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1496U - 복강경 수술 장기적출 주머니 - Google Patents

복강경 수술 장기적출 주머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1496U
KR19990041496U KR2019980008384U KR19980008384U KR19990041496U KR 19990041496 U KR19990041496 U KR 19990041496U KR 2019980008384 U KR2019980008384 U KR 2019980008384U KR 19980008384 U KR19980008384 U KR 19980008384U KR 19990041496 U KR19990041496 U KR 199900414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inner tube
pocket
trocar
mand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97623Y1 (ko
Inventor
김응국
Original Assignee
김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53470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41496(U)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응국 filed Critical 김응국
Priority to KR2019980008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623Y1/ko
Publication of KR199900414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4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6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6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5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ntroducing tubes or catheters, e.g. gastrostomy tubes, drai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87Bag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강경 수술시 투관침 내로 적출 주머니를 갖는 파이프가 삽입되어 절단된 장기등의 적출물을 주머니로 담을 수 있도록된 장기적출 주머니에 있어서, 투관침 내로 인입출 될 수 있도록된 파이프의 외관 내부에 내관이 위치하고 내관에는 일측단에 형상기억 스프링을 갖는 심봉이 위치 하도록한 구성과; 상기 심봉 일측에 고정된 스프링은 주머니의 입구 테두리 내에 끼워지고 스프링이 위치한 테두리 내에는 당김끈이 올감이 형식으로 함께 위치한 다음 당김끈 타측은 심봉 외면부의 내관을 통하여 손잡이부 측으로 인출되어 잡아당길 수 있게 된구성과; 상기 폴리우레탄 재질의 주머니는 스프링 외면에 감겨져 내관 일측에 장전된 상태로서 손잡이부의 심봉과 내관을 밀면 스프링과 주머니가 인출되면서 스프링의 벌려지려는 탄발력에 의하여 주머니가 펼쳐지고 심봉을 잡아당기면 내관의 지지캡을 통하여 스프링이 완전히 분리 이탈된 후 당김끈을 당기면 주머니 입구 일측이 외관의 말단에 저지되면서 오므라 들도록된 것으로 서 장기를 주머니에 담은후 다시 외관과 내관을 투관침 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하므로서 투관침 내에는 주머니를 묶은 당김끈만 남을 수 있도록 고안된 복강경 수술 장기 적출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강경 수술 장기 적출 주머니
