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926A -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926A
KR20000000926A KR1019980020870A KR19980020870A KR20000000926A KR 20000000926 A KR20000000926 A KR 20000000926A KR 1019980020870 A KR1019980020870 A KR 1019980020870A KR 19980020870 A KR19980020870 A KR 19980020870A KR 20000000926 A KR20000000926 A KR 20000000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subscriber
terminal
message service
p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태
최정은
유근출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20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926A/ko
Publication of KR20000000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92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selective forwa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문메시지센터로부터 단문메시지 수신시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단문메시지를 단말로 착신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단문메시지센터로부터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면,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하여, 데이터의 크기가 페이징 채널의 처리용량 범위에 있으면 페이징 채널을 통해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고, 데이터의 크기가 트래픽 채널의 처리용량 범위에 있으면 트래픽 채널을 통해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여 단문메시지를 단말로 착신시킴으로써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문메시지센터(SMC, Short Message Center)로부터 단문메시지 수신시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또는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통하여 단문메시지를 단말로 착신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단말기를 통해 이동하면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시스템으로, 개인휴대통신(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시스템과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DCS, Digital Cellular System)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종래에는 단문메시지 서비스기능이 없었다.
그래서 새로 단문메시지 서비스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교환기내부에서의 처리방법의 변화가 필요하게 되고, 기능추가에 따른 단문메시지 서비스데이터의 처리방법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문메시지센터로부터 단문메시지 수신시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단문메시지를 단말로 착신시키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방법은,
단문메시지센터로부터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면,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페이징 채널의 처리용량 범위에 있으면 페이징 채널을 통해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트래픽 채널의 처리용량 범위에 있으면 트래픽 채널을 통해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전화기 20 : 기지국
30 : 제어국 40 : 교환국
50 : 위치등록부 60 : 음성메일시스템
70 : 단문메시지센터 80 : 관문교환국
90 : 공중전화망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는 이동가입자에게 전송할 정보가 있을 경우 단문메시지센터(SMC, Short Message Center)에서 이동가입자 단말기로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여 단말기에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기능으로, 단문메시지를 이동국과 이동통신 시스템, 이동통신 시스템과 단문메시지 전송기능 장치로 전달해 주도록 하는 서비스의 일종이다.
만일 가입자가 체불 상태일 경우라면 단문메시지센터를 통해 가입자의 단말기에 미납 정보를 통보할 수 있고, 임의의 한 사람이 해당 가입자에게 전화를 걸었는데, 가입자가 통화중이거나 전화를 받지 않는 상태여서 음성메일시스템(VMS, Voice Mail System)에 음성을 남겼을 경우 단문메시지센터를 통해 해당 메시지를 가입자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이다.
그리고 무선 채널 중 페이징 채널은 최대 66바이트 이하의 정보만 전송할 수 있으므로 페이징 채널을 통한 단문메시지 서비스 모빌(Mobile) 착신 기능이란 단문메시지센터에서 전송할 데이터의 크기가 66바이트 이하일 경우의 기능을 말하며, 단문메시지 서비스모빌 착신이란 단문메시지센터에서 단말(Mobile)로 데이터를 전송하였을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그리고 단문메시지 서비스 모빌 착신 기능은 단말(Mobile)에서 단문메시지센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말한다.
또한 무선 채널 중 트래픽 채널은 66 바이트 이상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교환국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의 수는 190 바이트이므로 66바이트 이상 190 바이트 이하의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트래픽 채널을 통해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가입자가 통화 중 상태일 경우에는 이미 트래픽 채널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황이므로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 전송시에 트래픽 채널을 사용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내의 불특정 지역을 이동하는 이동가입자의 이동전화기인 이동국(MS, Mobile Station)(10)과; 상기 이동국(10)과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무선자원을 관리하는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tation)(20)과; 상기 기지국(20)을 관리하고 교환국(40)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제어국(BSC, Base Station Controller)(30)과; 상기 제어국(30)과 타국 및 타망과 연동하는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40)과; 상기 교환국(40)과 접속하여 가입자의 위치 및 기타 정보를 관리하는 위치등록부(LR, Location Register)(50)와; 상기 교환국(40)과 연결되어 음성메일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하는 음성메일시스템(60)과; 상기 교환국(40)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국(10)에서 입력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데이터를 처리하여 단문메시지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하는 단문메시지센터(70)와; 상기 교환국(40)과 연결되어 이동통신망과 타망과의 연계기능을 수행하는 관문교환국(80)과; 상기 관문교환국(80)과 연결된 공중전화망(9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은 가입자가 자신의 이동국(10)을 가지고 자신이 가입한 교환국(40)의 포괄범위 이내에 있으면서 개인휴대통신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면, 교환국(40)의 위치등록부(50)를 통해 교환국(40)의 포괄범위에 있는 가입자의 이동국(10)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공중망 또는 전용망을 통해 개인휴대통신 서비스를 수행한다. 그리고 단문메시지센터(70)가 가입자 이동국(10)의 단문메시지 서비스데이터를 처리하여 다른 가입자 이동국(10)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줌으로써 단문메시지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동작하게 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문메시지센터(70)로부터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면,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ST1 - ST3)와;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페이징 채널의 처리용량 범위에 있으면 페이징 채널을 통해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T4 - ST9)와;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트래픽 채널의 처리용량 범위에 있으면 트래픽 채널을 통해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T10 - ST16)로 구성된다.
