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7926A - 전장을 이용한 동력 또는 전력 발생장치 및 냉열장치 - Google Patents
전장을 이용한 동력 또는 전력 발생장치 및 냉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47926A KR19990047926A KR1019970066499A KR19970066499A KR19990047926A KR 19990047926 A KR19990047926 A KR 19990047926A KR 1019970066499 A KR1019970066499 A KR 1019970066499A KR 19970066499 A KR19970066499 A KR 19970066499A KR 19990047926 A KR19990047926 A KR 199900479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 fluid
- working fluid
- power
- electric field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터빈 시스템의 냉각부(복수기) 대신 음, 양의 전극이 인가된 전극판 사이로 터빈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를 보내면, 전극 판에 인가된 전장에 의해, 전극판 사이공간에 이송된 작동 유체는 전장으로 인해 분극되어 전장의 인력에 이끌리며, 따라서, 전극판 사이의 작동유체는 외부보다 압력이 크고, 외부에서 기체상태의 작동유체가 전극판 사이에서 액화할 수 있게되며, 그 액화열을 작동유체가 재흡수하여 이용함으로써 열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또한 작동유체가 액화열을 되 흡수토록 함으로써, 외부유체(공기등)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액화열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열원으로 상온의 외부유체(공기, 물 등)의 열을 이용함으로 연료비가 들지 않는 이상적인 장치인 것이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인 제 1실시예의 장치도
도 2는 도 1의 100부분(전장을 이용한 유체응축장치)의 상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인 제2실시예의 장치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인 제3실시예의 장치도
도 5는 상기 장치들의 열교환기(70)에 연결되는 부동액 건조장치(110)의 구조를 보인 장치도
본 발명은 기존의 증기터빈의 작동원리를 개선 한 것으로 전장의 효과를 이용하여 작동유체를 응축시킴으로써 열효율을 높이고, 또한 상온의 열을 이용하여 동력 또는 전력을 얻을 수 있는 장치와, 상기의 전장 효과에 의해 냉각장치 또는 난방장치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며, 현재 주로 사용되는 발전장치 또는 냉열장치는 열효율이 낮아서 버려지는 열이 많고, 많은 연료를 사용함으로서 대기오염의 주요원인이 되는 등의 폐단이 많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많은 연료의 사용에 따른 배기 물질에 의한 공해를 줄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력 또는 연료를 적게 사용하거나, 공기, 물 등의 상온의 유체 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연료의 사용을 줄이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장치로서, 기존의 터빈 시스템의 냉각부(복수기)대신, 고압의 전극(+, -)이 인가된 두 개의 도체판(1)을 인접되게 설치하고, 그 사이 공간(4)에 기체(작동유체)를 통과시키면, 공간에 인가된 전장에 의해 기체분자는 전장의 영향을 받아 분극된다. 즉, 양전극쪽에 기체의 분자 또는 원자의 음전하가 이끌리며, 음전극 쪽으로는 기체분자의 양전하가 인력을 받아 끌리게 됨으로, 기체 분자는 분극되며, 전장으로부터 인력을 받게 되는 것이며, 인력에 의해 도체판 사이의 작동유체는 외부보다 압력이 높아져서 액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체판 사이의 작동유체를 낮은 온도로 냉각 시켜주지 않더라도 액화 할 수 있으며, 액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액화열)은, 버려지는 것이 아니고 작동유체가 다시 흡수하도록 함으로서 열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며, 작동유체로 유전율이 높은 물질을 사용하고, 전극판(1)사이가 가깝게 설치하며, 고압의 전극을 인가하면, 전장에 의한 인력이 작동유체에 강하게 작용하게 되며, 따라서, 전극판(1), 사이의 공간(4)에 유입된 작동유체는 외부보다 높은 압력이 되므로 액화 할 수 있는 것이다.(전극판의 안쪽 표면은 전자기 절연체 또는 유전체로 피복하여 작동유체와 도체가 직접 접촉이 되지 않도록 하며 바깥쪽은 전기절연체로 피복한다.)액화한 작동유체는 펌프(40)에 의해 이송 및 압축되며, 팽창변(50)에 의해 상기 유체 응축장치(100)의 도체판 외곽의 유로관(2)에 보내지면, 내부의 작동유체와 상호 열교환하면서 내부의 작동유체에서 발생하는 액화열을 흡수한 후, 외부유체(공기, 물 등)가 통과하는 열교환기(70)에 보내지면, 흡열부 열교환기(70)를 통과하는 외부유체(공기 등)로부터 열을 흡수한 후, 터빈(46)에 흡입된다.
