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7086A -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7086A
KR19990047086A KR1019970065313A KR19970065313A KR19990047086A KR 19990047086 A KR19990047086 A KR 19990047086A KR 1019970065313 A KR1019970065313 A KR 1019970065313A KR 19970065313 A KR19970065313 A KR 19970065313A KR 19990047086 A KR19990047086 A KR 19990047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pressure
solenoid valve
hydraulic pressure
suction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2187B1 (ko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70065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187B1/ko
Priority to JP32797398A priority patent/JP3188242B2/ja
Priority to DE1998155696 priority patent/DE19855696A1/de
Publication of KR19990047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7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187B1/ko

Links

Landscapes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브레이크패달의 작동시 SR모터와 흡입펌프를 통해 오일저장탱크에 저장된 오일을 강제펌핑하여 제동유압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브레이크패달(10)의 작동을 감지하는 패달센서(20), 오일저장탱크(33)와 브레이크(80,81,82,83)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에 설치된 SR모터(40)와 흡입펌프(41) 등이 구성되어 있어서, 브레이크패달(10)을 밟게 되면 SR모터(40)와 흡입펌프(41)가 구동되고 오일저장탱크(33) 내의 오일은 흡입펌프(41)의 펌핑력에 의해 각 바퀴의 브레이크(80,81,82,83)에 유압으로 전달되어 제동력이 발생된다. 또한 제동유압이 복귀되는 유압라인에는 유량조절밸브(71)이 설치되어 있어서, 유량이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흐르는 것이 방지되어 소음발생이 억제된다.
따라서 기압차에 의해 배력을 형성하는 배력장치 등이 필요하지 않아 전체적인 브레이크 시스템의 가격이 절감됨은 물론이고, 차량의 제동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SR모터(40)와 흡입펌프(41)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자의 의지에 따른 정밀한 제동제어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본 발명은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SR모터와 흡입펌프, 이를 제어하는 전기제어부 등을 통해 차량의 감속이나 정지를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장착되는데, 최근에 보다 강력하고 안정된 제동력을 얻기 위한 여러 종류의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이 중에서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이 가장 진보적인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데, 도 1은 이러한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을 보인 계통도이다.
종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과 후륜에 각각 유압에 의해 제동력을 발생하는 드럼 또는 캘리퍼식의 유압 브레이크(9a,9b,9c,9d)가 설치되며, 브레이크(9a,9b,9c,9d)에 유압을 형성하여 전달하는 배력장치(2)와 마스터실린더(3)로 크게 이루어져 있다.
배력장치(2)는 진공과 대기와의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큰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운전석에 마련된 브레이크패달(1)과 연계되어 이에 의해 작동된다. 마스터실린더(3)는 배력장치(2)로부터 증폭된 힘을 전달받아 유압을 형성하는 것으로, 브레이크(9a,9b,9c,9d)와는 유압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한편, 각 브레이크(9a,9b,9c,9d)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솔레노이드밸브(5,6)가 설치되어 있어서 각 브레이크(9a,9b,9c,9d)로 전달되는 유압을 제어하는데, 입구측에는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5)가 배치되며 출구측에는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6)가 설치된다. 이 솔레노이드밸브(5,6)는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강력하고 안정된 제동력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6)의 하류에는 저압어큐뮤레이터(8a)가 설치되어 브레이크(9a,9b,9c,9d)에서 토출된 오일을 일시 저장한다. 또한 저압어큐뮤레이터(8a)의 후방에 고압어큐뮤레이터(8b)가 설치되며, 이들 사이에 펌프(7a)가 설치되어 저압어큐뮤레이터(8a)에 있는 저압의 오일을 가압하여 고압어큐뮤레이터(8b)로 펌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7은 펌프(7a)를 구동시키는 모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주행 중에 운전자가 브레이크패달(1)을 밟으면 배력장치(2)에서 기압차에 의해 배력이 발생되고, 계속하여 마스터실린더(3)에서는 증폭된 힘을 전달받아 유압을 형성한다. 이러한 유압은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5)를 통해 전륜과 후륜에 마련된 각각의 브레이크(9a,9b,9c,9d)로 전달되어 제동을 하게 된다.
