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2202A - 구동전압과 손실을 줄이기 위한 전기광학 폴리머 광도파로 소자의 구조 - Google Patents

구동전압과 손실을 줄이기 위한 전기광학 폴리머 광도파로 소자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2202A
KR19990052202A KR1019970071651A KR19970071651A KR19990052202A KR 19990052202 A KR19990052202 A KR 19990052202A KR 1019970071651 A KR1019970071651 A KR 1019970071651A KR 19970071651 A KR19970071651 A KR 19970071651A KR 19990052202 A KR19990052202 A KR 19990052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waveguide
electro
optical
optic
wave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8814B1 (ko
Inventor
오민철
황월연
한선규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71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8814B1/ko
Priority to US09/119,650 priority patent/US6067387A/en
Publication of KR19990052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2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6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electro-optical organic material
    • G02F1/0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electro-optical organic material in an optical waveguide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166Manufacturing methods
    • G02B2006/12195Tap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전압 및 광손실을 줄이기 위한 전기광학 폴리머 광도파로 소자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광도파로 소자의 입출력부에 모드 크기가 광섬유 모드와 같은 수동형 광도파로를 만들고 이를 수직방향 테이퍼를 두께가 이용하여 얇은 코아를 가지는 전기광학 광도파로와 연결시킨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면 입출력부의 모드 부정합 손실을 무시할수 있을 정도로 작게하고 전기광학 광도파로의 길이를 실질적인 변조기 길이로 국한시켜서 도파광의 전파 손실도 줄이므로 종래의 광도파로 소자 보다 낮은 삽입 손실을 갖는 전기광학 폴리머 광도파로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기광학 광도파로의 두께를 충분히 얇게 만들어서 전기광학 변조효율을 극대화 시키고 구동전압을 매우 낮게 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동전압과 손실을 줄이기 위한 전기광학 폴리머 광도파로 소자의 구조
본 발명은 전기광학 폴리머 광도파로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삽입손실과 구동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는 광도파로 소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폴리머를 이용한 광도파로 소자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될수 있으며 저가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므로 최근 들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폴리머 광도파로 소자 연구 분야는 수동형 폴리머와 비선형 폴리머라는 크게 두 분야로 구분지을 수 있다. 수동형 폴리머는 열광학 효과를 이용한 소자도 포함하여 광파워 분배기나 열광학 스위치등에 응용될 수 있다.
미국의 얼라이드 시그널(allied signal)사에서는 폴리머 광도파로의 전파손실을 0.1dB/cm 미만으로 줄일수 있는 물질을 개발 하였으며(L. Eldada et al., IEEE J. Lightwave Technol., Vol. 14, No. 7, pp. 1704-1713, July 1996), 네덜란드의 악조(Akzo)사에서는 안정성이 매우 뛰어나고 구동전압이 낮은 열광학 스위치들을 제작하여 상용화시켰다.
비선형 폴리머는 주로 전기광학 효과를 이용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에 미국의 스타이어(steier)교수팀은 변조 주파수 대역이 100GHz 이상이 되는 광변조기를 제작 발표하였다(D. Chen, H. R. Fetterman, A. Chen, W. H. Steier, L. R. Dalton, W. Wang, and Y.Shi, "High-bandwidth polymer modulators in OptoelectronicIntegrated Circuits", Proc. SPIE 3006, pp. 314-317, 1997).
전기광학 폴리머 광도파로를 이용한 마흐-젠더(Mach-Zehnder)변조기는 광파와 마이크로파간의 속도 부정합이 매우 작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변조 대역폭이 매우 넓은 광소자들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전기광학 폴리머 광도파로 소자는 아직까지 여러 가지 특성들을 완전히 최적화시키지 못한 상태로서 실제적인 응용소자로서는 부족한 점이 있다.
폴리머를 이용한 전기광학 광도파로 소자는 100GHz 이상의 고속 신호처리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광삽입 손실과 구동전압이 큰 단점으로 인하여 실제 응용에는 한계가 있다.
