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4100A - 양변기의 절수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절수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4100A
KR19990054100A KR1019970073863A KR19970073863A KR19990054100A KR 19990054100 A KR19990054100 A KR 19990054100A KR 1019970073863 A KR1019970073863 A KR 1019970073863A KR 19970073863 A KR19970073863 A KR 19970073863A KR 19990054100 A KR19990054100 A KR 19990054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r
water tank
pressing plate
drain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4818B1 (ko
Inventor
박연수
Original Assignee
박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수 filed Critical 박연수
Priority to KR1019970073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4818B1/ko
Publication of KR19990054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4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4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48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03D5/09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the flushing element, e.g. siphon bell, being actuated through a lev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20Noise reduc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양변기에서 절수를 하기 위해 물의 부력에 의해 부상되어 있던 절수기판이 배수될 때 하강하면서 배수구마개를 압하하여 물이 전부 배수되지 않고 물탱크에 남도록 함으로써 절수하되 소변시에는 대변시보다 더 많은 물이 절수되도록 하며 물탱크에 고여있는 물속에서 앨브의 밸브가 개폐됨으로써 소음이 생기지 않게 할뿐만 아니라 수압이 상승해도 물이 새지않도록 하며 밀폐된 물탱크의 상부에 공기가 압축되게 함으로써 고압의 물이 압출되며 절수되게 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개발할 목적으로 발명한다.
핵심구성은『에브(32)에 스프링(22)과 레버(11)가 결합된 밸브(31) 및 바킹(36)을 차례로 넣고 볼트관(37)을 나합한 다음 물탱크(20) 바닥에 엘브(32)를 연결하되 그 높이는 기둥(8)에 축설된 배수구마개(10)가 닫히는 배수관(38)보다 낮게하고 레버(11) 끝에 뜸통(12)를 연결하며 레버(11)(11')위에는 긴누름판(33)과 짧은누름판(40)이 있는 누름판(26)(26')을 괘설한 다음 고정볼트(27)(27')를 나합하고 그 위에 수량조정판(25)(25')를 끼워서 배수구마개(10)의 윗쪽에서 레버(11)(11')에 괘설되도록 하며 물탱크(20)의 앞쪽 벽면을 관통하여 벽면안쪽에 설치된 수평지레(15)의 끝과 배수구마개(10)의 상단을 끈(13)으로 연결하고, 끈(28)은 축(29)으로 축설한 축바퀴(30)를 통해 배수구마개(10)에 연결하며, 수직레버(35)와 누름판(26)을 막대(34)로 연결하거나 기둥(8)에 관삽고정한 조절관(7)에 공간(2)이 있는 뜸통(1)의 다리(5)를 축(6)으로 축설하며 뜸통(1)의 중앙 암나사에 공간(3)이 있는 나사형의 수량조정관(4)을 나합하고 그 밑에 배수관(38)을 막는 배수구마개(10)의 두 다리(23)를 기둥(8)하단부에 축(24)으로 축설하며 물탱크(20)를 뚜껑(21)으로 밀폐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절수방법 및 그 장치』으로써 뜸통(1)(12)에 의해 부상되는 수량조정관(4)이나 누름판(26)(26') 및 수량조정판(25)(25')에 의하여 배수구마개(10)가 닫히며, 소음이 감소되는 적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변기의 절수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기존 양변기에서 절수를 하기 위해 물의 부력에 의해 부상되어 있던 절수기판이 배수될 때 하강하면서 배구수마개를 압하하여 물이 전부 배수되지 않고 물탱크에 남도록 함으로써 절수하되 소변시에는 대변시보다 더 많은 물이 절수되도록 하며 물탱크에 고여있는 물속에서 엘브의 밸브가 개폐됨으로써 소음이 생기지 않게 할뿐만 아니라 수압이 상승해도 물이 새지 않도록 하며 밀폐된 물탱크의 상부에 공기가 압축되게 함으로써 고압의 물이 압출되며 절수되게 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개발할 목적으로 발명한다.
