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9900A - Pusher Axle Control System for Heavy Vehicles - Google Patents

Pusher Axle Control System for Heavy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9900A
KR19990059900A KR1019970080114A KR19970080114A KR19990059900A KR 19990059900 A KR19990059900 A KR 19990059900A KR 1019970080114 A KR1019970080114 A KR 1019970080114A KR 19970080114 A KR19970080114 A KR 19970080114A KR 19990059900 A KR19990059900 A KR 19990059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usher axle
lift
ax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1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79430B1 (en
Inventor
박형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80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9430B1/en
Publication of KR19990059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9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430B1/en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차량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vehicle and to prevent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차량의 일측에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보관하는 에어탱크와, 차량의 프레임 하단에 설치되어 에어탱크의 압축에어를 인입시켜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차량의 푸쉬어 액슬을 업 또는 다운시키기 위한 푸쉬어 액슬 업다운 수단과, 상기한 푸쉬어 액슬 업다운 수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에어탱크 및 전원과 연결되며 푸쉬어 액슬을 업다운시키며 인가되는 전기를 제거해도 운전자가 설정한 자세를 유지하는 푸쉬어 액슬 업다운 제어 및 유지수단으로 이루어진다.An air tank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to store compressed air, and a pusher axle up-down to draw up or down the pusher axle of the vehicle at the driver's will by introducing compressed air of the air tank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of the vehicle. Means and a pusher axle up-down control and maintenance means connected to an air tank and a power source for controlling the pusher axle up-down means and maintaining a posture set by the driver even when the pusher axle is up-down and power is removed. Is done.

따라서 운전자는 이그니션키를 제거하여도 푸쉬어 액슬 업다운 제어 및 유지수단을 작동시키지 않음으로서 에어탱크를 푸쉬어 액슬 업다운 수단을 현재의 상태로 유지하여 푸쉬어 액슬이 적차중에 상승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river can prevent the pusher axle from rising while loading by removing the ignition key and by not operating the pusher axle up-down control and holding means by keeping the air tank in the current state.

Description

대형 차량의 푸쉬어 액슬 컨트롤 시스템Pusher Axle Control System for Heavy Vehicles

본 발명은 대형 차량에 적용되는 푸쉬어 액슬 업 다운 시스템(PUSHER AXEL UP DOWN SYSTEM)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ER AXEL UP DOWN SYSTEM applied to a large vehicle.

일반적으로 대형 차량의 특히 화물차량의 경우에 있어서는 싣고자 하는 화물의 무게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바퀴를 지지하는 축을 다수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화물차량은 각 축에 지지되는 화물의 하중이 일정한 범위를 넘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예를 들면 10X4(10륜을 갖는 차량에서 4륜이 구동륜임) 차량의 경우에는 적차 상태에서는 10륜이 모두 하중을 지지하한 상태에서 주행이 이루어지며, 공차 상태에서는 바퀴의 구름저항을 줄여 연비 및 타이어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1축을 업시켜 지면에서 이격시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in the case of large vehicles, especially freight vehicles, a number of axles supporting the wheels are used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cargo to be loaded. The cargo vehicle is regulated so that the load of the cargo supported on each axis does not exceed a certain rang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10X4 vehicle (four wheels are driving wheels in a vehicle having 10 wheels), driving is performed while all 10 wheels support a load in a loaded state, and in a tolerant state, the rolling resistance of the wheel is reduced to reduce fuel economy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tire, one axis is lifted up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도3은 일반적인 대형 차량의 측면도로서, 캡(101)과 프레임(103) 그리고 프레임(103)의 하단에 배치되는 다수의 바퀴(105)(107)(109)(111)(113)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퀴(105)(107)(109)(111)(113)는 5축으로 이루어지며 중간부에 배치되는 축의 바퀴(109)가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FIG. 3 is a side view of a typical heavy vehicle, showing a cab 101, a frame 103 and a number of wheels 105, 107, 109, 111, 113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103. have. The wheels 105, 107, 109, 111, 113 are formed in five axes and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wheels 109 of the shaft disposed in the middle portion can be selectively moved up and down,

상기한 바퀴(109)의 상하 이동은, 도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리프트 스프링(115), 라이드 스프링(117)에 의하여 이루어진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wheel 109 is performed by the lift spring 115 and the ride spring 117.

