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2130A - washer - Google Patents

wa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2130A
KR19990042130A KR1019970062850A KR19970062850A KR19990042130A KR 19990042130 A KR19990042130 A KR 19990042130A KR 1019970062850 A KR1019970062850 A KR 1019970062850A KR 19970062850 A KR19970062850 A KR 19970062850A KR 19990042130 A KR19990042130 A KR 19990042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d switch
tank
washing
washing machin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8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기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2130A/en
Publication of KR19990042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130A/en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리드스위치와 자성체를 통해 언밸런스를 용이하게 감지하는 언밸런스 감지장치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n unbalance detection device for easily detecting unbalance through a reed switch and a magnetic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피세탁물의 불균형으로 인해 세탁조(30)의 언밸런스 회전시 이를 감지하는 장치(60)로서 수조(20)에 부착되는 자성체(62)와 이의 자계에 의해 온-오프되어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70)로 전달하는 리드스위치(61)로 이루어지며 자성체는 수조(20)의 외부에 마련되는 수조리브(64)와 결합되고, 리드스위치(61)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리브(66)와 고정리브(67)에 의해 설치된다. 따라서 수조(20)의 진동에 의해 리드스위치(61)가 작동하여 언밸런스가 감지되는데, 이러한 리드스위치(61)와 자성체(62)의 설치가 용이하며, 동작불량이 발생되지 않아 세탁기의 전체적인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off by the magnetic body 62 attached to the water tank 20 and its magnetic field as an apparatus 60 for detecting the unbalanced rotation of the washing tank 30 due to the imbalance of the laundry. It is composed of a reed switch 61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70, the magnetic material is coupled to the water tank rib 64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tank 20, the reed switch 61 is in the housing 10 The support rib 66 and the fixed rib 67 are provided. Therefore, the unbalance is sensed by the operation of the reed switch 61 by the vibration of the water tank 20. The installation of the reed switch 61 and the magnetic body 62 is easy, and the operation failure does not occur, so that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washing machine is improved. There is an advantage to be improved.

Description

세탁기washer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성체와 리드스위치가 구비되어 세탁조의 언밸런스를 감지하고, 세탁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언밸런스 감지장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n unbalance sensing device provided with a magnetic material and a reed switch to detect unbalance of a washing tank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콘트롤부에 세탁, 헹굼 및 배수 그리고 탈수 등의 행정을 미리 마이콤에 프로그램화 시켜두고,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세탁 제어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세탁물이 전자동으로 세탁된다.In general, a washing machine is programmed to control the washing, rinsing, draining, and dehydration in advance to the microcomputer in the control unit, and the program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by the user so that the laundry is automatically washed.

이러한 기능을 하는 세탁기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의 상부에 콘트롤부가 마련되어 있고, 하우징의 내부에 세탁수가 채워지는 수조가 설치된다. 수조의 내부에는 세탁조가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고, 이의 저부에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여 세탁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가 마련되어 있다.The washing machine having such a function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at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forming an exterior, and a water tank in which washing water is filled in the housing. The washing tank is rotatably configured in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and a pulsator i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and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to form the washing water flow.

이에 따라 펄세이터가 정,역회전되어 세탁행정을 수행하게 되고, 세탁행정이 끝난 후에는 세탁조가 고속회전하여 탈수행정을 수행한다.Accordingly, the pulsator is rotated forward and reverse to perform the washing stroke, and after the washing stroke is completed, the washing tank rotates at a high speed to perform the dehydrating stroke.

한편, 세탁물의 치우침으로 인해 탈수행정시 발생될 수 있는 언밸런스에 의한 세탁조 및 수조의 불규칙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언밸런스 감지장치가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에 마련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nbalance detection device for controlling the irregular movement of the washing tank and the water tank by the unbalance that can occur during dehydration due to the washing of the laundry is provided in the upper cove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종래 언밸런스 감지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 및 상부가 개구된 케이스(7) 내부에 제 1접점부(3a)와 제 2접점부(3b)가 상하로 배치되고, 제 1접점부(3a)와 제 2접점부(3b)를 고정하기 위한 접점부 고정부재(4)가 케이스(7)의 후방면에 결합되어 있다.In the conventional unbalance detecting apparatus, as illustrated in FIG. 1, the first contact portion 3a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3b are disposed up and down inside the case 7 having the front, rear, and upper portions thereof opened, and the first The contact part fixing member 4 for fixing the contact part 3a and the second contact part 3b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7.