전기광학 광도파로 소자의 구동전압을 줄이기 위해서는 광도파로의 두께를 줄여서 변조 전극간의 거리를 최소화 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광도파로의 코아층과 클래드층간의 굴절률 차이를 크게 만들어서 도파광을 매우 얇은 코아층에 국한 시킨다. 또한, 상하부 클래드층의 두께도 매우 얇게 만들어서 세층으로 형성되는 광도파로의 전체 두께를 충분히 작게 만든다.
구동 전압은 광도파로의 상하부에 위치한 전극간에 걸리게 되므로 광도파로의 두께가 얇아 질수록 전계는 강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전기광학 효과를 이용한 광 변조 효율이 증가하고 소자의 구동전압이 낮아지게 된다.
광도파로의 두께를 최대한 얇게 만들면 구동전압은 최소화 시킬수가 있으나, 도파광의 크기가 광섬유의 모드보다 너무 작아 지므로 광섬유와 소자간에 입출력 과정에서 모드 부정합으로 인한 손실이 매우 커지고 광섬유 정렬시에 허용 오차가 매우 작아지는 단점이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광학 폴리머 광도파로 소자의 구동전압과 삽입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광도파로 소자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도파로 소자의 구조는 광도파로의 입출력부 영역의 수동형 광도파로와 광변조부 영역의 광도파로사이에 수직방향 테이퍼 광도파로를 형성하고, 상기 입출력부 광도파로의 도파모드의 크기를 광섬유와 동일한 크기로 만든 수동형 광도파로를 형성하여 광섬유와의 연결손실을 최소화 하도록 구성된다.
도 1(a),(b)는 본 발명의 폴리머 전기광학 위상변조 소자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2(a),(b)는 본 발명의 폴리머 광도파로 소자의 입출력부 및 전기광학 변조기 부분의 단면도,
도 3(a)내지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폴리머 광도파로 소자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하여 제조한 마흐-젠더 광변조기의 평면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출력부 수동형 광도파로 영역
2 : 광도파로의 수직방향 테이퍼 영역
3 : 전기광학 변조 광도파로 영역
4 : 기판 (Si, GaAs, Glass, etc.)
5 : 수동형 광도파로 하부 클래드층
6 : 수동형 광도파로 코아
7 : 수동형 광도파로 상부 클래드층
8 : 전기광학 폴리머로 만든 전기광학 변조 광도파로 코아
9 : 전기광학 변조를 위한 하부 전극
10 : 전기광학 변조를 위한 상부 전극
11 : 입출력부 수동형 광도파로의 도파 모드
12 : 전기광학 변조 광도파로의 도파 모드
13 : 직선 채널 광도파로
14 : 마흐-젠더 광도파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기광학 폴리머 광도파로 소자의 특성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구동전압과 광삽입 손실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광도파로 소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a),(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광학 폴리머 광도파로 소자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a)에 따른 광도파로 소자는 일방향으로 진행하는 직선채널 광도파로(13)의 상하에 각각 전기광학 변조를 위한 상부 전극(10)과 하부전극(9)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입출력부에 수동형 광도파로 영역(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동형 광도파로 영역(1)에 접하여 광도파로의 수직방향 테이퍼 영역(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직방향 테이퍼 영역(2)에 전기광학 변조 광도파로 영역(3)이 접속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1(a)의 A-B선에 따른 단면도인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출력부를 형성하는 수동형 광도파로 영역(1)은 기판(4)상에 차례로 적층된 하부 클래드(5), 수동형 광도파로 코아(6), 상부 클래드(7)로 구성되어 있고, 도파광의 위상을 전기 광학 변조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전기광학 변조 광도파로 영역(3)은 기판(4)상에 하부 클래드(5), 수동형 광도파로 코아(6) 및 상부 클래드(7)가 차례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수동형 광도파로 코아(6)내에 전기광학 광도파로 코아(8)와 상하부 전극(10, 9)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수동형 광도파로 영역(1)과 전기광학 변조 광도파로 영역(3)은 기판(4)상에 하부 클래드(5), 수동형 광도파로 코아(6) 및 상부 클래드(7)가 차례로 적층 되어 있으며, 상기 수동 광도파로 코아(6)에 삽입된 전기광학 변조 광도파로 코아(8)의 두께가 서서히 변화하는 수직방향 테이퍼 영역(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전기광학 효과를 극대화시켜서 소자의 구동전압을 낮추기 위해서는 두 전극 (9, 10)간의 간격을 최대한 좁게 만드는 것이 유리하다.
