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3778A - CaTiO₃+Ca(Mg⅓Ta⅔)O₃계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 Google Patents

CaTiO₃+Ca(Mg⅓Ta⅔)O₃계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3778A
KR19990053778A KR1019970073473A KR19970073473A KR19990053778A KR 19990053778 A KR19990053778 A KR 19990053778A KR 1019970073473 A KR1019970073473 A KR 1019970073473A KR 19970073473 A KR19970073473 A KR 19970073473A KR 19990053778 A KR19990053778 A KR 19990053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composition
temperature coefficient
dielectric ceramic
ceram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4020B1 (ko
Inventor
김경용
최환
박찬식
Original Assignee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박호군
Priority to KR1019970073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4020B1/ko
Publication of KR19990053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3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0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09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 H01G4/1218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 H01G4/1227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alkaline earth tita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09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 H01G4/1254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niobium or tungsteen, tantalum oxides or niobates, tanta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40 이상의 유전율을 갖고 유전 손실이 적으며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가 양호한 마이크로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로서, (1-x)CaTiO3+ xCa(Mg1/3Ta2/3)O3(식 중, 0.5≤ x ≤ 0.6)로 표시되는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Ca(Mg1/3Ta2/3)O3의 조성비를 달리하여, 유전율과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의 조정이 용이하다.

Description

CaTiO₃+Ca(Mg⅓Ta⅔)O₃계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본 발명은 40∼50의 유전율을 가지며 저손실이고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가 양호한 마이크로파용 유전체 세라믹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전화기, 자동차 전화기 등의 이동 통신 및 위선 방송, 위성 통신 등에 마이크로파(주파수 대역: 300 MHz부터 30 GHz)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이 현저하게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뉴미디어의 실용화에 사용되는 공진기, 대역 통과, 저지 필터 및 마이크로파 집적 회로(MIC: Microwave Intergrate Circuit) 등에 고주파용 세라믹 유전체 응용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고주파용 세라믹 유전체가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유전체 내에서 전파의 파장은 유전율의 1/2승에 반비례하므로 부품의 소형화를 위해서는 유전율이 커야하고, 유전손실은 유전율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므로 고주파의 고성능화를 위해서는 Q값(유전손실의 역수)이 높아야 한다. 또한 유전체의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가 작아야 하며 열전도율이 좋고 높은 기계적 강도가 요구된다.
기존에 개발된 유전체 조성으로는 유전율은 40 이하이지만 낮은 유전 손실을 갖는 Ba(M2+ 1/3M5+ 2/3)O3(M2+= Mg, Zn, M5+= Ta, Nb)계, BaTi4O9와 Ba2Ti9O20계, (Zr,Sn)TiO4계 등이 있다. 또한 유전 손실은 비교적 크지만(Q×f0≤ 10000), 유전율이 80 이상인 BaO-Sm2O3-TiO2계, (Ba,Pb)O-Nd2O3-TiO2계 및 (Pb,Ca)ZrO3계 등이 보고되었다.
일반적으로 유전율이 큰 재료는 유전체 내부의 쌍극자와 결함 등으로 인하여 유전 손실과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가 증가하게 된다.
CaTiO3의 경우, 2 GHz에서 유전율이 170 정도로 매우 높으나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가 +800 ppm/℃로 매우 커서 실제 응용에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CaTiO3에 온도 계수가 음인 Ca(Mg1/3Ta2/3)O3를 고용시켜 유전 손실이 작고, 유전율과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를 필요에 따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마이크로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의 조성 변화에 따른 유전율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의 조성 변화에 따른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 1을 갖는 조성물을 제조하여, 40∼50 유전율을 가지며 유전 손실이 작고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가 양호한 마이크로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을 제공한다.
(1-x)CaTiO3+ xCa(Mg1/3Ta2/3)O3
(식 중, 0.5≤ x ≤ 0.6)
본 발명의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이 특성은 Ca(Mg1/3Ta2/3)O3의 조성비에 따라 달라진다.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화학식 1에서의 x 값이 증가하여 Ca(Mg1/3Ta2/3)O3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전율은 65∼40의 범위에서 감소하며,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는 상기 화학식 1의 계에서 x 값이 0.5와 0.55 사이에서 +에서 -로 변화됨을 볼 수 있다. 따라서, Ca(Mg1/3Ta2/3)O3의 함량이 0.5∼0.6 mol 부근에서 유전율 40∼50, Q×f0(GHz)가 40000 이상이며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가 +15.6 내지 -21.5 ppm/℃인 우수한 마이크로파용 유전체 세라믹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조성물은 Ca(Mg1/3Ta2/3)O3의 함량을 조절함에 의해 요구에 맞는 유전율과 공진주파수의 온도 계수를 자유로이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화학식 1을 갖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 특성치의 측정 방법은 다음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시키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고순도 화학 연구소의 CaCO3(99.9%), TiO2(99.9%), MgO(99.9%), Ta2O5(99.9%)를 CaTiO3와 Ca(Mg1/3Ta2/3)O3각각의 조성비에 따라 칭량한 후에, 알코올과 지르코니아볼을 매체로 하여 12 시간 동안 습식 혼합하여 건조시킨 후, 1100 ℃에서 3 시간 동안 하소하여 CaTiO3와 Ca(Mg1/3Ta2/3)O3분말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하소된 CaTiO3분말과 Ca(Mg1/3Ta2/3)O3분말을 다음 표 1에서와 같은 x 값을 갖는 조성비로 칭량하여, 20 시간 습식 혼합 및 분쇄하였으며, 분쇄 완료 30 분 전에 바인더로서 5% PVA 수용액을 8 중량%로 첨가하였다. 분쇄된 분말을 건조시켜 체거름한 후에 직경이 15 mm인 금속제 주형에서 1 ton/cm2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두께가 6 mm 정도인 시편을 성형하였다. 성형된 시편은 박스형 전기로를 이용하여 1575∼1625 ℃ 범위에서 소결하였다. 이때, 유기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650 ℃에서 1 시간 동안 유지하였으며 승온 속도 및 냉각 속도는 300 ℃/hr이였다.
유전율은 두 장의 은판 사이에서 TE11공진 모드를 이용한 Hakki-Coleman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같은 지름을 갖고 높이가 3 배인 유전체 2 개를 만들어 TE11과 TE013그리고 은판의 표면 저항을 측정하여 Q 값을 계산하였다. 또한, 25 ℃와 65 ℃에서의 공진 주파수 변화를 측정하여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를 구하였다. 각 조성별 시편의 마이크로파 유전 특성은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1-x)CaTiO3+ + xCa(Mg1/3Ta2/3)O3계 세라믹 조성물의 고주파 유전 특성
x 소결 온도 유전율 Q×f0(GHz) Tf(ppm/℃)
0.5 1575 ℃/3h 46.38 36456 15.03
1600 ℃/3h 47.02 38910 15.75
1625 ℃/3h 47.53 39310 15.61
0.55 1575 ℃/3h 38.01 37613 -6.88
1600 ℃/3h 41.92 42250 -6.42
1625 ℃/3h 42.13 43691 -6.30
0.6 1575 ℃/3h 31.62 35427 -20.93
1600 ℃/3h 37.93 41675 -21.32
1625 ℃/3h 39.10 49210 -21.46
상기 표 1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Ca(Mg1/3Ta2/3)O3를 CaTiO3에 고용시킴으로써, 40 이상의 유전율을 갖고 유전 손실이 작으며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가 안정한 마이크로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이 조성비를 달리하여 이 조성물의 유전율과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를 조절할 수도 있다.

