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0153A -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 등록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 등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0153A
KR19990050153A KR1019970069215A KR19970069215A KR19990050153A KR 19990050153 A KR19990050153 A KR 19990050153A KR 1019970069215 A KR1019970069215 A KR 1019970069215A KR 19970069215 A KR19970069215 A KR 19970069215A KR 19990050153 A KR19990050153 A KR 19990050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voice recognition
input
dialing
fixed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승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9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0153A/ko
Publication of KR19990050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15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data transmission, e.g.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위한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방법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에서 고정장치의 음성 인식 칩을 이용하여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무선전화기에서 별도의 음성 인식 칩을 구비하지 않는 휴대장치가 음성 인식 칩을 구비하는 고정장치와의 통화 채널을 통해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하기 위한 입력되는 음성과 전화번호를 대응시켜 메모리에 저장하여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위한 데이터로 등록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칩을 구비하지 않는 휴대장치를 통해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 등록 방법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위한 등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통한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위한 등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에는 음성 인식 칩을 구비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기능은 음성 인식 칩을 구비한 고정장치에만 적용될 뿐이고, 고정장치보다 오히려 많이 사용되는 휴대장치에는 이러한 기능이 없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음성 인식 칩을 추가하는 것은 제품의 생산 단가를 높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에서 별도의 음성 인식 칩을 구비하지 않고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하기 위한 등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서 별도의 음성 인식 칩을 구비하지 않는 휴대장치가 음성 인식 칩을 구비하는 고정장치와의 통화 채널을 통해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하기 위한 입력되는 음성과 전화번호를 대응시켜 메모리에 저장하여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위한 데이터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위한 등록 절차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전화기에서 고정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에서 고정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부100은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0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입력부102는 각종 기능 및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들과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숫자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터를 제어부100으로 출력한다. 표시부103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상태를 표시한다. 링검출부104는 전화라인과 연결되며, 온-후크(on-hook) 상태에서 상기 전화라인으로 입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100에 착신 상태임을 통보한다. 릴레이105는 훅크스위치(hook switch)를 포함하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상기 전화라인과 자동응답전화기의 통화로를 형성 및 차단하는 스위칭을 수행한다. 통화회로부106은 음성회로로서 릴레이105와 송화부111 및 수화부112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전화라인을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톤신호 및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송화부111 및 수화부112는 통화회로부106와 연결되며, 마이크 및 스피커 또는 송수화기가 될 수 있다. DTMF발생부107은 제어부100과 통화회로부106 사이에 연결되며, 제어부100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DTMF(Dual Tone Multi-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통화회로부106으로 출력한다. DTMF수신부108은 통화회로부106과 제어부100 사이에 연결되며, 통화회로부106에서 출력되는 DTMF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00으로 출력한다. 무선부110은 통화회로부106에 연결되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의 RF 신호를 송수신한다. 음성인식부120은 통화회로부106과 연결되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통화회로부106에서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와 녹음한 메시지를 비교하여 등록된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성인식부120은 음성제어부121과 음성메모리122와 코덱123으로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음성제어부121은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등록 모드시 코덱123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데이터를 녹음할 수 있도록 압축 부호화하여 음성메모리122으로 출력한다. 음성제어부121은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를 사용할 수 있다. 음성메모리122는 등록 모드시 음성제어부121의 제어하에 음성 메시지를 지정된 영역에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부20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에서 휴대 장치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메모리20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휴대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수행중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입력부202는 숫자키와 다수의 기능키들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소정 키를 누르면 이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200으로 출력한다. 또한, 키입력부20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다이얼링 등록키를 구비하거나 소정 키의 조합으로 음성 인식 다이얼링 등록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키데이터를 제어부200으로 출력한다. 표시부203은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상태를 표시한다. 무선부210은 안테나를 통해 상기 고정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부230으로 전송하고, 송신부220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송신부220은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마이크221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부210으로 송신한다. 수신부230은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무선부210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231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위한 등록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위한 등록 방법을 설명한다. 제301단계에서 휴대장치의 제어부200은 키입력부202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터로써 음성 인식 다이얼 등록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음성 인식 다이얼 등록키가 입력되면, 제303단계에서 휴대장치의 제어부200은 무선부210을 제어하여 고정장치와의 통화 채널을 형성한다. 제305단계에서 휴대장치의 제어부200은 무선부210을 통해 상기 고정장치와 형성된 통화 채널로 음성 인식 다이얼 등록 모드 설정을 알리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장치의 제어부100은 상기 통화 채널로 전송된 데이터에 따라 음성 인식 다이얼 등록 모드를 설정한 후 상기 휴대장치로 음성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음성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일 수 있으며, 상기 휴대장치로 전송된다.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음성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송받아 음성 메시지인 경우 스피커231로 출력하고, 문자 메시지인 경우 표시부203으로 출력한다. 상기 음성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 제307단계에서 휴대장치의 제어부200은 송신부200를 제어하여 마이크221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무선부210을 통해 상기 고정장치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309단계에서 상기 고정장치의 제어부100은 무선부110을 통해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 메모리122에 저장한다. 제311단계에서 고정장치의 제어부100은 음성 메모리122에 이미 저장되어 있던 음성과 상기 현재 저장된 음성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현재 입력된 음성과 상기 저장되어 있던 음성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313단계에서 고정장치의 제어부100은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현재 저장된 음성 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현재 저장된 음성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고정장치의 제어부100은 제307단계부터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된 음성 신호가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입력된 경우 상기 고정장치의 제어부100은 음성 인식 다이얼 등록 모드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현재 입력된 음성과 상기 저장된 음성이 일치하면, 제315단계에서 상기 고정장치의 제어부100은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휴대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송받은 상기 휴대장치의 제어부200은 상기 메시지를 출력한 후 키입력부203으로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상기 고정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휴대장치의 제어부200은 키입력부203으로부터 등록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터를 입력받아 무선부210을 통해 상기 키데이터를 상기 고정장치로 전송한다. 제317단계에서 고정장치의 제어부100은 무선부110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등록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등록키가 입력된 경우 제319단계에서 고정장치의 제어부100은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 또는 고정장치의 임시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메모리101로 저장한다. 이와 달리, 상기 등록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고정장치의 제어부100은 제315단계부터의 동작을 되풀이하여 수행한다. 이때 등록키가 입력되기 전에 입력된 전화번호는 고정장치의 메모리101에 할당된 임시 버퍼에 저장한다. 제321단계에서 고정장치의 제어부100은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위한 음성과 전화번호를 저장한 후 음성 인식 다이얼링 등록 모드를 해제하고, 제323단계에서 상기 휴대장치와의 통화 채널을 해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에는 별도의 음성 인식 칩과 메모리를 구비하지 않고, 고정장치의 음성 인식 칩과 메모리를 이용하므로 휴대장치에서도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위한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조자 입장에서 생산 공정을 별도로 첨가하지 않으므로 원가 상승도 없이 제품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많이 사용하는 소비자 입장에서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에서도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한 등록을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Claims (6)