상기한 리프트 스프링(115)은 프레임(103)의 일측에 고정되는 브라켓(119)에 힌지 결합되고 회동레버(121)의 일측에 밀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이 회동레버(121)의 타단은 라이드 에어 스프링(117)의 하단에 밀착되어 배치된다.The lift spring 115 is hinged to the bracket 119 is fixed to one side of the frame 103 and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rotation lever 121. The other end of the pivot lever 121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ride air spring 117.

따라서 리프트 에어 스프링(115)의 에어가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라이드 에어 스프링(117)에 공기를 인입시키면 차축(123)은 지면측으로 이동하여 바퀴(109)가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고 리프트 에어 스프링(115)에 압축에어를 인입시키고 라이드 에어 스프링(117)의 에어를 배출시키면 회동레버(121)에 의하여 차축(123)은 지면에서 이격되는 방향을 이동하여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지 않게 된다.Therefore, when the air of the lift air spring 115 is controlled to be discharged and air is introduced into the ride air spring 117, the axle 123 moves to the ground side, so that the wheel 109 supports the load of the vehicle and the lift air spring ( When the compress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115 and the air of the ride air spring 117 is discharged, the axle 123 is moved by the pivoting lever 121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so as not to support the load of the vehicle.

도5는 상기한 차량의 공차상태에서 1축을 업시키거나 적차상태에서 다운시켜 하중을 지지하는 상태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푸쉬어 시스템을 도시한 회로도로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탱크(125) 그리고 상기한 에어탱크(125)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를 통하여 바퀴(109)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트 및 라이드 에어 스프링(115)(117)을 도시하고 있다.FIG.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usher system for driving in a state in which a single shaft is up or down in a stacked state to support a load in a vehicle tolerance state, and an air tank 125 for supplying air is shown in FIG. The lift and ride air springs 115 and 117 which move the wheel 109 up and down through a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pneumatic pressure supplied from the air tank 125 are shown.

상기한 제어장치는 이그니션 스위치(도시생략)와 연결되어 바퀴(109)를 업다운시키기 위한 업다운 스위치(119)와, 상기한 업다운 스위치(119)와 연결되며 또한 에어탱크(125)와 에어관로가 연결되는 마그네틱 밸브(127) 그리고 상기한 마그네틱 밸브(127)는 에어관로를 통하여 에어 릴레이 밸브(129)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에어 릴레이 밸브(129)는 에어탱크(125)와 에어관로로 연결되어 리프트 릴레이 밸브(131)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리프트 에어 릴레이 밸브(131)는 에어탱크(125)와 에어관로로 연결되며 또한 리프트 에어 스프링(115)과 역시 에어관로로 연결되어 에어 릴레이 밸브(129)의 제어에 따라 리프트 에어 스프링(115)으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control device is connected to the ignition switch (not shown), the up and down switch 119 for up and down the wheel 109, the up and down switch 119 is connected, and the air tank 125 and the air line is connected The magnetic valve 127 and the magnetic valve 127 are connected to the air relay valve 129 through the air line. The air relay valve 129 is connected to the air tank 125 and an air pipe line to control the lift relay valve 131. The lift air relay valve 131 is connected to the air tank 125 by an air line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lift air spring 115 by an air line to the lift air spring 115 under the control of the air relay valve 129. It is made to supply or shut off the air.

그리고 상기한 마그네틱 밸브(127)와 라이드 릴레이 밸브(133)를 에어관로로 연결하여 이 라이드 릴레이 밸브(133)를 제어한다. 상기한 라이드 릴레이 밸브(133)는 에어탱크(125)와 에어관로로 연결되고 또한 라이드 에어 스프링(117)과 에어관로로 연결되어 마그네틱 밸브(127)의 제어에 따라 라이드 에어 스프링(117)에 에어탱크(125)의 에어를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Then, the magnetic valve 127 and the ride relay valve 133 are connected by an air line to control the ride relay valve 133. The ride relay valve 133 is connected to the air tank 125 and the air line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ride air spring 117 and the air line to control the air to the ride air spring 117 under the control of the magnetic valve 127. It has a structure that can supply or block the air of the tank (125).

한편 마그네틱 밸브(127)와 라이드 릴레이 밸브(113) 사이에는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135)가 배치되어 라이드 에어 스프링(117)의 압력을 셋팅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control box assembly 135 is disposed between the magnetic valve 127 and the ride relay valve 113 to set the pressure of the ride air spring 117.