여기서 페이징 채널을 통해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T4 - ST9)는,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가 페이징 채널의 처리용량인 66바이트 이하이면, 가입자 상태가 유휴상태인가를 점검하는 단계(ST4)(ST5)와; 상기 가입자 상태가 유휴상태이면 교환국(40)에서는 해당 가입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설정된 페이징 채널로 페이징을 전송하고, 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ST6)(ST7)와; 상기 단말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거나 상기 단말이 유휴상태가 아니면, 단문메시지센터(70)로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T8)와; 상기 단말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단문메시지센터(70)로 단문메시지 서비스기능의 실패를 통보하는 단계(ST9)로 구성된다.
그리고 트래픽 채널을 통해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T10 - ST16)는,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가 트래픽 채널의 처리용량인 66바이트 이상이면, 가입자 상태가 유휴상태인가를 점검하는 단계(ST10)(ST11)와; 상기 가입자 상태가 유휴상태이면 교환국(40)에서는 해당 가입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설정된 트래픽 채널로 페이징을 전송하고, 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ST12 - ST14)와; 상기 단말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거나 상기 단말이 유휴상태가 아니면, 단문메시지센터(70)로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T15)와; 상기 단말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단문메시지센터(70)로 단문메시지 서비스기능의 실패를 통보하는 단계(ST16)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페이징 채널을 통한 단문메시지서비스 모빌의 착신기능은 해당 단말기가 유휴(Idle)한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전원-오프인 상태에서는 단말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고, 통화중 상태에서는 호 설정 과정 중에 페이징 채널은 해제되고, 트래픽 채널이 연결된 상태이므로 트래픽 채널로 데이터가 전송된다.
그리고 단문메시지센터(70)에서 해당 교환국으로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면 교환국(40)에서는 해당 가입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페이징을 전송한다. 이때 단말로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가 함께 전송된다.
그래서 단말로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가 도착시 단말에서는 톤(Tone)이나 알람(Alarm)으로 가입자에게 통보하고, 가입자는 "Mail" 키를 조작하여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페이징에 대한 단말의 응답을 수신할 때는 단문메시지센터(70)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ST1 - ST9).
한편 트래픽 채널을 통한 단문메시지서비스 모빌 착신 기능은 해당 단말기가 유휴한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전원-오프인 상태에서는 단말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기 때문에 단말이 전원-오프 상태라면 단문메시지센터(70)에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후에 단말이 전원-온 위치 등록시에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
그래서 가입자의 단말이 유휴상태일 때는 다음과 같이 동작하게 된다.
즉, 단문메시지센터(70)로부터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가 전송되면,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한 교환국(40)에서 데이터의 크기를 점검한다. 그래서 데이터의 크기가 66바이트 이상일 경우 트래픽 채널을 통한 착신기능을 시작하게 된다.
그러면 가입자 단말의 상태를 점검하여, 가입자의 단말이 통화중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페이징 요구를 전송한다. 그리고 단문메시지서비스 기능을 위한 페이징 요구시 서비스_옵션을 "6"으로 전송하여야 한다.(음성 통신시에는 서비스_옵션이 "1"이나 "3"임)
그리고 해당 가입자의 단말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그래서 응답을 수신한 기지국(20)에서는 트래픽 채널을 할당하고, 제어국(30)으로 가입자가 응답하였다는 시그널을 전송한다. 응답 시그널이 교환국(40)으로 전송되면 교환국(40)에서는 단문메시지센터(7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트래픽 채널을 통해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단말로부터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시그널을 수신하여 단문메시지센터(70)로 전송하게 된다(ST10 - ST16).