제 2접점부(3b)의 하방에는 세탁기 뚜껑(미도시)의 개폐에 따라 승,하강 운동하는 동작대(2)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의 일단부는 접점부 고정부재(4)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케이스(7)의 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세탁조(미도시)의 불규칙한 회전운동에 의하여 수조(미도시)와 부딪혀 전,후 운동하는 감지레버(6)가 케이스(7)의 하방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있다. 감지레버(6)의 일단부에는 동작대(2)가 관통 설치될 수 있도록 제 2운동공(2a)이 형성되어 있고, 이의 하단은 일정 길이 연장되어 수조(미도시)의 상단부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5는 감지레버(6)를 하향 지지하는 스프링이다. 또한 감지레버(6)의 일단부와 케이스(7) 사이에는 감지레버(6)의 전후운동에 따라 승하강하면서 제 1접점부(3a)와 제 2접점부(3b)의 접점상태를 변환시키는 접점변환수단(1)이 마련된다. 접점변환수단(1)은 전방이 제 2운동공(2a)에 삽입되어 있고, 접점변환수단(1)과 대응되는 케이스(7)에는 제 1운동공(7a)이 형성되어 접점변환수단(1)의 상하운동을 안내한다.Below the second contact portion 3b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table 2 for moving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shing machine lid (not shown),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contact portion fixing member 4 and the other end thereof. It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front of the case (7). In addition, the sensing lever 6 is provided to extend down the case 7 by hitting the water tank (not shown) by the irregular rotation of the washing tank (not shown). One end of the sensing lever 6 has a second exercise hole (2a) is formed so that the operating table (2) can be installed through, the lower end thereof is extend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stalled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tank (not shown) do. Reference numeral 5 is a spring for supporting the sensing lever 6 downward. In addition, between one end of the detection lever 6 and the case 7 to move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detection lever 6 to convert the contact stat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3a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3b. Contact converting means 1 is provided. The contact converting means 1 is inserted in the front of the second movement hole 2a, and the first conversion hole 7a is formed in the case 7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converting means 1, so that the contact converting means 1 Guide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언밸런스 감지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세탁기의 뚜껑(미도시)을 닫으면 동작대(2)가 뚜껑에 의하여 끌어 올려지고, 동작대(2)의 승강운동에 의하여 접점변환수단(1)은 제 2접점부(3b)를 제 1접점부(3a)에 접점시킨다. 이 상태에서 탈수행정시 피세탁물의 치우침 등으로 인해 언밸런스가 발생되면 수조(미도시)의 상단부가 감지레버(6)를 후방으로 밀게된다. 이에 따라 접점변환수단(1)은 하강운동하며, 아울러 제 2접점부(3b)는 제 1접점부(3a)에서 떨어져 세탁기의 동작이 정지된다.The operation of the unbalance sens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First, when the user closes the lid (not shown) of the washing machine, the operating table 2 is pulled up by the lid, and the contact converting means 1 is moved by the lifting movement of the operating table 2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3b. Is conta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3a. In this state, if an unbalance occurs due to the bias of the laundry during dehydration, the upper end of the tank (not shown) pushes the detection lever 6 backward. Accordingly, the contact converting means 1 moves downward,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3b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3a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그리고 세탁기 뚜껑을 개방하면 제 2접점부(3b)와 제 1접점부(3a)는 원래의 상태로 다시 복원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이 발생되면, 사용자는 뚜껑을 열고 피세탁물을 고르게 넣어 재작동시킴으로써 작동소음을 줄이고 세탁기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다.When the washing machine lid is opened, the second contact portion 3b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3a a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Therefore, when such a situation occurs, the user opens the lid and evenly puts the laundry to be restarted to reduce the operating noise and do not overload the washing machine.

