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2195A - 착신 지원 씨티2 시스템의 핸드 오버 대상 기지국결정을 위한단말기 및 그 결정방법 - Google Patents

착신 지원 씨티2 시스템의 핸드 오버 대상 기지국결정을 위한단말기 및 그 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2195A
KR19990052195A KR1019970071644A KR19970071644A KR19990052195A KR 19990052195 A KR19990052195 A KR 19990052195A KR 1019970071644 A KR1019970071644 A KR 1019970071644A KR 19970071644 A KR19970071644 A KR 19970071644A KR 19990052195 A KR19990052195 A KR 19990052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handover
target bas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철
조기성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71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2195A/ko
Publication of KR19990052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219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34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 H04W40/36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due to hand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을 지원하는 공중망 및 사설망용 씨티2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해 가는 기지국으로 보다 정확한 핸드 오버를 수행하도록 핸드 오버 대상 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한 단말기 및 그 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접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신 기능만을 갖는 별도의 RF 수신 장치가 추가된 착신 지원 CT2 시스템의 핸드 오버 대상 기지국 결정을 위한 단말기 및 상기 별도의 RF 수신 장치가 추가된 단말에 의해 40개 채널을 탐색하여, CIS 메시지에 기록된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타겟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소스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핸드 오버가 수행될 경우 기지국이 상기의 단말이 제공한 타겟 기지국에 대한 정보에 의해 타겟을 즉각적으로 결정하는 핸드 오버 대상 기지국 결정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단말기가 호의 연결시 자신의 주변에 위치하는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소스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도록하여, 항상 최적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하고, 타겟 기지국 선택을 위한 핸드 오버 절차 상의 지연을 제거하며, 고속으로 움직이는 단말에 대해서도 핸드 오버를 수행하여 가입자가 느끼는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신 지원 씨티2 시스템의 핸드 오버 대상 기지국 결정을 위한 단말기 및 그 결정방법
본 발명은 착신을 지원하는 공중망(public network) 및 사설망(private network)용 씨티2(Codeless Telephone 2)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해 가는 기지국으로 보다 정확한 핸드 오버를 수행하도록 하는 착신 지원 씨티2 시스템의 핸드 오버 대상 기지국 결정을 위한 단말기 및 그 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중망 및 사설망과 같은 이동망에서는 호를 진행하기 위해 무선 채널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단말의 이동에 따라 다른 기지국으로 호를 절단하지 않고 변경하는 핸드 오버라는 고유의 서비스를 가진다. 별도의 핸드 오버 메카니즘을 제공하지 않는 CT2 규격에서는 핸드 오버에 사용될 수 있는 "링크 재개설"이라는 무선 채널 상의 동기 회복을 위한 메커니즘을 정의하고 있다. 링크 재개설은 호를 수행하기 위해 개설된 무선 링크의 품질 저하(즉, 동기 상실 혹은 핸드쉐이크 상실)시 새로이 링크를 설정하여 호를 지속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이다. 이러한 링크 재개설을 사용하여 기지국 A를 통해 호를 진행하던 단말이 링크 재개설 이후 기지국 B를 통해 호를 진행하게 되면 핸드 오버가 이루어진 것이다. 링크 재개설은 동기식과 비동기식으로 구분된다. 비동기식 재개설의 경우 단말에서 새로운 무선 채널로 링크 개설을 요구하고 이를 기지국이 수용하여 이루어지고, 동기식의 경우 기지국에서 채널을 점유한 채 대상 단말에 대한 링크 개설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단말이 이를 감지하여 링크가 개설된다. 동기식 및 비동기식 모두 기지국이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의 식별자를 알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핸드 오버 이전에 서비스를 제공하던 기지국은 단말이 이동해 가는 기지국으로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여야 한다.