본 고안은 복강경 수술시 잘라낸 장기등의 적출물을 복부내에서 외부로 간단용이하게 적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수술시 장기 적출 파이프가 투관침에 삽입되어 환자 복부내로 인입되도록한 후 적출파이프의 손잡이측 심봉과 내관을 밀면 심봉 말단의 스프링이 인출되는 동시에 스프링의 탄발에 의하여 장기 적출 주머니가 펼쳐져 장기를 담을 수 있도록 고안된 복강경 수술 장기 적출 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복강경 수술시 사용되는 1회용 적출 주머니를 갖는 파이프가 있었으나 이는 전량 외국에서 수입하여 사용할 뿐만아니라 수입가격이 수십만원씩 호가하는 고가의 제품이므로 간단한 복강경 수술을 하더라도 많은 수술 비용이 환자에게 청구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외국에서 수입되는 장기 적출 주머니는 사용시 환자의 복부에 설치된 투관침을 통하여 적출 파이프를 인입시킨 후 적출 파이프 외관을 잡고 내관의 손잡이를 밀면 원형으로 된 편스프링이 인출되는 동시에 주머니가 펼쳐져 장기등의 적출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외관과 내관의 말단부에 사출물이 돌출된 형태로 손잡이가 형성된 관계로 파이프 외관 손잡이의 반대측 끝단부를 투관침에 삽입한 후 주머니에 장기등의 적출물을 담고나면 수술이 끝날때 까지 적출 파이프가 삽입된 투관침으로 부터 분리가될 수 없는 구조이므로 환자의 복부를 다시 천공시켜 새로운 투관침을 설치한 후 계속해서 시술을 하게 되며 특히 투관침에 인입된 장기 적출 파이프는 수술시에도 주머니가 장기를 담은 상태에서 투관침에서 이탈시키지 못하고 계속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장기를 절단하고 그 부위를 봉합하거나 지질때 집도자의 시각과 시술 기구의 작업을 방해하는 불편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복강경 수술시 환자의 복부에 다량의 투관침을 설치하여 각각의 수술기구가 투관침에 인입되도록 하여 수술을 하므로서 고가의 1회용 장비를 많이 소모하게 되므로 수술비를 증가시키게 되었다. 즉 복부수술 방법은 개복수술에서 복강경 수술로 발달하여 최소한의 수술비용으로 최대한의 수술효과를 얻는 반면에 수술장비는 이를 충분하게 따라주지 못하므로서 환자에게는 고가의 장비소모값을 어쩔 수 없이 부담하게 되므로 수술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병원측에서도 수술장비를 전량 외국에서 수입하여 사용하므로서 필요시 수술장비를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량을 미리 구입하여 자재창고에 적재시키 놓고 사용함에 따라서 구입시와 사용시의 환율차이가 발생되고 장기간 보관시 소독하여 밀봉처리된 제품의 포장상태가 기밀이 유지되지 못하여 공기와 접촉되어 균으로 부터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시 장기 적출 파이프를 환자 복부에 설치된 투관침에 삽입하여 복부 내부로 인입시킨 후 외관을 잡고 심봉과 내관을 동시에 밀어 넣으면 외관 말단 내부에 장전된 폴리우레탄 주머니가 밀리는 동시에 형상기억 스프링이 탄발되어 복부내에서 펼쳐져 원형 주머니가 형성되므로 이에 절단된 장기를 담은 다음 손잡이부의 심봉을 당기면 스프링이 주머니에서 분리 이탈되면서 외부로 완전 탈퇴시킬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심봉이 내관 밖으로 분리된 다음에는 내관 일측으로 인출된 당김끈을 잡아 당겨 주머니 입구를 오므린 후 투관침 내에 삽입된 내관과 외관을 잡아당겨 당김끈 말단부로 빼내면 투관침 내에는 당김끈만 위치하므로 이 투관침으로 다시 수술기구등을 투입시켜 수술을 할 수 있게 하므로서 투관침등을 최대한 절약하여 사용하므로서 환자에게 가중되는 수술비용을 낮출수 있으며 특히 수술시 투관침을 복부에 3∼4개 이내로 설치하여도 원하는 수술을 불편없이 시술할 수 있으며, 또한 복부로 부터 장기 적출 파이프가 입설된 상태가 아니고 환자복부 아래로 늘어져 있거나 수술대 위에 올려진 상태이므로 방해요인이 없어져 집도자가 간단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고안된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적출 파이프의 결합상태 일부 단면구성도.
도2는 본 고안의 적출 파이프에서 주머니가 펼쳐진 상태도.
도3은 본 고안의 적출 주머니를 당김줄로 당겼을 때의 예시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적출 파이프 일부 단면 구성도.
도5는 도4의 적출 파이프에서 주머니가 펼쳐진 상태도.
