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8742B1 - 개인 통신 시스템의 수신응답신호 송출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개인 통신 시스템의 수신응답신호 송출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742B1
KR100198742B1 KR1019960016850A KR19960016850A KR100198742B1 KR 100198742 B1 KR100198742 B1 KR 100198742B1 KR 1019960016850 A KR1019960016850 A KR 1019960016850A KR 19960016850 A KR19960016850 A KR 19960016850A KR 100198742 B1 KR100198742 B1 KR 100198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call
signal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6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8165A (ko
Inventor
정화양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16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8742B1/ko
Publication of KR970078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8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voice messaging, e.g. dicta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 전용의 개인통신 장치에서 발신 전용 단말기에 소정의 키를 구비하여 호출자의 호출신호에 대해서 피호출자가 호출신호 수신에 따른 수신 확인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출자에게 피호출자의 수신 확인을 알릴 수 있도록 된 개인 통신 시스템의 수신응답신호 송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개인통신용 단말기와, 이 개인 통신용 단말기를 관리하는 기지국 및 이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개인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는, 호출 신호의 수신에 대한 수신응답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수신응답키 및 다수의 숫자키를 구비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수신응답키가 선택된 이후 입력되는 디지트에 대한 호출신호를 상기 기지국에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지국에는, 소정의 음성메세지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메세지 저장수단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응답키가 입력된 다음 입력되는 디지트를 근거로 상기 가입자를 호출하여 상기 음성메세지데이터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인 통신 시스템의 수신응답신호 송출 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개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이동 단말기(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에 구성으로 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플로우 챠트.
제4도는 제1도에 나타낸 기지국(2)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제5도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개인 통신 시스템의 수신확인신호 송출 방법 및 그 장치의 구성중 단말기(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개인 통신 시스템의 수신확인 신호 송출 방법 및 그 장치의 구성중 기지국(2)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제7도는 제5도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플로우 챠트.
제8도는 제6도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동단말기 2(21∼2n) : 기지국
3(31∼3n) : 기지국 제어기 4 : 교환기
5 : 인증센터 21, 41 : 안테나
22, 42 : 저잡음증폭부 23, 43 : 복조부
24, 44 : 베이스밴드처리부 25, 45 : LAPDm처리부
26 : 스피커 27 : 마이크로폰
28 : 음성처리부 29, 49 : 변조부
30, 50 : 증폭부 31, 61 : 키입력부
32 : 표시부 33, 60 : 단말기 제어부
34, 54 : 프로그램 메모리 35, 55 : 데이터 메모리
36, 56 : A/D 변환부 46 : LAPD처리부
53, 70 : 기지국 제어부 62 : 제1모드저장부
71 : 메시지데이터저장부 72 : 제2모드저장부
73 : 임시전화번호저장부 61a : 수신응답신호키
본 발명은 발신 전용의 개인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신 전용 단말기에 소정의 키를 구비하여 호출자의 호출신호에 대해서 피호출자가 호출신호 수신에 따른 수신 확인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출자에게 피호출자의 수신 확인을 알릴 수 있도록 된 개인 통신 시스템의 수신응답신호 송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개인이 임의의 장소에서 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된 이동단말기가 개발되어서 일반화되고 있고, 또한 수신과 발신 기능이 제공되는 일반적인 이동단말기와는 다르게 발신기능만이 제공되는 발신 전용 단말기가 개발되어서 보급단계에 들어서 있다.
즉, 발신전용단말기의 가입자는 상대방을 호출하여 통신을 할 수 있지만 임의의 호출자의 호출신호에 대한 수신기능이 갖추어지지 않은 단말기를 이름하는 것으로, 이는 휴대하기 편하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이유로 근래에 대중화되어 있는 무선호출기와 연동해서 사용하는 가입자가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개인통신 시스템은 한정된 전파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주파수를 재사용하여 기지국의 수를 확장하는 셀룰라 기술과 주파수를 동시에 여러 가입자에 의해 사용하도록 하는 다중접속 기술이 있다.
