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8088A - 분산구조를 갖는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분산구조를 갖는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8088A
KR19990058088A KR1019970078172A KR19970078172A KR19990058088A KR 19990058088 A KR19990058088 A KR 19990058088A KR 1019970078172 A KR1019970078172 A KR 1019970078172A KR 19970078172 A KR19970078172 A KR 19970078172A KR 19990058088 A KR19990058088 A KR 19990058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subscriber
distributed structure
transmission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0029B1 (ko
Inventor
금호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8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029B1/ko
Publication of KR19990058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5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balancing the load, e.g. traffic engin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50Overload detection or protection within a single switch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분산구조를 갖는 전송장치가, 트렁크 및 아이에스디엔 가입자 유니트 등에 프로세서를 장착하고, 아이디엘씨 기능 구현에 따른 메시지 처리를 주제어부와 함께 상기 트렁크 및 아이에스디엔 가입자 유니트 등에서 분담하여 수행한다.

Description

분산구조를 갖는 전송장치
본 발명은 IDLC(Integrated Digital Loop Career;V5.2) 기능 구현 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시지를 분산 처리하는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PSTN 망에서서는 음성급 서비스를 우선으로 장비를 계발하여 왔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ITU G.703, G.704 규격에 준한 DS1/(E1)(1,544Mbps, 2,048Mbps) 프로토콜을 만족시키기 위한 장비(KD-4, PCM32-T, FLC-A/B) 개발에 주력해 왔다. 또한 장비들과의 통신(즉 교환기<->교환기, 전송장비<->전송장비)을 위해서는 부가적으로 다양한 프로토콜(TCP/IP, HDLC(에이치디엘씨 ; high-level data rink control))이 쓰였지만, 유지보수를 위한 매우 미약한 양(수kbps~수십kbps)의 부가적인 기능일 뿐이다.
또한 앞으로 가입자측 서비스를 위해서는 음성 서비스를 위한(SLC-T), 협대역 ISDN(2B+D)를 위한, 또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OCUDP) 등 다양한 채널 유니트가 필요하다. 그리고 교환기측과의 접속을 위해서도 교환기의 종류(아날로그 교환기, 반전자식 교환기, 전전자식 교환기)에 따라 다양한 채널 유니트(DPO, DPT, 2W, 4W, SLC-T)가 필요하다.
따라서 교환기 및 가입자 전송장비 채널 유니트가 많아질 수밖에 없고, 거기에 따라 장비도 비대해져 가격 경쟁력에서도 문제가 있고, 유지보수 측면에서도 힘들어질 수 밖에 없다.
즉 현재의 상기 CAS 형태의 프로토콜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없으며, 새로운 프로토콜(ITU-T G.964, G.965 IDLC)로서 보다 체계화된 메시지 정보 교환 방식(message swtching)이 필요하다.
여기서 상기 IDLC 기능 구현 전송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도 1를 참조하면, 음성가입자111, 데이터가입자112, ISDN가입자113 등이 TDM(Time Division Mux)을 구성하여 스위칭부114로 PCM화된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스위칭부114는 주제어부116의 제어하에 상기 PCM 화된 데이터를 해당 트렁크115 링크를 통해 교환기117로 전송한다.
이때 IDLC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으로 약속되어진 V5.2라는 프로토콜을 따르게 되는데, 상기 프로토콜은 매우 복잡하여 시스템 부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가입자의 데이터 경로는 기존의 시스템과 별다를 바가 없지만 거의 리얼타임으로 메시지를 처리해햐 하기 때문이다.
특히, ISDN 가입자113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라면 상기 ISDN 종단장치에서 발생하는 패킷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므로 시스템 부하가 더욱더 가중된다. 이와 더불어 주제어부(CCU;Channel Control Unit)116은 음성가입자의 후크온(hook on), 후크오프(hook off) 및 트렁크115의 성능 정보까지도 일정시간마다 리얼타임(real time)으로 계속해서 읽어들여야 하고, 가입자 유니트를 제어하는 제어 버스의 신호도 일정 시간만다 제어해야 되는데, 이는 가입자 유니트가 많이 실장되면 될 수록 시스템 부하는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 부하의 증가는 시스템 성능에 커다란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송장치에서 시스템 부하를 분산시켜 일정 프로세서 유니트에서 책임져야할 부하를 줄임으로서 시스템의 성능 및 안정성을 높힐 수 있는 전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분산구조를 갖는 전송장치가, 트렁크 및 아이에스디엔 가입자 유니트 등에 프로세서를 장착하고, 아이디엘씨 기능 구현에 따른 메시지 처리를 주제어부와 함께 상기 트렁크 및 아이에스디엔 가입자 유니트 등에서 분담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송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장치의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송장치는 크게 다수의 가입자 유니트들(음성가입자211, 데이타가입자212, ISDN가입자213)과 주제어부216의 제어하에 상기 가입자 유니트들(211, 212, 213)과 트렁크215간에 PCM 데이터 경로를 연결하는 스위칭부214와, 상기 트렁크215로 부터 유입되는 메시지를 처리하거나 교환기217 측으로 전송할 메시지 등을 생성하는 주제어부216과, 통화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그 감시 제어를 수행하는 트렁크21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트렁크215는 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있어 본 발명에 따른 IDLC 일부 기능을 처리하도록 하였다.
즉, 기존의 구성과는 다르게 트렁크215 내부에 프로세서를 내장하여 트렁크215에서 수행하여야 하는 고유기능(성능 정보감시 및 초기 프로비젼(provision) 데이터의 셋팅) 외에 IDLC의 기능 일부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ISDN 유니트213에도 프로세서를 장착시켜 ISDN 종단장치에서 발생하는 패킷을 일차적으로 처리하도록 하였으며, 메시지를 ISDN 유니트213에서 주제어부216을 거치치 않고 직접 트렁크215로 전달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트렁크215와 주제어부216이 통신을 할 때는 또다른 IPC(Inter-Procesor Communication) 버스 및 DPM(Dual Port memory)를 통하도록 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상기 도 1의 구성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일단 가입자 유니트(211,212,213)에서 발생한 PCM화된 데이터의 경로는 기존의 방식대로 전송되지만, 메시지 경로는 본 발명에 따라 기존의 방식과는 다르게 전송되어진다.
우선 음성가입자와 데이터 가입자인 경우의 메시지 경로를 살펴보면, 호 발생시 주제어부216에서는 상기 호의 시작을 감지하여 먼저 필요한 메시지를 만들어 메시지 경로2(218)를 통해 트렁크215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트렁크215에서는 상기 메시지에 LAPD(link access procedure for the D channel;랩디) 어드레스를 추가하여 교환기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ISDN 가입자인 경우를 살펴보면, 가입자의 데이터는 PCM화되어 데이터 경로를 통해 기존의 방식대로 교환기에 전송되지만, D-CHANNEL(시그널링 채널), 즉 패킷 데이터는 ISDN 유니트213에서 일차적으로 패킷 데이터를 집선하여 메시지 경로1(219)을 통해 트렁크215로 직접 전송한다. 또한 이렇게 전송되어진 데이터는 상기 트렁크215에서 분석하여 LAPD 어드레스를 추가하여 교환기로 전송한다.
한편 교환기217로부터 수신한 스위칭 정보는 상기 트렁크215에서 분석하여 스위칭정보로 판단되면 이를 IPC 혹은 DPM을 통해 주제어부216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주제어부216은 상기 트렁크215로 부터 수신한 스위칭정보를 토대로 상기 가입자 유니트들(211, 212, 213)과 트렁크215간에 스위칭부214를 제어하여 PCM 데이터 경로를 연결한다.
상기한 바대로 기존의 메인 프로세서가 부담하던 부하를 ISDN 유니트213, 트렁크 유니트215로 적정히 분산시켜 수행함으로서 부하의 병목 현상을 없앨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송장치에서 시스템 부하를 분산시켜 많은 가입자가 연결되었을 경우 발생할지도 모를 시스템 다운(DOWN)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 효율을 증대시킬 수가 있다.