한편, 노면조건보다 과도한 제동압력이 전달되면 차량의 타이어는 회전을 멈추고 미끌어져 가는 일종의 슬립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차량의 바퀴에 장착된 스피드센서(미도시)가 감지하고 이를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에서는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6)를 개방되도록 작동시켜 브레이크(9a,9b,9c,9d) 내의 오일을 제거함으로써 제동압력을 낮춘다. 그리고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6)를 통해 토출된 오일은 저압어큐뮤레이터(8a)로 이동하여 잠시 저장되고, 모터(7)가 구동됨에 따라 펌프(7a)를 거쳐 다시 압력이 상승하여 고압어큐뮤레이터(8b)와 오리피스(8c)를 지나 급격한 압력의 파형이 감소된 상태에서 마스터실린더(3) 또는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5)로 순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기압차를 이용하여 배력을 형성, 유압으로 변환하는 배력장치(2)와 마스터실린더(3) 등 다수의 부품이 소요되어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부품수가 많은 관계로 고장수리도 용이하지 못하다.
또한 운전자가 제동을 정상적이 아닌 상태보다 매우 큰 힘으로 브레이크패달(1)을 밟는 경우에도 배력장치(2)에서는 이를 전부 증폭시키기 때문에 제동에 소요되는 압력보다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이상의 강성이 요구되며, 정상상태보다 매우 큰 제동력을 발생시켰을 때에도 이상없이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이 작동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모터(8a)의 출력이 큰 것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브레이크패달의 작동을 감지하는 패달센서, 오일저장탱크와 브레이크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에 SR모터와 흡입펌프 등을 구성함으로써, 브레이크패달을 밟게 되면 SR모터와 흡입펌프의 구동에 의해 오일저장탱크 내의 오일이 각 바퀴의 브레이크에 유압으로 전달되어 제동력을 발생하는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부 목적은 제동유압이 복귀되는 유압라인에 유량이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함으로써, 급속한 유량 이동에 의한 소음발생을 방지하는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계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전기제어부의 전기적인 구성만을 도시한 제어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일반 제동과정을 보인 계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동해제시의 과정을 보인 계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비상 제동작용을 보인 계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동압력 감압과정을 보인 계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동압력 증압과정을 보인 계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동압력 유지과정을 보인 계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브레이크패달 20..패달센서 30..긴급용 마스터실린더
31,61..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 32..패달재현기 33..오일저장탱크
40..SR모터 41..흡입펌프 60..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
70..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 71..유량조절밸브
80,81,82,83..브레이크 90..압력감지센서 100..제어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패달의 작동을 감지하는 패달센서,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어 있는 오일저장탱크, 오일저장탱크와 연계되어 있으며 브레이크패달의 작동에 따라 유압을 형성하는 긴급용 마스터실린더, 차량의 각 바퀴에 마련되어 유압에 의해 제동력을 발휘하는 브레이크, 브레이크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각각 마련되어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와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 오일저장탱크 내의 오일을 강제로 흡입펌핑하여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서 브레이크에 유압으로 전달하는 SR모터와 흡입펌프, 패달센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패달센서로부터 브레이크패달의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SR모터와 흡입펌프를 구동시켜 브레이크에 유압을 전달하는 전기제어부,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와 오일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에 설치되어 제동작용 해제시 브레이크에서 토출되는 유압이 오일저장탱크로 안내되도록 전기제어부에 의해 개방 작동되는 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 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의 출구측에 마련되어 유량이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발생을 억제하는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계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제어부의 전기적인 구성만을 도시한 제어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바퀴에 설치된 브레이크(80,81,82,83)와 운전석 일측에 마련되어 운전자의 발에 의해 연동하는 브레이크패달(10)이 구성된다. 브레이크(80,81,82,83)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각각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60,61)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입구측에 설치된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60)와 출구측에 마련된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61)로 구별된다.