이러한, 다중접속 기술의 종류에는 크게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분할되어 있는 바, 여기서 TDMA 방식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기술의 완성도가 높다는 이유로 전세계적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제1도는 개인통신 시스템, 특히 TDMA 방식에 따른 개인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로, 도면에서 참조번호 1은 개인이 휴대하게 되는 단말기이고, 2(21∼2n)는 다수의 단말기(1)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단말기(1)에 대한 무선신호의 송수신과 통신프로토콜의 변환 및 암호화/복호화 등을 실행하는 기지국, 3(31∼3n)은 다수의 기지국(2 : 21∼2n)을 관리하면서 각 단말기(1)에 대한 통신채널의 할당제어와 핸드오버(Hand Over)결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 4는 이 기지국 제어기(3)와 국선 또는 국설교환기와 이후에 설명할 인증센터(5)를 연결처리하는 교환기, 5는 각 단말기(1)에 대한 고유번호 등을 구비하여 임의의 단말기(1)에 대한 사용허가와 과금처리 등을 실행하는 인증센터이다.
상기 구성으로 된 개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임의의 단말기(1)가 특정한 지역내에 있게 되면, 그 지역을 관할하는 기지국(2)은 해당 단말기(1)의 존재를 확인하여 이를 기지국 제어기(3)로 보고하게 되고, 기지국 제어기(3)는 그 단말기(1)의 등록상태를 인증센터(5)로부터 확인한 후 기지국(2)을 통해 통화에 필요한 암호코드 등을 할당함으로써 해당 단말기(1)를 사용가능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다른 단말기(1)로부터의 호출 등을 해당 단말기(1)로 연결시켜 주게 된다.
한편, 발신전용단말기는 호출신호를 감지하지 못하고 오직 가입자가 발신신호를 출력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되므로 평상시에 전원을 오프(Off)시키게 되는 바, 그로 인해 기지국은 이 발신전용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가입자가 발신전용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하기 위해 전원을 온(On)시키게 되면 기지국을 거쳐 등록 상태가 확인된 후 채널을 할당받아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도는 상기 단말기(1)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 동도면에서 참조번호 21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이고, 22는 이 안테나(21)에 의해 수신된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Low Noise Amplifier)등으로 구성된 저잡음증폭부, 23은 이 저잡음증폭부(22)를 통해서 입력된 주파수신호로부터 본래의 코드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24는 상기 복조부(23)와 이후에 설명할 변조부(29)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해 GSM 규격에 따라 인터리빙(Interleaving)과 블록코딩(Block Coding) 및 콘벌류션코딩(Convolution Coding)의 실행하는 배이스밴드 처리부, 25는기지국(2)과의 LAPDm 규격에 따라 송수신을 위한 제어데이터를 처리하는 LAPDm 처리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26은 상대국 단말기로부터의 음성신호를 가청음성으로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이고, 27은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서 변환입력하는 마이크로폰, 28은 상기 마이크로폰(27)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24)를 통해서 인가된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26)로 출력하는 등의 음성처리를 실행하는 음성처리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29는 상기 배이스밴드 처리부(24)를 통해 출력되는 송신데이터를 소정의 주파수신호로 변조하는 변조부이고, 30은 이 변조부(29)에서 변조된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31은 다수의 숫자키(10-키)와 기능키를 구비한 키입력부이고, 32는 단말기(1)의 각종 동작상태나 조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예컨대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부, 33은 상기 LAPDm 처리부(25)를 통한 기지국(2)과의 송수신을 통해 단말기의 사용상태를 동작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키입력부(31)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단말기(1)를 제어하는 제어부, 34는 이 제어부(33)의 동작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35는 상기 제어부(33)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처리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메모리이다.
또한, 참조번호 36은 상기 복조부(23)에서 복조되어 출력되는 수신 데이터를 디지털변환하여 수신 전력레벨에 대응하는 데이터값을 상기 제어부(33)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서, 이는 단말기(1)의 기지국 선택이나 핸드오버(Hand Over) 기능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단말기(1)의 동작을 제3도에 나타낸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단말기(1)의 전원을 온시키게 되면(ST1단계), 제어부(33)는 복조부(23)의 복조주파수를 순차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면서 안테나(2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캐리어를 검색함과 더불어(ST2단계) A/D 변환기(36)를 통해 입력되는 각 복조신호의 레벨을 근거로 자신이 소속되는 기지국을 파악하게 된다(ST3단계).
