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8207A - 파리의 유인포획장치 - Google Patents

파리의 유인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8207A
KR19990048207A KR1019970066832A KR19970066832A KR19990048207A KR 19990048207 A KR19990048207 A KR 19990048207A KR 1019970066832 A KR1019970066832 A KR 1019970066832A KR 19970066832 A KR19970066832 A KR 19970066832A KR 19990048207 A KR19990048207 A KR 19990048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y
attracting
main body
ligh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6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봉
권응기
김현섭
박용운
Original Assignee
김강권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권,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김강권
Priority to KR1019970066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8207A/ko
Publication of KR19990048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8207A/ko
Priority to KR2019990029619U priority patent/KR2001904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위생적인 환경을 발생하게 함은 물론 각종 질병을 전염시키는등의 여러 가지 폐단을 유발하는 파리(FLY)를 간단한 구조에 의해 효과적으로 유인 포획하므로 박멸하게되는 파리의 유인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에 포획공간부를 갖는 본체의 하부에 상협하광의 원추형유인구를 설치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시설비나 노동력을 최소화하면서 파리를 포획하게 됨은 물론 상기 본체 및 유인구는 파리가 비상할 때 밝은 쪽으로 향하는 습성을 이용하여 구성하므로 파리가 효과적으로 유인포획되어 파리박멸을 우수하게 수행하게 되는 파리의 유인포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파리의 유인포획장치
본 발명은 비위생적인 환경을 발생하게 함은 물론 각종 질병을 전염시키는 등의 여러 가지 폐단을 유발하는 파리(FLY)를 간단한 구조에 의해 효과적으로 유인포획하므로 박멸하게되는 파리의 유인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곤충의 한 종류인 파리는 감각기능을 갖는 발에 의해 각종 음식물, 폐기물 등을 묻혀 다니면서 사람이나 가축 등에 유해한 요소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파리는 특히 농장에서 비위생적인 환경을 야기시킴은 물론 작업자의 작업의욕 감퇴, 생산성 저하, 전염성. 질병전파등을 유발하게 되므로 이의 박멸이 필히 요구됨은 당연하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농장에서는 농장관리를 통한 파리구제방법이 시도되었으나 이는 파리발생의 예방차원에서 효과적이게 되나 이를 위해서 많은 시설비와 노동력이 요구되어 현실적으로는 그 적용이 곤란하다.
또한 종래의 농가에서는 주로 약제를 사용한 파리구제방법을 널리 실시하였는데 이는 일시에 파리를 효과적으로 박멸하게는 되나 약제를 자주 살포해야하는 번거로음과 상기 약제에 의한 가축 등의 피해가 유발되게되고, 더욱이 상기 약재의 오랜 사용으로 파리의 내성이 강해져 새로운 고독성의 약제가 계속 요구되므로 이는 파리박멸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하게 된다.
한편, 파리를 유인하여 포획하는 도구로서 파리통이 알려진바 있는데 이는 목이 짧은 유리로 만든 병모양으로 상기 목을 통해 내부로 유인되어 들어간 파리가 다시 목으로 나오지 못하여 병내에 포획되는 것으로 이러만 것은 파리를 유인포획하는 데는 효과적이지 못하여 파리를 효과적으로 박멸하도록 사용하기에는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파리를 박멸하는 기술이 갖는 여러 가지 제반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에 포획공간부를 갖고 본체의 하부에 유인구를 설치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시설비나 노동력을 최소화하면서 파리를 유인포획하므로 효과적으로 박멸하게되는 파리의 유인포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 및 유인구를 파리가 비상할 때 밝은 쪽으로 향하는 습성을 이용하여 구성하므로 파리의 유인포획에 의한 박멸을 우수하게 수행하게 되는 파리의 유인포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단측방에는 빛을 차단하는 불투광부재, 중앙 및 하단측방에는 빛을 투과하는 투광부재를 구비하고, 내부에 파리를 포획하는 포획공간부가 형성된 본체와, 이 본체 상부에 결합되고 빛읕 투과하는 투광부재를 갖는 상부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측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협하광의 유도로를 갖는 투명재의 유인구및 이 유인구의 중앙하부에 파리를 유인하는 유인물을 저장하는 저장조로 구성된 파리의 유인포획장치에 의해 달성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30 : 유인구
12 : 불투명부재 35 : 유도로
15, 25 : 투명부재 40 : 유인물저장조