종래 양변기의 절수형으로 이중물탱크가 있었으나 이는 배수구의 높낮이를 달리하는 것이 있었지만 대변시에는 절수가 되지 않고 소변시만 절수가 되었으며, 절수기는 대소변의 구분없이 똑같은 양의 물이 절수되었으며 물이 나올 때는 소음이 심했고, 수압이 상승하면 물이 새는 문제가 있었으며 물탱크에 고여있는 물의 수압에 의하여 고압으로 배수되며 세척되도록 하기 위하여 물탱크를 크게 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소변을 구분하여 소변시에는 대변시보다 더 많은 물이 절수되도록 하기 위하여 긴누름판에 있으며 물속에서 엘브가 항상 잠겨 있게 함으로써 소음을 줄이며 물탱크 상단부에 압축실을 두어 압출(壓出)되는 물로 세척하게 함으로써 물탱크를 축소시킬 수 있게 한 것인데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가)는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
제1도(나)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1도(다)는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
제2도(가)는 본 발명의 전체 종단면도
제2도(나)는 본 발명의 전체 종단면도
제2도(다)는 본 발명의 전체 종단면도
제3도(가)는 본 발명의 작용원리도
제3도(나)는 본 발명의 작용원리도
제3도(다)는 본 발명의 작용원리도
제1도(가) 및 제2도(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탱크(20)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기둥(8)에 조절관(7)을 관삽하여 적당위치에 볼트(39)로 고정시키고 공간(2)이 있는 뜸통(1)의 다리(5)를 조절관(7)에 축(6)으로 축설하며 뜸통(1)의 중앙 암나사에 공간(3)이 있는 나사형의 수량조정관(4)을 나합한다.
그리고 물탱크(20) 바닥에 있는 배수관(38)을 막는 배수구마개(10)의 두 다리(23)를 기둥(8)의 하단부에 축(24)으로 축설한다.
급수관(18) 상단부에 레버(11)가 삽착된 누름대(16)을 축(17)으로 축설하며 레버(11)가 개폐봉(19)의 상단부를 압하할 수 있도록 하되 레버(11)끝에는 뜸통(12)를 결합 고정시킨다.
물탱크(20)의 앞쪽 벽면을 관통하여 그 안쪽에 설치된 수평지레(15)의 끝과 배수구마개(10)의 상단을 끈(13)으로 연결하며 손잡이(14)는 물탱크(20)의 바깥쪽에 돌출되며 뚜껑(21)과 물탱크(20) 사이로 공기가 새지않도록 하기 위하여 뚜껑(21)을 닫으면 완전 밀폐되도록 바킹처리 한다.
제1도(나) 및 제2도(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탱크(20)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배수관(38)을 막는 배수구마개(10)의 두 다리(23)를 기둥(8)에 축(24)으로 축설한다.
급수관(18) 상단부에 레버(11')가 삽착된 누름대(16)을 축(17)으로 축설하며 레버(11')가 개폐봉(19)의 상단부를 압하할 수 있도록 하되 레버(11')끝에는 뜸통(12)를 결합 고정시킨 다음 누름판(26')을 레버(11')에 괘설하고 고정볼트(27')를 나합하여 해탈되지 못하도록 하며 그 위에 수량조정판(25')를 끼워서 그 끝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물탱크(20)의 앞쪽 벽면을 관통하여 벽면 안쪽에 설치된 수평지레(15)의 끝과 배수구마개(10)의 상단을 끈(13)으로 연결하며 손잡이(14)는 물탱크(20)의 바깥쪽에 돌출되며 뚜껑(21)과 물탱크(20) 사이로 공기가 새지않도록 하기 위하여 뚜껑(21)을 닫으면 완전 밀폐되도록 바킹처리한다.
제1도(다) 및 제2도(다)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탱크(20)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배수관(38)을 막는 배수구마개(10)의 두 다리(23)를 기둥(8)에 축(24)으로 축설한다.
에브(32)에 스프링(22)과 레버(11)가 결합된 밸브(31) 및 바킹(36)을 차례로 넣고 볼트관(37)을 나합한 다음 물탱크(20) 바닥에 엘브(32)를 연결하되 그 높이는 배수관(38)보다 낮게하여 언제나 물속에 잠김으로써 소음이 없도록 하고, 레버(11) 끝에 뜸통(12)를 연결하며 레버(11)위에는 긴누름판(33)과 짧은 누름판(40)이 있는 누름판(26)을 괘설하고 고정볼트(27)를 나합하여 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누름판(26)위에 수량조정판(25)를 끼워서 그 끝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물탱크(20)의 앞쪽 벽면을 관통하여 벽면 안쪽에 설치된 수평지레(15)의 끝과 배수구마개(10)의 상단을 끈(13)으로 연결하고, 끈(28)은 축(29)으로 축설한 축바퀴(30)를 통해 배수구마개(10)에 연결하며, 수직레버(35)와 누름판(26)을 막대(34)로 연결한다. 뚜껑(21)을 물탱크(20)에 닫으면 완전밀폐되도록 바킹처리하여 물이 바닥에서부터 고일 때 그 위에 있는 공기가 압축되도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원리는 제3도(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탱크(20)에 물이 고여 있다가 손잡이(14)를 반시계방향으로 밀어주면 수평지레(15)의 끝이 들리며 끈(13)이 배수구마개(10)를 열어주므로 물이 빠지면서 그 수위가 내려가면 물의 부력에 의하여 떠 있던 뜸통(1)과 뜸통(12)이 하강하면서 수량조정관(4)이 배수구마개(10)를 압하하므로 배수구마개(10)가 닫히며 배수되던 물이 멎게 되기 때문에 물탱크(20)에 물이 남게 되는데 그 남아 있는 물이 절수된다.