도6은 도5의 적출 주머니가 오므라들었을 때의 예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적출 파이프, 2: 외관, 3: 내관,
3′:지지캡, 4: 심봉, 5: 장기 적출 주머니,
6,6′:스프링, 7: 당김끈, 10:투관침,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강경 수술시 투관침( 10 ) 내로 적출 주머니를 갖는 파이프( 1 )가 삽입되어 절단된 장기등의 적출물을 주머니( 5 )로 담을 수 있도록 된 장기 적출 주머니 ( 1 )에 있어서, 투관침( 10 ) 내로 인입출 될 수 있도록 된 외관( 2 ) 내부에 내관 ( 3 )이 위치하고 내관( 3 )에는 일측단에 형상기억 스프링( 6 )을 갖는 심봉( 4 )이 위치하도록 된 구성과; 상기 심봉( 4 ) 일측 스프링( 6 )은 내관( 3 ) 일측의 스프링 레일공을 갖는 지지캡 ( 3′)을 통과하여 외관( 2 ) 일측 내부에 위치된 스프링( 6 ) 부분은 폴리우레탄 재질로된 주머니( 5 ) 입구 테두리 내에 위치하고 스프링( 6 )이 위치한 테두리 내에는 당김끈( 7 )이 올감이 형식으로 함께 위치하며 당김끈( 7 ) 일측은 지지캡( 3′)을 통과하여 심봉( 4 ) 외면부의 내관( 3 )을 지나 손잡이 측으로 인출되어 잡아당길 수 있게된 구성과; 상기 주머니( 5 )는 스프링( 6 ) 외면에 감겨져 지지캡( 3′) 측면 내관 일측에 장전된 상태로 위치하여 손잡이부의 심봉( 4 )과 내관( 3 )을 밀면 스프링( 6 )과 주머니( 5 )가 인출되면서 스프링( 6 )의 탄발에 의하여 주머니( 5 )가 펼쳐지도록 된 구성과; 상기 심봉( 4 )을 잡아 당기면 내관 ( 3 )의 지지캡( 3′)을 통하여 주머니로 부터 완전히 분리 이탈되며 손잡이 측의 당김끈( 7 )을 당기면 주머니( 5 ) 입구 일측이 외관( 2 )의 말단과 지지캡의 단부에 저지되면서 입구가 오므라들도록 한 다음 투관침( 10 )내에서 내관과 외관을 빼내면 투관침( 10 ) 내에는 당김끈( 7 )만 남을 수 있도록된 구성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이 외관( 2 ) 내에 지지캡( 3′)을 갖는 내관( 3 )이 삽입되고 내관( 3 )에는 일측에 형상기억 스프링( 6′)을 갖는 심봉( 4 )이 위치하도록 하되 스프링은 지지캡( 3′)의 스프링 레일공을 통과 하여 주머니( 5 ) 입구 테두리에 끼워져 외부가 감긴 상태로 외관 내면에 위치한 구성으로서 사용시 외관( 2 )을 당기면 주머니가 밖으로 인출되는 동시에 스프링( 6′)의 탄발에 의하여 원형주머니로 이루어지고 외관을 밀면 스프링이 지지캡( 3′) 내로 인입되면서 주머니가 오므라들도록 한 구성과; 상기 장기 적출 파이프( 1 ) 외면에 끼워진 투관침( 10 )이 적출 파이프( 1 ) 손잡이 측으로 분리 이탈되어 환자 복부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된 구성이다. 미성명 부호 1′는 적축 파이프 손잡이 이고, 20은 수술시 절단된 장기등의 적출물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복강경 수술시 먼저 병소에 가까운 복벽에 3∼4개의 적은 구멍을 뚫어 투관들을 박아 넣고 각종 복강경 수술기구들을 넣게된다.