그리고, 다른 이동통신에 비해 약한 무선 출력을(10mW이내) 사용하고 별도의 브로드케스트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CT2의 경우 단말은 통화중 상태에서는 별도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기지국은 단말의 이동 방향을 감지할 수 없다. 따라서, 핸드오버시 현재 단말을 서비스하고 있는 기지국(즉, 소스 기지국)은 새로이 단말을 서비스할 기지국(즉,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타겟 기지국을 결정하지 못하고 모든 인접 기지국을 핸드 오버 가능 기지국으로 간주하여 이들 모두에서 핸드 오버 절차를 진행하는 경우, 재개설 방식을 사용해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CT2 CAI(Common Air Interface)의 특성상 가능 기지국 가운데 임의의 기지국으로 채널이 연결된다. 최악의 경우 단말이 이동하는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기지국으로 핸드 오버가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모든 인접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 시도 대신, 기지국에서 단말이 이동하는 기지국을 판단하려고 할 경우 소스 기지국은 인접 기지국들에 핸드 오버 가능성이 있는 단말의 식별자와 사용하는 무선 채널을 전송하여 단말이 사용하고 있는 채널의 무선 신호 강도를 보고하게 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무선 신호 강도는 주파수 재 사용과 무선 신호의 간섭 및 장애물 존재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완벽하게 수행될 수 없다. 더욱이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기지국으로의 측정 요청 절차, 인접 기지국에서의 실제 측정 절차,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소스 기지국으로의 측정 결과 응답 절차 등이 필요하며, 이러한 정보가 수집되더라도 이를 분석하여 타겟 기지국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알고리즘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에는 CT2 단말에 하나의 RF 장치를 사용하고, 링크 재개설이라는 무선 채널상의 동기 회복을 위한 방법을 이용하는 핸드 오버의 수행에서, 소스 기지국이 타겟 기지국을 결정할 수 있어야 하지만 CT2에서는 별도의 메커니즘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핸드 오버의 긴 지연 시간과, 비최적 타겟 기지국 선택으로 인한 연속적인 핸드 오버 및 호 절단 등 서비스 품질의 저하가 발생하고, 고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의 경우 핸드 오버 실패의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씨티2에서 핸드 오버를 위해 단말에 핸드 오버를 위한 별도의 RF 수신 장치를 추가하여, 인접 기지국으로부터의 CIS 메시지를 감시할 수 있도록하고, 상기 CIS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이 이동하고 있는 셀에 대한 정보를 얻고, 상기 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 오버가 수행될 최적의 셀을 찾아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착신 지원 씨티2 시스템의 핸드 오버 대상 기지국 결정을 위한 단말기 및 그 결정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단말기가 호의 연결시 자신의 주변에 위치하는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소스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도록하여, 항상 최적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하고, 타겟 기지국 선택을 위한 핸드 오버 절차상의 지연을 제거하며, 고속으로 움직이는 단말에 대해서도 핸드 오버를 수행하여 가입자가 느끼는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CT2 시스템의 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F 수신 장치가 추가된 CT2 단말의 통화중 상태 동작 처리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T2 기지국의 통화중 상태 동작 처리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 수신 장치를 추가하지 않은 CT2 단말의 통화중 상태 동작 처리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말기 2 : 기지국
3 : 기지국 제어기 4 : CT2 교환기
5 : 가입자 위치 정보 DB
본 발명은 착신을 지원하는 공중망(public network) 및 사설망(private network)용 씨티2(Codeless Telephone 2)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해 가는 기지국으로 보다 정확한 핸드 오버를 수행하도록 하는 착신 지원 씨티2 시스템의 핸드 오버 대상 기지국 결정을 위한 단말기 및 그 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씨티2에서 핸드 오버를 위해 단말에 핸드 오버를 위한 별도의 RF 수신 장치를 추가하여, 인접 기지국으로부터의 CIS 메시지를 감시할 수 있도록하고, 상기 CIS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이 이동하고 있는 셀에 대한 정보를 얻고, 상기 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 오버가 수행될 최적의 셀을 찾아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도록하는 착신 지원 씨티2 시스템의 핸드 오버 대상 기지국 결정을 위한 단말기 및 그 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CT2 시스템의 망 구성도로서, 교환기를 통해 타가입자와 통신을 하는 CT2 단말기(1)와, 상기 CT2 단말기(1)와 직접 무선을 통해 통신하는 기지국(2)과, 상기 기지국(2)을 관리하는 기지국 제어기(3)와, 착신 기능을 가진 교환기(4)와, 단말의 위치를 저장하는 가입자 위치 정보 DB(Data Base)(5)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기지국 제어기(3), 교환기(4), 및 가입자 위치 정보 DB(5)는 실제 망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물리적 개체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별개의 물리적 개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CT2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착신을 지원하는 기지국(2)이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기록한 CIS (CFP Information and Status) 메시지를 반복해서 전송하면, 단말기(1)의 RF 수신 장치는 지속적으로 CT2의 40개 채널을 탐색하여, CIS메시지에 기록된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며, 이를 바탕으로 타겟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소스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한다. 핸드 오버가 수행될 경우 기지국 제어기(3)의 제어를 받는 기지국(2)은 상기의 단말기(1)가 제공한 타겟 기지국에 대한 정보에 의해 타겟을 즉각적으로 결정하고 실제 핸드 오버에 필요한 절차로 들어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F 수신 장치가 추가된 CT2 단말의 통화중 상태 동작 처리 흐름도이다.