그러나 종래 언밸런스 감지장치는 뚜껑의 과중한 하중에 의해 동작대(2)의 비틀림이 발생되며, 또한 제 1,2접점부(3a,3b)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침투하여 동작 불량현상이 발생될 소지가 있다. 특히, 온수를 사용할 때, 증기로 인한 접점의 소손이 발생되어 접점부(3a,3b)의 안전성을 기할 수 없어 세탁기의 전체적인 신뢰성이 저하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unbalance detection device, the twist of the operating table 2 is generated due to the heavy load of the lid, and since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arts 3a and 3b are exposed to the outside, foreign matter penetrates and malfunctions are caused. There is a possibility to occur. In particular, when hot water is used, burnout of the contacts due to steam is generated, and thus the safety of the contact parts 3a and 3b cannot be ensured,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조의 외측에 자성체를 마련하고, 하우징의 내측에는 리드스위치가 구비된 언밸런스 감지장치를 구비함에 있어 자성체의 외부에는 이를 감싸는 고정구를 마련하고, 수조에는 고정구가 결합되는 수조리브를 마련하며, 하우징에는 리드스위치가 결합되는 고정리브와 지지리브를 마련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gnetic body on the outside of the tank, and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provided with an unbalance detection device provided with a reed switch, the outside of the magnetic body is provided with a fixture to surround it And, the tank is provided with a tank rib to which the fixture is coupled, the housing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a fixed rib and the support rib coupled to the reed switch.

도 1은 종래 언밸런스 감지장치를 보인 측단면도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unbalance detection device.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다.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washing machi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성체의 설치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면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agnetic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스위치의 설치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면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reed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전기적인 구성을 보인 제어블럭도이다.5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성체와 리드스위치가 작동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magnetic material and the reed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성체와 리드스위치가 작동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magnetic material and the reed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하우징 20..수조 30..세탁조10. Housing 20. Tank 30. Laundry

50..구동부 60..감지장치 61..리드스위치50. Driving part 60. Detection device 61. Reed switch

62..자성체 63..고정구 64..수조리브62. Magnetic material 63. Fixing fixture 64. Water tank rib

65..스위치케이스 66..고정리브 67..지지리브65. Switch case 66. Fixed rib 67. Support rib

70..제어부70..Control par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탁수가 담수되는 수조가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수조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피세탁물이 담겨져 세탁 및 탈수가 수행되는 세탁조, 상기 세탁조의 언밸런스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갖춘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수조의 외측에 자성체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자성체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자성체와 일정간격 이격되며 스위치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세탁조의 언밸런스로 인한 상기 자성체의 근접 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리드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in which a wash water desalination tank is installed therein, and a washing tank rotatably provided in the water tank to wash and dehydrate the laundry to be dehydrated to detect unbalance of the washing tank. In the washing machine having a sensing device, the sensing device is a magnetic material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by a magnetic material fixing means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is spaced apart from the magnetic material at regular intervals and fixed by a switch fixing means due to the unbalance of the washing tank Reed switch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magnetic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한편 상기 자성체고정수단은 상기 자성체의 외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양측에 걸림턱이 마련된 고정구와 상기 수조의 외부에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는 걸림구가 마련된 수조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agnetic body fixing means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magnetic material is fixed to the locking jaw is provided on both sides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ank rib provided with the locking jaw is inserted.

또한 상기 스위치고정수단은 상기 리드스위치의 양측으로 마련되는 슬라이딩구와 상기 슬라이딩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고정리브와 상기 리드스위치의 하부를 상향지지하는 지지리브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witch fix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opening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ed switch and the fixing ribs installed in the housing so as to correspond to the sliding opening and the support ribs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eed switch.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성체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스위치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전기적인 구성을 보인 제어블럭도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성체와 리드스위치의 작동전,후를 보인 단면도이다.Hereinafter, on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agnetic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reed switch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and 7 and the magnetic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before and after operation of reed switch.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10) 내부에 세탁수가 채워지는 수조(20), 수조(20)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벽면에 다수의 탈수공이 천공된 세탁조(30)가 구성되어 있다. 수조(20)는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현가장치(21)에 의해 매달려 설치되어 있으며, 세탁조(30)의 저부에는 정역회전하여 세탁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40)가 마련된다.As shown in FIG. 2,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water tank 20 and the water tank 20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filled in the housing 10 constituting the exterior body, and a plurality of dehydration holes are drilled in the wall surface. The washing tank 30 is comprised. The water tank 20 is suspended by the suspension device 21 in the housing 10, and the bottom of the washing tank 30 is provided with a pulsator 40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to form the water flow.

그리고 하우징(10)의 저부에는 세탁조(30)와 펄세이터(4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50)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것은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51)와 이의 회전력을 밸트를 매개로 전달받아 펄세이터(40)와 세탁조(30)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장치(52)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부호 11는 세탁기의 뚜껑이다.And the bottom of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50 for driving the washing tank 30 and the pulsator 40, which is a motor generating the power 51 and its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belt pulsing It consists of a power transmission device 52 for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rotating the eater 40 and the washing tub 30. Reference numeral 11 is a lid of the washing machine.