(복부에 투관침을 박고 장기 적출 파이프를 삽입시킬 때는 투관침의 내부침은 이탈되고 투관만 남게되는 것으로서 정확하게는 투관이라 부호의 명칭을 명명하여야 하나 본 고안에서는 투관침이 고안의 대상은 아니므로 침이 이탈된 상태의 투관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명인 투관침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3∼4개의 구멍을 복부에 뚫어 투관침( 10 )을 박은 후 이들중 하나의 투관침( 10 )을 통하여 본 고안의 장기 적출 파이프( 1 )의 와관( 2 )을 도1과 같이하여 환자의 복부내에 넣은 다음 손잡이 ( 1′) 측의 외관( 2 )을 잡아 당기거나 심봉( 4 )과 내관( 3 )을 밀어 넣으면 심봉 ( 4 ) 말단부에 고정된 스프링( 6 )이 레일공이 형성된 내관( 3 )의 말단 지지캡 ( 3′)을 지나면서 스프링( 6 ) 외면에 감겨져 외관( 2 ) 일측 내면에 장전된 주머니( 5 )를 밖으로 밀어 인출시키는 동시에 스프링( 6 )이 도2와 같이 펼쳐져 원형 주머니( 5 )가 형성된다. 이때 스프링( 6 )은 제작시 형상기억 스프링으로 제작되어 반원형으로된 한짝의 스프링이 주머니 입구 테두리 내에 끼워져 말단을 연질캡으로 유삽시킨 다음 스프링을 일직선으로 모아 주머니 몸체로 감은 상태로서 외관( 2 ) 외부로 인출되는 동시에 스프링( 6 )은 원형으로 형상이 복귀되면서 주머니 몸체는 풀리도록 된 것이다. 상기 주머니( 5 )는 인체에 무해한 폴리우레탄 재질로서 부드럽고 매우 견고하다. 이렇게된 본 고안의 주머니( 5 )가 환자복부 내에서 원형으로 펼쳐지면 수술시 절단된 장기등의 적출물( 20 )을 주머니( 5 )에 넣은 다음 심봉 ( 4 )을 손잡이 측으로 완전히 당겨 분리하면 유삽된 스프링( 6 )의 말단부가 나누어지면서 주머니( 5 ) 입구의 테두리 내에서 분리되어 지지캡( 3′)을 통하여 내관 밖으로 완전히 분리 이탈된다. 이렇게 심봉을 분리 시킨후 내관( 3 ) 내에 위치한 손잡이( 1′) 측의 당김끈( 7 )을 당기면 주머니( 5 )입구의 테두리 내에 올감이 형태로 끼워진 말단부의 당김끈( 5 )이 오므라들면서 주머니 입구도 함께 오므라들게 된다. 이렇게 절단된 장기( 20 )를 주머니( 5 )에 담은 후 투관침( 10 ) 내에서 장기 적출 파이프의( 1 )의 내관( 3 )과 외관( 2 )을 완전히 이탈시키면 투관침( 10 ) 내에는 당김끈( 7 )만 위치하므로 다른 수술기구를 이 투관침에 삽입시켜 사용할수도 있다. 상기의 주머니( 5 )를 오므리기 전에 장기는 다른 투관침을 통하여 인입된 절단 가위에 의하여 잘게 절단한 후 오므리게 되므로 차후 투관침( 10 )을 복부에서 이탈시킨 다음 그 구멍으로 주머니( 5 )를 빼내게된다. 상기의 장기 적출 파이프 ( 1 )는 투관침( 10 )에서 이탈시 당김끈( 7 )의 말단부에 고리가 묶여있는 상태이므로 심봉( 4 ) 이외의 내관 ( 3 )과 외관( 2 )은 당김끈( 7 ) 말단부에 끼워져 매달린 형태로 도3과 같이 남게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주머니( 5 ) 입구 테두리 내에 당김끈( 7 )을 설치하지 않고 말단부가 분리되지 않는 스프링( 6′)을 삽입 시킴으로서 사용시 투관침( 10 ) 내에 장기( 20 ) 적출파이프( 1 )의 외관( 2 )을 삽입시킨 후 외관을 당기거나 심봉과 내관을 밀면 스프링과 주머니가 밖으로 인출되는 동시에 스프링 ( 6′)이 탄발되면서 주머니는 원형으로 형성되므로 장기( 20 )를 주머니( 5 )내에 담은 다음 심봉( 4 )을 당기면 스프링( 6′)은 분리 되지않은 상태로 지지캡 ( 3′)의 레일공을 통하여 인입되는 반면에 주머니는 지지캡( 3′)에 저지되어 오므라들게된다. 이렇게 주머니가 오므라들은 후에는 외관 외면에 위치한 투관침( 10 )을 복부에서 이탈시켜 장기 적출 파이프( 1 ) 손잡이( 1′) 측으로 당기면 적출 파이프( 1 )와 투관침은 완전히 분리되므로 다시 같은 환자의 복부에 투관침을 재설치함으로서 여러개를 설치해야 하는 투관침을 최대한 줄여서 사용할 수 있게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된 본고안은 투관침에 삽입되는 장기 적출 파이프( 1 ) 외관의 외경을 10㎜의 크기 이내가 되도록 형성하며, 사용될 수 있는 장기 적출기의 종류를 열거하면 다음의 표와같다.