18 : 포획공간부 20 : 상부뚜껑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도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리 유인포획장치는 파리를 유인하여 포획하는 것에 있어서, 상단측방에는 빛을 차단하는 불투광부재(12), 중앙 및 하단측방에는 빛을 투과하는 투광부재(15)를 구비하고, 내부에 파리를 포획하는 포획공간부(18)가 형성된 본체(10)와, 이 본체 상부에 결합되고 빛을 투과하는 투광부재(25)를 갖는 상부뚜껑(20) 및 상기 본체(10)의 내측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유도로(35)를 갖는 투명재의 유인구(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유인구(30)의 중앙하부에는 본체(10)하부에 고정설치된 지지간(19)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파리를 유인하는 유인물을 저장하는 저장조(4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본체(10) 및 상부뚜껑(20)의 투광부재(15)(25)는 파리의 통행을 제한하는 크기의 망으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유인구(30)는 투명의 아크릴재로 제작되며 그 형태는 파리의 유인을 효과적으로 하는 원추형으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도면에는 사각형태로 되어있으나 이는 원형,다각형 등의 형태로 제작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미설명 부호로서, 17은 지지다리, 27은 고정구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전술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장치는 파리의 유인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장치구성을 제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에 따른 결과를 얻있다.
첫째,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뚜껑(20)에 빛을 차단하는 경우와 투과하는 경우를 실험한 결과 상부의 빛을 투과하는 경우에 더 많은 파리가 본체(10)내에 유인되었다.
둘째, 본체(10)의 유인구(30)주변을 밝게하는 경우와 어둡게 하는 경우를 실험한 결과 유인구(30) 주변을 밝게하는 경우가 더 많은 파리를 본체(10)내에 유인하게 되었다.
셋째, 본체(10)내로 파리를 유인하는 유인구(30)의 높이(H)×상부직경(D1) ×하부직경(D2)에 따른 파리의 유인정도를 비교하여 실험한 결과 하기의 표1에 나타낸 바와같다.
[표 1. 유인구의 사이즈에 따른 파리의 유인정도]
즉, 상기 표1에서와 같이 상기 유인구(30)는 높이(H)×상부직경(D1)×하부직경(D2) 사이즈가 300×100×500에서 가장 많은 파리가 유인됨을 알수있다.
이상의 실험에서와 같이 파리가 가장 잘 유인되는 파리의 습성에 기초하여 제작된 본 발명의 장치는 첫째실험 결과에 의해 상부뚜껑(20)에 빛을 투과하는 투광부재(25)를 구비하고, 둘째실험 결과에 의해 본체(10)상부측방으로 빛을 차단하는 불투광부재(12)를 구비함과 함께 유인구(30)를 투명재로 제작하고 그 주변의 본체상을 투광부제(15)로 하여 밝게 구성하며, 셋째실험결과에 의해 본체(10)내로 300×100×500사이즈의 유인구(30)를 설치구성하여 제작하게 된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제작된 본 발명은 먼저 파리의 박멸을 요하는 장소에 손쉽게 거치시켜 설치한 후 상부뚜껑(20)을 개방한 상태로 유인구(30)중앙하부의 유인물저장조(40)로 파리를 유인하는 물질을 담고, 다시 상기 상부뚜껑(20)을 덮어 고정하여 그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장치는 본체(10)의 하부, 즉 유인구(30)의 중앙하부에 설치된 저장조(40)의 유인물에 의해 파리가 유인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저장조(40)의 유인물로 유인된 파리가 다시 비상하는 경우에는 그 습성에 따라 밝은 쪽으로 비상하게 되는데, 상단의 상부뚜껑(20)이 투광부재(25)에 의해 상부로 빛이 투과하게되어 밝게 되고, 상기 저장조(40)의 주변은 본체(10)상부측방이 불투광 부재(12)로 빛을 차단하면서 유인구(30)가 투명재로 되고 그 주위는본체상의 투광부재(25)에 의해 빛이 통과 되면서 더 밝게 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험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파리는 유인구(30)를 따라 상부로 비상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인구(30)로 유인되어 상부로 비상하는 파리는 유도로(35)가 상협하광의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인구(30)의 재질은 미끄러운 아크릴재로 되어 유도로(35)를 통한 파리의 유인이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파리는 유인구(30)의 유도로(35)를 통과하여 본체(10)내의 포획공간부(18)로 유인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체(10)내의 포획공간부(18)상으로 유인된 파리는 원추형으로 형성된 유인구(30)를 통해 역으로 다시 나가는 것은 용이하지 못하여 포획공간부(18)상에 포획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한 바와같이 파리의 박멸을 요하는 지역에 설치된 본체(10)의 포획공간부(18)상으로 파리를 용이하게 포획하므로 이를 박멸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리 유인포획장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파리를 포획하게 되므로 시설비나 노동력을 최소화하게 됨은 물론 상기파리의 습성을 이용한 구성으로 파리를 효과적으로 유인포획하게 되므로 농장 등의 장소에서 비위생적일 뿐 아니라 각종 질병 등을 전달하는 파리를 효과적으로 박멸하게 되는 효과를 갖게된다.