그리고 상기한 마그네틱 밸브(127)는 업다운 스위치(119)가 온 상태가 되면 에어탱크(125)의 에어를 통과시키며 오프 상태가 되면 에어를 차단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In addition, the magnetic valve 127 passes through the air of the air tank 125 when the up-down switch 119 is turned on, and when the up-down switch 119 is turned off, the magnetic valve 127 is turned off.

이러한 푸쉬어 시스템은 이그니션 키(도시생략)가 온 상태에서 업다운 스위치(119)를 온상태로 제어하게 되면 마그네틱 밸브(127)는 에어탱크(125)의 에어를 통과시켜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135) 및 에어 릴레이 밸브(129)로 에어를 공급한다. 그러면 에어 릴레이 밸브(129)는 에어가 인입됨에 따라 에어 릴레이 밸브(129)를 차단하여 리프트 릴레이 밸브(131)를 에어탱크(125)와 리프트 에어 스프링(115)을 연통시킴으로서 에어탱크(125)의 에어를 리프트 에어 스프링(115) 측으로 공급한다. 그러면 리프트 에어 스프링(115)에 에어가 공급되어 팽창하고 회동레버(121)에 의하여 라이드 에어 스프링(117)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135) 측으로 공급되는 에어는 라이드 릴레이 밸브(117)를 제어하여 에어탱크(125)의 공기가 라이드 스프링(117)으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배출포트를 오픈하게 된다.In such a pusher system, when the ignition key (not shown) is turned on to control the up-down switch 119 on, the magnetic valve 127 passes air from the air tank 125 to control the control box assembly 135 and Air is supplied to the air relay valve 129. Then, the air relay valve 129 shuts off the air relay valve 129 as the air is introduced, thereby communicating the lift relay valve 131 with the air tank 125 and the lift air spring 115 so that the air tank 125 Air is supplied to the lift air spring 115 side. Then, the air is supplied to the lift air spring 115 to expand and press the ride air spring 117 by the rotation lever 121. At this time, the air supplied to the control box assembly 135 controls the ride relay valve 117 to block the air of the air tank 125 from entering the ride spring 117 and open the discharge port.

그러면 라이드 에어 스프링(117)은 회동레버(121)에 의하여 저면에서 가압되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차축(123)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된다.Then, the ride air spring 117 is pressed from the bottom surface by the rotation lever 121 to space the axle 123 from the ground while the air insid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한편 업다운 스위치(119)를 오프상태로 작동시키면 마그네틱 밸브(127)는 에어탱크(125)의 에어를 차단하여 에어 릴레이 밸브(129)에 의하여 제어되는 리프트 릴레이 밸브(115) 및 컨트롤박스(135)와 연결되는 라이드 릴레이 밸브(133)에 에어의 공급을 차단한다.Meanwhile, when the up-down switch 119 is operated in the off state, the magnetic valve 127 blocks the air in the air tank 125 to control the lift relay valve 115 and the control box 135 controlled by the air relay valve 129. Shut off the supply of air to the ride relay valve 133 is connected to.

따라서 라이드 릴레이 밸브(117)는 에어탱크(125)의 에어가 유입되는 구조로 제어되어, 에어탱크(125)의 에어는 라이드 에어 스프링(117)으로 공급되고, 에어 릴레이 밸브(131)는 에어가 인입되지 않게 되어 리프트 릴레이 밸브(131)와 연결되는 관로를 통하여 에어탱크(125)의 에어가 에어 릴레이 밸브(129)를 통하여 리프트 릴레이 밸브(131)로 공급되도록 제어된다.Therefore, the ride relay valve 117 is controlled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air of the air tank 125 is introduced, the air of the air tank 125 is supplied to the ride air spring 117, the air relay valve 131 is air It is controlled so that the air of the air tank 125 is supplied to the lift relay valve 131 through the air relay valve 129 through the pipeline connected to the lift relay valve 131 is not drawn.

따라서 에어탱크(125)의 에어가 리프트 릴레이 밸브(131)를 통하여 리프트 에어 스프링(115)측으로 공급되지 않게 됨과 동시에 리프트 에어 스프링(115)의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어 차축(123)이 지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the air of the air tank 125 is not supplied to the lift air spring 115 through the lift relay valve 131,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of the lift air spring 115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move the axle 123 to the ground side. Done.