터빈에 일을 한 후, 저압측(6)으로 배출된 작동유체는 저압측(6) 유로를 통해 상기 응축장치(100)에 재유입하여 액화 하는 것이다. 따라서 터빈의 동력원이 되는 열에너지는 흡열부 열교환기(70)에서 외부유체(공기 등)로부터 흡수하는 것으로, 상온의 열원에 의해 작동하므로, 연료비가 전혀 들지 않는 이상적인 동력발생장치인 것이며, 또한, 흡열부 열교환기(70)는 냉각장치로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최초에, 상기 전극판(1)에 고압의 전극을 인가해주고, 전동기(33)에 외부에서 인가된 전력을 공급해주면, 공통회전축에 설치된 유체이송 및 압축장치(40)가 작동하여 전극판(1)사이 공간에 응축된 액체를 이송하며, 이송된 직동유체는 팽창변(50)을 통해 흡열부 열교환기(70)에 보내지며, 여기서의 작동유체는, 응축장치(100)의 전극판 사이 공간(4)보다 압력이 낮아서 포화중기압 이하의 압력상태이며, 따라서 기화하게 된다. 또한, 작동유체는 연결된 유로관을 통해 상기 응축장치(100)의 전극판(1) 외곽을 흐르면서 액화열을 흡수하여 가열되며, 가열된 각동유체는 터빈(46)을 통과하면서 터빈(46)에 일을하면, 터빈의 회전축에 설치된 발전기(47)가 작동하여 전력을 발생하게 된다. 터빈에 일을 한 작동유체는 압력 및 온도가 내려간 후 전극판사이(4)에 유입된다.
상기에서, 전동기(33)의 회전축과 터빈(46)의 회전축에는 동력 전달장치를 설치하여, 터빈이 회전하면, 터빈의 회전력이 상기 전동기(33)의 회전축에 설치된 동력전달장치(49)에 전달되도록하여, 자체 발생된 동력으로 유체 이송 및 압축수단 들(40, 72)을 작동토록 할 수 있다.(도면에는 전동기의 회전축과 터빈 및 발전기의 회전을 분리해서 도시하였으나, 공통회전축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열부 열교환기(70)는 공기 등의 외부유체가 통과하면서 유로관(75) 내부의 작동유체에 열을 전달해주므로, 외기의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공기의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 속의 수증기가 얼어붙어서 작동불능이 될 수가 있으며, 따라서, (도 5 참조) 열교환기(70)의 상부에는 부동액이 흘러내리도록 된 노즐(74)을 설치하고, 하부(79)에 고인 부동액을 유로관으로 연결된 부동액건조장치(도 5의 110)에 보내서, 부동액에 희석된 수분을 증발시켜서 재순환토록 하여, 일정한 농도를 유지토록 하는 장치를 연결하여 설치한다.
즉, 도 1및 도 3, 도 4의 장치도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부동액을 가열해 주기 위해, 상기 열교환기(70)에 별도의 냉동시스템(도 5의 80∼87)을 설치하여, 부동액을 가열하여 증발이 잘되도록 하고, 부동액 건조장치를 일체로 연결토록 한다.
증발장치는 상부 공간의 기체를 배기하도록 진공펌프(94)를 설치하며, 또한 증발장치(90)를 통과하여 나오는 부동액과 증발장치로 향하는 부동액이 열교환기(91)에서 서로 반대로 흐르면서 상호 열교환토록 하여, 증발장치에서 가열된 부동액이 증발장치로 들어가는 부동액을 가열하고 자신은 냉각되도록 하며, 또한 진공펌프(94)를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와 상기 상호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부동액이 열교환기(93)에서 열교환하여 더욱 가열된 후 증발장치(90)에 들어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외기의 온도가 매우 낮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열교환장치(91)가 없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부동액은 순환펌프(89)에 의해 열교환기(70) 상부의 유로관(74)으로 보내지며 하부(79)에 고인 부동액은 증발장치(90) 내부의 압력이 낮으므로 흡인력으로 빨려 들어간다.
