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8836A - 페이징 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비밀번호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페이징 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비밀번호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8836A
KR19990058836A KR1019970079010A KR19970079010A KR19990058836A KR 19990058836 A KR19990058836 A KR 19990058836A KR 1019970079010 A KR1019970079010 A KR 1019970079010A KR 19970079010 A KR19970079010 A KR 19970079010A KR 19990058836 A KR19990058836 A KR 19990058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password
mailbox
mailbox password
pag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9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8836A/ko
Publication of KR19990058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83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22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 H04W84/027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providing pag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이징 시스템의 음성 사서함(VMS)에 비밀번호 기능 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호출을 위한 페이징 시스템의 음성 사서함에 음성을 녹음하는 경우 사서함 비밀번호를 요청하여 시스템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페이징 시스템의 가입자 서비스에 있어서, 호출자가 음성 호출을 시도하는 경우, 사서함 비밀번호를 요구하는 단계, 입력된 사서함 비밀번호가 유효하지 않으면 재입력을 요구하는 단계, 재입력된 사서함 비밀번호가 3회까지 유효하지 않으면 음성 호출을 종료하는 단계 및 입력된 사서함 비밀번호가 유효하면 음성 녹음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페이징 시스템의 음성 호출 서비스에서 사서함 비밀번호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 음성 사서함의 노출을 방지하여 가입자가 필요에 의한 음성 호출만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가입자는 언제든지 사서함 비밀번호 기능의 승인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음성 사서함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페이징 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비밀번호 구현 방법
본 발명은 페이징 시스템(Paging System)의 음성 사서함(Voice Mail System: VMS)에 비밀번호 기능 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호출을 위한 페이징 시스템의 음성 사서함에 음성을 녹음하는 경우 사서함 비밀번호를 요청하여 시스템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페이징 시스템(Paging System)이란 페이저(Pager)에 무선으로 각종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할당된 영역인 셀(Cell)마다 기지국(Site)을 두어 호출하기 위한 호 데이터(Page Data)를 페이징 터미널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영역의 페이저로 무선 호출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일반적인 페이징 시스템은 가입자로부터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호데이터를 생성시키는 터미널 부분과, 이 호데이터를 터미널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페이저로 무선주파수를 발사하는 기지국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 부분은, 다시 터미널로부터 호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중인 프로토콜에 맞게 조합한 뒤, 호 데이터의 동시송출을 위하여 GPS 수신기로부터 받은 절대시간 정보(기준 클럭 신호) 등에 의하여 동기를 맞춰 송신기로 보내는 송신기 제어기 부분과; 제어기로부터 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 주파수로 변조한 뒤 해당 페이저로 발사하는 송신기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페이징 시스템에서 종래 기술에 의한 페이징 서비스의 시나리오는 도 1 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페이징 서비스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출자가 페이지 서비스에 접속을 하게 되면 먼저 안내 프롬프트(Prompt)가 표시된다. 안내 프롬프트는 페이저의 숫자 호출 서비스(Numeric Call Service)과 음성 호출 서비스(Voice Call Service) 및 가입자 서비스(Subscriber Service)의 세가지 메뉴를 안내한다. 여기서 가입자 서비스를 선택하게 되면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나오게 된다.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메시지 청취와, 부가 서비스, 호출 정보 변환 및 이용 방법 안내이 네 가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청취는 다음 메시지 청취와 이전 메시지 청취, 메시지 반복 청취 및 메시지 삭제 또는 보존 서비스로 구분된다. 상기 부가 서비스는 인사말 청취와 인사말 변경, 삭제 및 보존 및 비밀번호 변경 서비스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페이징 서비스에서, 음성 호출 서비스는 음성 정보의 저장을 위한 음성 사서함(VMS)을 운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음성 호출은,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화로가 설정된 다음 2번을 입력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가입자 인사말(Custom Prompt)이 존재하면 인사말이 동작한 후 신호음과 함께 음성 녹음을 시작한다.