Claims (4)

  1. 파리를 유인햐여 포획하는 것에 있어서, 상단측방에는 빛을 차단하는 불투광부재(12), 중앙 및 하단측방에는 빛을 투과하는 투광부재(15)를 구비하고, 내부에 파리를 포획하는 포획공간부(18)가 형성된 본체(10)와, 이 본체 상부에 결합되고 빛을 투과하는 투광부재(25)를 갖는 상부뚜껑(20) 및 상기 본체(10)의 내측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유도로(35)를 갖는 투명재의 유인구(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리의 유인포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구(30)의 중앙하부에는 파리를 유인하는 유인물을 저장하는 저장조(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리의 유인 포획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및 상부뚜껑(20)의 투광부재(15)(25)는 파리의 통행을 제한하는 크기의 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리의 유인포획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구(30)는 상협하광의 원추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파리의 유인포획장치.
KR1019970066832A 1997-12-09 1997-12-09 파리의 유인포획장치 KR1999004820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832A KR19990048207A (ko) 1997-12-09 1997-12-09 파리의 유인포획장치
KR2019990029619U KR200190462Y1 (ko) 1997-12-09 1999-12-24 파리의 유인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832A KR19990048207A (ko) 1997-12-09 1997-12-09 파리의 유인포획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619U Division KR200190462Y1 (ko) 1997-12-09 1999-12-24 파리의 유인포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207A true KR19990048207A (ko) 1999-07-05

Family

ID=660888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6832A KR19990048207A (ko) 1997-12-09 1997-12-09 파리의 유인포획장치
KR2019990029619U KR200190462Y1 (ko) 1997-12-09 1999-12-24 파리의 유인포획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619U KR200190462Y1 (ko) 1997-12-09 1999-12-24 파리의 유인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900482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490B1 (ko) * 2006-12-29 2008-01-04 대한민국 이동식 달팽이 유인포획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622Y1 (ko) * 2012-06-05 2013-10-22 농합(주)농업회사법인 주름관식 해충포획기
KR20180063771A (ko) * 2016-12-02 2018-06-12 김효정 상승기류방식의 모기 트랩
KR200495060Y1 (ko) * 2020-03-02 2022-03-15 조영수 파리유인 살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490B1 (ko) * 2006-12-29 2008-01-04 대한민국 이동식 달팽이 유인포획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519U (ko) 2000-04-25
KR200190462Y1 (ko)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5948A (en) Insect attractant device
EP2149300B1 (en) Device for capturing flying insects
US5987809A (en) Device for trapping insects
US20050210735A1 (en) Mosquito trap
US10443810B1 (en) Disposable dual walls lampshade insect trap
US20020116864A1 (en) Non-chemical fly repellant device
KR101621958B1 (ko)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US20140007488A1 (en) Passive Flycatcher
KR200458656Y1 (ko) 포충기
US4977701A (en) Tamper resistant flying insect control device
KR102143377B1 (ko) 해충 포집장치
US5335445A (en) Moving light insect trap
KR19990048207A (ko) 파리의 유인포획장치
GB2143112A (en) Insect catcher
KR200478938Y1 (ko) 해충 포획기
JP2001148991A (ja) 害虫捕獲器
KR200387267Y1 (ko) 파리잡이 통
JP2004305162A (ja) 捕虫器
KR200289469Y1 (ko) 해충퇴치기
JP3238333U (ja) 捕虫器用ケース
CN220471574U (zh) 一种带有诱捕害虫功能的亮化工程用照明灯
KR200282059Y1 (ko) 파리잡이 통
KR950008034Y1 (ko) 날벌레 포획 장치
CN207820903U (zh) 一种栽培大棚用害虫诱捕器
KR200231341Y1 (ko) 유해 곤충 포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