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4671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4671A
KR19990054671A KR1019970074532A KR19970074532A KR19990054671A KR 19990054671 A KR19990054671 A KR 19990054671A KR 1019970074532 A KR1019970074532 A KR 1019970074532A KR 19970074532 A KR19970074532 A KR 19970074532A KR 19990054671 A KR19990054671 A KR 19990054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pump
drain
wate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4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4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4671A/ko
Publication of KR19990054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4671A/ko

Lin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조와, 세척조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노즐을 갖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펌프팬수용부와 상기 분사노즐로 연결되는 급수관이 접속되는 급수구와, 배수관이 접속되는 배수구와, 상기 펌프팬수용부로부터 상기 급수구 및 상기 배수구로 각각 이어지며 상호 교차하는 급수유동로 및 배수유동로를 갖는 펌프하우징과, 상기 펌프팬수용부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펌프팬과, 상기 펌프팬을 정역회전 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펌프팬의 회전에 따른 수류에 의하여 상기 급수유동로와 상기 배수유동로의 교차위치를 거쳐 상기 급수구와 상기 배수구 사이를 이동하며 선택적으로 차단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단일의 펌프에 의해 급수 및 배수가 수행될 수 있으므로 구조의 컴팩트와 제작원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일의 펌프에 의해 급수 및 배수가 수행될 수 있으므로 구조의 컴팩트와 제작원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식기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싱(3)내에, 세척조(2)와 세척조(2) 하부에 식기세척기(1)를 작동시키는 부하구동부가 마련되어 있다. 부하구동부에는 중앙영역에 마련된 섬프케이스(5)를 사이에 두고 급수펌프(11)와 배수펌프(21)가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있고, 섬프케이스(5)에는 외부로부터의 세척수가 공급되는 외부급수관(18)이 결합되어 있다. 외부급수관(18)에는 그 유로상에 세척수의 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19)가 설치되어 있고 이 급수밸브(19)는 도시않은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다.
한편, 급수펌프(11)에는 세척조(2)내와 연통하는 급수관(15,16)이 연결되어 있고, 배수펌프(21)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배수관(25)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각 펌프(11,21)에는 섬프케이스(5)내에 저수되는 세척수를 인출하여 급송시키는 급수팬(13)과 배수팬(23)이 설치되어 있다.
급수펌프(11) 및 배수펌프(21)는 일반적으로 크기만 다를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도 3에는 이러한 펌프 중 급수펌프(11)가 확대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급수펌프(11)의 하우징내부는 도시않은 구동모터를 위한 모터수용부(14)와 급수팬(13)을 위한 급수팬수용부(12)로 구획 분리되어 있고, 이들 각각에 일측 방향으로만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급수팬(13)이 수용되어 있다. 급수팬수용부(12)의 외면에는 급수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급수구에 세척조(2)와 연통하는 급수관(15,16)이 결합된다. 급수관(15,16)의 말단에는 세척조(2)내에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분사노즐(17)이 결합된다.
한편, 배수펌프(21)의 하우징내부도 모터수용부(24)와 배수팬수용부(22)로 구획 분리되어 있고, 이들 각각에 일측 방향으로만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배수팬(23)이 수용되어 있다. 배수팬수용부(22)의 하우징외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수구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배수관(25)이 결합되어 있다. 배수관(25)의 유로상에는 도시않은 배수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급수밸브(19)가 개방되면 외부급수관(18)을 통하여 세척수가 유입되어 섬프케이스(5)에 수용된다. 도시않은 제어부의 제어로 급수밸브(19)가 폐쇄되면, 급수펌프(11)의 작동이 개시되고, 이 때, 섬프케이스(5)내의 세척수가 급수팬수용부(12)를 거쳐 급수관(15,16)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세척수는 급수관(15,16)의 말단에 결합되어 있는 분사노즐(17)을 통해 세척조(2)내로 분사되고, 세척조(2)내로 분사되어 식기세척을 마친 세척수는 세척조(2) 하부로 흘러 섬프케이스(5)내로 다시 유입된다. 그리고, 다시 급수관(15,16)을 거쳐 세척조(2)내로 분사되는 과정을 소정 시간동안 반복한다.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역시 제어부의 제어로 도시않은 배수밸브가 개방되고, 배수펌프(21)의 작동이 개시된다. 