따라서 차축(123)에 고정되어 있는 바퀴(109)는 차량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wheel 109 fixed to the axle 123 is able to support the load of the vehicle.

상기한 종래의 푸쉬어 액슬 시스템은, 적차 상태에서 운전자가 시동을 오프하게 되면 마그네틱 밸브가 오프로 제어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바퀴가 지면에서 이격되어 상부로 이동함으로서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적차상태의 하중을 지지하지 못하여 차량의 내구성을 감소시키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내포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pusher axle system, when the driver turns off the engine in the loaded state, the magnetic valve is controlled to be off so that the wheels ar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moved upward so that they cannot support the load of the vehicle. Therefore, it can not support the load of the loading state reduces the durability of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containing a risk of safety accidents.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는 대형 차량의 푸쉬어 액슬 컨트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sher axle control system of a large vehicle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vehicle and to prevent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어 액슬 다운 상태를 도시한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usher axle dow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3에 대응하는 푸쉬어 액슬 업 상태를 도시한 회로도,FIG.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usher axle up state corresponding to FIG. 3; FIG.

도3은 일반적인 대형 차량의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a typical large vehicle,

도4는 도1의 주요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4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part of FIG.

도5는 도1 및 도2에 대응하는 종래의 푸쉬어 액슬 업 다운 컨트롤 시스템을 도시한 회로도이다.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pusher axle up-down control system corresponding to FIGS. 1 and 2.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차량의 푸쉬어 액슬 컨트롤 시스템은,Pusher axle control system of a larg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차량의 일측에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보관하는 에어탱크와,An air tank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vehicle to store compressed air;

차량의 프레임 하단에 설치되어 에어탱크의 압축에어를 인입시켜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차량의 푸쉬어 액슬을 업 또는 다운시키기 위한 푸쉬어 액슬 업다운 수단과,A pusher axle up-down mean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of the vehicle to draw in compressed air of the air tank to up or down the pusher axle of the vehicle at the driver's will;

상기한 푸쉬어 액슬 업다운 수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에어탱크 및 전원과 연결되며 푸쉬어 액슬을 업다운시키며 인가되는 전기를 제거해도 운전자가 설정한 자세를 유지하는 푸쉬어 액슬 업다운 제어 및 유지수단으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control the pusher axle up-down means, a pusher axle up-down control and maintenance means is connected to the air tank and the power supply, and the pusher axle up-down and maintains the posture set by the driver even when the applied electricity is removed.

따라서 운전자는 이그니션키를 제거하여도 푸쉬어 액슬 업다운 제어 및 유지수단을 작동시키지 않음으로서 에어탱크를 푸쉬어 액슬 업다운 수단을 현재의 상태로 유지하여 푸쉬어 액슬이 적차중에 상승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river can prevent the pusher axle from rising while loading by removing the ignition key and by not operating the pusher axle up-down control and holding means by keeping the air tank in the current sta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푸쉬어 액슬의 업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구성도로서, 압축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탱크(1), 상기한 에어탱크(1)의 압축에어를 공급받아 푸쉬어 액슬(도시생략)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푸쉬어 액슬 업다운 수단과, 상기한 푸쉬어 액슬 업다운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푸쉬어 액슬 업다운 제어 및 유지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up state of a pusher axle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tank 1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and the compressed air of the air tank 1 are described. A pusher axle up-down means for supplying a pusher axle (not shown) to raise or lower, and a pusher axle up-down control and hold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pusher axle up-down means are shown.

상기한 푸쉬어 액슬 업다운 수단은 리프트 및 라이드 에어 스프링(3)(5)을 포함하고 있다. 이 리프트 및 라이드 에어 스프링(3)(5)은, 종래기술의 도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Said pusher axle up-down means comprise a lift and ride air spring 3, 5. The lift and ride air springs 3 and 5 have the same structure as described in Fig. 4 of the prior art.

상기한 리프트 에어 스프링(3)은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고 회동레버의 일측에 밀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이 회동레버의 타단은 라이드 에어 스프링의 하단에 밀착되어 배치된다.The lift air spring 3 is hinged to the bracket fixed to one side of the frame and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pivoting lever. The other end of the pivot lever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ride air spring.