물탱크(20)의 크기에 따라 물탱크(20)에 남게 될 수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 많은 물이 남도록 하려면 수량조정관(4)이 밑으로 내려가도록 돌려가면서 그 길이를 조정하며, 적은 물이 남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량조정관(4)이 위로 올라가도록 하면 된다.
뜸통(12)이 하강하면서 누름대(16)가 누르고 있던 개폐봉(19)이 열리며 물이 나오는 한편 배수구마개(10)가 닫히게 되므로 물탱크(20)에 물이 고이면서 수위가 오르게 되면 뜸통(1)과 뜸통(12)이 부상하다가 뜸통(12)의 부상에 의하여 누름대(16)가 개폐봉(19)을 누르면 물이 멎게 되므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수압에 의하여 개폐봉(19)이 부상하려는 힘이 뜸통(12)에 작용하는 부력에 의하여 누름대(16)가 개폐봉(19)을 누르는 힘보다 클때는 물이 밀려 나오면서 계속해서 물이 넘치게 되는 문제점은 그대로 남아 있다.
뚜껑(21)으로 밀폐시킨 물탱크(20)는 공기가 샐 수 없으므로 물이 공급될 때 공급된 물이 물탱크(20)의 바닥에서부터 고이며 고인 물의 부피만치 공기가 물탱크(20)의 윗부분에 압축되어 있다가 대소변을 세척할 때 물이 고압으로 압출되므로 소량의 물로 세척할 수 있으므로 절수가 많이 된다.
제3도(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탱크(20)에 물이 고여 있다가 손잡이(14)를 반시계방향으로 밀어주면 수평지레(15) 끝이 들리며 끈(13)이 배수구마개(10)를 열어주므로 물이 빠지면서 그 수위가 내려가면 물의 부력에 의하여 떠 있던 뜸통(12)이 하강하면서 누름판(26')과 수량조정판(25')이 배수구마개(10)를 압하하므로 배수구마개(10)가 닫히기 때문에 배수되던 물이 멎게 되며 그 때부터는 물탱크(20)에 있던 물이 배수되지 못하고 물탱크(20)에 남게 되는데 이 남아 있는 물이 절수된다.
물탱크(20)의 크기에 따라 물탱크(20)에 남게 될 물의 양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는 더 많은 물이 물탱크(20)에 남도록 하려면 수량조정판(25')이 밑으로 더 내려가도록 그 길이를 길게 조정하며, 적은 물이 물탱크(20)에 남도록 하려면 수량조정판(25')이 위로 올라가도록 하면 된다. 여타 작용원리는 제3도(가)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3도(다)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변을 보고 세척을 할 때는 손잡이(14)를 시계방향으로 밀어주면 수평지레(15)끝이 내려가며 끈(28)이 축바퀴(30)를 통해 배수구마개(10)를 열어주므로 물탱크(20)에 고여있던 물이 빠지면서 그 수위가 내려가면 물의 부력에 의하여 떠 있던 뜸통(12)이 하강하면서 누름판(26)과 수량조정판(25)이 배수구마개(10)를 압하하므로 배수구마개(10)가 닫히면서 배수되던 물이 멎게 되므로 물탱크(20)에 남아 있는 물이 절수되는데, 손잡이(14)를 시계방향으로 밀어줄 때 수직레버(35)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막대(34)가 누름판(26)을 →표의 반대방향으로 끌어내기 때문에 짧은 누름판(40)이 배수구마개(10)을 압하하게 되므로 물탱크(20)에 있던 물이 대부분 배수가 되며 물탱크(20)에는 적은 물이 남게 되지만 그래도 대변을 세척하게 된다.
물탱크(20)의 크기에 따라 물탱크(20)에 남게 될 물의 양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 더 많은 물이 남도록 하려면 수량조정판(25)이 밑으로 더 내려가도록 하여 그 길이를 조정하며, 적은 물이 남도록 하려면 수량조정판(25)이 위로 올라가도록 하면 된다.
소변을 보고 세척을 할 때는 손잡이(14)를 반시계방향으로 밀어주면 수평지레(15)끝이 들리며 끈(13)이 배수구마개(10)를 열어주므로 물탱크(20)에 고여있던 물이 빠지면서 그 수위가 내려가면 물의 부력에 의하여 떠 있던 뜸통(12)이 하강하면서 누름판(26)과 수량조정판(25)이 배수구마개(10)를 압하하므로 배수구마개(10)가 닫히면서 배수되던 물이 멎게 되므로 물탱크(20)에 남아 있는 물이 절수되는데, 손잡이(14)를 밀어줄 때 수직레버(35)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막대(34)가 누름판(26)을 →표방향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긴누름판(33)이 배수구마개(10)을 압하하게 되므로 물탱크(20)에 많은 물이 남고 적은 물이 배수되며 소변을 세척하게 된다.