그리고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저장탱크(33)와 비상사태의 제동작용시 오일저장탱크(33)의 오일을 유압으로 변환하고 이를 후술하는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31)를 통하여 각 바퀴에 마련된 브레이크(80,81,82,83)로 전달하는 긴급용 마스터실린더(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긴급용 마스터실린더(30)와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31) 사이의 유압라인에는 패달재현기(32)가 설치되어 운전자는 브레이크(80,81,82,83)가 작동하는 것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브레이크패달(10)에는 이의 작동을 감지하고 후술하는 전기제어부(100)에 전기적 신호로 전달하는 패달센서(20)가 마련되어 운전자가 원하는 제동압력과 상승속도를 판단하게 되며, 패달센서(20)에서 브레이크패달(10)의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전기제어부(100)에 의해 작동되는 SR모터(40,Switch Reluctance Motor)와 흡입펌프(41)가 오일저장탱크(33)와 브레이크(80,81,82,83)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에 설치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50은 축압기와 댐핑쳄버이고 51은 오리피스이며, 42는 흡입펌프(41)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마련되어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이다. 따라서 패달센서(20)로부터 전기제어부(100)에 브레이크패달(10)이 작동된 신호가 입력되면 SR모터(40)와 흡입펌프(41)가 작동되며 이의 흡입력에 의해 오일저장탱크(33)의 오일이 유압라인과 흡입펌프(41)로 유입 강제 배출되고, 축압기와 댐핑쳄버(50) 및 오리피스(51)를 지나면서 압력이 선형적으로 바뀌면서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60)를 통해 브레이크(80,81,82,83)에 전달된다.
그리고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60)와 오일저장탱크(33)를 연결하여 제동압력 해제시 오일을 다시 오일저장탱크(33)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압라인에는 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70)가 마련되어 있고, 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70)의 출구측에 유량이 일정속도 이상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유량조절밸브(71,Flow Constant Valve)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동작용의 해제시에 전기제어부(100)에 의해 노말 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70)가 개방 작동되고 이를 통해 오일이 오일저장탱크(33)로 안내된다. 이 때, 유량조절밸브(71)에 의해 오일이 급속한 속도로 복귀되는 것이 방지되어 소음발생이 억제되는데, 이것은 작동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흡입펌프(41)의 펌핑력에 의해 브레이크(80,81,82,83)로 유압이 전달되는 유압라인에는 제동유압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제어부(100)로 전달하는 압력감지센서(90)가 설치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원하는 압력 및 압력상승속도와 SR모터(40)와 흡입펌프(41)에 의한 압력 및 압력상승속도와의 차이를 감지하여 SR모터(40)와 흡입펌프(41)의 추가 작동여부와 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70)의 개방작동을 판단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기제어부(100)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기제어부(100)의 입력측에는 패달센서(20)와 압력감지센서(90) 등이 접속되어 있으며, 이의 출력측에는 패달센서(20)와 압력감지센서(9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작동되는 SR모터(40)와 흡입펌프(41),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60)와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31,61) 및 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7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패달센서(20)로부터 브레이크패달(10)이 작동된 신호가 입력되면 전기제어부(100)에서는 SR모터(40)와 흡입펌프(41)를 구동시키며, 또한 압력감지센서(90)로부터 입력되는 제동압력을 판단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R모터(40)와 흡입펌프(41)의 추가작동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제동압력이 과동하게 증가되는 경우에는 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70)를 개방하도록 작동하여 압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일반적인 제동작용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자동차의 주행중이거나 정지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감속하거나 정지상태의 유지를 원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패달(10)을 밟게 된다. 이에 따라 긴급용 마스터실린더(30)에서는 유압이 발생되어 패달재현기(32)에 전달됨으로써 운전자가 제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느낄수 있으며, 패달센서(20)에서는 운전자가 원하는 제동압력과 상승속도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제어부(100)에 전기적 신호로 전달한다. 계속하여 전기제어부(100)에서는 패달센서(20)의 신호를 근거로 하여 SR모터(40)와 흡입펌프(41)를 작동시킨다. 흡입펌프(41)의 작동에 따라 오일저장탱크(33) 내의 오일은 플러스형태의 고압 에너지를 받게 되고, 축압기와 댐핑쳄버(50), 오리피스(51)에 의해 압력이 선형적으로 바뀌면서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60)를 통해 각 바퀴의 브레이크(80,81,82,83)에 유압으로 전달, 제동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이 때, 압력감지센서(9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서 운전자가 원하는 압력 및 압력상승속도와 흡입펌프(41)에 의해 실제로 발생되는 압력 및 압력상승속도의 차이가 발생되면, 전기제어부(100)에서는 이 차이를 측정하여 SR모터(40)와 흡입펌프(41)의 추가작동 또는 정지를 명령한다. 즉, 실제로 발생된 압력 및 압력상승속도가 작게 발생되면 SR모터(40)와 흡입펌프(41)를 추가적으로 작동시키며, 그 반대인 경우에는 SR모터(40)와 흡입펌프(41)의 작동을 중지함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압력 및 상승속도를 만족시킨다.