그리고 푸쉬어 액슬은 라이드 에어 스프링의 하단에 배치되어 라이드 스프링에 에어가 인입되면 지면에 접촉하여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고 라이드 스프링의 에어가 배출되면 지면과 이격되어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지 않게 된다.The pusher axle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ride air spring so that w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ride spring, it contacts the ground to support the load of the vehicle, and when the air of the ride spring is discharged, it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o not support the load of the vehicle.

상기한 푸쉬어 액슬 업다운 제어 및 유지 수단은, 에어탱크(1)와 리프트 에어 스프링(3) 및 라이드 에어 스프링(5)과 연결되는 에어관로에 각각 리프트 릴레이 밸브(7) 그리고 라이드 릴레이 밸브(9)가 배치되고, 이 리프트 및 라이드 릴레이 밸브(7)(9)는 푸쉬어 액슬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11)에 의하여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연결된다.The pusher axle up-down control and holding means includes a lift relay valve 7 and a ride relay valve 9 in an air line connected to the air tank 1, the lift air spring 3, and the ride air spring 5, respectively. ) And the lift and ride relay valves (7) (9) are connected to be controlled by a pusher axle control solenoid valve (11).

상기한 푸쉬어 액슬 솔레노이드 밸브(11)는 에어탱크(1)와 연결되고 스위치(13)에 의하여 조작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스위치(13)는 이그니션 스위치(15)와 연결되어 전원(17)을 공급받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pusher axle solenoid valve 11 is connected to the air tank 1 and to be operated by the switch 13. The switch 13 is connected to the ignition switch 15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receiving the power supply 17.

그리고 전원(17)은 또한 이그니션 스위치(15) 및 푸쉬어 액슬 업다운을 위한 스위치(13)를 통하여 푸쉬어 액슬 솔레노이드 밸브(11)에 인가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The power source 17 is also connected to the pusher axle solenoid valve 11 via an ignition switch 15 and a switch 13 for pusher axle updown.

상기한 푸쉬어 액슬 솔레노이드 밸브(11)는, 스위치(13)에 의하여 에어탱크(1)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라이드 릴레이 밸브(9)에 공급되고 리프트 릴레이 밸브(7)의 에어를 배출하거나, 라이드 릴레이 밸브(9)의 에어를 배출하고 리프트 릴레이 밸브(7)의 에어를 공급하는 포트를 포함하는 복동식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진다.In the pusher axle solenoid valve 11,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tank 1 by the switch 13 is supplied to the ride relay valve 9, and the air of the lift relay valve 7 is discharged. It consists of a double acting solenoid valve comprising a port for discharging air of the relay valve 9 and for supplying air of the lift relay valve 7.

한편으로 푸쉬어 액슬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11)와 라이드 릴레이 밸브(9) 사이에는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19)가 배치되어 라이드 에어 스프링(5)에 공급되는 에어의 압력을 셋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 control box assembly 19 is disposed between the pusher axle control solenoid valve 11 and the ride relay valve 9 so as to set the pressure of the air supplied to the ride air spring 5.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대형 차량의 푸쉬어 액슬 컨트롤 시스템은, 액슬 업다운을 위한 스위치(13)를 업 상태로 전환하면 에어탱크(1)의 압축에어가 푸쉬어 액슬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11)를 통하여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19)를 통하여 라이드 릴레이 밸브(9)로 공급된다. 그러면 라이드 릴레이 밸브(9)는 에어탱크(1)의 에어가 라이드 에어 스프링(5)으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라이드 에어 스프링(5)내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In the pusher axle control system of a large vehicle, the compressed air of the air tank 1 is pushed through the control box assembly through the pusher axle control solenoid valve 11 when the switch 13 for axle updown is turned up. It is supplied to the ride relay valve 9 via 19. Then, the ride relay valve 9 blocks air from the air tank 1 from entering the ride air spring 5 and simultaneously controls the discharge of the air in the ride air spring 5.

그리고 리프트 릴레이 밸브(7)는 푸쉬어 액슬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11)와 연결되는 제어관로의 공기압이 배출되도록 제어되어 리프트 릴레이 밸브(7)를 통하여 에어탱크의 공기가 리프트 에어 스프링(3)측으로 인입되어 푸쉬어 액슬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승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ift relay valve 7 is controlled so that the air pressure in the control pipe connected to the pusher axle control solenoid valve 11 is discharged so that the air of the air tank enters the lift air spring 3 side through the lift relay valve 7. The pusher axle rises away from the ground.