따라서, 흡인되는 유량을 적당히 조절해 주도록 유량조절밸브(88)를 설치하고, 증발장치의 내부에 수위 감지센서(98)를 설치하여, 밸브(88)를 통과하는 유량이 수위 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자동조절되어 증발 장치 내부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것이며, 증발 장치의 내부의 굴곡이 있는 유로(97)에는 냉동시스템의 가열부 유로관(83)이 설치되며 냉매와 부동액(97)이 흐르면서 열교환토록 된 것이다.
상기에서, 유체응축장치(100)에서 전장에 의해 작동유체가 액화되는 이유 및 상온의 열에너지에 의해 동력 및 전력을 얻을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도체판 사이에 인접하여 운동하는 기체 분자는, 도체에 인가된 전장의 영향권 안에서는 인력을 받아 운동방향이 바뀌거나, 도체판 사이로 끌려가서 도체판 사이의 공간에 속박되며, 반대로 도체판 사이에서 바깥방향으로 운동하는 기체분자는 전극의 인락을 받으므로, 탈출하지 못하거나 탈출하더라도 운동에너지가 감소되어 탈출한다.
따라서, 도체판 사이의 기체는 바깥의 기체보다 밀도가 높으며, 또한 압력도 높다.
그 이유는, 도체판 사이로 들어오는 기체 분자보다 탈출하는 기체분자의 수가 적으며, 또한, 탈출하는 기체분자는 운동에너지가 감소되므로 도체판사이의 기체는 밀도 및 압력이 높은 것이다.
즉, 탈출하려는 기체 분자의 운동에너지는 전장에 의한 인력 퍼텐셜 만큼 감소되기 때문에, 도체판 바깥쪽으로 가해지는 기체의 압력 성분과, 밖에서 도체판 안쪽으로 가해지는 기체의 압력 성분이 평형이 되려면, 도체판 사이의 압력이 높아야 되기 때문이다.(기체의 압력은 기체 분자의 병진 운동에너지의 크기에 비례함)
따라서, 압력 차이가 나게되며, 만약에, 도체판 사이의 기체가 증기이고 기체 분자의 압력 및 온도가 포화 증기압 이상이라면, 도체판 사이의 기체는 액화 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액체에서 기화하기 위해 분자간의 인력으로부터 탈출하는 분자는 운동에너지가 커야 되는데, 액체분자도 분극되어 전장의 인력이 가해지므로, 액체 속에 포획된 분자는 탈출하는 운동에너지가 전장의 인력으로 인해 감소하므로 탈출하는 힘이 약해지며, 따라서 기화하기 어려우며, 외부보다 낮은 압력에서도 기화가 잘 되지 않는 것이다.
도체를 통해 전달되는 내부기체의 열은, 도체판의 바깥쪽 유로(2)를 흐르는 유체에 전달되도록 하면, 도체판 내부의 기체가 액화하면서 발생하는 열을 제거 할 수 있다.
도체판 사이에서 액화한 작업유체는, 펌프(40)에 의해 도체판 바깥으로 배출되며, 여기서 액체는 도체판의 전장에 의한 인력을 받으므로, 액체에 도체판의 인력과 반대의 일을 해주어야 된다.
인력의 크기는, 도체판 입구에서 기체가 전장에 이끌리는 인력과 거의 같으므로 상쇄되며, 따라서, 액체를 도체판 사이에서 출구(5)로 이탈, 또는 분리 시키는데 드는 힘은 크지 않다.
그 이유는, 기체가 도체판 사이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전장의 인력으로 인해 기체분자의 운동에너지가 증가하며, 따라서 온도가 상승하지만, 도체판사이에서 그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되지 않으므로, 상기 출구(5)에서 도체판의 인력으로부터 이탈시키는데 드는 힘도 거의 같다고 할 수 있다. 만약에 도체판 사이로 진입한 기체를 냉각하여 온도를 내려 주었다고 하자. 온도가 낮아지면 기체분자의 열운동이 약해져서 전장의 인력을 방해하는 성분(열교란)이 약해지므로, 전장으로부터 작용되는 인력이 더 강해지며, 따라서 작업유체를 도체판 사이로부터 분리 시키는데 사용되는 힘이 더 커야 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온도가 낮아지지 않으면, 도체판 사이의 전장의 인력으로부터 액체를 이탈시키는데 사용되는 펌프의 동력은 크지 않다.