한편,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압력보다 크게 상승하게 되면, 전기제어부(100)에서는 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70)를 개방하도록 작동시켜 압력을 감소시킨다. 또한, 순간적으로 과도한 압력이 발생되어도 역시 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70)가 개방 작동되어 오일이 오일저장탱크(33) 내로 다시 이동함으로써, 브레이크 시스템의 손상이 방지된다.
이 때, 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70)를 통해 급속한 속도로 복귀되는 유량에 의해 소음이 발생될 소지가 있는데, 이것은 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70)의 출구측에 마련된 유량조절밸브(71)에 의해 방지된다. 복귀되는 오일은 유량조절밸브(71)를 지나면서 급격한 유량의 흐름이 방지, 즉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흐르는 것이 방지되어 유속에 의한 소음발생이 억제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일반적인 제동력 해제시의 작동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운전자가 제동중에 제동력을 감소시키려고 하거나 제동작용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브레이크패달(10)을 누르는 힘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패달(10)은 본래의 위치로 복원되려고 하고, 패달재현기(32) 내부의 오일은 긴급용 마스터실린더(30)를 거쳐 오일저장탱크(33) 내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와 동시에 패달센서(20)에서는 브레이크패달(10)의 위치 및 속도를 감지 전기제어부(100)로 전달하며, 여기에서는 입력된 신호를 근거로 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제동압력, 제동압력 감소속도, 제동압력 완전해제 등을 판단한다. 그리고 전기제어부(100)는 운전자의 제동력 감소와 이의 감소속도, 완전해지의지를 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70)를 통해 수행한다. 즉, 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70)를 개방작동시킴에 따라 브레이크(80,81,82,83)의 유압은 노말오프형 솔레노이드밸브(60)와 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70)를 통해 다시 오일저장탱크(33)로 안내된다. 이 때, 압력조절 상태를 압력감지센서(90)를 통해 검출하여 정확한 제동작용을 조절할 수 있는데, 압력감소가 운전자의 의지보다 크면 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70)를 폐쇄하도록 작동시키고 SR모터(40)와 흡입펌프(41)를 재구동하여 다시 원하는 제동압력으로 올린다.
한편, 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70)가 개방되어 이를 통해 복귀되는 오일의 흐름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량조절밸브(71)를 지나면서 일정한 속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급격한 유량의 흐름에 따른 소음발생이 억제된다.
그리고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장 작동시의 제동작용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이 제동과 운행, 정지시에 전기제어부(100) 또는 유압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되면 전기제어부(100)는 작동이 중지되며, 동시에 전기제어부(1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는 폐쇄되어 있던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31)가 개방되게 작동을 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제동을 하기 위해 브레이크패달(10)을 밟으면 긴급용 마스터실린더(30)에서는 오일에 압력을 발생시켜고, 여기에서 발생된 유압은 개방된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31)를 통해 각 바퀴의 브레이크(80,81,82,83)로 전달되어 제동작용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동작용을 해제하고자 브레이크패달(10)에서 발을 떼면 오일은 제동작용의 역순으로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31)를 통해 복귀된다.
