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2109A - 이동통신시스템의 단순 메시지 서비스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의 단순 메시지 서비스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2109A
KR19990042109A KR1019970062813A KR19970062813A KR19990042109A KR 19990042109 A KR19990042109 A KR 19990042109A KR 1019970062813 A KR1019970062813 A KR 1019970062813A KR 19970062813 A KR19970062813 A KR 19970062813A KR 19990042109 A KR19990042109 A KR 19990042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obile station
base station
simple message
additional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2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2109A/ko
Publication of KR19990042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109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이동통신시스템의 단순 메시지 서비스 처리 방법.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이동국을 이용하여 단순 메시지 서비스를 처리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이동국이 동일한 코드를 갖는 추가 수신기를 가지며, 메시지 센터로부터의 제공되는 단순 메시지의 전송이 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국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순 메시지 서비스 처리 방법이, 상기 메시지 센터로부터 전송되는 단순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국이 수신하며, 상기 이동국이 상기 수신된 단순 메시지를 다시 상기 추가 수신기로 전송하여 상기 추가 수신기에서 발신자의 번호나 간단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이동통신시스템의 단순 메시지 서비스 처리에 이용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의 단순 메시지 서비스 처리 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순 메시지 서비스(SMS : Shprt Message Service)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이동국이라 칭함)를 통한 단순 메시지 서비스(SMS)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단순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란 간단한 문자 및 숫자를 이동국과 기지국, 기지국과 송수신이 가능한 외부장치와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로, 단순 메시지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국은 단말기에 할당된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모니터링 하는 동안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a burst message)를 수신하여, 암호화 되어 있는 메시지를 복원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으로는 첫째, 이동국에 발신자의 번호를 표시해주는 방법이 있고, 둘째 일정시간의 발신 요구후 사용자의 응답이 없을 경우 사용자의 호출기 또는 추가 수신기로 연결해 주는 방법이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단순 메시지 서비스 처리 과정을 첨부된 도면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단순메시지 서비스 처리에 관한 시스템 블럭도이다.
먼저, 기지국111은 송수신 장치, 이동국 스위칭 센터(MSC:mobile switching center) 그리고 내부 작업 기능(IWF : inter-working function) 등을 구비하여, 이동국111과의 통신 및 유선망을 통한 유선 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메시지 센터115는 단순 메세지 서비스를 제공하며, 직접 혹은 간접으로 음성 및 데이터 장치인 통신장치(114,116)에 연결된다.
그리고 추가 수신기119는 상기 메시지 센터115로 부터 직접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호출기117 또한 호출기용 기지국118를 통해 상기 메시지 센터115로부터 메시지를 직접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 구성에 근거한 단순 메시지 서비스 처리 과정을 설명하면, 이동국은 아이들(idle) 상태일 경우, 시스템 기능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국은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모니터링한다.
이때 기지국은 상기 페이징 채널을 통해 페이징 메시지(paging message) 및 단순 메시지 서비스를 이동국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이동국은 또한 억세스 채널(access channel)을 이용하여 제한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트래픽 상태(traffic chennal 상태)에서는 할당된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통해 음성 및 데이터 그리고 다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트래픽 상태에서는 상기 억세스 채널 상태에서 보다 큰 음성 및 데이터의 통신이 가능하다.