즉, 작업 유체가 도체판 사이에 진입할 때, 도체판의 전장으로 인해 이끌리는 인력과, 도체판 사이에서 이탈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일은 거의 상쇄적이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장치는 상온의 열을 흡수하여 동력 또는 전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지만, 용도 및 상황에 따라서 연소열 등을 이용하여 동력을 얻을수도 있는 것이며, 만약 연소열 또는 폐열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흡열부열교환기(70) 대신 보일러는 설치 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열부 열교환기(70)가 보일러가 되는 것이며, 유로관(75)외부를 연소가스가 통과하거나, 또는 유로관 외부에 이중의 유로관을 설치하거나 유체를 통과 하도록하여 연소열 또는 폐열을 공급하는 것이다.
물론, 공급하는 열원의 온도에 따라서 사용되는 적합한 작동유체를 선택할 수 있으며, 기존의 터빈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물을 작동유체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흡열부 열교환기(70)의 열량 공급원이 공기일 경우에도 물을 작동유체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이산화탄소, 또는 암모니아 등도 사용할 수 있으며, 기타 다른 물질을 적합한 조건에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산화탄소는 임계온도가 상온에 가까우므로 일반적인 터빈 시스템에서는 사용하기가 어렵지만, 본 장치에서는 액화온도가 임계온도 보다 낮게 할 수 있으며, 별도의 냉각유체가 필요 없이, 자체의 작동유체 끼리 상호 열교환토록 하여 냉각과 흡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극판 사이(4)에서 액화하는 작동유체의 온도가, 외부유체(공기 등)의 온도보다 낮더라도 작동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유체 응축장치(100)에서 이송되어 펌프(40)와 팽창변(50)을 통과한 작동유체를, 먼저 상기 흡열부 열교환기(70)에 보내서 외부유체(공기 등)로부터 열을 흡수한 후, 상기 유체 응축장치(100)의 외부유로관(4)을 통과시켜서 액화열을 흡수토록 한 후, 터빈(46)에 보내도록 할 수도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 유체(공기 등)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이산화탄소의 임계온도보다 외부유제의 온도가 높으면 전극판사이(4)의 작동유체가 액화할 수 없으므로, 도면(도 1)과 같은 순서로 흡열토록하면 이산화탄소와 같이 임계 온도가 낮은 물질을 작동유체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며, 그러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작동유체에 따라서는 상기와 반대로, 펌프 및 팽창변을 통과한 작동유체를, 먼저 흡열부 열교환기(70)에 보내서 가열한 후, 상기 유체 응축 장치(100)에 보내서 재 가열토록, 유로관을 반대로 배열하여 설치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로서, 터빈(句)이 없는 구조의 장치이다. 따라서, 동력 또는 전력을 얻기 위한 장치는 아니며, 냉각장치 또는 열을 공급해주는 장치(난방장치 등)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체 응축장치(100)에서 액화한 작동유체를 펌프(40)에 의해 팽창변(50)으로 보내며, 팽창변(50)에서 열교환기(70)로 보내진 작동유체는, 외부유체(공기 등)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기화한 후, 유체 응축 장치에 재유입되는 순환을 하며, 유체응축장치 외곽의 유로(2)에는 외부유체(공기, 물 등)가 흐면서, 내부의 작업유체가 액화하면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열교환기(70)는 냉각장치로 이용할 수 있으며, 반대로 응축장치(100)에서 발생된 열을 흡수한 유체는 온도가 높으므로 난방용 등에 열원을 이용할 수 있는 장치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장치를 이용하면, 여름에는 냉방장치 등에 이용하고, 겨울철에는 난방장치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며, 장치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전력은 상기 제1실시 예와 같은 이유로 인해 매우 적게 사용되는 초절전형 냉난방장치가 되는 것이며, 또한, 본 장치는 냉동기, 냉장고 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발명의 제3실시 예로서, 팽창변(50)에서 이송된 작업유체가 먼저 흡열부 열교환기(70)에서 흡열 한 후, 유체 응축장치(100)의 외부유로(2)에서 재흡열토록 구성되고, 또한 별도의 냉매순환회로(72, 73, 71, 75)를 결합한 구조이다. 상기에서, 터빈 시스템의 유체 순환회로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과 같이, 먼저 유체 응축장치(100)에서 흡열토록 한 후, 열교환기(70)에서 흡열토록 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즉, 터빈 ,시스템의 유체순환 회로와 제2 유체 순환 회로(72, 73, 71, 75)를 결합하여 2단으로 작동토록 된 것이며, 제2 유체순환회로는 기존의 냉동시스템과 같다.