한편, 세탁기의 탈수행정시 언밸런스를 감지하여 세탁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감지장치(60)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것은 하우징(10) 내부에 부착된 리드스위치(61)와 수조(20)에 고정된 자성체(62)로 이루어져 있다. 자성체(62)는 수조(30)의 상단 외측에 자성체고정수단에 의해 설치되며, 자성체(62)의 자계에 의해 교번되어 구동되는 리드스위치(61)는 자성체(62)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스위치고정수단에 의해 하우징(10)의 내측에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provided a detection device 6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by detecting the unbalance during the dehydration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which is a magnetic body fixed to the reed switch 61 and the tank 20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 62). The magnetic body 62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30 by the magnetic body fixing means, and the reed switch 61 which is alternately driven by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ic body 62 is fix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gnetic body 6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by means.

이러한 자성체의 설치구조를 도 3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시한바와 같이 자성체(62)는 입설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자성체(62)의 외부와 수조(20)의 외부에는 자성체(62)를 하우징(10)에 고정시키는 자성체고정수단이 마련된다. 이 자성체고정수단은 자성체(62)의 외부에 마련되는 고정구(63)와 이 고정구(63)에 대응되도록 수조(20)의 외부에 돌출된 수조리브(64)로 이루어진다.An installation structure of such a magnetic materi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s shown in the figure, the magnetic body 62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standing cuboid, and a magnetic body fixing means for fixing the magnetic body 62 to the housing 10 is provided outside the magnetic body 62 and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20. . The magnetic body fixing means includes a fixture 63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magnetic body 62 and a tank rib 64 protruding outside the tank 20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xture 63.

먼저 고정구(63)는 자성체(62)의 전면 양측부와 후면, 좌우측면, 그리고 저면을 감싸는 자성체케이스(63a)와 양측 대략 중간정도에 양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63b), 그리고 걸림턱(63b)의 선단에서 상하방향 연장되는 판상의 고정턱(63c), 그리고 고정턱(63c)의 상하측에 마련되는 고정홈(63d)으로 마련된다.First, the fastener 63 is a magnetic case (63a) surrounding the front and both sides and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bottom of the magnetic body 62 and the locking jaw (63b)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at approximately the middle of both sides, and the locking jaw ( It is provided with a plate-shaped fixing jaw (63c)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tip of the 63b), and the fixing groove (63d)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xing jaw (63c).

그리고 수조리브(64)는 수조(20) 외부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브면(64a)과 리브면(64a)의 중간에 마련되어 고정구(63)의 걸림턱(64b)이 삽입되는 걸림홈(64b)과 고정구(63)의 고정홈(63d)과 대향되게 마련되는 고정홈(64d)이 마련되어 걸림턱(63b)이 걸림홈(64b)에 삽입되어 고정구(63)의 고정홈(63d)과 수조리브(64)의 고정홈(64d)이 서로 겹쳐지게 되고, 이를 스크류로서 체결하거나 이와 동시에 고정구(63)와 수조리브(64)의 접촉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자성체(62)를 수조(20)에 결합시키게 된다.And the water tank rib 64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rib surface 64a and the rib surface 64a protruding outwardly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utside the water tank 20 into which the locking jaw 64b of the fixture 63 is inserted. The locking groove 64b and the fixing groove 64d provided to face the fixing groove 63d of the fixing device 63 are provided, and the locking jaw 63b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64b to fix the fixing groove of the fixing device 63 ( 63d) and the fixing groove 64d of the water tank rib 64 overlap each other and fasten it as a screw or at the same time use the adhesive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xture 63 and the water tank rib 64 to form the water body 62. To (20).

리드스위치의 설치구조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스위치(61)는 스위치고정수단에 의해 하우징(10)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이다.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reed swit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s shown here, the reed switch 61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by the switch fixing means.

스위치고정수단은 리드스위치(61)의 외부에 마련되는 스위치케이스(65)와 하우징(10)의 내측에 마련되어 고정리브(66),지지리브(67)로 구비된다. 스위치케이스(65)는 사각의 함체로 마련되며 내부에는 리드스위치(61)가 배치되고, 스위치케이스(65)의 양측배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마련된 슬라이딩구(65a)가 마련된다. 그리고 스위치케이스(65)의 상측으로는 리드스위치(61)의 단자(61c)가 외부로 인출되어있다.The switch fixing means is provided inside the switch case 65 and the housing 10 provided outside the reed switch 61 and is provided with a fixing rib 66 and a support rib 67. The switch case 65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box, and a reed switch 61 is disposed inside the sliding case 65, and sliding holes 65a provided in up and down directions are provided on both rear surfaces of the switch case 65. On the upper side of the switch case 65, the terminal 61c of the reed switch 61 is drawn outward.