전극의 간격이 좁아지면 동일한 전압에 대한 전계의 세기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기광학 위상 변조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전극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서는 전기광학 광도파로를 지나가는 도파광의 수직방향 크기가 매우 작게되어야 한다.
도 2(a),(b)는 도 1(b)의 입출력부 수동형 광도파로 영역(1)을 자른 E-F의 단면과 전기광학 변조 광도파로 영역(3)을 자른 C-D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전기광학 광도파로의 도파 모드(11, 12)와 도파광의 개략적인 크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도파 모드(11)의 크기는 광섬유의 도파 모드의 크기와 대략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광도파로 코아(8)와 입출력부의 수동형 광도파로 코아(6)를 구성하는 폴리머의 굴절률 차이를 0.02이상으로 매우 크게 만들고, 광도파로 코아(8)의 두께를 얇게 만들어서 도파 모드(12)를 납작하게 만들었다.
그리하여 전극간의 간격을 최대한 좁게 만들었으며 전기광학 위상 변조 효율을 향상시켜서 구동전압을 낮추게 된다.
이와 같이, 전기광학 광도파로 소자의 구동전압을 낮추기 위해서는 도파 모드(11, 12)의 수직 방향 크기를 작게 만드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도파모드가 작아지면 외부에서 광섬유를 연결하여 빛을 입사시키는 과정에서 모드 크기 차이로 인한 모드 부정합 손실(mode mismatch loss)이 증가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광섬유를 정확하게 정렬하여 연결하는 과정도 매우 힘들고 추가적인 광손실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광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도 2(b)에 도시한 도 1(b)의 C-D선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수동형 광도파로를 이용하였다.
수동형 광도파로는 수동형 광도파로 코아(6)와 상하부 클래드(5, 7)로 구성되며 이들간의 굴절률 차이를 0.003 정도로 만들어 주면 상당히 큰 도파 모드(12)를 얻을 수 있다.
이때 굴절률차이와 코아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하면 도파 모드의 크기를 광섬유의 도파 모드와 흡사한 크기로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제안된 수동형 광도파로에 광섬유를 연결시켜서 빛을 입사 시킬때는 모드 부정합으로 인한 손실을 없앨수 있으며, 도파 모드의 크기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광섬유 정렬과정에서의 허용 오차도 큰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광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입출력부에 큰 도파모드를 갖는 광도파로가 필요하고, 반면 구동 전압을 줄이기 위해서는 전기광학 광도파로의 모드를 작게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상반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광도파로를 만들어서 직접 연결시키게 되면 이 과정에서 모드 크기 부정합으로 인한 손실이 크게 발생한다.
그러므로, 도 1에서 도시한 테이퍼 구조의 광도파로 영역(2)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모드 크기를 갖는 광도파로를 연결시킴으로써 모드 부정합 손실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광도파로의 테이퍼 영역(2)에서 광도파로의 도파모드의 크기는 서서히 변화하게되며, 이때 테이퍼의 각도를 충분히 작게 만들어주면 도파모드 크기 변화에 따른 추가손실을 없앨 수 있다. 그러므로 테이퍼 영역(2)의 광도파로는 수동형 광도파로 영역(1)의 광도파로와 전기광학 광도파로 영역(3)의 광도파로 사이를 빛이 진행하면서 생길수 있는 모드 부정합 손실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광학 폴리머 광도파로 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광학 폴리머 광도파로 소자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silicon)기판, III-V 족 반도체(InP, GaAs 등)기판, 유리 등의 기판(도시하지 않음)위에 수동형 광도파로의 하부 클래드(5)를 형성하고, 그 위에 수동형 광도파로 코아를 형성하기 위해, 폴리머를 스핀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코팅한 후에 박막을 자외선이나 열을 가하여 충분히 경화시켜 제 1 코아층(6a)을 형성하고,
이 제 1 코아층(6a)위의 전기광학 광도파로를 제작할 부분에 부분적으로 하부 전극(9)을 진공 증착시킨다.