즉, 종래에 있어, 추가 수신기119 또는 호출기117로의 메시지 수신은 상기 메시지 센터115로부터 직접 이루어졌다. 따라서 이동국 사용자가 착신 신호음을 듣지 못해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상기 메시지 센터115가 상기 이동국 사용자의 호출기 및 추가 수신기로 간단한 데이터나 발신자 번호(caller ID) 등을 전송하여, 발신자의 정보나 부가정보(일예로서 주식정보, 날씨, 스포츠 소식 등)등의 알려주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으로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동국에 발신자의 번호를 표시해주는 방법이 있고, 둘째 일정시간의 발신 요구후 사용자의 응답이 없을 경우 사용자의 호출기로 연결시켜주는 방법이 있으며, 세째로 추가 수신기로 연결해 주는 서비스 등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첫째 방법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휴대하지 않았을 경우 바로 확인이 불가능하여, 긴급을 요하는 상황에서는 서비스의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둘째 방법인 호출기로의 전환 방법은 바로 연락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호출기 기지국으로의 전환 과정에서의 프로세싱(processing)의 복잡성으로 서비스 제공자의 업무가 추가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셋째 방법은 추가 수신기가 메시지 센터(MS)로부터 직접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이동국과 동등한 수신감도를 가져야 하므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시지 센터에서 이동국으로 송신한 메시지를 다시 이동국이 추가 수신기로 송신하여, 상기 추가 수신기를 이용하여 발신자 번호나 간단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어, 이동국에 제공되는 단순 메시지 서비스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 메시지 서비스를 이동국을 통해 수행하므로서 이동국의 적은 전력 소모로 단순 메시지를 추가 수신기에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순 메시지 서비스를 이동국을 통해 수행하여 메시지 센터에서 직접 추가 수신기를 호출하는데 나타나는 프로세싱의 복잡성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국이 동일한 코드를 갖는 추가 수신기를 가지며, 메시지 센터로부터의 제공되는 단순 메시지의 전송이 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국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순 메시지 서비스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호출에 의해 상기 이동국이 착신 신호음을 발생하며, 상기 착신 신호음에 대하여 일정시간 이동국의 응답이 없을 경우 상기 기지국이 상기 메시지 센터에 연결되어 발신측으로 메시지나 번호 녹음 요구 메시지를 송출하며, 상기 메시지 센터가 상기 메시지 송출후 수신되는 메시지나 번호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국에 전송하며, 상기 메시지나 번호를 수신한 이동국이 상기 추가 수신기로 상태 메시지 및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송출하고, 상기 상태 메시지 및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추가수신기가 데이터 수신 신호음을 송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순 메시지 서비스(SMS:Short Message service) 처리에 관한 시스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순 메시지 서비스(SMS) 처리에 관한 시스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순 메시지 서비스(SMS) 처리에 관한 신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단순 메시지 처리에 관한 시스템 블록 구성도이다.
기존의 구성(도 1)과의 차잇점만을 설명하면, 추가수신기118이 메시지 센터115가 아닌 이동국111에 직접 링크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단순 메시지가 기존의 메시지 센터115에서 추가수신기118로의 직접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이동국111이 우선 상기 단순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센터115로부터 수신한후 이를 다시 추가수신기118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순 메세지 서비스 처리 과정을 첨부된 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전원을 켜면 이동국111에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전원을 공급받은 상기 이동국111은 311단계에서 기지국에서 계속적으로 전송하고 있는 파일롯 채널을 획득한다. 상기 파일롯 채널 획득후 상기 이동국111은 313단계에서 동기채널메세지를 수신하여 시스템 타이밍을 맞춘다.
그리고 상기 이동국111은 기지국112에서 매 1.28초마다 전송하는 부가정보메세지(일예로서 시스템 파라미터, 접속 파라미터, 이웃목록, CDMA 채널 목록 메시지 등)를 수신하여, 호출채널정보 및 기지국112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등을 얻는다. 여기서 단순메세지를 지원받는 이동국111은 호출채널을 통해 호출정보와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a burst message)를 수신하며, 이때 상기 이동국111이 기지국112에 등록되면 호출 또는 슬롯(slot)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국111은 314단계에서 호출 응답 메시지로 기지국112에 응답한다.
상기 호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112는 315단계에서 통화 채널 할당 작업을 시작하고, 316단계에서 널(null) 통화채널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국111과 사용할 채널이 정해지면 상기 기지국112는 317단계에서 상기 이동국111로 채널할당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채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국111은 통화 채널 동조를 이루고, 318단계에서 상기 기지국112로부터 경보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착신 신호음을 발생한다. 즉, 기지국112의 착호를 알리는 신호를 울리라는 명령에 의해 이동국111은 사용자에게 착호를 알린다.
여기까지는 이동국111과 기지국112간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과정으로, 사용자가 후크오프만 하면 바로 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까지의 설명이다. 그런데 여기서 발신자가 당초 단순 메시지 서비스나 발신번호 남김 서비스를 원할 경우에는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할당된 채널을 통해 단순 메시지가 이동국111에 기록되게 된다. 한편 일정시간 동안의 착신 신호음에 대하여 사용자의 반응이 없을 경우에도 통화가 이루어지는 대신 상기 기지국112은 메시지센터115에 연결되어 상기 발신자에게 메시지나 발신 번호를 남길 것을 요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발신자가 메시지나 발신번호를 전송하면, 상기 메시지 센터115는 공중전화망113을 통해 상기 메시지나 발신번호를 받아 기지국112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112은 이를 이동국111로 발신하며, 상기 이동국111은 상기 메세지 또는 발신번호를 수신하여 단말기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단락은 319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들을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112로부터 수신한 상기 메세지 또는 발신번호를 저장한후 상기 이동국111은 320단계에서 상기 기지국112로부터 상태 요구 명령을 수신하며, 321단계에서 상기 기지국112 및 추가 수신기18로 상태 메시지 및 데이터버스트메세지를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기지국112는 322단계에서 상기 상태 메시지만을 추적하여 호 해제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111에 전송하며, 따라서 상기 호종료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국111은 호를 종료하게 된다.