그리고 하우징(10)에는 스위치케이스(65)가 설치되는 고정리브(66)와 지지리브(67)가 하우징(10)과 일체로 마련된다. 고정리브(66)는 하우징(1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한쌍으로 마련되며 서로 마주하는 측으로 벤딩되어 내부에 슬라이딩구(65a)가 삽입되고, 하측의 지지리브(67)는 고정리브(66)에 삽입된 스위치케이스(65)의 하부를 상향지지할수있도록 하우징(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있다.In the housing 10, a fixed rib 66 and a support rib 67 in which the switch case 65 is installed ar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housing 10. The fixed ribs 66 are provided in pairs to protrude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and are bent to face each other so that the sliding holes 65a are inserted therein, and the lower support ribs 67 are fixed to the fixed ribs 66. It protrudes inwardly of the housing 10 so as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ed switch case 65 upward.

한편 스위치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리드스위치는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재료를 프레스가공한 한쌍의 리드편(61a,61b)에 소정의 오버랩과 소정의 갭을 가지게하여 불활성가스와 함께 유리튜브(61d)내에 봉입한 자기 구동형스위치로서 전기접점으로 우수한 특성을 얻기 위해 백금, 금, 로듐, 루테늄 등의 귀금속류가 도금되어있으며 내부 불활성가스로서 일반적으로, 질소와 수소의 혼합가스가 상압에서 봉압되는 것이다. 리드스위치(61)의 동작원리는 자성체(62)의 자계속에 리드스위치(61)를 놓았을 경우 연질 강자성 재료의 리드편(61a,61b)은 그 자계의 방향에 따라서 자화되며 각각 리드편(61a,61b)이 N극과 S극을 가지게 되어 접점부를 서로 잡아당기도록 다른 극이 유기되고, 이 자기적인 흡입력이 프레스가공부의 기계적 탄성력을 웃도는 경우 접점이 닫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ed switch provided inside the switch case has a predetermined overlap and a predetermined gap on the pair of lead pieces 61a and 61b press-processed magnetic material as shown in FIGS. 6 and 7 together with the inert gas. Self-driven switch enclosed in a glass tube 61d, plated with precious metals such as platinum, gold, rhodium, and ruthenium to obtain excellent electrical contacts. In general, a mixture of nitrogen and hydrogen is used as an atmospheric inert gas. It is to be pressed in.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reed switch 61 is that when the reed switch 61 is placed on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ic body 62, the lead pieces 61a and 61b of the soft ferromagnetic material are magnetiz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respectively. 61a and 61b have the north pole and the south pole, so that the other pole is induced to pull the contact portion together, and the contact is closed when the magnetic suction force exceeds the mechanical elastic force of the press working portion.

이와 같이 구성된 언밸런스 감지장치(60)는 수조(20)가 정상적으로 위치되어 자성체(62)와 리드스위치(61)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을 때는 작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수조(20)의 언밸런스로 인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체(62)가 근접하게 되면, 각각의 리드편(61,62)에 + 극과 - 극이 자화되고 전기적인 인력이 발생되어 서로 붙게된다. 이에 따라 리드스위치(61)가 온 되어 후술하는 제어부(70)에 전기적 신호로 입력되고, 이를 근거로 하여 모터(51)의 구동이 제어되는데, 제어부(70)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unbalance detection device 6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oes not operate when the water tank 20 is normally positioned and the magnetic body 62 and the reed switch 61 are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However, when the magnetic body 62 is close to each other due to the unbalance of the water tank 20, the positive pole and the negative pole are magnetized to each lead piece 61 and 62, and electrical attraction is generated. Attached. Accordingly, the reed switch 61 is turned on and input to the controller 70 to be described later as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driving of the motor 51 is controlled based on this.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as follows.

