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2265A - 지역명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지역명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2265A
KR19990062265A KR1019970082576A KR19970082576A KR19990062265A KR 19990062265 A KR19990062265 A KR 19990062265A KR 1019970082576 A KR1019970082576 A KR 1019970082576A KR 19970082576 A KR19970082576 A KR 19970082576A KR 19990062265 A KR19990062265 A KR 19990062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obile terminal
code
name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2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명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82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2265A/ko
Publication of KR19990062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265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곳의 지역명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단말기의 사용자가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된 지역명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신호의 송수신과 통신프로토콜의 변환 및 자신의 인식코드 송출 등을 실행하는 기지국과 이 기지국에 대해 자신의 정보를 송신함으로 등록을 실행하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지역명 표시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가 구비된 키입력부,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온 기지국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코드저장부, 각각의 기지국코드에 대응되는 지역명이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는 지역명저장부, 지역명을 표시해주기 위한 표시부 및, 지역명 표시기능에 관한 키입력이 있게 되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어 코드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지국코드에 대응되는 지역명 데이터를 지역명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표시부를 통해 표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역명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단말기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곳의 지역명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단말기의 사용자가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된 지역명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개인이 임의의 장소에서 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된 개인통신 시스템이 개발되어 일반화되고 있다.
도 1은 상기한 개인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은 개인이 휴대하여 통신하게 되는 이동단말기로서, 도 2를 통해 그 상세구성을 나타냈다.
상기 이동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 2에서, 참조번호 11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이고, 12는 이 안테나(11)를 통해 수신된 RF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고 이후에 설명할 베이스밴드변환부(13)로부터 인가되는 전송신호, 즉 IQ신호를 예컨대 GMSK 변조하여 출력하는 RF신호처리부, 13은 상기 RF신호처리부(12)와 이후에 설명할 디지탈신호처리프로세서(16), 스피커(14) 및 마이크로폰(15)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하는 베이스밴드변환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14는 상기 베이스밴드변환부(13)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이고, 15는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16은 음성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경로 잡음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저를 수행하며 오디오 관련 데이터 처리기능 등을 수행하는 디지탈신호처리프로세서(DSP : Digital Signal Processor)이다.
참조번호 17은 장치전반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이는 상기 RF신호처리부(12)와 DSP(16)를 제어하거나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해 인터리빙(Interleaving)과 블록코딩(Block Coding) 및 콜벌루션코딩(COnvolution Coding)을 실행하고, 18은 가입자의 등록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가입정보저장부(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9는 단말기의 기능 및 네트워크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토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메모리, 20은 숫자키들과 각종 기능키들로 구성되어 있는 키패드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21은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LCD표시부이고, 22는 단말기 동작 프로그램 실행시에 데이터 버퍼 역할을 수행하는 데이터저장부, 23은 전화번호 등의 전화기와 관련된 지역정보가 비휘발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정보저장부(E2PROM)이다.
또한, 상기 도 1에서 참조번호 2(21∼2n)는 다수의 이동단말기(1)의 위치를 확인하여 이동단말기(1)에 대한 무선신호의 송수신과 통신프로토콜의 변환 및 암호화/복조화 등을 실행하는 기지국(BTS)이며, 3(31∼3n)은 다수의 기지국(2:21∼2n)을 관리하면서 각 이동단말기(1)에 대한 통신채널의 할당제어와 핸드오버(Hand Over)결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제어기(BSC)이다.
또한, 참조번호 4는 일반 유선단말기들의 통화요구를 처리하여 공중교환전화망(PSTN)을 형성하는 교환기이고, 5는 상기 여러 기지국(2)으로부터 각 단말기(1)에 대한 등록정보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방문가입자위치레지스터(VLR:Visitor Location Register)이다.