이어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형 광도파로 코아 및 전기광학 광도파로 클래드용으로 폴리머를 전체적으로 코팅하여 제 2 코아층(6b)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전기광학 변조 광도파로 코아(8)를 코팅하고 반응성 이온 식각법(Reactive Ion Etching: RIE)등으로 패터닝하여 채널 광도파로 형태를 만든다.
다음,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광학 변조 광도파로 영역(3)위에 마스크 패턴(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노출된 부분을 반응성 이온 식각하여 전기광학 변조 광도파로 코아(8)와 제 2 코아층(6b)을 비스듬하게 테이퍼 형태로 식각하여 제거한다.
이어서,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폴리머를 코팅하여 제 3 코아층(6c)을 형성하고, 하부 전극(9)에 대응하는 제 3 코아층(6c)상에 상부 전극(10)을 형성하고, 이어서 폴리머를 증착하여 제 4 코아층(6d)을 형성한다.
테이퍼 구조와 전기광학 변조 광도파로 코아(8)는 점선으로 나타낸바와 같이 수동형 광도파로 코아(6)의 내부에 매입되도록 형성된다.
그 다음, 도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코아층(6d)상의 전기광학 변조 광도파로 영역에 마스크 패턴(도시하지 않음)와 광도파로 마스크 패턴(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노출된 코아층을 반응성 이온 식각법으로 식각하여 수동형 광도파로 코아(6)을 완성한다.
이어서, 도 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형 광도파로의 상부 클래드(7)를 코팅 하여 소자의 제작을 완료한다.
도 4는 상술한 도 3의 제조 방법에 의한 광도파로 구조를 이용한 전기광학 마흐-젠더 변조기의 평면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광도파로 구조를 가지는 도 4의 마흐-젠더 광변조기는 1라인 사이에 2라인으로 분기하는 형상을 가지는 마흐-젠더 광도파로가 형성되고, 상부전극(9)이 마흐-젠더 광도파로의 분기된 2라인중 1라인 상측에만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전기 광학 변조가 반드시 필요한 부분에만 수직방향 테이퍼 영역(2)의 구조와 전기광학 변조기를 삽입시켜서 제작하여 전기광학 광도파로의 길이를 줄이게되므로 광 전파 손실(optical propagation loss)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광학 광도파로는 수동형 광도파로 보다 광 전파 손실이 훨씬 크기 때문이다. 또한 이 구조를 이용하면 수동형 광도파로를 기반으로 전체적인 광신호 처리용 광도파로 회로를 형성하고, 전기광학 신호처리가 필요한 부분에만 국부적 으로 전기광학 광도파로를 형성하여 전체적인 광손실을 대폭 줄일수 있게 된다.
전기광학 변조 영역의 길이가 2cm이고 도파 손실이 2dB/cm 라고 하면 마흐-젠더 변조기의 궁극적인 손실은 4dB 밖에 되지 않으며, 모드 부정합 손실이 무시할수 있을 정도로 작아지므로 기타 추가적인 손실들을 합치더라도 5∼6dB 정도의 총 삽입 손실을 갖게 될것이다.
전기광학 광변조기의 구동전압은 광파의 위상을 180。 만큼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전압 Vπ 로 정의된다. Vπ 는 광파의 파장 λ, 상하부 전극간의 간격 d, 광도파로의 유효 굴절률 n, 전기광학 계수 r33, 그리고 전극의 길이 L 에 의해서 결정되며 하기의 수학식 1로 표현된다.
전극간의 간격을 5μm 로 하고 L = 2cm, r33= 20pm/V, n = 1.8, 그리고 λ = 1.3 μm인 경우에 Vπ 는 2.8V 가 된다. 이 값을 더 낮추기 위해서는 전기광학 광도파로의 도파모드를 더욱 작게 만들어서 전극간의 간격을 줄이면 된다.