먼저, 호에 의해 통화중 상태에 있는 단말이 추가된 RF 수신 장치를 사용하여 CT2가 사용하는 40개의 채널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탐색하고(11), 탐색된 채널중에서 CIS 메시지를 전송중인 채널이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단계(11)로 귀환하여 상기 단계(11)를 반복 수행하고(12), 상기 단계(12)에서 전송중인 채널이 존재할 경우에는 전송중인 채널에 대한 전파 강도를 측정하고(13), CIS 메시지 내의 기지국의 위치를 표시하는 Local Cell Id, Local Area Id와 함께 상기 단계(13)에서 측정된 전파 강도, 측정 시간을 저장하여 리스트로 관리하고, 상기 단계(11)로 귀환하여 상기 단계들을 반복하여 수행한다(14). 또한, 상기 단계들(11∼14)이 수행함과 동시에 측정값 보고 타이머 및 측정값 유효 시간 타이머를 설정하고, 단말에 주기적으로 측정값을 보고하도록 설정해 둔 측정값 보고 타이머가 종료되면(15), 상기 단계(14)에서 저장된 Local Cell Id, Local Area Id 전파 강도들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16). 다음으로, 측정값 유효 시간 타이머가 종료되면(17), 저장된 측정값 중에서 유효 시간이 경과된 Local Cell Id, Local Area Id, 전파 강도 항목을 삭제한다(18).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T2 기지국의 통화중 상태 동작 처리 흐름도이다.
먼저, 소스 기지국이 호를 서비스 중인 단말로부터 전파 강도 측정 리스트를 수신하고(21), 수신한 전파 강도 리스트를 서비스 중인 각 호별로 저장하며(22), 전파 강도가 약해져 핸드 오버가 요구되는 상황이 되면 기지국은 이를 감지하고(23), 기지국이 저장된 대상 단말의 전파 강도 리스트를 분석하여 Local Cell Id, Local Area Id가 표시하는 최적의 기지국을 선택한다(24). 다음으로, 선택된 기지국과의 핸드 오버 절차에 들어간다(25).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 수신 장치를 추가하지 않은 CT2 단말의 통화중 상태 동작 처리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은 핸드 오버 절차가 요구되는 정도로 전파 강도가 저하되면 이를 감지하여(31),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기지국으로의 링크 재개설을 요구하여 잠시 호를 중지시키고(32), 40개의 채널을 탐색하여 CIS 전송 기지국에 대한 위치 정보(Local Cell Id, Local Area Id)와 전파 강도를 측정하여 저장한다(33). 다음으로, 채널 탐색이 끝나면 링크 재개설 절차를 종료하여 중지된 호를 다시 연결하고(34), 호가 연결되면 저장된 전파 강도 리스트를 기지국으로 보고한다(35). 이후 기지국은 도 3과 동일한 방식으로 추가의 RF 수신 장치를 가지지 않는 CT2 단말의 핸드 오버를 처리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신 지원 씨티2 시스템의 핸드 오버 대상 기지국 결정을 위한 단말기 및 그 결정방법은 단말기가 호의 연결시 자신의 주변에 위치하는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소스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도록하여, 항상 최적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하고, 타겟 기지국 선택을 위한 핸드 오버 절차상의 지연을 제거하며, 고속으로 움직이는 단말에 대해서도 핸드 오버를 수행하여 가입자가 느끼는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인접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신 기능만을 갖는 별도의 RF 수신 장치가 추가된 착신 지원 CT2 시스템의 핸드 오버 대상 기지국 결정을 위한 단말기 및 상기 별도의 RF 수신 장치가 추가된 단말에 의해 40개 채널을 탐색하여, CIS 메시지에 기록된 인접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타겟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소스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하여, 핸드 오버가 수행될 경우 기지국이 상기의 단말이 제공한 타겟 기지국에 대한 정보에 의해 타겟을 즉각적으로 결정하는 핸드 오버 대상 기지국 결정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항상 최적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하고, 타겟 기지국 선택을 위한 핸드 오버 절차상의 지연을 제거하며, 고속으로 움직이는 단말에 대해서도 핸드 오버를 수행하여 가입자가 느끼는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공중망 및 사설망을 서비스하는 CT2 시스템에서 핸드 오버의 수행을 위해 대상 기지국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호의 연결시 자신의 주변에 위치하는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소스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서 보고된 정보에 의해 소스 기지국이 핸드 오버의 수행을 위한 대상 기지국을 결정하는 제 2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지원 씨티2 시스템의 핸드 오버 대상 기지국 결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은, 호에 의해 통화중 상태에 있는 단말이 추가된 RF 수신 장치를 사용하여 CT2가 사용하는 40개의 채널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탐색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탐색된 채널중 CIS 메시지를 전송중인 채널이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 1 단계로 귀환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전송중인 채널이 존재할 경우, 전송중인 채널에 대한 전파 강도를 측정하는 제 3 단계와;
    CIS 메시지 내의 기지국의 위치를 표시하는 CIS 전송 기지국에 대한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제 3 단계에서 측정된 전파 강도, 측정 시간을 저장하여 리스트로 관리하고, 상기 제 1 단계로 귀환하여 상기 단계들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를 수행함과 동시에 측정값 보고 타이머 및 측정값 유효 시간 타이머를 설정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의 단말에 주기적으로 측정값을 보고하도록 설정해 둔 측정값 보고 타이머가 종료되는 제 6 단계와;
    상기 제 6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제 4 단계에서 저장된 CIS 전송 기지국에 대한 위치 정보와 전파 강도들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에서 설정한 측정값 유효 시간 타이머가 종료되는 제 8 단계와;