Claims (4)

  1. 분산구조를 갖는 전송장치에 있어서,
    트렁크 및 아이에스디엔 가입자 유니트 등에 프로세서를 장착하고,
    아이디엘씨 기능 구현에 따른 메시지 처리를 주제어부와 함께 상기 트렁크 및 아이에스디엔 가입자 유니트 등에서 분담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구조를 갖는 전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에스디엔 가입자 유니트가,
    각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일차적으로 집선하여 직접 상기 트렁크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구조를 갖는 전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가,
    상기 주제어부 및 상기 아이에스디엔 가입자 유니트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 데이터에 대해 랩디 어드레스를 추가하여 교환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구조를 갖는 전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와 상기 주제어부간의 통신이 아이피시 버스 또는 디피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구조를 갖는 전송장치.
KR1019970078172A 1997-12-30 1997-12-30 분산구조를 갖는 전송장치 KR100260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172A KR100260029B1 (ko) 1997-12-30 1997-12-30 분산구조를 갖는 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172A KR100260029B1 (ko) 1997-12-30 1997-12-30 분산구조를 갖는 전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088A true KR19990058088A (ko) 1999-07-15
KR100260029B1 KR100260029B1 (ko) 2000-06-15

Family

ID=1952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172A KR100260029B1 (ko) 1997-12-30 1997-12-30 분산구조를 갖는 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00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0029B1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1591A (en) Signaling network gateway device and method for use in a signaling network
US5349579A (en) Telecommunication switch with programmable communications services
KR100567707B1 (ko) 전화 통신 게이트웨이 장치 및 방법
CA2314927C (en) Communication system architecture and a management control agent and operating protocol therefor
KR100281090B1 (ko)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
US6744875B1 (en) Method for switching a first communication link to a second communication link between two communication systems
EP0969689B1 (en) Switching internet traffic through digital switches having a time slot interchange network
EP0983693B1 (en) Control of communication traffic
KR100260029B1 (ko) 분산구조를 갖는 전송장치
US6665290B1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0163148B1 (ko) 서비스 통합형 디지탈 전전자교환기
KR100797748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
KR100264855B1 (ko) 아이디엘씨기능구현을위한가입자전송장치
KR100233909B1 (ko) Isdn 교환 시스템의 프레임 릴레이 교환 방법
WO1998056142A2 (en) Procedure for the switching of data traffic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KR940007917B1 (ko) Isdn 사용자부의 구현방법
KR100327964B1 (ko)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를 위한 인터넷 상시접속 장치
JP4167414B2 (ja) 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AU783012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telecommunications control
KR100307927B1 (ko) 회선 교환 시스템에서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으로의 톤제공방법
KR100219227B1 (ko) Isdn 사용자-망 접속의 계층3에서 설정 표시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0176398B1 (ko)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원격교환장치를 수용하는 방법
KR950005981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공통선 신호방식 사용자부의 회선 식별 부호 번역 방법
Hac Network time slots allocation by using a time multiplexed switch in a telecommunications architecture
KR19990075738A (ko) 데이터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교환기와 연동기능장치간정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