전극 간격이 3μm로 줄어 들면 변조 전압은 1.7V 로 줄어든다.
폴리머 소자는 초고속 광신호 처리에 적합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본 구조를 이용하여 효율을 극대화시키게 되면 다양한 응용 분야에 효과적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폴리머를 이용하여 저가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소자이므로 광통신, 광교환, 광센서 등 다 방면의 광신호 처리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전기광학 폴리머 광도파로 소자의 구동전압과 삽입 손실을 줄이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광도파로의 입출력부 영역의 수동형 광도파로와 광변조부 영역의 광도파로 사이에 수직방향 테이퍼 광도파로를 형성하고,
    상기 입출력부 광도파로의 도파모드의 크기를 광섬유와 동일한 크기로 만든 수동형 광도파로를 형성하여 광섬유와의 연결손실을 최소화한 광도파로 소자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조부 영역의 광 도파로는 수동형 광도파로 코아와, 상기 수동형 광도파로 코아내에 매입되어 있는 전기광학 변조 광도파로 코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도파로 소자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조부 영역은 수동형 광도파로 코아와, 상기 수동형 광도파로 코아내에 매입되어 있는 전기광학 변조 광도파로 코아 및 상기 전기광학 변조 광도파로 코아의 상하에 형성되어 있는 상하부 전극을 포함하는 광도파로 소자의 구조.
  4. 상기 수직방향 테이퍼 영역의 광도파로는 수동형 광도파로 코아와, 상기 수동형 광도파로 코아내에 매입되어 입출력부 영역의 광도파로측으로 수직으로 경사진 단부를 가지는 전기광학 변조 광도파로 코아를 포함하는 광도파로 소자의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 영역의 광도파로는 광섬유의 도파 모드와 일치하는 광도파로의 도파 모드를 가지는 광도파로 소자의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광학 변조 광도파로의 도파모드는 상기 입출력부의 광도파로의 도파 모 드 보다 얇은 두께의 도파 모드를 가지는 광도파로 소자의 구조.
KR1019970071651A 1997-12-22 1997-12-22 구동전압과손실을줄이기위한전기광학폴리머광도파로소자의구조 KR100328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651A KR100328814B1 (ko) 1997-12-22 1997-12-22 구동전압과손실을줄이기위한전기광학폴리머광도파로소자의구조
US09/119,650 US6067387A (en) 1997-12-22 1998-07-21 Electro-optic polymer waveguide device for decreasing a driving voltage and an optical los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651A KR100328814B1 (ko) 1997-12-22 1997-12-22 구동전압과손실을줄이기위한전기광학폴리머광도파로소자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202A true KR19990052202A (ko) 1999-07-05
KR100328814B1 KR100328814B1 (ko) 2002-08-27

Family

ID=1952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651A KR100328814B1 (ko) 1997-12-22 1997-12-22 구동전압과손실을줄이기위한전기광학폴리머광도파로소자의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67387A (ko)
KR (1) KR1003288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2397A (en) * 1997-12-05 2000-04-18 Sdl, Inc. Laser diode device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light output beam and a method of forming a tapered section in a semiconductor device to provide for a reproducible mode profile of the output beam
KR100326046B1 (ko) * 1999-06-21 2002-03-07 윤종용 열광학 스위치 및 그 제작방법
US20020159667A1 (en) * 2001-04-11 2002-10-31 Van Eck Timothy Edwin Waveguide optimization for maximum-sensitivity poled polymer electro-optic modulator
US6704468B2 (en) * 2001-09-14 2004-03-09 Agere Systems Inc. Opto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6813417B2 (en) * 2002-02-20 2004-11-02 Pacific Wave Industries, Inc. Tapered waveguide inter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WO2004023178A2 (en) * 2002-09-06 2004-03-18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Transitions in refractive index using electro-optic polymers
US20040202429A1 (en) * 2003-04-10 2004-10-14 Lambda Crossing Ltd. Planar optical component for coupling light to a high index waveguide,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US7123793B2 (en) * 2003-09-09 2006-10-17 Optimer Photonics, Inc. Modulator array architectures
US7103277B2 (en) * 2003-09-09 2006-09-05 Optimer Photonics, Inc. Fiber-to-the-premise architectures
JP4682081B2 (ja) * 2006-04-27 2011-05-11 富士通株式会社 光デバイス