또한, 참조번호 6은 수용되는 각 이동단말기(1)에 대한 고유번호 등을 저장하여 상기 교환기(4)가 임의의 이동단말기(1)에 대한 사용허가 등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센터(AuC)이고, 7은 이미 등록되어 있는 각 이동단말기(1)의 등록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홈가입자위치레지스터(HLR:Home Location Register)이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이동단말기(1)는 사용자가 이동단말기(1)의 전원을 온 시키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7)는 RF신호처리부(12)의 복조주파수를 순차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면서 안테나(1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캐리어를 검색함과 더불어 입력되는 각 복조신호의 레벨을 근거로 자신이 소속되는 기지국(2)을 파악하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17)는 복조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와 입력되는 수신데이터의 레벨값을 데이터저장부(22)에 저장한 후 가장 그 레벨값이 큰 수신주파수를 근거로 복조주파수를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17)는 기지국(2)으로부터의 방송채널(BCCH)을 수신하여 해당 기지국의 정보를 파악한 후, LAPDm프로토콜에 따라 가입정보저장부(18)에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가입자정보를 독출하여 해당 기지국으로 송출함으로써 등록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기지국(2)에서는 이동단말기(1)로부터 단말기 정보가 수신되게 되면 이를 기지국제어기(3)로 송출하게 되고, 기지국제어기(3)는 그 단말기 정보를 교환기(4)를 통해 방문가입자위치레지스터(5)에 임시 저장한 후, GSM망을 통해 인증센터(6)로 송신함으로써 인증센터(6)는 해당 단말기(1)가 홈가입자위치레지스터(7)에 적법하게 등록되어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후, 상기 해당 이동단말기(1)가 정상적으로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기지국제어기(3)는 기지국(2)을 통해 이동단말기(1)로 암호화코드 등을 송출함으로써 해당 이동단말기(1)를 사용가능상태로 등록처리하게 된다.
한편, 마이크로프로세서(17)는 해당 이동단말기(1)의 등록처리가 완료된 상태에서, 기지국(2)으로부터 호출채널(Paging Channel)이 수신되는지, 사용자가 키패드(20)를 조작하여 기지국(2)에 대해 송신요구(호출요구)를 하는지, 또는 기지국(2)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이 수신되었는지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호출채널이 수신된 경우에는 기지국(2)에 대해 호출응답을 실행함과 더불어 단말기의 도시되지 않은 경보신호출력부를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른 단말기로부터 호출이 있음을 경보해 주게 되고, 사용자의 송신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키패드(20)로부터의 키입력을 검출한 후, 기지국(2)에 대해 랜덤 억세스 채널(RACH:Random Access CHannel)을 송출함으로써 접속요청을 실행하게 된다.
또한, 이때 기지국(2)으로부터 억세스허용채널(AGCH:Access Grant CHannel)이 수신되거나 호출응답을 실행한 후에는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음성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사용자와 다른 단말기의 사용자와의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기지국(2)과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이동단말기(1)는 송신하는 데이터를 무지향성 무선신호로 송출하게 되며, 그 사용 전력레벨 신호도 일정시간 간격으로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이동단말기(1)가 위치하고 있는 셀내의 기지국(2) 뿐만 아니라 인접한 셀내의 기지국들(21∼2n)도 상기 사용중인 이동단말기(1)로부터 전력레벨의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제어기(3)로 보고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이동단말기(1)가 통화에 관련한 음성데이터나 또는 제어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다른 지역으로 이동중일 경우, 현재 등록된 기지국(21)과는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그 사용 전력레벨의 크기가 저하되게 된다.