녹음이 끝나면 '*'를 눌러 녹음이 완료되었음을 시스템에 알린다. 그러면 시스템이 음성 호출을 수행한다. 음성 사서함은 보통 하드 디스크(Hard Disk Drive: HDD)를 이용하여 가입자별로 파일로 관리한다. 그러므로 가입자 마다 음성 사서함의 사용 용량이 정해져 있고 그 용량이 다하게 되면 더 이상의 음성 호출이 불가능하다. 또한 음성 사서함은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가입자 번호를 누르면 누구든지 음성 호출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음성 사서함의 보관에 관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페이징 서비스를 제공받는 가입자의 기호에 따라 음성 사서함에 비밀번호를 설정함으로서 음성 사서함의 노출을 제한하고 필요에 의한 음성 호출만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페이징 시스템의 음성 사서함에 비밀번호 기능 구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페이징 서비스의 시나리오를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페이징 서비스에서의 음성 호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페이징 서비스의 시나리오를 나타낸 구성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페이징 시스템의 가입자 서비스에 있어서,
호출자가 음성 호출을 시도하는 경우, 사서함 비밀번호를 요구하는 제 1 단계와;
입력된 사서함 비밀번호가 유효하지 않으면 재입력을 요구하는 제 2 단계;
재입력된 사서함 비밀번호가 3회까지 유효하지 않으면 음성 호출을 종료하는 제 3 단계; 및
입력된 사서함 비밀번호가 유효하면 음성 녹음을 수행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시스템의 가입자 서비스는, 음성 사서함 비밀번호를 요구할지 안할지를 선택할 수 있는 사서함 비밀번호 승인 기능과, 음성 사서함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는 사서함 비밀번호 변경 기능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페이징 시스템의 가입자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 정보는, 사서함 비밀번호 기능의 승인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와;
사서함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필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서함 비밀번호 관련 필드는, 가입자가 페이징 시스템의 가입자 서비스를 통해서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서함 비밀번호 관련 필드는, 페이징 시스템의 서비스 운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원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페이징 시스템의 음성 사서함(VMS)에 음성을 녹음할 때 비밀번호 기능을 부여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입자의 기호에 따라 음성 녹음시 사서함 비밀번호를 호출자에게 요청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페이징 서비스에서의 음성 호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징 서비스에서 음성 호출을 시도한 경우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내었다.
페이징 시스템에서 음성 호출 시에 음성 사서함의 보안을 위해 사서함 비밀번호를 설정해야 한다. 사서함 비밀번호에 관련된 서비스는, 호출자가 음성 호출에 관련한 번호를 입력하였을 경우 시스템 프롬프트에 의해 요청된다. 호출자가 유효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였을 경우에만 음성 녹음을 수용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서함 비밀번호의 요청에 관한 시스템 프롬프트를 필요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페이징 서비스의 시나리오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 서비스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부가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사서함 비밀번호 승인 기능과 사서함 비밀번호 변경 기능을 추가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페이징 서비스 프로그램의 내부에는 가입자 정보(Subscriber Database)에 사서함 비밀번호 기능의 서비스 상태를 나타내는 필드(Field)와 사서함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필드가 부가되어, 가입자가 직접 또는 운용자를 통하여 서비스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페이징 시스템에서 음성 호출시에 사서함 비밀번호의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서, 먼저 호출자가 통화로를 형성한 다음 음성 호출에 관한 키를 입력한다. 시스템은 가입자 정보를 통하여 현재의 가입자가 사서함 비밀번호의 기능을 원하는지 검색한다. 만약 사서함 비밀 번호의 기능이 승인되어 있지 않으면 바로 음성 녹음을 수행하고, 승인되어 있으면 시스템 프롬프트를 통해서 사서함 비밀 번호를 요구하게 한다.
이때 가입자 정보에는 사서함 비밀 번호 기능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비트 필드(Bit Field)와 사서함 비밀 번호를 저장할 4바이트의 필드가 참조된다. 호출자로부터 유효한 비밀번호가 입력되었으면 종래의 방식과 마찬가지로 음성 녹음을 수행하게 한다. 비밀번호가 유효하지 않으면 3회까지 재시도를 허가한다. 3번의 재시도 후에도 유효한 비밀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고 음성 호출을 종료한다.