이때, 제어부(33)는 복조부(2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와 그에 따라 A/D 변환기(36)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데이터의 레벨 값을 데이터메모리(35)에 저장한 후 가장 그 레벨 값이 큰 수신주파수를 근거로 복조부(23)의 복조주파수를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33)는 상기 복조부(23)에서 수신되는 기지국(2)으로부터의 방송채널을 수신하여(ST4단계) 해당 기지국의 정보를 파악한 후, 배이스밴드 처리부(24) 및 복조부(23)를 통해 자신의 정보를 해당 기지국으로 송출함으로써 등록절차를 수행하게 된다(ST5단계).
이에 따라, 기지국(2)에서는 단말기(1)로부터 단말기정보가 수신되게 되면 이를 기지국제어기(3)로 송출하게 되고, 기지국제어기(3)는 그 단말기 정보를 교환기(4)를 통해 인증센터(5)로 송신함으로써 해당 단말기(1)가 적법하게 등록되어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해당 단말기(1)가 정상적으로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기지국제어기(3)는 기지국(2)을 통해 단말기(1)로 암호화코드등을 송출함으로써 해당 단말기(1)를 사용가능상태로 등록처리함과 더불어 이후의 다른 단말기로의 호출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33)는 상기 ST5단계에서 등록처리가 완료되게 되면, 사용자가 키입력부(31)를 조작하여 기지국(2)에 대해 송신요구(호출요구)를 하는지, 또는 기지국(2)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이 수신되었는 지를 검출하게 된다(ST6, ST7단계).
그리고, 상기 ST6 단계에서 사용자의 송신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키입력부(31)로부터 키입력을 검출한 후(ST8 단계), 기지국(2)에 대해 랜덤 억세스 채널(RACH : Random Access Channel)을 송출함으로써 접속요청을 실행하게 된다(ST9 단계). 또한, 이때 기지국(2)으로부터 억세스허용채널(AGCH : Access Grant Channel)이 수신되면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음성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사용자와 다른 단말기의 사용자가 통화를 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ST10 단계).
그리고, 통화가 종료되면 (ST11 단계) 가입자는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등에 의해 상기 ST8 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이 수신되게 되면, 새롭게 부여된 기지국 정보를 근거로 다른 기지국에 대해 접속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핸드오버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ST12 단계).
한편, 제4도는 상기 기지국(2)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동도면에서 참조번호 41은 단말기(1)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이고, 42는 이 안테나(41)에 의해 수신된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Low Noise Amplifier)등으로 구성된 저잡음증폭부, 43은 이 저잡음증폭부(22)를 통해서 입력된 주파수신호로부터 본래의 코드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44는 상기 복조부(43)와 이후에 설명할 변조부(49)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해 GSM 규격에 따라 인터리빙(Interleaving)과 블럭코딩(Block Coding) 및 콘벌루션코딩(Convolution Coding)을 실행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 45는 단말기(1)와 LAPDm 규격에 따라 송수신하게 되는 제어데이터를 처리하는 LAPDm 처리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46은 기지국제어기(3)와 LAPD 규격에 따라 송수신하게 되는 제어데이터를 처리하는 LAPD 처리부이고, 49는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44)를 통해 출력되는 송신데이터를 소정의 주파수신호로 변조하는 변조부이고, 50은 이 변조부(49)에서 변조된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53은 상기 LAPD 처리부(46)를 통한 기지국제어기(3)와의 송수신을 통해 기지국의 사용상태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 54는 이 제어부(53)의 동작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55는 상기 제어부(53)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처리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메모리, 56은 상기 복조부(43)에서 복조되어 출력되는 수신데이터를 디지털 변환하여 수신 전력레벨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53)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서, 이는 단말기(1)의 기지국 선택이나 핸드오버(Hand Over) 기능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기지국에 있어서는, 우선, 사용자가 단말기(1)의 전원을 온시키게 되면 단말기의 제어부(33)는 A/D 변환기(36)를 통해 입력되는 각 복조신호의 레벨을 근거로 자신이 소속되는 기지국을 파악한 후 배이스밴드 처리부(24) 및 복조부(23)를 통해 자신의 정보를 해당 기지국으로 송출함으로써 등록절차를 수행하게 되는 바, 이에 따라, 기지국(2)에서는 단말기(1)로부터 단말기정보가 수신되게 되면 이를 기지국제어기(3)로 송출하게 되고, 다시 기지국제어기(3)는 그 단말기정보를 교환기(4)를 통해 인증센터(5)로 송신함으로써 해당 단말기(1)가 적법하게 등록되어 있는 것인지의 등록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기지국의 제어부(53)는 상위국(기지국제어기)으로부터 상기 해당 단말기(1)가 정상적으로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다는 신호와 더불어 해당 단말기가 사용할 수 있는 암호화코드등을 수신하게 되면 해당 단말기(1)를 사용가능상태로 등록처리하게 된다.