한편, 차량에 주행중에 감속 또는 정지를 목적으로 제동력 증가 / 유지상태로 제어하는 중에 운전자가 제동압력을 노면상태보다 크게 하거나 노면조건이 변화되어 제동압력으로 발생하는 브레이크(80,81,82,83)에서의 마찰력이 차량의 타이어나 노면에서 발생하는 제동력보다 크게되면 차량의 바퀴는 노면에서 미끄러져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차량은 조향력을 상실하고 제동거리가 증가함은 물론이고, 차량이 회전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ABS제어가 필요하다. 이러한 ABS는 증압, 감압, 유지 등 3가지 모드로 제어되며, 각각의 제어상태는 차량의 바퀴 4개에 모두 같은 상태로 조절되는 것이 아니고 노면조건과 ABS 제어상태에 별개로 제어, 즉 3가지 모드가 섞여서 제어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압력감압상태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동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브레이크(80,81,82,83) 내의 제동압력이 노면조건보다 크면 적정압력으로 낮추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전기제어부(100)에서는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61)를 개방 작동시킴으로써, 브레이크(80,81,82,83)로부터 토출되는 오일은 다시 흡입펌프(41)에 의해 흡입되거나 오일저장탱크(33)로 유입된다. 이 때, 각각의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61)의 개방작동은 동시 또는 각각 수행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차량 바퀴에 장착된 브레이크(80,81,82,83)의 압력이 낮아져서 바퀴가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압력증압 상태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BS 제어중 ABS 감압상태가 오래 지속되거나 차량이 진행되어 노면의 마찰계수가 높은 곳으로 이동하면 브레이크(80,81,82,83) 내에 있는 제동압력으로 제동을 할 수 있는 것보다 차량 타이어와 노면에서 발생시킬 수 있는 마찰력이 증가되어 차량 제동효율이 떨어진다. 전기제어부(100)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판단, 브레이크(80,81,82,83) 내의 제동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SR모터(40)와 흡입펌프(41)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오일저장탱크(33) 내의 오일과 ABS감압상태에서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61)를 통해 브레이크(80,81,82,83)에서 배출된 오일이 다시 흡입펌프(41)로 흡입 강제펌핑된다. 이 때, 흡입되는 오일은 플러스형의 유압으로 압력을 받으나 축압기와 댐핑쳄버(50), 오리피스(51)를 지나면서 선형적인 압력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유압은 계속하여 개방작동된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60)를 통해 브레이크(80,81,82,83)로 전달되어 제동유압을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ABS 압력증압 과정에서 압력감지센서(90)를 통해 필요이상으로 제동유압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이 감지되면, 전기제어부(100)에서는 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70)를 개방작동시켜 압력을 낮추기 때문에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브레이크 시스템의 손상이 방지된다. 한편, 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70)를 지나 토출되는 유량은 유량조절밸브(71)를 지나기 때문에 유속에 의한 소음발생이 방지된다.
그리고 ABS 제어 중에서 브레이크(80,81,82,83) 내의 압력이 최적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최적의 압력에 이르거나, ABS 제어중에서 파생되는 차량의 공진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압력을 일정상태로 유지하는 작동상태가 필요한데,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압력유지 과정을 설명한다. 차량의 바퀴에 장착된 브레이크(80,81,82,83) 내의 압력변화를 없게하는 압력유지 상태는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60) 중에서 압력을 유지하고자 하는 브레이크(80,81,82,83) 측의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60)를 폐쇄작동시켜 유압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ABS 압력유지 상태에서도 흡입펌프(41)에서 유압이 지속적으로 전달되면 전기제어부(100)에 의해 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70)가 개방작동되고 이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압력상승으로 인한 브레이크 시스템의 손상이 방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에서는 브레이크패달(10)이 끝까지 전진하여도 제동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스폰지현상과 베이퍼록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기압차에 의해 배력을 형성하는 배력장치 등이 요구되지 않으며, 차량의 제동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SR모터(40)와 흡입펌프(41)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의도에 따른 정밀한 제동제어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브레이크패달의 작동을 감지하는 패달센서, 오일저장탱크와 브레이크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에 설치된 SR모터와 흡입펌프 등이 구성되어 있어서, 브레이크패달을 밟게 되면 SR모터와 흡입펌프가 구동되고 오일저장탱크 내의 오일은 흡입펌프의 펌핑력에 의해 각 바퀴의 브레이크에 유압으로 전달되어 제동력이 발생된다. 또한 제동유압이 복귀되는 유압라인에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어 있어서, 유량이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흐르는 것이 방지되어 소음발생이 억제된다.