엘브(32)가 배수관(38)보다 낮기 때문에 항상 물속에 있게 되므로 물이 나올 때도 소음이 적다. 여타 작용원리는 제3도(가)와 같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부력에 의하여 부상되는 뜸통(1)(12)에 의하여 부상되는 수량조정관(4)이나 누름판(26) 및 수량조정판(25)에 의하여 배수구마개(10)이 압하되므로 절수가 되며 엘브(32)에 의해 소음이 감소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에브(32)에 스프링(22)과 레버(11)과 결합된 벨브(31) 및 바킹(36)을 차례로 넣고 볼트관(37)을 나합한 다음 물탱크(20) 바닥에 엘브(32)를 연결하되 그 높이는 기둥(8)에 축설된 배수구마개(10)가 닫히는 배수관(38)보다 낮게 하고 레버(11) 끝에 뜸통(12)를 연결하며 레버(11)(11')위에는 긴누름판(33)과 짧은누름판(40)이 있는 누름판(26)(26')을 괘설한 다음 고정볼트(27)(27')를 나합하고 그 위에 수량조정판(25)(25')를 끼워서 배수구마개(10)의 윗쪽에서 레버(11)(11')에 괘설하며 물탱크(20)의 앞쪽 벽면을 관통하여 벽면안쪽에 설치된 수평지레(15)의 끝과 배수구마개(10)의 상단을 끈(13)으로 연결하고, 끈(28)은 축(29)으로 축설한 축바퀴(30)를 통해 배수구마개(10)에 연결하며, 수직레버(35)와 누름판(26)을 막대(34)로 연결하거나 기둥(8)에 관삽고정한 조절관(7)에 공간(2)이 있는 뜸통(1)의 다리(5)를 축(6)으로 축설하며 뜸통(1)의 중앙 암나사에 공간(3)이 있는 나사형의 수량조정관(4)을 나합하고 그 밑에 배수관(38)을 막는 배수구마개(10)의 두 다리(23)를 기둥(8)하단부에 축(24)으로 축설하며 물탱크(20)를 뚜껑(21)으로 밀폐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절수방법 및 그 장치.
KR1019970073863A 1997-12-15 1997-12-15 양변기의 절수장치 KR100274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863A KR100274818B1 (ko) 1997-12-15 1997-12-15 양변기의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863A KR100274818B1 (ko) 1997-12-15 1997-12-15 양변기의 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100A true KR19990054100A (ko) 1999-07-15
KR100274818B1 KR100274818B1 (ko) 2000-12-15

Family

ID=19528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863A KR100274818B1 (ko) 1997-12-15 1997-12-15 양변기의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4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676B1 (ko) * 2015-06-23 2016-12-26 정미주 양변기의 역류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384B1 (ko) * 2001-01-02 2003-10-10 박연수 절수용 후레쉬 밸브
KR20030000030A (ko) * 2001-05-10 2003-01-06 박연수 수압과 기압으로 급수하는 급수기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676B1 (ko) * 2015-06-23 2016-12-26 정미주 양변기의 역류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4818B1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54100A (ko) 양변기의 절수방법 및 그 장치
KR200191298Y1 (ko) 절수변기
KR200141818Y1 (ko) 절수형 양변기
CN2072551U (zh) 间歇放水节水型小便池冲洗设备
KR100293591B1 (ko) 중력과 수압 및 부력을 응용한절수용 기기
KR100394508B1 (ko) 절수형 욕조
CN2515286Y (zh) 卫生间蹲便节水自动冲便装置
KR101009369B1 (ko) 수세식변기용 절수기
JPS5934630Y2 (ja) 水洗便器用洗浄水タンクの排水装置
KR200192560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820001897Y1 (ko) 수세변기용 급수장치
CN2130858Y (zh) 可分次排水的厕所水箱
US1930012A (en) Water closet
CN2125620U (zh) 一种新型的便器水箱
KR200206146Y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CN207228263U (zh) 双箱双按双水源节水马桶
KR900007342Y1 (ko) 자동수위 조절변
KR200187601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19990034064U (ko) 절수기가 설치된 수세식변기
KR200202940Y1 (ko) 절수용 로우 탱크볼탭
JPS60380Y2 (ja) 水槽管用水位調節装置
CN2136278Y (zh) 废水冲厕器
CN2546526Y (zh) 无排水阀、不漏水的便器冲水装置
KR100469138B1 (ko) 변기의 세척수 배수장치
KR20000005186U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