이후, 임의의 단말기(1)로부터 호출요구가 있게 되면 그에 따른 호출제어를 실행함과 더불어 상기 A/D 변환기(56)로부터 소정 레벨 이하의 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이를 상위국(기지국제어기)에 보고하여, 이 기지국제어기(3)로부터 핸드오버에 대한 신호가 수신되게 되면 핸드오버 동작을 실행하도록 단말기에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개인이 휴대하여 어느 곳에서나 통신이 가능한 발신전용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통신 시스템에서는 발신전용단말기가 호출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이유로 인하여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호출기와 연동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발신전용단말기와 연동되는 상기 무선호출기는 기능 특성상 호출신호만을 수신하여 그에 대한 호출음만을 가입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이는 임의의 호출자가 발신전용단말기의 소유자에게 호출하기 위해 그와 연동되는 무선호출기를 호출하였을 때 단말기 소유자가 호출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아닌지를 알 수 없게 된다.
또한, 발신전용단말기 소지자가 매우 정숙을 요하는 장소에서 무선호출기로 호출을 받았다면 그 소지자는 단말기를 사용하여 통화를 시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전화를 걸기 위해 그 장소를 비울 수도 없는 상황에 처해 있다면, 호출자는 그 피호출자의 그러한 입장을 알 수 없으니 호출에 대한 응답신호가 없음으로 인하여 매우 답답함을 느끼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발신전용 단말기에 수신응답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된 소정의 키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호출자의 호출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송출할 수 없는 상황에서 간단하게 호출에 대한 수신응답신호를 송출하도록 된 개인 통신 시스템의 수신응답신호 송출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개인 통신 시스템의 수신응답신호 송출 방법은 개인통신용 단말기와, 이 개인통신용 단말기를 관리하는 기지국 및, 이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개인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가 상대 단말기를 호출함에 따라 호출처리를 실행하는 호출처리 실행단계와, 상기 호출에 대한 상대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응답신호를 판단하는 응답신호 판단단계, 상기 응답신호 판단단계에서 응답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상기 가입자를 호출하여 응답신호에 대한 메시지를 송출하는 응답메세지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관점에 따른 개인 통신 시스템의 수신응답신호 송출장치는 개인통신용 단말기와, 이 개인통신용 단말기를 관리하는 기지국, 이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개인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는, 호출신호의 수신에 대한 수신응답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수신응답키 및 다수의 숫자키를 구비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수신응답키가 선택된 이후 입력되는 디지트에 대한 호출신호를 상기 기지국에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지국에는, 소정의 음성메세지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메세지 저장수단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응답키가 입력된 다음 입력되는 디지트를 근거로 상기 가입자를 호출하여 상기 음성메세지데이터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단말기에 수신응답신호 버튼을 구비하고 이 버튼을 누른 후 호출자의 호출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기지국에서는 수신확인에 따른 음성메세지를 출력함으로써 호출자에게 피호출자의 수신상태를 알릴 수 있게 된다.
이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실시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개인 통신 시스템의 수신응답신호 송출 장치의 구성중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서, 제5도에서 제2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61은 단말기(1)의 각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키입력부로서, 이는 특히 호출자에게 호출신호의 수신에 따른 수신응답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수신응답신호키(61a)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고, 참조번호 62는 상기 수신응답신호키(61a)가 입력됨에 따라 그에 따른 수신응답신호 송출모드를 저장하기 위한 제1모드저장부로서, 이는 전원이 온(On)된 이후에 수신응답신호 송출모드의 설정이 가능하게 되고 전원이 오프(Off)되게 되면 자동으로 리셋(Reset)되게 된다.