형 명 전 장 중 량 스프링규격 주머니규격
KGL-101-S 397㎜ 35g 100㎜ 100㎜
KGL-101-M 422㎜ 40g 125㎜ 125㎜
KGL-101-L 557㎜ 45g 160㎜ 160㎜
KGL-101-XL 597㎜ 50g 200㎜ 200㎜
이렇게 다양하게 형성된 장기 적출파이프는 국내인의 체형에 알맞도록 한 것으로서 어린이와 어른 또는 큰체형과 작은 체형에 따라서 적당한 규격을 사용하므로서 최대한 환자의 수술 후유증을 줄이고 고가의 장비를 국산화로 대체하여 저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은 투관침에 장기 적출 파이프를 삽입시켜 장기등의 적출물을 주머니로 담은 후 투관침에서 장기 적출 파이프를 이탈 시키거나 또는 장기 적출 파이프 외관으로 투관침을 이탈되도록 하여 수술시 투관침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한번 사용하고난 장기 적출 주머니는 완전 분리되어 재조립이 불가능하여 세석후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여건을 완전 봉쇄하므로서 일회용으로 사용후 반드시 폐기처리 할 수 밖에 없으며, 기존의 외국 수입제품 보다 일층 향상된 기능과 중량의 경량화 및 외관의 직경을 10㎜이하로 하므로서 환자의 복부천공 크기를 최소화시켜 수술후 상처가 빨리 아물며 특히 제품을 싼값으로 필요 즉시 공급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갖게되었다.

Claims (2)

  1. 본 고안은 복강경 수술시 투관침( 10 ) 내로 적출 주머니를 갖는 파이프( 1 )가 삽입되어 절단된 장기등의 적출물( 20 )을 주머니( 5 )로 담을 수 있도록된 장기 적출 주머니( 1 )에 있어서, 투관침( 10 ) 내로 인입출 될 수 있도록 된 외관( 2 ) 내부에 내관이( 3 ) 위치하고 내관( 3 )에는 일측단에 형상기억 스프링( 6 )을 갖는 심봉( 4 )이 위치 하도록된 구성과; 상기 심봉( 4 ) 일측 스프링( 6 )은 내관( 3 ) 일측의 스프링 레일공을 갖는 지지캡( 3′)을 통과 하여 외관( 2 ) 일측 내부에 위치된 스프링( 6 )은 주머니( 5 ) 입구 테두리 내에 위치하고 스프링( 6 )이 위치한 테두리 내에는 당김끈 ( 7 )이 올감이 형식으로 함께 위치한 다음 당김끈( 7 ) 일측은 심봉( 4 ) 외면부의 내관( 3 )을 통하여 손잡이( 1′)부 측으로 인출되어 잡아당길 수 있게 된 구성과; 상기 주머니( 5 )는 스프링( 6 ) 외면에 감겨져 외관 내부 일측에 장전된 상태로 손잡이부의 심봉( 4 )과 내관( 3 )을 밀면 스프링( 6 )과 주머니( 5 )가 인출되면서 스프링( 6 )의 탄발력에 의하여 주머니( 5 )가 펼쳐지도록한 구성과; 상기 심봉( 4 )을 잡아당기면 내관( 3 )의 지지캡( 3′)을 통하여 스프링이 완전히 분리 이탈되며, 당김끈( 7 )을 당기면 주머니( 5 )가 외관( 2 )의 말단과 지지캡에 저지되면서 입구가 오므라들도록 된 것으로서, 외관( 2 )과 내관( 3 )이 완전히 이탈되어 투관침( 10 ) 내에는 당김끈( 7 )만 남을 수 있도록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 장기 적출 주머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외관( 2 ) 내에 지지캡( 3′)을 갖는 내관( 3 )이 삽입되고 내관( 3 )에는 당김끈( 7 )이 설치되지 않고 일측에 형상기억 스프링 ( 6′)을 갖는 심봉( 4 )만이 위치하되 스프링은 지지캡( 3′)의 레일공을 통과 하여 주머니( 5 ) 입구 테두리 내에 분리되지 않도록 끼워진 후 스프링 외면에 감긴 상태로 외관 내면에 장전된 구성으로서 사용시 주머니가 밖으로 인출되는 동시에 스프링의 탄발에 의하여 원형주머니가 이루어지고 외관과 내관을 밀면 스프링( 6′)이 분리되지 않고 내측으로 당겨지면서 주머니가 오므라 들도록 한 것으로서 외면에 끼워진 투관침( 10 )이 적출 파이프( 1 )의 외관( 2 ) 손잡이( 1′) 측으로 분리 이탈되어 수술중인 환자 복부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 장기 적출 주머니.
