B1 KR100267067B1 (ko) 2000-09-15

Family

ID=1953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2591A KR100267067B1 (ko) 1997-12-31 1997-12-31 전전자 교환기에서 내부 버스를 이용한 브이5.2 링크 수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70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436B1 (ko) * 1999-12-29 2002-03-16 박종섭 브이5.2 계층3 처리 장치와 호제어 프로세서 간 메시지정합 기능의 부하분담 방법
KR100328435B1 (ko) * 1999-12-29 2002-03-16 박종섭 브이5.2 계층3 처리 장치와 호제어 프로세서 간 메시지라우팅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436B1 (ko) * 1999-12-29 2002-03-16 박종섭 브이5.2 계층3 처리 장치와 호제어 프로세서 간 메시지정합 기능의 부하분담 방법
KR100328435B1 (ko) * 1999-12-29 2002-03-16 박종섭 브이5.2 계층3 처리 장치와 호제어 프로세서 간 메시지라우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7067B1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7516A (en) System for access from LAN to ISDN with means for changing between use of packet switch and line switch without interruption of data transmission
KR100281090B1 (ko)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
US20130235867A1 (en) Hybrid type telephony system
US5319640A (e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having digital switching network
JPH05260046A (ja) ディジタル通信ネットワークに対するインターフェイス適合のための装置
KR10026706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내부 버스를 이용한 브이5.2 링크 수용장치
US6324281B1 (en) Procedure for the processing of an unexpected disconnect request
KR100275074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외부 호스트를 이용한 브이5.2 링크 수용장치
KR100258684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브이5.2 인터페이스 상태정보 관리방법
KR100258683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외부 호스트를 이용한 브이5.2 가입자정보관리장치
KR960011706B1 (ko) Isdn 망에 접속가능한 디지탈 키폰 시스템
US5490146A (en) Digital mobile radio system interfacing an ISDN standard bus system
KR930006036B1 (ko) 전전자 교환기의 공통선 신호처리장치
KR19990062283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외부 호스트를 이용한 브이5.2 통계정보 관리장치
KR940007917B1 (ko) Isdn 사용자부의 구현방법
KR0176398B1 (ko)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원격교환장치를 수용하는 방법
JPH0865405A (ja) Isdnインターフェースのt/s点共用装置
KR19990079839A (ko) 키폰 시스템에서의 무선 단말기 접속 카드
KR015451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서비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62281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브이5.2 통계정보 관리장치
KR20000013610A (ko) 교환기의 중계 장치
KR19990058097A (ko) 교환시스템에서의 가입자 신호 직접변환방법
JPS61100095A (ja) アナログ電話機切替方式
KR19980042955A (ko) 종합정보 통신망의 채널정합장치
KR19990062275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외부 호스트를 이용한 브이5.2 상태정보 관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