상기와 같이 2단으로 작동하는 이유는 터빈 시스템의 유체 순환 회로에 사용되는 작동유체가 저온 상태에서 작동하기 곤란한 물질(물 등)일 경우에는, 0℃이하에서 작동되는 기존의 냉동 시스템에 의해서 1차로 외부유체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가열시킨 후, 열교환기(60)를 통해 상기 터빈 시스템의 작동유체(물 등)를 가열해 주도록 된 것이다.
냉동 시스템에서 가열되는 온도차이는 약 30℃∼70℃ 사이가 보통이며, 따라서 그 정도의 온도 차이에서 온도를 높이는데 사용된 전력 에너지는 이송된 열에너지의 약 1/3∼1/5정도이면 되기 때문에, 얻어지는 열에너지보다 사용된 동력 에너지가 적게 들어가며, 터빈 시스템에서는 그 열량의 거의 전부가 동력으로 변환되며, 따라서, 장치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동력보다 더 큰 동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냉동시스템의 흡열부 열교환기(70)는 냉동기, 냉장고 또는 냉방장치 등에 활용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상온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동력 또는 전력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냉각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으므로,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주위의 무한한 공기, 물 등의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동력, 또는 전력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연료비가 들지 않을 뿐 아니라, 연료의 사용으로 인한 대기 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냉각장치 또는 난방장치등으로 제작하더라도, 매우 적은 전력의 사용으로 작동이 가능하며, 큰 동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장치의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등의 유용한 장치인 것이다.
Claims (6)
- 고압의 음·양의 전극이 인가된 두 도체판을 인접하여 설치하고, 그 사이 공간에 작동유체를 통과하도록 하면, 도체판 사이에 인가된 전장으로 인해 작동유체가 분극되고, 분극 된 작동유체의 도체판은 서로 전기적인 인력이 작용하여, 유체의 압력이 외부보다 높아지며, 따라서 작동유체가 응축 및 액화하게 되며, 액화된 작동유체를 상기 유체 응축장치(100)의 외곽에 설치된 유로에 통과시켜서, 상기 도체판사이의 작동유체와 상호 열교환토록하여, 상기 도체판 사이의 작동유체가 액화하면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토록 한 후, 외부유체(공기, 물 등)와 열교환토록된 열교환기에 보내어, 외부유체로부터 전달된 열을 흡수토록 한 후, 터빈에 보내서 터빈에 일을 하고 배출된 후, 상기 유체 응축장치의 전장이 인가된 공간에 재 유입토록 함으로써, 터빈에서 일을 한 작동유체가 액화하면서 발생하는 열을 작동유체가 재흡수토록 하여, 열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을 이용한 동력 또는 전력 발생장치 및 냉열장치
- 고압의 음, 양의 전극이 인가된 두 도체판을 인접하여 설치하고, 그 사이 공간에 작동유체를 통과하도록 하면, 도체판 사이에 인가된 전장으로 인해 작동유체가 분극되고, 분극된 작동유체와 도체판은 서로 전기적인 인력이 작동하여 유체의 압력이 외부보다 높아지며, 따라서, 작동유체가 응축 및 액화하게 되며, 액화된 작동유제를 압축 및 이송하여 열교환기에서 기화시키면, 냉각되어 상온의 외부유체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열을 흡수한 작동유체를 상기 유체응축장치의 전장이 인가된 공간으로 재유입토록하며, 상기 유체응축장치의 도체판 외곽에 냉각유체를 통과시켜서, 도체판사이의 작동유체에서 발생하는 액화열을 흡수토록 함으로써, 상기 흡열부열교환기는 냉각장치로 이용하며, 상기유체 응축장치에서 열을 흡수한 냉각유체는 난방 등에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을 이용한 동력 또는전력 발생장치 및 냉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응축장치(100)에서 액화된 작동유체는 펌프 및 팽창면으로 이송 한 후, 외부유체(공기, 물 등)와 열교환토록 된 흡열부열교환기(70)에서 열을 흡수한 후, 상기 유체응축장치(1OO)에서 도체판 사이의 작동유체와 열교환토록하여, 내부유체의 액화열을 흡수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을 이용한 동력 또는 전력 발생장치 및 냉열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에서 있어서, 열교환기에서는 상온의 외부유체(공기, 물 등)로부터 흡수한 열에 의해 터빈을 작동토록 함으로써,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비용이 들지 않는 열원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을 이용한 동력 또는 전력 발생장치 및 냉열장치.