  1. 음성 인식 칩을 내장하는 고정장치와 별도의 음성 인식 칩을 내장하지 않은 휴대장치로 구성되는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위한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에서 상기 고정장치와의 통화 채널을 통해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하기 위한 입력되는 음성과 전화번호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장치에서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음성과 전화번호를 대응시켜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위한 등록 방법.
  2. 음성 인식 칩을 내장하는 고정장치와 별도의 음성 인식 칩을 내장하지 않은 휴대장치로 구성되는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위한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위한 등록키가 입력되면, 상기 고정장치와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제1과정과,
    상기 휴대장치에서 형성된 통화 채널을 통해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하기 위해 입력되는 음성을 상기 고정장치로 전송하는 제2과정과,
    상기 고정장치에서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이전에 저장된 음성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과정과,
    상기 고정장치에서 전송된 음성과 이전에 저장된 음성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전송받아 상기 음성과 대응시켜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위한 등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음성과 저장된 음성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음성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음성을 다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위한 등록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전송받고,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등록키가 입력되면, 상기 음성과 대응시켜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위한 등록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에서 상기 휴대장치로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위한 음성 또는 전화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면, 이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장치에서 상기 고정장치로 상기 음성 인식 다이얼링을 위한 음성 신호 및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 등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로 출력되거나 음성 메시지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 등록 방법.
KR1019970069215A 1997-12-16 1997-12-16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 등록 방법 KR19990050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215A KR19990050153A (ko) 1997-12-16 1997-12-16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 등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215A KR19990050153A (ko) 1997-12-16 1997-12-16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 등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153A true KR19990050153A (ko) 1999-07-05

Family

ID=66090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215A KR19990050153A (ko) 1997-12-16 1997-12-16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 등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01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5613B1 (ko) 이동 무선전화기의 다이알링방법
KR100345535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KR19990050153A (ko)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 등록 방법
US6463297B1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connecting a call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KR19990049845A (ko)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 방법
KR100241896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 이용 톤/펄스 전환방법.
KR0185641B1 (ko) 무선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확인을 통한 메모리 다이얼링 장치
KR0153844B1 (ko)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에서 통화종료 후 연속 통화방법
KR100242314B1 (ko) 보조 휴대장치를 가지는 무선전화기에서 보조 휴대장치 호출방법
KR100754642B1 (ko) 디지털 전화기에서 스피커폰 장치 및 방법
KR950007974B1 (ko) 셀룰라폰의 전화번호 자동 송출방법
JP2000278388A (ja) 音声認識機能を有する携帯可能な通信装置
KR20010090057A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0173074B1 (ko) 구내전화 사용시 시외통화 방지장치
JP296580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機
KR20000044290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시도 방법
KR100277069B1 (ko) 전화기에서 통화자 호출 방법
KR980013040A (ko) 휴대장치에서 현재시간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무선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73394A (ko) 무선전화기에서 사용 상태 표시 회로 및 방법
KR200256979Y1 (ko) 유무선 전화기의 다이얼링 장치
KR100206174B1 (ko) 무선전화기에서 통화구현방법
JP3354350B2 (ja) 携帯電話機
KR19990052445A (ko) 무선전화기에서 링신호를 송출하는 방법
KR19980074472A (ko) 무선단말기의 착신 링 거부방법
KR19990026363A (ko) 전화기에서 착신측의 상태를 나타내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