이에, 기지국제어기(3)는 상기 각 기지국(21∼2n)으로부터 수신되온 전력레벨의 신호를 근거로 그 전력레벨의 크기가 큰 기지국(2n)으로 핸드오버 명령을 송출하게 되고, 이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한 기지국(2n)은 새롭게 부여된 기지국정보를 근거로 접속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핸드오버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이동단말기(1)가 현재 등록된 기지국(2)의 관할 셀내에서 대기상태로 있는 가운데 다른 지역으로 고속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이동단말기(1)를 휴대한 사용자가 현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여 길을 잃어버리게 될 경우에는 난감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기(1)를 휴대한 사용자가 현재 위치의 지역명을 이동단말기(1)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알게 된다면 자신의 가야할 방향을 찾게 됨으로 그 편리성이 더욱 향상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이동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곳의 지역명을 표시해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단말기의 사용자가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된 지역명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개인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단말기(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지역명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는 도 3의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동단말기 2(21∼2n) : 기지국(BTS)
3(31∼3n) : 기지국제어기(BSC) 4 : 교환기(MSC)
5 : 방문가입자위치레지스터(VLR) 6 : 인증센터(AuC)
7 : 홈가입자위치레지스터(HLR) 11 : 안테나
12 : RF신호처리부 13 : 베이스밴드변환부
14 : 스피커 15 : 마이크로폰
16 : DSP(Digital Signal Processor)
17, 34 : 마이크로프로세서 19 : 프로그램메모리
18 : 가입정보저장부(SIM:Subscriber Identy Module)
20 : 키패드 21 : LCD표시부
22 : 데이터저장부 23 : 정보저장부
31 : 키입력부 31a : 기능키
32 : 코드저장부 33 : 지역명저장부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역명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는 무선신호의 송수신과 통신프로토콜의 변환 및 자신의 인식코드 송출 등을 실행하는 기지국과 이 기지국에 대해 자신의 정보를 송신함으로 등록을 실행하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지역명 표시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가 구비된 키입력부,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온 기지국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코드저장부, 각각의 기지국코드에 대응되는 지역명이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는 지역명저장부, 지역명을 표시해주기 위한 표시부 및, 지역명 표시기능에 관한 키입력이 있게 되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어 코드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지국코드에 대응되는 지역명 데이터를 지역명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표시부를 통해 표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이동단말기의 키입력부에 구비된 지역명 표시기능에 관한 기능키를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받은 기지국코드에 대응되는 지역명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단말기의 사용자는 현재 위치하고 있는 곳의 지역명을 알게 됨으로써 이동단말기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지역명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서, 참조번호 31은 지역명 표시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31a)가 구비된 키입력부이고, 32는 기지국(2)으로부터 송출되온 기지국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코드저장부, 33은 각각의 기지국코드에 대응되는 지역명이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는 지역명저장부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34는 상기 키입력부(31)의 지역명 표시기능에 관한 기능키(31a)의 입력이 있게 되면 상기 기지국(2)으로부터 수신되어 코드저장부(32)에 저장되어 있는 기지국코드에 대응되는 지역명 데이터를 지역명저장부(33)로부터 독출하여 LCD표시부(21)를 통해 표시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도 4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설명한다.
먼저, 이동단말기(1)가 임의의 지역에 위치하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34)는 자신이 소속되는 기지국(2)으로부터의 방송채널을 수신하여 해당 기지국의 정보를 파악한 후, 가입정보저장부(18)로부터 자신의 정보를 독출하여 해당 기지국으로 송출함으로써 등록절차를 수행하게 된다(ST1 단계).
한편, 기지국(2)에서는 이동단말기(1)로부터 단말기 정보가 수신되게 되면 이를 기지국제어기(3)로 송출하게 되고, 기지국제어기(3)는 그 단말기 정보를 교환기(4)를 통해 방문가입자위치레지스터(5)에 임시 저장한 후, GSM망을 통해 인증센터(5)로 송신함으로써 해당 단말기(1)가 홈가입자위치레지스터(9)에 적법하게 등록되어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후, 상기 해당 이동단말기(1)가 정상적으로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기지국제어기(3)는 기지국(2)을 통해 이동단말기(1)로 암호화코드 등을 송출함으로써 해당 이동단말기(1)를 사용가능상태로 등록처리하게 되고, 또한 기지국(2)은 자신의 기지국코드를 등록된 이동단말기(1)로 송출하게 된다.