음성 서비스를 받고 있는 가입자가 사서함 비밀 번호의 기능을 가입자 서비스에서 직접 운용하기 위해서는 도 3 에서와 같이 가입자 서비스 메뉴에 두 개의 메뉴를 추가해야 한다. 사서함 비밀번호 승인 기능(5번)은 사서함 비밀번호 기능에 대한 승인 여부를 가입자가 토글(Toggle)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사서함 비밀번호 변경 기능(6번)은 가입자가 이 메뉴를 통해서 사서함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사용 방법은 가입자 서비스의 비밀번호 변경 방식(4번)과 거의 동일하다. 또한 상기에 기술한 사서함 비밀번호 승인 기능과 사서함 비밀번호 변경 기능에 관한 메뉴는 운용자가 가입자 정보 메뉴에서 수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페이징 시스템의 음성 호출 서비스에서 사서함 비밀번호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 음성 사서함의 노출을 방지하여 가입자가 필요에 의한 음성 호출만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가입자는 언제든지 사서함 비밀번호 기능의 승인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음성 사서함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Claims (5)

  1. 페이징 시스템의 가입자 서비스에 있어서,
    호출자가 음성 호출을 시도하는 경우, 사서함 비밀번호를 요구하는 제 1 단계와;
    입력된 사서함 비밀번호가 유효하지 않으면 재입력을 요구하는 제 2 단계;
    재입력된 사서함 비밀번호가 3회까지 유효하지 않으면 음성 호출을 종료하는 제 3 단계; 및
    입력된 사서함 비밀번호가 유효하면 음성 녹음을 수행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징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사서함 비밀번호 구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시스템의 가입자 서비스는, 음성 사서함 비밀번호를 요구할지 안할지를 선택할 수 있는 사서함 비밀번호 승인 기능과, 음성 사서함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는 사서함 비밀번호 변경 기능을 추가로 포함하는, 페이징 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비밀번호 구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시스템의 가입자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 정보는,
    사서함 비밀번호 기능의 승인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와;
    사서함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필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페이징 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비밀번호 구현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함 비밀번호 관련 필드는, 가입자가 페이징 시스템의 가입자 서비스를 통해서 변경할 수 있는, 페이징 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비밀번호 구현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서함 비밀번호 관련 필드는, 페이징 시스템의 서비스 운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페이징 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비밀번호 구현 방법.
KR1019970079010A 1997-12-30 1997-12-30 페이징 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비밀번호 구현 방법 KR19990058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010A KR19990058836A (ko) 1997-12-30 1997-12-30 페이징 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비밀번호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010A KR19990058836A (ko) 1997-12-30 1997-12-30 페이징 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비밀번호 구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836A true KR19990058836A (ko) 1999-07-26

Family

ID=6618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010A KR19990058836A (ko) 1997-12-30 1997-12-30 페이징 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비밀번호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88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798A (ko) * 1999-11-29 2001-06-15 서평원 음성정보 처리장치에서의 가입자 인증방법
KR100395457B1 (ko) * 1999-08-28 2003-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사서함의 해킹 방지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457B1 (ko) * 1999-08-28 2003-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사서함의 해킹 방지방법
KR20010048798A (ko) * 1999-11-29 2001-06-15 서평원 음성정보 처리장치에서의 가입자 인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1639B1 (en) Telephone whose setting details can be changed, and telephone capable of changing settings of called telephone
US703565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network controller for affiliation with associated groups and method thereof
US7421270B2 (en) Method of remotely changing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communications device
US6246756B1 (en) Method and system to meter and control usage of telephone systems
US6751483B1 (en) Method of displaying a local time of a called party in a portable mobile terminal
US20010055038A1 (en) Method for changing menu icon and editing menu configuration in a mobile telephone
US702421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a mobile terminal
US6590887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in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hort message service function
KR20000013272A (ko)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개선된 단문메시지 발신 방법
EP1530351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ackground music
US7096008B2 (en) Service method in a mobile terminal
KR20030009000A (ko)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하여 문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EP1028576A2 (en) Message transmission method for digital portable terminal
KR19990058836A (ko) 페이징 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비밀번호 구현 방법
KR100496954B1 (ko) 다중 사용자 환경 지원 핸드폰
US20070072592A1 (en) Method of receiving a call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20010087601A (ko) 휴대폰을 이용한 궁합/사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50119021A1 (en)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 transfer function
JP2002300298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20040044824A (ko) 접두번호 자동설정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363316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100198210B1 (ko) 발신자 번호 기록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67352B1 (ko) 국제호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009260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JP2000286990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