KR2019980008384U 1998-05-20 1998-05-20 복강경 수술 장기 적출 주머니 KR2001976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384U KR200197623Y1 (ko) 1998-05-20 1998-05-20 복강경 수술 장기 적출 주머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384U KR200197623Y1 (ko) 1998-05-20 1998-05-20 복강경 수술 장기 적출 주머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496U true KR19990041496U (ko) 1999-12-15
KR200197623Y1 KR200197623Y1 (ko) 2000-11-01

Family

ID=19534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384U KR200197623Y1 (ko) 1998-05-20 1998-05-20 복강경 수술 장기 적출 주머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62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732B1 (ko) * 2009-01-16 2010-03-03 박영수 복강경 기구
KR100944733B1 (ko) * 2009-12-16 2010-03-03 박영수 복강경 기구
CN108498148A (zh) * 2018-06-22 2018-09-07 广东弘和医疗器械制造有限公司 配用小型容纳袋的腹腔肿瘤碎吸装置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445B1 (ko) * 2008-03-28 2009-05-26 서오남 내시경 수술용 적출물 인출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732B1 (ko) * 2009-01-16 2010-03-03 박영수 복강경 기구
KR100944733B1 (ko) * 2009-12-16 2010-03-03 박영수 복강경 기구
CN108498148A (zh) * 2018-06-22 2018-09-07 广东弘和医疗器械制造有限公司 配用小型容纳袋的腹腔肿瘤碎吸装置及方法
CN108498148B (zh) * 2018-06-22 2024-02-13 广东弘和医疗器械制造有限公司 配用小型容纳袋的腹腔肿瘤碎吸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623Y1 (ko) 200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2416A (en) Method and system for enclosing, manipulating, debulking and removing tissue through minimal access incisions
US8157725B1 (en) Port extraction kit for trans-organ surgery
US9370378B2 (en) Surgical retrieval apparatus
US7547310B2 (en) Specimen retrieval apparatus
EP3220835B1 (en) Safety isolation bags for intra abdominal, endoscopic procedures, power morcellation and vaginal morcellation
CA2064673C (en) Endoscopic medical device
US5176649A (en) Insertion device for use with curved, rigid endoscopic instruments and the like
US20170325798A1 (en) Wound retractor specimen bag
ES2337809T3 (es) Aparato de recuperacion de muestras.
US20110190779A1 (en) Surgical retrieval apparatus
WO2017222262A1 (ko) 복강경 수술용 조직 적출 장치
JP2000511792A (ja) 使い捨て可能および再利用可能要素を含む半径方向に膨張自在のアクセス装置
US10368885B2 (en) Suction evacuation sheath
WO1994026179A1 (en) Tissue and organ extractor
JP2017202318A (ja) 開創器および試料バッグアセンブリ
US20140296648A1 (en) Surgical access device and wound protector
US10405877B2 (en) Excising instru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moving a tissue specimen or organ within a flexible pouch extending through a small incision or natural opening in a patient
KR100729444B1 (ko) 내시경 수술용 엔도백
US20210077087A1 (en) Specimen retrieval device
ES2379920B1 (es) Dispositivo de extracción de piezas quirúrgicas asistida por insuflación y succión.
KR19990041496U (ko) 복강경 수술 장기적출 주머니
CN204890057U (zh) 一种经肛手术器械进入组件
US20190254647A1 (en) Specimen retrieval device
RU199729U1 (ru) Эндоконтейнер
CN210582530U (zh) 一种腹腔镜便捷取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1030

Effective date: 201007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