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7180A - 음성 확인 페이저 - Google Patents

음성 확인 페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7180A
KR19990057180A KR1019970077228A KR19970077228A KR19990057180A KR 19990057180 A KR19990057180 A KR 19990057180A KR 1019970077228 A KR1019970077228 A KR 1019970077228A KR 19970077228 A KR19970077228 A KR 19970077228A KR 19990057180 A KR19990057180 A KR 19990057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pager
signal
received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7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지운
박영봉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77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7180A/ko
Publication of KR19990057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7180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확인 페이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들을 수 있는 음성 신호로 변환시켜 저장하고, 음성 메시지를 수신한 페이저를 휴대한 무선 호출 가입자가 페이저를 조작하여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하면, 저장된 음성 신호를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다른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페이저만을 조작하여 음성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어 조작의 편리성을 향상시켜 주고 이중으로 통신 요금을 부담하는 번거로움을 없애는 음성 확인 페이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성 확인 페이저
본 발명은 페이저(pag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면 다른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페이저로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는 음성 확인 페이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호출(paging)은 무선 통신 서비스로서 공중전화망(PSTN)과 무선 호출 시스템을 이용하여 페이저를 휴대한 사람에게 호출 메시지 또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일 방향 서비스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페이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공중파를 통해 수신되어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고 모든 방해 신호를 제거하는 고주파 처리부(3)와; 상기 고주파 처리부(3)에서 방해 신호가 제거된 고주파 신호를 처리하기 용이한 중간 주파수로 변환시켜 증폭시키고, 다시 이 중간 주파수를 중앙처리장치(5)에서 인식할 수 있는 기저 대역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중간 주파수 처리부(4)와; 상기 중간 주파수 처리부(4)에서 전달된 디지털 신호로 호출 형태를 선택하여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5)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5)의 제어에 따라 수신 신호를 액정 표시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시키는 논리부(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페이저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중전화망(PSTN)의 유선 전화 가입자나 이동전화 가입자가 페이저를 지닌 사람을 호출하기 위해 다이얼링(dialing)하면, 망 식별 번호인 관문 번호를 분석하여 무선 호출망과 연결한 다음 무선 호출 교환기에 접속된다. 이렇게 무선 호출 교환기에 접속되면, 무선 호출 교환기는 가입자 번호를 분석하고 무선 호출 가입자라고 판단되면, 발신 가입자에게 확인 음성을 송출한다. 이후 발신 가입자로부터의 음성이 녹음되면 무선 호출 교환기(TDX-PS)는 완료 신호음 또는 완료 음성을 발신 가입자에게 송출하게 된다.
이렇게 무선 호출 교환기로부터 데이터 라인을 통해 기지국으로 호출 가입자의 메시지를 전달하면, 기지국은 전달받은 메시지를 무선 데이터로 변환시켜 안테나를 통해 전파를 발사하게 된다.
이리하여 페이저(1)의 고주파 처리부(3)는 안테나(2)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의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 미약한 고주파 신호(RF)에서 잡음을 제거하여 증폭한다. 그러면 중간 주파수 처리부(4)는 증폭된 고주파 신호를 처리하기 용이한 중간주파수(IF)로 변환시켜 소정의 레벨로 증폭시키고, 다시 중앙처리장치(5)에서 인식할 수 있는 기저 대역(baseband)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중앙처리장치(5)로 전달한다.
이에 중앙처리장치(5)는 이 기저 대역 디지털 신호로 호출 형태를 선택하고, 페이저(1)의 호출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하여 논리부(6)는 중앙처리장치(5)의 제어에 따라 계속하여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변환시켜 액정 표시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리하여 페이저(1)를 휴대한 무선 호출 가입자는 호출을 받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음성 메시지로 호출받은 경우 페이저(1)로 직접 음성 메시지를 확인할 수 없고, 유선 전화나 휴대폰 등의 다른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이중으로 요금을 부담해야 하며, 또한 다른 통신 시스템을 이용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면 다른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페이저로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함으로써 다른 통신 시스템을 이용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과 이중의 경제적 부담을 없애는 음성 확인 페이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증폭하고 모든 방해 신호를 제거하는 고주파 처리부와; 상기 고주파 처리부에서 전달된 고주파가 변환된 기저 대역 디지털 신호로 호출 형태를 선택하여 제어하고, 수신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가 음성 신호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시켜 저장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 저장된 음성 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이어폰을 연결해주는 이어폰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 "음성 확인 페이저"는, 특히,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면 다른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페이저로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함으로써 다른 통신 시스템을 이용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과 이중의 경제적 부담을 없애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페이저의 블록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음성 확인 페이저의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기지국 20:음성 확인 페이저
21:안테나 22:고주파 처리부
23:중간 주파수 처리부 24:중앙처리장치
25:디지털 신호 처리부 26:논리부
27:이어폰잭 28:이어폰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음성 확인 페이저"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먼저, 음성 확인 페이저의 실시예 구성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0)으로부터 공중파를 통해 수신되어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고 모든 방해 신호를 제거하는 고주파 처리부(22)와; 상기 고주파 처리부(22)에서 방해 신호가 제거된 고주파 신호를 처리하기 용이한 중간 주파수로 변환시켜 증폭시키고, 다시 이 중간 주파수를 중앙처리장치(24)에서 인식할 수 있는 기저 대역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중간 주파수 처리부(23)와; 상기 중간 주파수 처리부(23)에서 전달된 디지털 신호로 호출 형태를 선택하여 제어하고, 수신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가 음성 신호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4)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4)에 따라 수신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시켜 저장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5)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24)의 제어에 따라 수신 신호를 액정 표시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시키는 논리부(26)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25)에 저장된 음성 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이어폰(28)을 연결해주는 이어폰 잭(27)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음성 확인 페이저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중전화망(PSTN)의 유선 전화 가입자나 이동전화 가입자가 페이저를 지닌 사람을 호출하기 위해 다이얼링(dialing)하면, 망 식별 번호인 관문 번호를 분석하여 무선 호출망과 연결한 다음 무선 호출 교환기에 접속된다. 이렇게 무선 호출 교환기에 접속되면, 무선 호출 교환기는 가입자 번호를 분석하고 무선 호출 가입자라고 판단되면, 발신 가입자에게 확인 음성을 송출한다. 이후 발신 가입자로부터의 음성이 녹음되면 무선 호출 교환기(TDX-PS)는 완료 신호음 또는 완료 음성을 발신 가입자에게 송출하게 된다.
이렇게 무선 호출 교환기로부터 데이터 라인을 통해 기지국(10)으로 호출 가입자의 메시지를 전달하면, 기지국(10)은 전달받은 메시지를 무선 음성 데이터로 변환시켜 안테나(11)를 통해 전파를 발사하게 된다.
이리하여 페이저(20)의 고주파 처리부(22)는 안테나(21)를 통해 기지국(10)으로부터의 무선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 미약한 고주파 신호(RF)에서 잡음을 제거하여 증폭한다. 그러면 중간 주파수 처리부(23)는 증폭된 고주파 신호를 처리하기 용이한 중간주파수(IF)로 변환시켜 소정의 레벨로 증폭시키고, 다시 중앙처리장치(24)에서 인식할 수 있는 기저 대역(baseband)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중앙처리장치(24)로 전달한다.
이에 중앙처리장치(24)는 이 기저 대역 디지털 신호로 호출 형태를 선택하고,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액정 표시기에 디스플레이해 줌으로써 무선 호출 가입자에게 알려준다. 그리고 수신된 음성 메시지가 무선 호출 가입자에게 음성 메시지를 수신한 페이저(20)를 통해 직접 확인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부(25)는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시켜 저장하며, 논리부(26)는 중앙 처리 장치(24)의 제어에 따라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액정 표시기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러한 동작으로 페이저(20)의 액정 표시기에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면, 무선 호출 가입자는 호출을 수신하면서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게 되고, 이후 유선 전화나 핸드폰 등의 다른 통신 시스템이 아닌 페이저(20)를 직접 조작하여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리하여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려고 하는 조작이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24)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5)를 제어하여 저장된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그래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25)는 중앙처리장치(24)의 제어에 따라 저장하고 있던 음성 신호를 이어폰(28)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음성 확인 페이저는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시켜 저장함으로써 무선 호출 가입자가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다른 통신 시스템이 아닌 페이저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음성 확인 페이저"는, 특히,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면 다른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페이저로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함으로써 다른 통신 시스템을 이용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과 이중의 경제적 부담을 없애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증폭하고 모든 방해 신호를 제거하는 고주파 처리부(22)와;
    상기 고주파 처리부(22)에서 전달된 고주파가 변환된 기저 대역 디지털 신호로 호출 형태를 선택하여 제어하고, 수신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가 음성 신호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4)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4)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시켜 저장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5)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25)에 저장된 음성 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이어폰(28)을 연결해주는 이어폰잭(2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확인 페이저.
KR1019970077228A 1997-12-29 1997-12-29 음성 확인 페이저 KR19990057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228A KR19990057180A (ko) 1997-12-29 1997-12-29 음성 확인 페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228A KR19990057180A (ko) 1997-12-29 1997-12-29 음성 확인 페이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7180A true KR19990057180A (ko) 1999-07-15