그러면, 배수펌프(21)측 배수팬(23)의 작동으로 섬프케이스(5)내의 세척을 완료한 세척수가 배수관(3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세척수펌프를 갖는 식기세척기(1)에서는 세척조(2)내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펌프(11)와 식기 세척을 마친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배수펌프(21)가 각각 개별적으로 마련되어 있어서, 기기 자체의 구성이 복잡하며, 따라서, 본체케이싱(3)의 부피가 클 수밖에 없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펌프(11,21)들은 비교적 고가의 부품들이기 때문에, 기기의 생산단가를 높이는 주요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최근의 추세에 따른 배수펌프(21)의 소형화로 인하여 배수시간이 길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세척조내로의 급수 및 세척조로부터의 배수를 일체로 수행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식기세척기의 세척수펌프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급수 및 배수를 도모하는 동시에 식기세척기의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종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세척수펌프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세척수펌프의 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세척수펌프내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체의 작동상태를 내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세척조 5 : 섬프케이스
10 : 세척수유입관 11 : 급수펌프
15,16 : 급수관 17 : 분사노즐
21 : 배수펌프 25 : 배수관
30 : 세척수펌프 31 : 펌프하우징
32 : 펌프팬수용부 33 : 펌프팬
36 : 급수구 37 : 배수구
38 : 급수유동로 39 : 배수유동로
41 : 밸브체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세척조와, 세척조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노즐을 갖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펌프팬수용부와 상기 분사노즐로 연결되는 급수관이 접속되는 급수구와 배수관이 접속되는 배수구와 상기 펌프팬수용부로부터 상기 급수구 및 상기 배수구로 각각 이어지며 상호 교차하는 급수유동로 및 배수유동로를 갖는 펌프하우징과, 상기 펌프팬수용부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펌프팬과, 상기 펌프팬을 정역회전 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펌프팬의 회전에 따른 수류에 의하여 상기 급수유동로와 상기 배수유동로의 교차위치를 거쳐 상기 급수구와 상기 배수구 사이를 이동하며 선택적으로 차단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교차위치는 상기 급수구 및 배수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밸브체는 구형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유동로와 상기 배수유동로는 상기 펌프팬의 인접한 부분에서 접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척수펌프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는 도면에 도시된 세척수펌프(30)를 갖는 것으로 세척수펌프(3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은 종래의 식기세척기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세척수펌프(30)는 외관을 형성하는 펌프하우징(31)과 이 펌프하우징(31)내에 수용된 정역구동모터 및 펌프팬(33)으로 구성되어 있다. 펌프하우징(31)의 내부는 펌프팬(33)을 수용하는 펌프팬수용부(32)와 구동모터를 수용하는 모터수용부로 구획분리되어 있으며, 펌프팬수용부(32)내에는 정역구동모터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펌프팬(33)이 수용되어 있다. 이 펌프팬(33)은 정역구동모터의 정역방향회전에 따라 용이하게 해당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정역구동용 펌프팬(33)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하우징(31)의 펌프팬수용부(32)의 섬프케이스(5)와 마주보는 쪽에는 세척수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세척수유입구에는 섬프케이스(5)와 펌프팬수용부(32)를 상호 연통되게 연결하는 세척수유입관(10)이 결합된다. 펌프팬(33)이 회전하게 되면 섬프케이스(5)내에 저수된 세척수가 세척수유입관(10)으로 인출되어 펌프실내로 유입된다.
한편, 펌프팬수용부(32)의 측벽에는 한 쌍의 세척수유동로(34,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세척수유동로(34,35)는 펌프팬(33)의 인접한 부분에서 접선 방향으로 형성되며 중도에서 교차하여 급수관(15,16)과 연결되는 급수구(36)와, 배수관(25)과 연결되는 배수구(37)와 각각 이어진다. 이하에서는 급수구(36)와 이어지는 세척수유동로를 급수유동로(38)라 하고 배수구(37)와 이어지는 세척수유동로를 배수유동로(39)라 한다. 급수유동로(38)와 배수유동로(39)의 교차위치는 급수구(36)와 배수구(37)의 하부에 위치하며 이 교차위치와 급수구(36) 및 배수구(37) 사이에 유동 가능한 구형의 밸브체(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밸브체(41)는 수류에 의해 이동가능하며 물에 가라앉는 재료로 구성된 것으로서 펌프팬(33)의 정역회전에 의한 회전수류에 의하여 급수유동로(34)와 배수유동로(35)의 교차위치를 거쳐 급수구(36)와 배수구(37) 사이를 유동하며 어느 일측을 폐쇄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펌프(30)내에 설치된 밸브체(41)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세척수펌프(30)가 장착된 식기세척기(1)는 전원이 인가되고 외부 조작에 의한 작동이 개시되면, 급수밸브(19)가 개방되어 외부급수관(18)을 통한 외부로부터의 급수가 진행되게 된다. 공급되는 급수는 섬프케이스(5)내에 저수되고, 이 때,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세척수펌프(30)가 일측 방향, 예를들어,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에 따라 섬프케이스(5)내에 저수된 세척수가 세척수유입관(10)을 통해 인출되어 펌프팬수용부(32)로 유입되게 된다. 점차적으로 세척수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 이에 따라, 회전력도 증가하게 되고, 세척수의 회전수압에 의해 배수구(37)쪽으로 이동하여 배수구(37)를 차단한다. 그러면 개방된 급수구(36)쪽으로만 세척수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며, 배출되는 세척수는 세척조(2)내에 마련된 분사노즐(17)을 통하여 세척조(2)내로 분사되어 식기를 세척하게 된다.