    상기 제 8 단계가 완료된 후, 저장된 측정값 중에서 유효 시간이 경과된 CIS 전송 기지국에 대한 위치 정보와 전파 강도 항목을 삭제하는 제 9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지원 씨티2 시스템의 핸드 오버 대상 기지국 결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은, 소스 기지국이 호를 서비스 중인 단말로부터 전파 강도 측정 리스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신한 전파 강도 리스트를 서비스 중인 각 호별로 저장하는 제 2 단계와;
    전파 강도가 약해져 핸드 오버의 필요 조건이 발생할 경우 기지국이 이를 감지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의 핸드 오버 요구에 따라 기지국이 저장된 대상 단말의 전파 강도 리스트를 분석하여 CIS 전송 기지국에 대한 위치 정보가 표시하는 최적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선택된 기지국과의 핸드 오버 절차를 개시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지원 씨티2 시스템의 핸드 오버 대상 기지국 결정방법.
  4. 공중망 및 사설망을 서비스하는 CT2 시스템에서 핸드 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에 있어서,
    CIS 메시지를 전송하는 채널을 탐색하는 수신 기능만을 갖는 RF 수신 장치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지원 씨티2 시스템의 핸드 오버 대상 기지국 결정 기능을 갖는 단말기.
KR1019970071644A 1997-12-22 1997-12-22 착신 지원 씨티2 시스템의 핸드 오버 대상 기지국결정을 위한단말기 및 그 결정방법 KR19990052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644A KR19990052195A (ko) 1997-12-22 1997-12-22 착신 지원 씨티2 시스템의 핸드 오버 대상 기지국결정을 위한단말기 및 그 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644A KR19990052195A (ko) 1997-12-22 1997-12-22 착신 지원 씨티2 시스템의 핸드 오버 대상 기지국결정을 위한단말기 및 그 결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195A true KR19990052195A (ko) 1999-07-05

Family

ID=66090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644A KR19990052195A (ko) 1997-12-22 1997-12-22 착신 지원 씨티2 시스템의 핸드 오버 대상 기지국결정을 위한단말기 및 그 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21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975A (ko) * 1999-10-28 2001-05-15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의 최적 트래픽 프레임 선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975A (ko) * 1999-10-28 2001-05-15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의 최적 트래픽 프레임 선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6725B2 (en) Passive probing for handover in a local area network
US62402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handoff from a CDMA cellular telephone system
JP2586631B2 (ja) ドロツプした通話保護回路を具えるセルラー無線電話装置及び方法
KR10146689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의 연속성을 제공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081661B1 (ko) 2개의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장치및 방법
US6081714A (en) Low traffic handoff method for CDMA cellular network using different frequencies among base stations
RU2267224C2 (ru) Способ переключения каналов связи в беспроводной локальной сети, а также точка доступа и мобильная станция, обеспечивающие способ переключения каналов связи
TWI411324B (zh) 基地台、行動台以及基地台、行動台及通訊網路運作方法
US5303289A (en) Communication transfer in a cellular radiotelephone system
US7764693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control equipment, radio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RU2007143485A (ru) Синхронизация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для передачи обслуживания в гибридной сети gsm/мдкр
KR20040020203A (ko) 무선 근거리통신망/이동전화 연동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선택 및 데이터 전송방법
RU2008121199A (ru) Межчастотная эстафетная передача обслуживания
JP2004502388A (ja) 回線交換環境とパケット交換環境との間でハンドオーバーを実行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90030907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 결정 방법
JP4433152B2 (ja) マルチモードの遠隔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の方法
US5884163A (en) Automatic learning of wireless coverage
JPH1098759A (ja) 移動体通信方式
US6424833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hand-off method thereof
JP2009535963A (ja) 通信方法及び基地局
JPH1023501A (ja) 移動体端末の局間ハンドオーバ方式
KR20020032541A (ko)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들을 추적하는 시스템
KR20010062401A (ko) 후보 주파수의 복수 파일럿에 관한 측정 정보를 전달하기위한 원격 통신 네트워크 및 방법
KR20060132550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방법에서 패킷 세션 동안의 핸드오버
CN111417156A (zh) 一种配置记录小区重选信息的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