제어부(70)의 입력측에는 자성체(62)의 근접여부에 따라 온-오프신호를 입력시키는 리드스위치(6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의 출력측에는 모터(51)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부(51a)가 접속되어 있다.A reed switch 61 for inputting an on-off sig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side of the control unit 70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magnetic body 62. On the output side thereof, a motor driving unit 51a for driving the motor 51 is provided. Is connected.

즉, 보통의 경우 리드스위치(61)는 오프(혹은 온) 상태를 유지하다가 자성체(62)에서 형성된 충분한 자계의 힘이 가해지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드편이 서로 달라 붙어 온(혹은 오프) 된다. 즉, 탈수행정시 피세탁물이 치우쳐 세탁조(30)가 언밸런스 회전하면 수조(20)의 내벽면과 부딪치게 되고, 이에 부착된 자성체(62)가 리드스위치(61)와 근접하는 상황이 반복적으로 발생된다. 이 때, 리드스위치(61)에 자성체(62)가 근접하게 되면 이것은 자성체(62)의 자계에 의해 온 되고, 이를 제어부(70)에 전기적 신호로 전달한다. 제어부(70)에 이러한 신호가 수회(통상적으로 2내지 3번)입력되면, 여기에서는 모터(51)가 더 이상 작동하지 않도록 모터구동부(51a)를 제어하게 된다.That is, in general, the reed switch 61 maintains an off state (or on state), and when a sufficient magnetic field force formed in the magnetic body 62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the lead pieces are stuck together (or off). That is, when the laundry is debalanced during the dehydration administration, when the washing tank 30 rotates unbalanced, the washing tank 30 collides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20, and a situation in which the magnetic body 62 attached thereto approaches the reed switch 61 is repeatedly generated. . At this time, when the magnetic body 62 is close to the reed switch 61, it is turned on by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ic body 62,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70 as an electrical signal. When such a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70 several times (typically two to three times), the motor driving unit 51a is controlled so that the motor 51 no longer operates.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작동을 설명하는데 일반적인 세탁과정은 종래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것은 생략하고,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세탁조에 언밸런스가 발생된 경우 탈수행정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since the general washing process is the same as in the related art. .

먼저, 피세탁물이 편심되게 놓여져 세탁조(30)가 중심에서 어긋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탈수행정이 수행되면 모터(51)가 구동되어 세탁조(30)가 회전한다. 이 때, 언밸런스 회전을 하는 세탁조(30)가 수조(20)의 내벽면과 부딪쳐 이를 전후 좌우로 진동시킴으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20)의 선단부에 부착된 자성체(62)가 리드스위치(61)에 근접하는 경우가 간헐적으로 발생된다.First, the laundry is placed eccentrically and the washing tank 30 is shifted from the center. When dehydration is performed in this state, the motor 51 is driven to rotate the washing tank 30. At this time, the unbalanced washing tank 30 hit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tank 20 and vibrates it from side to side, so that the magnetic body 62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water tank 20 as shown in FIG. The case of proximity to the switch 61 occurs intermittently.

이에 따라 보통의 경우 오프되어 있는 리드스위치(61)는 자성체(62)가 근접되면 온되어 이를 제어부(70)에 전기적 신호로 전달하고, 제어부(70)에서는 이러한 신호가 2 내지 3회 정도 입력되면 모터(51)가 더 이상 구동되지 않도록 모터구동부(51a)를 제어함으로써, 언밸런스 회전으로 인한 소음과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reed switch 61, which is usually turned off, is turned on when the magnetic body 62 is in close proximity an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70 as an electrical signal, and when the signal is input by the controller 70 about 2 to 3 times. By controlling the motor driver 51a so that the motor 51 is no longer driven, noise and damage due to unbalanced rotation are prevented.

그리고 사용자가 뚜껑(11)을 열게 되면 이러한 제어부(70)의 작동제어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됨으로써, 피세탁물을 균일하게 펼쳐 놓은 후 다시 탈수행정을 수행하면 정상적으로 탈수가 이루어진다.Then, when the user opens the lid 11,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dehydration operation is normally performed when the laundry is unevenly spread and then dehydrated again.