또한 가입자가 통화중일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동작하게 된다.
즉, 단문메시지센터(70)로부터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가 전송된다. 그래서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한 교환국(40)에서는 데이터의 크기를 점검한다.
그래서 데이터의 크기가 66바이트 이상일 경우 트래픽 채널을 통한 착신 기능을 시작하고, 가입자의 상태를 점검한다. 이에 따라 가입자가 통화중이면 이미 할당된 트래픽 채널을 통해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단문메시지센터로부터 단문메시지 수신시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단문메시지를 단말로 착신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방법은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단문메시지를 단말로 착신시켜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단문메시지센터로부터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면,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페이징 채널의 처리용량 범위에 있으면 페이징 채널을 통해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의 크기가 트래픽 채널의 처리용량 범위에 있으면 트래픽 채널을 통해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채널을 통해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가 페이징 채널의 처리용량인 66바이트 이하이면, 가입자 상태가 유휴상태인가를 점검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 상태가 유휴상태이면 교환국에서는 해당 가입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설정된 페이징 채널로 페이징을 전송하고, 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거나 상기 단말이 유휴상태가 아니면, 단문메시지센터로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단문메시지센터로 단문메시지 서비스기능의 실패를 통보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채널을 통해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가 트래픽 채널의 처리용량인 66바이트 이상이면, 가입자 상태가 유휴상태인가를 점검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 상태가 유휴상태이면 교환국에서는 해당 가입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설정된 트래픽 채널로 페이징을 전송하고, 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거나 상기 단말이 유휴상태가 아니면, 단문메시지센터로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단문메시지센터로 단문메시지 서비스기능의 실패를 통보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방법.
KR1019980020870A 1998-06-05 1998-06-05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방법 KR20000000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870A KR20000000926A (ko) 1998-06-05 1998-06-05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870A KR20000000926A (ko) 1998-06-05 1998-06-05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926A true KR20000000926A (ko) 2000-01-15

Family

ID=19538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870A KR20000000926A (ko) 1998-06-05 1998-06-05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92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336A (ko) * 2000-02-12 2001-08-29 조정남 이동 단말기간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30050389A (ko) * 2001-12-18 2003-06-25 송대석 이동통신망에서 페이징 채널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
KR100486538B1 (ko) * 2002-10-30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560568B1 (ko) * 1998-07-09 2006-09-22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이동통신교환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100878748B1 (ko) 2007-10-16 2009-01-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웹투폰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568B1 (ko) * 1998-07-09 2006-09-22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이동통신교환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20010081336A (ko) * 2000-02-12 2001-08-29 조정남 이동 단말기간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30050389A (ko) * 2001-12-18 2003-06-25 송대석 이동통신망에서 페이징 채널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
KR100486538B1 (ko) * 2002-10-30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878748B1 (ko) 2007-10-16 2009-01-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웹투폰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1251090B2 (en) Method for enabling receipt of a packet-switched page by a mobile station
JP2003061129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並びにこれに用いる移動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323557B1 (ko) 원격장치에특징발신호출을통지하는방법및장치
KR20000000926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방법
WO1999056478A1 (en) An announcing system and method used in a communications network for holding incoming circuit switched calls
KR100233916B1 (ko) 개인 통신 교환기에서의 음성 메시지 대기 통보 방법
KR0164090B1 (ko) 페이징 서비스 제공방법
JP2894281B2 (ja) ページング着呼方法
CN100550948C (zh) 一种无应答前转的控制方法及系统
KR100621723B1 (ko) 유,무선망에서 개인 추적호 전달 서비스 방법
KR100250666B1 (ko) 개인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페이징요구방법
KR19990052902A (ko) 개인 통신 교환망에서 과금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100315694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우선 발신 대기호 유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310867B1 (ko) 단말기 전원의 자연소진에 기인한 불필요한 신호 트래픽 및 서비스품질 저하 방지방법
KR100560232B1 (ko)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서비스 방법
KR20000027205A (ko) 개인 통신 교환기의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
KR19990084892A (ko) 이동통신 교환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데이터 처리방법
JPH07336761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00045243A (ko) 단말기의 발신 제한 방법
KR20010047967A (ko) 이동교환시스템의 호 처리방법
KR10065019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50027283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착신서비스 개선 방법
KR970078132A (ko)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이동가입자 발신-고정망 착신 호 제어 방법
KR2005007850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착신 전환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