또한, 참조번호 60은 단말기의 장치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서, 이는 발신전용단말기의 전원이 온(On)된 이후에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각 기능을 제공함과 더불어 수신응답신호키(61a)가 선택되면 수신응답신호 송출모드를 설정하여 이후에 호출번호가 입력됨에 따라 호출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또한, 제6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개인 통신 시스템의 수신응답신호 송출 장치의 구성중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6도에서 제4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71은 수신응답신호에 따른 예컨대, 수신응답신호가 입력되었습니다. 등의 음성 메세지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시지 데이터 저장부이고, 참조번호 72는 후술할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단말기로부터 수신 응답 신호가 수신되게 되면 그에 따른 수신 응답 신호 송출모드를 저장하기 위한 제2모드저장부, 73은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호출할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임시전화번호 저장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70은 기지국의 장치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서,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단말기로부터의 호출신호에 대한 호출처리를 실행함과 더불어 발신전용단말기로부터 수신응답신호가 수신되게 되면 상기 제2모드저장부(72)를 수신응답신호 송출모드로 셋트함과 더불어 수신응답신호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이어, 상기 제5도 및 제6도의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제7도 및 제8도에 난타낸 플로우 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임의의 호출자로부터 발신전용단말기와 연동되는 무선호출기가 호출된 이후에(ST701 단계), 단말기 소지자가 발신전용단말기의 전원을 온(On)시키게 되면(ST702 단계), 단말기의 제어부(60)는 복조부(23)의 복조 주파수를 순차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면서 안테나(2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캐리어를 검색하므로써 해당 기지국의 정보를 파악한 수 랜덤 액세스 채널(RACH)을 통해 자신의 정보를 해당 기지국으로 송출하게 된다(ST703 단계).
이때, 기지국(2)은 단말기(1)로부터 접속 요청이 있게 되면(ST801 단계), 해당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정보를 기지국제어기(3)에 송신함으로써 단말기의 등록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 기지국제어기(3)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단말기정보를 교환기(4)를 통해 인증센터(5)에 전송하게 되고, 이 인증센터(5)는 해당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등록된 것이라면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바, 이 신호는 기지국제어기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되어 이후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키신호에 따라 호출처리를 실행하게 되고, 정상등록이 아닌 경우라면 이후 해당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키신호를 모두 무시하게 된다(ST802, ST803 단계).
이어, 단말기의 제어부(60)는 기지국으로부터 접속허용채널(AGCH)을 통해 접속 허용 신호가 수신된 이후(ST704 단계), 키입력부(61)의 수신응답신호키(61a)가 입력되게 되면(ST705 단계), 상기 제1모드저장부(62)의 모드상태를 수신응답신호 송출 모드로 셋트한 다음 이 수신응답신호를 안테나(21)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출하게 된다(ST705, ST706 단계).
이때, 기지국의 제어부(70)는 단말기로부터 수신응답신호가 수신되게 되면(ST804 단계), 상기 제2모드저장부(72)의 모드상태를 수신응답신호 송출모드로 셋트한 다음 이후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키신호를 대기하게 된다(ST805 단계).
이어, 단말기에서 수신응답신호 송출모드가 셋트된 상태에서 단말기 번호(전화번호)가 입력되게 되면(ST707 단계), 개개의 디지트(digit)를 기지국으로 실시간으로 송출하게 되는 바, 기지국에서는 이 단말기번호가 수신되게 되면(ST806 단계), 임시전화번호저장부(73)에 저장하게 된다(ST807 단계).
이어, 단말기의 제어부(60)는 키입력부(61)로부터 일련의 디지트(digit, 발신전용단말기와 연동되는 무선호출기의 호출번호)가 입력되면(ST708 단계), 상기한 바와 같은 개개의 디지트를 실시간으로 기지국으로 송출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60)는 소정 시간 대기시간을 소비하게 되는 바, 이는 기지국으로 송출한 데이터에 대한 처리시간을 감안한 것이다. 이후,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게 되면 수신응답신호 송출모드는 해제 및 종료하게 된다.
이때, 기지국의 제어부(70)는 단말기로부터 발신전용단말기와 연동되는 무선호출기의 디지트가 수신되게 되면(ST808 단계), 이 디지트를 상기 임시전화번호저장부(73)에 저장함과 더불어 이 임시전화번호저장부(73)에 저장되어 있는 일련의 디지트데이터를 기지국제어기(3)로 송출하게 된다(ST809 단계).