Claims (1)

  1. 다음 화학식 1을 갖는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화학식 1
    (1-x)CaTiO3+ xCa(Mg1/3Ta2/3)O3
    (식 중, 0.5≤ x ≤ 0.6).
KR1019970073473A 1997-12-24 1997-12-24 Catio₃+ca(mg⅓ta⅔)o₃계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KR100234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473A KR100234020B1 (ko) 1997-12-24 1997-12-24 Catio₃+ca(mg⅓ta⅔)o₃계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473A KR100234020B1 (ko) 1997-12-24 1997-12-24 Catio₃+ca(mg⅓ta⅔)o₃계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778A true KR19990053778A (ko) 1999-07-15
KR100234020B1 KR100234020B1 (ko) 1999-12-15

Family

ID=19528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473A KR100234020B1 (ko) 1997-12-24 1997-12-24 Catio₃+ca(mg⅓ta⅔)o₃계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40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4020B1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62454B2 (ja) 高周波用磁器、誘電体アンテナ、支持台、誘電体共振器、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機装置
JP3744660B2 (ja) 誘電体磁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誘電体共振器
KR100234018B1 (ko) Catio₃+ca(mg⅓nb⅔)o₃계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KR100234017B1 (ko) (1-x){(1-y)catio₃+ycazro₃}+xca(mg⅓nb⅔)o₃계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KR970001055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KR100307886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조성물
KR100415981B1 (ko) 저온 소결용 고주파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JP2526702B2 (ja) 誘電体磁器組成物
JP4131996B2 (ja) 誘電体磁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誘電体共振器
JP2000095561A (ja) 誘電体磁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誘電体共振器
KR100234020B1 (ko) Catio₃+ca(mg⅓ta⅔)o₃계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KR0173185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자기 조성물
KR100234019B1 (ko) Catio₃+ca(zn⅓nb⅔)o₃계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JP4303369B2 (ja) 誘電体磁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誘電体共振器
JP2003146752A (ja) 誘電体磁器組成物
JP3824792B2 (ja) 誘電体磁器組成物
KR100261550B1 (ko) 마이크로파용 유전체 재료
KR20000002599A (ko) 고주파용 유전체 자기 조성물
KR100415983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KR100261549B1 (ko) 마이크로파용 저온소결형 유전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4321B2 (ko)
KR100308915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자기 조성물
KR100527960B1 (ko) 유전체 자기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유전체 공진기
KR0134532B1 (ko) 고주파용 유전체 자기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99800B1 (ko) 고품질 고주파용 세라믹 유전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