따라서 기압차에 의해 배력을 형성하는 배력장치 등이 필요하지 않아 전체적인 브레이크장치의 가격이 절감됨은 물론이고, 차량의 제동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SR모터와 흡입펌프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자의 의지에 따른 정밀한 제동제어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브레이크패달(10)의 작동을 감지하는 패달센서(20),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어 있는 오일저장탱크(33), 상기 오일저장탱크(33)와 연계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패달(10)의 작동에 따라 유압을 형성하는 긴급용 마스터실린더(30), 차량의 각 바퀴에 마련되어 유압에 의해 제동력을 발휘하는 브레이크(80,81,82,83), 상기 브레이크(80,81,82,83)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각각 마련되어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60)와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61), 상기 오일저장탱크(33) 내의 오일을 강제로 흡입펌핑하여 상기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60)를 통해서 상기 브레이크(80,81,82,83)에 유압으로 전달하는 SR모터(40)와 흡입펌프(41), 상기 패달센서(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패달센서(20)로부터 상기 브레이크패달(10)의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SR모터(40)와 상기 흡입펌프(41)를 구동시켜 상기 브레이크(80,81,82,83)에 유압을 전달하는 전기제어부(100), 상기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60)와 상기 오일저장탱크(33)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에 설치되어 제동작용 해제시 상기 브레이크(80,81,82,83)에서 토출되는 유압이 상기 오일저장탱크(33)로 안내되도록 상기 전기제어부(100)에 의해 개방 작동되는 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70), 상기 노말클로즈형 릴리프 솔레노이드밸브(70)의 출구측에 마련되어 유량이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발생을 억제하는 유량조절밸브(7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1019970065313A 1997-12-02 1997-12-02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100282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313A KR100282187B1 (ko) 1997-12-02 1997-12-02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JP32797398A JP3188242B2 (ja) 1997-12-02 1998-11-18 車両用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装置
DE1998155696 DE19855696A1 (de) 1997-12-02 1998-12-02 Antiblockier-Bremssystem für Fahrzeu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313A KR100282187B1 (ko) 1997-12-02 1997-12-02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086A true KR19990047086A (ko) 1999-07-05
KR100282187B1 KR100282187B1 (ko) 2001-02-15

Family

ID=66094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313A KR100282187B1 (ko) 1997-12-02 1997-12-02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1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550A1 (ko) * 2018-05-17 2019-11-21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102B1 (ko) * 2008-01-16 2012-09-07 주식회사 만도 드럼 브레이크를 채용한 차량 안정성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550A1 (ko) * 2018-05-17 2019-11-21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1993236B2 (en) 2018-05-17 2024-05-28 Hl Mando Corporation Electronic brak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2187B1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5949B2 (en) Anti-lock hydraulic braking system, in particular for motorized two-wheel vehicles
US20010006306A1 (en) Braking pressure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two brake operating states using power-operated and manually operated pressure sources, respectively
KR101415205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KR200267460Y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댐핑장치
KR100282187B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100379923B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JPH04231247A (ja) ブレーキ圧制御装置
KR100282188B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US6132013A (en) Anti-lock and traction control braking system using non-driven wheel brake de-isolation
JP2005008145A (ja) 非人力−駐車ブレーキ装置を操作する方法
KR100352948B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20140104260A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US8998349B2 (en) Electronic control brake system for vehicles
JP3188242B2 (ja) 車両用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装置
US5971502A (en) Secondary braking control
KR200278670Y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100331657B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100328228B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19990041221A (ko) 차량용 브레이크장치
KR200270855Y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저압어큐뮤레이터
KR200296168Y1 (ko) 차량용안티록브레이크시스템
KR100344471B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200296170Y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JPH0218147A (ja) 自動車のアンチロック制御装置を備えたブレーキ装置
KR100352947B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