한편 321단계에서 상기 상태 메시지와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추가수신기115는 상기 상태 메시지를 통해 이동국을 확인하며, 자기와 같은 코드값을 갖는 이동국의 데이터버스트메세지를 복원하여 사용자에게 데이터 수신 신호음을 통해 수신여부를 확인 시킨다.
여기서 상기 추가수신기115는 두가지로 구현될 수 있다. 그 한가지 예로 단순히 상기 이동국111이 단순메세지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단순 알림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문자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LCD)를 구비하여 직접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단순 메시지를 수신하여 착신벨과 함께 상기 단순메세지를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추가 수신기를 제외한 이동국이나, 기지국에 어떠한 하드웨어적인 추가가 필요없으며, 단순한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으로 기존의 메시지 센터에서 추가 수신기로의 전송이 아닌 이동국에서 직접 추가 수신기로 단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였다. 즉, 이동국의 착용이 용이하지 않은 근거리 이동시 상기 추가 수신기의 착용으로 단순 메시지를 추가 수신기로 받아볼수 있으므로 공정의 간결화 및 신속한 착신 정보의 확인을 가능하게 해준다.

Claims (2)

  1. 이동국이 동일한 코드를 갖는 추가 수신기를 가지며, 메시지 센터로부터의 제공되는 단순 메시지의 전송이 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국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순 메시지 서비스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센터로부터 전송되는 단순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국이 수신하고, 상기 이동국이 상기 수신된 단순 메시지를 다시 상기 추가 수신기로 전송하여 상기 추가 수신기에서 발신자의 번호나 간단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단순 메시지 서비스 처리 방법.
  2. 이동국이 동일한 코드를 갖는 추가 수신기를 가지며, 메시지 센터로부터의 제공되는 단순 메시지의 전송이 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국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순 메시지 서비스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호출에 의해 상기 이동국이 착신 신호음을 발생하며, 상기 착신 신호음에 대하여 일정시간 이동국의 응답이 없을 경우 상기 기지국이 상기 메시지 센터에 연결되어 발신측으로 메시지나 번호 녹음 요구 메시지를 송출하고, 상기 메시지 센터가 상기 메시지 송출후 수신되는 메시지나 번호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국에 전송하며, 상기 메시지나 번호를 수신한 이동국이 상기 메시지나 번호를 저장한후 상기 추가 수신기로 상태 메시지 및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송출하고, 상기 상태 메시지 및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추가수신기가 데이터 수신 신호음을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단순 메시지 서비스 처리 방법.
KR1019970062813A 1997-11-25 1997-11-25 이동통신시스템의 단순 메시지 서비스 처리 방법 KR19990042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813A KR19990042109A (ko) 1997-11-25 1997-11-25 이동통신시스템의 단순 메시지 서비스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813A KR19990042109A (ko) 1997-11-25 1997-11-25 이동통신시스템의 단순 메시지 서비스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109A true KR19990042109A (ko) 1999-06-15

Family

ID=66092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813A KR19990042109A (ko) 1997-11-25 1997-11-25 이동통신시스템의 단순 메시지 서비스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21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87379C (en) Speak back paging system
US6314282B1 (en) Transmitting group ID information to exclude a group of mobile terminals from changing their operation mode
US6161021A (en) Remote notification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P1183885B1 (en) A method and a system rela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043262B2 (en) Two-way pager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preset messages over th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GPRS) network
KR100282956B1 (ko) 특정 지역에 위치한 단말기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US5740540A (en) Method for telephone number notification and storage in a portable radio
CA2270324C (en) Wireless terminal automatically alerting user upon wireless terminal entering a specified physical location
JP3083752B2 (ja) 緊急呼制御方式
US200201374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answering service
US20040242211A1 (en) Mobile subscriber station with low frequency call alerting capability
KR19990042109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단순 메시지 서비스 처리 방법
KR20000048747A (ko) 무선 통신 장치내에 전송되는 호출을 이중 모드 단말기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KR0164090B1 (ko) 페이징 서비스 제공방법
KR20000000926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방법
KR20000074676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통화 연결 통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30059537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5658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100329651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메시지대기통보방법
KR2004006499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KR100250666B1 (ko) 개인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페이징요구방법
KR100579798B1 (ko) 메시지 도착 알림 제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101019630B1 (ko) 직접 통화 방식을 이용한 sms 메시지 전송 방법 및시스템
KR20000045243A (ko) 단말기의 발신 제한 방법
JPH07336761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