한편, 세척수펌프(30)가 일측 방향으로 구동하여 세척수 분사에 의한 식기의 세척이 소정 시간 진행된 후, 제어부는 세척수펌프(30)의 구동을 중단시키게 된다. 그러면, 세척조(2)내에서 식기를 세척시킨 세척수가 섬프케이스(5)내로 유입되게 되며, 이 때, 제어부는 세척수펌프(3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세척수펌프(30)의 펌프팬(33)은,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펌프팬(33)의 시계방향회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마찬가지로 세척수가 펌프팬수용부(32)로 인출되어 회전하게 되며, 이 회전수류에 의하여 밸브체(41)가 급수구(36)쪽으로 이동하여 급수구(36)를 차단하게 된다. 그러면, 세척조(2)내의 세척수는 배수구(3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배수가 완료되면, 다시 제어부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세척조(2)내에 급수가 진행되고, 기기의 식기세척행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급수유동로와 배수유동로의 교차위치는 급수구와 배수구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나, 밸브체가 수류에 의하여 유동하며 어느 일측이 세척수토출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교차위치와 급수구와 배수구의 위치가 설정된다면 교차위치가 어디든 상관없다. 또한, 밸브체는 구형체가 아니어도 토출구를 차단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면 충분하며, 급수유동로와 배수유동로는 펌프팬의 인접한 부분에서 접선 방향으로 형성되지 않더라도 어떤 방향으로든 회전하는 세척수의 유로를 안내하며 어느 지점에서 두 유동로가 교차하며, 밸브체의 선택적 차단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형성되면 충분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펌프에 의해 급수 및 배수가 수행될 수 있으므로 구조의 컴팩트와 제작원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4)

  1. 세척조와, 세척조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노즐을 갖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펌프팬수용부와, 상기 분사노즐로 연결되는 급수관이 접속되는 급수구와, 배수관이 접속되는 배수구와, 상기 펌프팬수용부로부터 상기 급수구 및 상기 배수구로 각각 이어지며 상호 교차하는 급수유동로 및 배수유동로를 갖는 펌프하우징과,
    상기 펌프팬수용부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펌프팬과,
    상기 펌프팬을 정역회전 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펌프팬의 회전에 따른 수류에 의하여 상기 급수유동로와 상기 배수유동로의 교차위치를 거쳐 상기 급수구와 상기 배수구 사이를 이동하며 선택적으로 차단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위치는 상기 급수구 및 상기 배수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구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동로와 상기 배수유동로는 상기 펌프팬의 인접한 부분에서 접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19970074532A 1997-12-26 1997-12-26 식기세척기 KR19990054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532A KR19990054671A (ko) 1997-12-26 1997-12-26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532A KR19990054671A (ko) 1997-12-26 1997-12-26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671A true KR19990054671A (ko) 1999-07-15

Family

ID=6609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4532A KR19990054671A (ko) 1997-12-26 1997-12-26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46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7325B2 (en) Hydraulic distributor for a washing machine
KR20140066857A (ko) 식기 세척기
KR100917826B1 (ko) 식기세척기
KR20080006407A (ko) 식기세척기
CN109640777B (zh) 餐具清洗机
KR100234100B1 (ko) 식기세척기
JPH1043121A (ja) 食器洗い機用ポンプ
KR100315945B1 (ko) 단일의펌프를이용하여섬프케이스내의물을분사및배출시킬수있는식기세척기
KR19990054671A (ko) 식기세척기
KR19990054665A (ko) 식기세척기
KR100234119B1 (ko) 식기세척기
KR200144773Y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펌프
CN217519314U (zh) 分流阀和洗碗机
KR100730692B1 (ko) 비데용 복합 밸브 조립체
JPH10141295A (ja) ポンプおよびこのポンプを用いた食器洗浄機
JPH1043119A (ja) 食器洗い機用ポンプ
CN110495834B (zh) 一种洗碗机分水装置、洗碗机及其控制方法
CN215742884U (zh) 储水装置和净水机
KR200437712Y1 (ko) 다방향 유로분배기구를 갖는 식기 세척기
KR200156028Y1 (ko) 구동모터를 이용한 샤워식 세탁기
KR200150314Y1 (ko) 구동모터를 이용한 샤워식 세탁기
KR20040063268A (ko) 식기세척기의 다단 분사장치
KR100680986B1 (ko) 드럼 세탁기용 급수밸브
JP4143360B2 (ja) 配管システム及びポンプ
KR200272334Y1 (ko) 식기세척기의 분사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