따라서 푸쉬어 액슬에 고정되는 바퀴는 상승하게 된다.Therefore, the wheel fixed to the pusher axle is raised.

그리고 액슬 업다운을 위한 스위치(13)를 업 상태를 해제하고 다운상태로 위치시키면, 도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에어탱크(1)의 압축에어가 푸쉬어 액슬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11)를 통하여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19)로 전달되어 라이드 릴레이 밸브(9)로 전달되던 에어는 배출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라이드 릴레이 밸브(9)는 에어탱크(1)의 에어가 라이드 에어 스프링(5)으로 인입되도록 제어된다.When the switch 13 for axle up and down is released and positioned in the down state, as shown in FIG. 2, the compressed air of the air tank 1 is pushed through the pusher axle control solenoid valve 11. The air delivered to the control box assembly 19 and to the ride relay valve 9 is discharged. The ride relay valve 9 is then controlled to allow air from the air tank 1 to enter the ride air spring 5.

그리고 이와 동시에 리프트 릴레이 밸브(7)는 푸쉬어 액슬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11)와 연결되는 제어관로를 통하여 에어탱크(1)의 에어가 인입되도록 제어됨과 동시에 리프트 릴레이 밸브(7)를 통하여 리프트 에어 스프링(3)내의 에어가 배출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진다.At the same time, the lift relay valve 7 is controlled such that the air in the air tank 1 is drawn in through a control conduit connected to the pusher axle control solenoid valve 11, and at the same time, the lift air spring is lifted through the lift relay valve 7. Control is made so that the air in (3) is discharged.

따라서 에어탱크(1)의 공기가 라이드 에어 스프링(5)측으로만 인입되어 푸쉬어 액슬은 지면과 밀착되도록 하강함으로서 바퀴 역시 하강하여 차량의 하중을 받게 된다.Therefore, the air of the air tank 1 is drawn only to the ride air spring 5 side, so that the pusher axl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the wheels are also lowered to receive the load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차량의 푸쉬어 액슬 컨트롤 시스템은, 이그니션 키의 제거에 관계없이 푸쉬어 액슬 업다운 수단이 현재의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적차중에 푸쉬어 액슬이 상승하는 일을 방지하여 차축의 적정량의 하중지지에 의한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pusher axle control system of a larg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pusher axle from rising during the loading process by maintaining the current state of the pusher axle up-down means regardless of the removal of the ignition key. Durability by support can be increased, and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Claims (4)