Family

ID=66172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7228A KR19990057180A (ko) 1997-12-29 1997-12-29 음성 확인 페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71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741A (ko) * 1999-12-08 2001-07-02 김상국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페이저 및 이를 이용한 음성정보확인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741A (ko) * 1999-12-08 2001-07-02 김상국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페이저 및 이를 이용한 음성정보확인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8231B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messages to wireless devices
JPH0740754B2 (ja) 選択呼出受信機
US5815800A (en) Voice-pager system
US6574318B1 (en) Call related information receiver to receiver transfer
KR19990057180A (ko) 음성 확인 페이저
KR100539957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문 문자서비스 메시지 확인방법
JP2752994B2 (ja) 無線電話装置
US67990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aling announcement in a telephone terminal
JPH0630105A (ja) 携帯電話機
KR100203970B1 (ko) 무선 전화기로부터 호출받을 수 있는 페이징 시스템
JP3562430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とその携帯電話機への着信通知方法
KR1004002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응답신호를 이용한 통화 연결정보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0374344B1 (ko) 통화중전화번호등록방법
JPH11298957A (ja) 移動無線電話装置
JP4980512B2 (ja) 移動通信端末
KR100217225B1 (ko) 국선접속 통화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JPH04368027A (ja) 携帯電話機
KR100703294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수신측 상태 통보 방법
KR19990058043A (ko) 부재중 발신자 정보 알림 장치 및 방법
JPH11298966A (ja) 携帯電話通信システム
KR100247031B1 (ko)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음성메시지 수신여부 확인방법
KR100660966B1 (ko) 음성 메시지 저장 가능한 이동단말기 및 동작방법
JP3594508B6 (ja) 電話装置
KR19990052950A (ko) 휴대폰의 숫자 메시지 수신/저장방법
JPH03239026A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