US7912327B2 (en) * 2007-09-06 2011-03-22 The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Hybrid strip-loaded electro-optic polymer/sol-gel modulator
KR20120063867A (ko) * 2010-12-08 2012-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터치 패널
US8615148B2 (en) * 2011-03-04 2013-12-24 Alcatel Lucent Optical coupler between planar multimode waveguides
US10591755B2 (en) * 2017-03-07 2020-03-17 Lightwave Logic Inc. Direct-drive polymer modulator methods of fabricating and materials therefor
US11262605B2 (en) * 2017-08-31 2022-03-01 Lightwave Logic Inc. Active region-less polymer modulator integrated on a common PIC platform and method
US10509164B2 (en) * 2017-09-14 2019-12-17 Lightwave Logic Inc. Guide transition device and method
US10511146B2 (en) * 2017-11-14 2019-12-17 Lightwave Logic Inc. Guide transition device with digital grating deflectors and method
US11042051B2 (en) * 2018-02-19 2021-06-22 Lightwave Logic Inc. Direct drive region-less polymer modulator methods of fabricating and materials therefor
US11435603B2 (en) * 2020-10-14 2022-09-06 Lightwave Logic Inc. TFP optical transition devi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2511A (en) * 1993-06-11 1995-03-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ethod of forming an improved tapered waveguide by selectively irradiating a viscous adhesive resin prepolymer with ultra-violet light
DE4344179C1 (de) * 1993-12-23 1994-10-27 Krone Ag Koppelvorrichtung zwischen einer Glasfaser und einem auf einem Substrat integrierten dielektrischen Wellenleiter
US5544268A (en) * 1994-09-09 1996-08-06 Deacon Research Display panel with electrically-controlled waveguide-routing
US5533151A (en) * 1995-04-28 1996-07-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ctive cladding optical modulator using an electro-optic polymer on an inorganic waveg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8814B1 (ko) 2002-08-27
US6067387A (en) 2000-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8814B1 (ko) 구동전압과손실을줄이기위한전기광학폴리머광도파로소자의구조
EP0905546A2 (en) Stacked thermo-optic switch, switch matrix and add-drop multiplexer having the stacked thermo-optic switch
US10921682B1 (en) Integrated optical phase modula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30169478A1 (en) Optical modulator and design method therefor
JPWO2005019913A1 (ja) 光導波路デバイスおよび進行波形光変調器
US7693355B2 (en) Hybrid electro-optic polymer/sol-gel modulator
US20020159684A1 (en) Novel optical waveguide switch using cascaded mach-zehnder interferometers
US5291574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rip optical waveguides
CN211506095U (zh) 一种铌酸锂薄膜电光调制器
US11520175B2 (en) Active region-less modulator and method
KR100219714B1 (ko) 저손실 광능동소자의 제작방법
KR100431084B1 (ko) 광도파로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2835214A (zh) 一种铌酸锂薄膜电光调制器
US11042051B2 (en) Direct drive region-less polymer modulator methods of fabricating and materials therefor
CN117289493A (zh) 一种偏振不敏感的硅基光开关
JP2009265478A (ja) 光導波路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Watanabe et al. Novel ‘‘serially grafted’’connection between functional and passive polymer waveguides
EP1230717B1 (en) A silicon mesa structure integrated in a glass-on-silicon waveguid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it
JPH05224245A (ja) ハイブリッド光回路およびマトリクス光スイッチ
Han et al. Crosstalk‐Enhanced DOS Integrated with Modified Radiation‐Type Attenuators
US20210141250A1 (en) Active region-less modulator and method
KR100370278B1 (ko) 광 경로 제어용 투 바이 투 광스위치
KR100293317B1 (ko) 전기광학폴리머광도파로편광무의존광변조기및그제작방법
JPH0943442A (ja) 光回路とその製造方法
JPH09211501A (ja) 熱光学光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