차량의 일측에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보관하는 에어탱크와,An air tank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vehicle to store compressed air; 차량의 프레임 하단에 설치되어 에어탱크의 압축에어를 인입시켜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차량의 푸쉬어 액슬을 업 또는 다운시키기 위한 푸쉬어 액슬 업다운 수단과,A pusher axle up-down mean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of the vehicle to draw in compressed air of the air tank to up or down the pusher axle of the vehicle at the driver's will; 상기한 푸쉬어 액슬 업다운 수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에어탱크 및 전원과 연결되며 푸쉬어 액슬을 업다운시키며 인가되는 전기를 제거해도 운전자가 설정한 자세를 유지하는 푸쉬어 액슬 업다운 제어 및 유지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차량의 푸쉬어 액슬 컨트롤 시스템.In order to control the pusher axle up-down means, it is connected to an air tank and a power source, and push-up axle up-down and pusher axle up-down control and maintenance means for maintaining the posture set by the driver even when the applied electricity is removed. Pusher axle control system for heavy vehicles. 제1항에 있어서, 푸쉬어 액슬 업다운 수단은 차량의 프레임 하단에 배치되어 에어탱크의 공기가 인입됨에 따라 푸쉬어 액슬을 업시키고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킴에 따라 푸쉬어 액슬을 다운시키기 위한 리프트 에어 스프링과,2. The lift ai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sher axle up-down means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of the vehicle to lift the pusher axle as the air in the air tank is drawn in, and to lower the pusher axle as the air is discharged. Spring, 상기한 리프트 에어 스프링과 회동레버에 의하여 연동하여 작동하며 리프트 에어 스프링에 압축공기가 인입되면 내부 에어탱크의 공기 배출되고 리프트 에어 스프링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면 에어탱크의 공기가 인입되어 푸쉬어 액슬을 다운시켜 하중을 지지하는 라이드 에어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차량의 푸쉬어 액슬 컨트롤 시스템.It operates by interlocking with the lift air spring and the rotation lever. When compress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lift air spring,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inner air tank. When the air inside the lift air spring is discharged, the air of the air tank is drawn in to push the axle. A pusher axle control system for a larg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ide air spring that supports the load by lowering it. 제1항에 있어서, 푸쉬어 액슬 업다운 제어 및 유지수단은, 에어탱크의 에어를 리프트 및 라이트 에어 스프링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에어 릴레이 밸브와,The air conditioner of claim 1, wherein the pusher axle up-down control and maintenance means comprises: an air relay valve for selectively supplying or discharging air from the air tank to the lift and light air springs; 상기한 에어탱크와 연결되어 에어 릴레이 밸브에 선택적으로 에어를 공급하여 에어 스프링과 리프트 및 라이트 에어 스프링에 공기를 인입시키거나 차단 그리고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푸쉬어 액슬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와,A pusher axle control solenoid valve connected to the air tank and selectively supplying air to the air relay valve to control the air spring to the air spring, the lift and the light air spring to enter or block the air, and maintain the current state; 상기한 푸쉬어 액슬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차량의 푸쉬어 액슬 컨트롤 시스템.A pusher axle control system for a larg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pusher axle control solenoid valve. 제3항에 있어서, 푸쉬어 액슬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스위치에 의하여 에어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라이드 릴레이 밸브에 공급되고 리프트 릴레이 밸브의 에어를 배출하거나, 라이드 릴레이 밸브의 에어를 배출하고 리프트 릴레이 밸브의 에어를 공급하는 포트를 포함하는 복동식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차량의 푸쉬어 액슬 컨트롤 시스템.4. The pusher axle control solenoid valve of claim 3, wherein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tank by the switch is supplied to the ride relay valve and discharges air of the lift relay valve, or discharges air of the ride relay valve and Pusher axle control system for heavy vehicles, characterized by a double acting solenoid valve with a port for supplying air.
KR1019970080114A 1997-12-31 1997-12-31 Pusher Axle Control System for Heavy Vehicles KR1002794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114A KR100279430B1 (en) 1997-12-31 1997-12-31 Pusher Axle Control System for Heavy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114A KR100279430B1 (en) 1997-12-31 1997-12-31 Pusher Axle Control System for Heavy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900A true KR19990059900A (en) 1999-07-26
KR100279430B1 KR100279430B1 (en) 2001-02-01

Family

ID=6618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114A KR100279430B1 (en) 1997-12-31 1997-12-31 Pusher Axle Control System for Heavy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943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089B1 (en) * 2002-06-29 2005-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ag axle system of automotive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089B1 (en) * 2002-06-29 2005-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ag axle system of automotive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9430B1 (en) 200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5648B1 (en) Motor vehicle pneumatic jacklift system
AU648057B2 (en) Height control of air suspended vehicles
US4736958A (en) Air suspension system with automatic air exhaust and inflation
US20020117823A1 (en) Lift axle control system
JP2015504806A (en) Automobile air suspension system
EP0240661B1 (en) Liftable axle with load control
KR100279430B1 (en) Pusher Axle Control System for Heavy Vehicles
US4865349A (en) Air suspension deflation control system with automatic reinflation and control reset
KR200258409Y1 (en) Pneumatic control system of auxiliary wheel unloading device for trailer vehicle and heavy cargo vehicle
GB2288771A (en) Trailer with air suspension and a lift-axle
KR200168513Y1 (en) Pusher axle pneumatic system
KR100251329B1 (en) A magnetic valve structure for lifting system
KR20120079990A (en) Pusher axle system for a heavy duty truck
CN116265270A (en) Valve assemb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fting driven axle of a trailer
KR20050038691A (en) A pusher axle system for vehicle
JPH057099Y2 (en)
KR20010004423A (en) Apparatus for rise and fall of cars
KR100208528B1 (en) Apparatus for elevating driven wheel of freight carrier
KR100213504B1 (en) Tag axle moving device
AU610994B2 (en) Air suspension deflation control system with automatic reinflation and control reset
KR20030030466A (en) Auto pusher axle system according to a loads
KR880001658Y1 (en) A vehicle
JP2584614Y2 (en) Crouching device for vehicles with air suspension
JPS61268510A (en)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car
JPS6118511A (en) Car-height adjusting apparatus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