이어, 기지국제어기(3)는 일련의 디지트데이터를 인증센터(5)에 출력하여 호출번호가 정상적으로 등록된 것인지를 판단하게 되는 바(ST810 단계), 호출번호가 정상등록된 단말기의 고유번호라면 해당 단말기에 호출신호를 송출하도록 해당 기지국에 송출하게 된다(ST811 단계). 이후, 기지국은 호출된 해당 단말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게 되면(ST812 단계), 상기 메시지데이터저장부(71)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예컨대 0000(무선호출기 호출번호)의 수신이 확인되었습니다등의 음성매시지를 출력한 다음 종료하게 된다(ST813 단계).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에 수신응답신호 버튼을 구비하고 이 버튼을 누른 후 호출자의 호출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기지국에서는 수신확인에 따른 음성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호출자에게 피호출자가 호출음을 수신하였는 지를 알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발신 전용 단말기에 소정의 키를 구비하여 호출자의 호출신호에 대해서 피호출자가 호출신호 수신에 따른 수신 확인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출자에게 피호출자의 수신 확인을 알릴 수 있도록 된 개인 통신 시스템의 수신응답신호 송출 방법 및 그 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호출신호 수신에 대한 수신응답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신응답키를 구비하는 개인통신용 단말기와, 수신응답메시지를 저장하는 음성메시지저장수단을 구비하는 기지국을 포함하여 구성된 개인통신 시스템에서의 상기 호출 단말기에 대하여 수신응답신호를 송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 상기 기지국은 호출이 요구된 특정 단말기에 대하여 호출신호와 호출번호를 송출하는 호출단계와, 호출 대상의 단말기로부터 응답신호 입력을 판단하는 응답신호 판단단계, 상기 응답신호 판단단계에서 응답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음성메시지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수신응답메세지를 근거로 호출자에 대하여 수신응답을 실행하는 응답메시지 송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통신 시스템의 수신응답신호 송출방법.
  2. 개인통신용 단말기와, 이 개인통신용 단말기를 관리하는 기지국을 포함하여 구성된 개인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 상기 단말기는 호출신호의 수신에 대한 수신응답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수신응답키 및 다수의 숫자키를 구비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수신응답키가 선택된 이후 입력되는 디지트에 대한 호출신호를 상기 기지국에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지국은 소정의 음성메세지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메세지저장수단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응답키가 입력된 다음 입력되는 디지트를 근거로 호출요구 단말기를 호출하여 상기 음성메세지데이터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통신 시스템의 수신응답신호 송출장치.
KR1019960016850A 1996-05-18 1996-05-18 개인 통신 시스템의 수신응답신호 송출 방법 및 그 장치 KR100198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850A KR100198742B1 (ko) 1996-05-18 1996-05-18 개인 통신 시스템의 수신응답신호 송출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850A KR100198742B1 (ko) 1996-05-18 1996-05-18 개인 통신 시스템의 수신응답신호 송출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165A KR970078165A (ko) 1997-12-12
KR100198742B1 true KR100198742B1 (ko) 1999-06-15

Family

ID=19459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6850A KR100198742B1 (ko) 1996-05-18 1996-05-18 개인 통신 시스템의 수신응답신호 송출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87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165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33366B (en) Priority e911 call back during access class restrictions
KR100196442B1 (ko) 통신장치
JP2000228785A (ja) 無線通信装置
JP2005020477A (ja) 通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JP2004193641A (ja) 自動車電話装置
KR100198742B1 (ko) 개인 통신 시스템의 수신응답신호 송출 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83312A (ko) 이동단말기에서 특정전화번호 통화거부 방법 및 그 장치
KR0183266B1 (ko) 도난방지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KR19990061176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발신자 이름 표시방법
KR100198747B1 (ko) 개인 통신 시스템의 호출신호 재송출 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41237A (ko) 이동전화단말기의 유무선 겸용방법 및 그 장치
JP2000078070A (ja) 移動通信機器のメモリバックアップ方式、移動通信機器のメモリ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移動通信機器及び情報送受信装置
KR0179595B1 (ko) 기지국별 위치 보고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JP3269488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局
KR100259270B1 (ko) 지역번호 자동 선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방법
KR0179197B1 (ko) 기지국 선별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KR100198210B1 (ko) 발신자 번호 기록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198216B1 (ko) 대기시 특수음 발생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JP3229793B2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19980029193A (ko) 전화번호 자동 메모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KR0179596B1 (ko) 단위시간당 위치 보고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KR0179206B1 (ko) 고유정보 저장 카드를 이용한 접속 제어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KR0179589B1 (ko) 초기 인사말 전송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및 그 초기 인사말 전송 방법
KR19990009923A (ko) 발신 일시정지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KR19980029192A (ko) 이동단말기에서 페이저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