이어, 이동단말기(1)가 상기 기지국(2)으로부터 기지국코드를 수신하게 되면(ST2 단계), 마이크로프로세서(34)는 수신된 기지국코드를 코드저장부(32)에 저장하게 된다(ST3 단계).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서(34)는 상기 키입력부(31)를 통해 지역명 표시기능에 관한 키입력이 있는 지를 판단하게 되는 바(ST4 단계), 기능키(31a)의 입력이 없다면 이동단말기(1)에 있어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거나 전화통화에 관련된 통상적인 제어처리를 수행하게 된다(ST5 단계).
한편,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입력부(31)를 통해 지역명 표시기능에 관한 기능키(31a)의 키입력이 있게 되면(ST4 단계), 마이크로프로세서(34)는 상기 기지국(2)으로부터 수신되어 코드저장부(32)에 저장되어 있는 기지국코드에 대응되는 지역명 데이터를 지역명저장부(33)로부터 독출하게 된다(ST6 단계).
그리고, 상기 지역명저장부(33)로부터 독출한 지역명 데이터를 상기 LCD표시부(21)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ST7 단계).
따라서, 사용자는 LCD표시부(21)를 통해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곳의 지역명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이동단말기를 통해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곳의 지역명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곳의 지역명을 표시해 줄 수 있도록 된 지역명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무선신호의 송수신과 통신프로토콜의 변환 및 자신의 인식코드 송출 등을 실행하는 기지국과 이 기지국에 대해 자신의 정보를 송신함으로 등록을 실행하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지역명 표시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가 구비된 키입력부,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온 기지국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코드저장부,
    각각의 기지국코드에 대응되는 지역명이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는 지역명저장부,
    지역명을 표시해주기 위한 표시부 및,
    지역명 표시기능에 관한 키입력이 있게 되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어 코드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지국코드에 대응되는 지역명 데이터를 지역명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표시부를 통해 표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명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KR1019970082576A 1997-12-31 1997-12-31 지역명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KR19990062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576A KR19990062265A (ko) 1997-12-31 1997-12-31 지역명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576A KR19990062265A (ko) 1997-12-31 1997-12-31 지역명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265A true KR19990062265A (ko) 1999-07-26

Family

ID=6618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2576A KR19990062265A (ko) 1997-12-31 1997-12-31 지역명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22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4022B1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externally controlled transmission of identity
US7512107B2 (e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tting time according to present location information, and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ime using the same
JP2004193641A (ja) 自動車電話装置
KR19980083312A (ko) 이동단말기에서 특정전화번호 통화거부 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41237A (ko) 이동전화단말기의 유무선 겸용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61176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발신자 이름 표시방법
KR0183266B1 (ko) 도난방지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KR19990062265A (ko) 지역명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KR19980059171A (ko) Gsm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의 원격제어방법 및 장치
KR19990061177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부가서비스 설정상태 표시방법
KR100259270B1 (ko) 지역번호 자동 선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방법
KR19990041241A (ko) 이동단말기의 전원 절약방법
KR19980059169A (ko) Gsm단말기를 이용한 차량도난경보방법 및 장치
KR20000010373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감도에 따른 전원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H11196462A (ja) 無線通信装置
KR100198214B1 (ko) 미등록 상태에서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단말기및그제어방법
KR0179197B1 (ko) 기지국 선별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KR19990039715A (ko) 한글 단문서비스 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KR19990048225A (ko) 이동단말기에서의 시각장애자를 위한 음성안내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43940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최적채널 형성방법
KR100198742B1 (ko) 개인 통신 시스템의 수신응답신호 송출 방법 및 그 장치
KR0179595B1 (ko) 기지국별 위치 보고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KR100198210B1 (ko) 발신자 번호 기록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0179589B1 (ko) 초기 인사말 전송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및 그 초기 인사말 전송 방법
KR20000040856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번호 송수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