- 상기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부 열교환기에는 별도의 냉동 시스템의 방열부 열교환기와 열교환토록하여, 상기 냉동 시스템에 의해 상온의 외부 유체로부터 흡수한 열을 온도를 높여 공급토록 함으로써, 상기 터빈 시스템의 작동유체가 저온에서 작동이 곤란한 물질이라 하더라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을 이용한 동력 또는 전력 발생장치 및 냉열 장치.
- 상기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유체의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 열교환기에는 부동액이 흘러내리도록 하여, 공기 등이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에 얼어붙지 않도록 하며, 부동액 건조장치에 의해, 수분을 흡수한 부동액을 가열 및 증발시켜 건조하여 재순환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을 이용한 동력 또는 전력발생장치 및 냉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66499A KR19990047926A (ko) | 1997-12-06 | 1997-12-06 | 전장을 이용한 동력 또는 전력 발생장치 및 냉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66499A KR19990047926A (ko) | 1997-12-06 | 1997-12-06 | 전장을 이용한 동력 또는 전력 발생장치 및 냉열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7926A true KR19990047926A (ko) | 1999-07-05 |
Family
ID=66088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66499A KR19990047926A (ko) | 1997-12-06 | 1997-12-06 | 전장을 이용한 동력 또는 전력 발생장치 및 냉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47926A (ko) |
-
1997
- 1997-12-06 KR KR1019970066499A patent/KR1999004792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662557B2 (ja) |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 |
US4171619A (en) | Compressor assisted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 | |
CA1068119A (en) | Process and equipment for transforming heat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into power or energy | |
KR20040068869A (ko) | 냉동 사이클 및 랭킨 사이클을 갖는 증기-압축 냉동사이클 시스템 | |
JPWO2009072364A1 (ja) | 地熱利用装置 | |
CN101430590A (zh) | 用于计算机系统的冷却装置 | |
KR102609039B1 (ko) | 휠이 핫 유체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과 상기 휠에 커플링된 로터를 갖는 전기 발전기 사이의, 특히 터빈 발전기용의 열 절연부를 위한 디바이스 | |
JP2011099640A (ja) | ハイブリッドヒートポンプ | |
KR101961169B1 (ko) | 공기열원 축냉운전 또는 축열운전과 수열원 축냉축열 동시운전 또는 축열축냉 동시운전을 갖는 다중열원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 | |
KR100814615B1 (ko) | 흡수식 및 압축식 사이클을 이용한 열 병합발전시스템 | |
KR101038249B1 (ko) |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 | |
KR19990047926A (ko) | 전장을 이용한 동력 또는 전력 발생장치 및 냉열장치 | |
CN1469091A (zh) | 蒸汽压缩制冷剂循环系统 | |
JPH10300265A (ja) | 冷凍装置 | |
CN100398941C (zh) | 旋转吸收式热泵 | |
CN112923680A (zh) | 一种可独立运行的空气源热泵干燥系统 | |
KR101166154B1 (ko) | 냉매터빈발전기를 이용한 이원냉동사이클 히트펌프 | |
KR200417356Y1 (ko) | 냉각사이클을 이용한 일체형 저온 및 고온 이용 장치 | |
JPH0814691A (ja) | 吸着式冷凍装置 | |
JPH0754211B2 (ja) | 吸収式ヒートポンプサイクルを利用したコ・ゼ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 |
CN209926645U (zh) | 射流泵驱动的液体相变冷却装置 | |
KR100658321B1 (ko) | 열흡수식 동력발생장치 | |
CN117329732A (zh) | 一种太阳能光伏光热喷射-间接蒸发耦合的制冷系统 | |
KR970008009B1 (ko) | 다단식 열펌프를 이용한 냉난방겸용 시스템 | |
KR100467524B1 (ko) | 액분리기를 포함한 열촉진 복합회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