즉, 세탁기의 언밸런스를 감지하는 감지장치(60)가 수조(20)의 상단부에 자성체고정수단에 의해 부착되어 자계를 형성하는 자성체(62), 자성체(62)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스위치고정수단에 의해 설치되며 이의 근접여부에 따라 온-오프되어 제어부(7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리드스위치(61)로 구성되어 있어서, 설치가 용이하며 접점부 소손 등으로 인한 동작불량이 발생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at is, the sensing device 60 for detecting the unbalance of the washing machine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20 by the magnetic body fixing means to form a magnetic field in the magnetic body 62 and the magnetic body 62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witch fixing mean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installed by the reed switch 61 which is on-off and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ler 70 according to its proximity, and is easy to install and does not generate a malfunction due to burnout of the contact part. Can be used.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피세탁물의 불균형으로 인해 세탁조의 언밸런스 회전시 이를 감지하는 장치에 의해 탈수행정이 중지되는데, 감지장치가 수조에 부착되는 자성체와 이의 자계에 의해 온-오프되어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리드스위치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자성체고정수단과 스위치고정수단에 의해 수조와 하우징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pped by the device for detecting the unbalanced rotation of the washing tank due to the imbalance of the laundry, the sensing device is turned on by the magnetic material attached to the water tank and its magnetic field The switch is composed of a reed switch which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tank and the housing by the magnetic body fixing unit and the switch fixing unit.

즉 수조의 진동에 의해 리드스위치가 작동하여 언밸런스가 감지되는데, 이러한 리드스위치와 자성체의 설치가 용이하며, 동작불량이 발생되지 않아 세탁기의 전체적인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unbalance is detected by the reed switch is activated by the vibration of the tank, it is easy to install such a reed switch and the magnetic materi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washing machine is improved because there is no malfunction.

Claims (3)

세탁수가 담수되는 수조가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수조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피세탁물이 담겨져 세탁 및 탈수가 수행되는 세탁조, 상기 세탁조의 언밸런스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갖춘 세탁기에 있어서,In the washing machine having a housing in which a wash water fresh water tank is installed therein, a washing tank rotatably provided in the tank, in which the laundry is contained, washing and dehydration is performed, and a sensing device for detecting an unbalance of the washing tank.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수조의 외측에 자성체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자성체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자성체와 일정간격 이격되며 스위치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세탁조의 언밸런스로 인한 상기 자성체의 근접 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리드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The sensing device is a magnetic material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by a magnetic material fixing means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is spaced apart from the magnetic material and fixed by a switch fixing means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magnetic material due to the unbalance of the washing tank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ed switch is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성체고정수단은 상기 자성체의 외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양측에 걸림턱이 마련된 고정구와 상기 수조의 외부에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는 걸림구가 마련된 수조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The magnetic body fixing means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magnetic body is provided with a locking jaw is provided on both sides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rib is provided with a locking hole is insert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위치고정수단은 상기 리드스위치의 양측으로 마련되는 슬라이딩구와 상기 슬라이딩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고정리브와 상기 리드스위치의 하부를 상향지지하는 지지리브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The switch fixing means is a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sliding opening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ed switch and a fixing rib installed in the housing so as to correspond to the sliding opening and a support rib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eed switch.
KR1019970062850A 1997-11-25 1997-11-25 washer KR199900421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850A KR19990042130A (en) 1997-11-25 1997-11-25 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850A KR19990042130A (en) 1997-11-25 1997-11-25 was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130A true KR19990042130A (en) 1999-06-15

Family

ID=6609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850A KR19990042130A (en) 1997-11-25 1997-11-25 was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213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62146A (en) Dewate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KR101186309B1 (en) Drum type washer and washing method
KR100521525B1 (en) Cover locking device of washing machine
KR19990042130A (en) washer
JPH11197390A (en) Washing machine
KR100242574B1 (en) Washing machine
KR100233450B1 (en) Washing machine
KR19990039229A (en) washer
KR19990042126A (en) washer
KR19990042134A (en) washer
KR1004874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 an unbalance of washing machine
JPH11156084A (en) Washing machine
KR100400446B1 (en) A drawer type washing machine
JPS60137389A (en) Full-automatic washer
KR100465698B1 (en) structure to fix magnet of washing machine
JPS6340230Y2 (en)
JP2013103109A (en) Washing machine
KR100403025B1 (en) Washing machine equipped door operating sensor
KR100326999B1 (en) Washing machine with combined sensor
KR200159468Y1 (en) A breaker device of inner tub in a washing machine
KR20000009791A (en) Unbalance detecting device for washing machine and method thereof
JPS6114394Y2 (en)
KR0125616Y1 (en) Switch for sensing unbalance in a washing machine
KR0147217B1 (en) The open and close sensing apparatus of a washing machine
KR0125617Y1 (en) Switch for sensing unbalance in a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