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0587U - 스티커형태의붙이는향수 - Google Patents

스티커형태의붙이는향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0587U
KR19990040587U KR2019990012662U KR19990012662U KR19990040587U KR 19990040587 U KR19990040587 U KR 19990040587U KR 2019990012662 U KR2019990012662 U KR 2019990012662U KR 19990012662 U KR19990012662 U KR 19990012662U KR 19990040587 U KR19990040587 U KR 199900405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ume
fragrance
aromatherapy
sticker
sec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6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식
Original Assignee
조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식 filed Critical 조형식
Priority to KR20199900126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0587U/ko
Publication of KR199900405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587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 분무식 액체향수의 사용에 따른 단점을 보완하고 기능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작고 얇은 스티커 형태의 물질에 향료를 배합하고 휴대가 용이하도록 비닐수지의 박판 형태로 포장하여 외출중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의 향기를 바꿀 수 있도록 고안된 스티커형태의 붙이는 향수이다.
또한, 향기요법(AROMATHERAPY)에 이용될 수 있도록 각종 증상에 치료 효과가 있는 다양한 천연향료(정유)를 사용하여 스티커 형태로 제작하고 각 향기의 치료 효과를 명시함으로서 미용의 목적 외에 질병의 예방과 건강의 유지를 목적으로 한다.
본 스티커형태의 붙이는 향수는 기존 분무용기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어 저렴한 가격으로,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고자 하는 청소년 및 20대 젊은 층과 직장인, 수험생 등을 주 소비층으로 확보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Description

스티커형태의 붙이는 향수{AAAAA}
본 고안은 향수의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커 형태로 신체 또는 의복에 붙이는 방식과 향기요법(AROMATHERAPY)용 기능성 향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향수의 사용 방법은 액체 향수를 분무용기에 담아 직접 분무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사용 목적은 미용이 주목적이다.
먼저, 사용방식에서 종래 분무식 향수의 경우 신체 또는 의복에 직접분무 함에 따라 피부 알레르기 또는 의복에 얼룩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한번 분무한 향수의 향기는 옷을 갈아입거나 향수의 접촉부위를 닦아내지 않는 한 외출 중에 다른 향기로의 전환이 불가능하였다. 즉, 시간과 장소에 따라 독특한 자신만의 향기를 연출하고자 하는 신새대 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다음은, 사용목적에서 종래 향수라 함은 타인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한 수단 즉, 미용을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미용목적의 스티커형태의 향수와 미용 목적과 별도로 향기요법(AROMATHERAPY)을 이용한 기능성 향수를 포함한다.
향기요법(AROMATHERAPY)이란 AROMA(향)과 THERAPY(치료)의 합성어로 식물에서 추출한 방향성 정유(ESSENTIAL OIL)를 이용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며 건강의 유지증진을 도모하는 자연의학의 일종이다.
정유(ESSENTIAL OIL)는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 시대에도 많이 사용되었던 기록이 남아있고, 1928년 프랑스 화학자 "르네 모리스 가테포스" 가 본격적으로 연구하여 "Aromatherapie"를 출간하였다. 1977년 "로버트 타이서랜드"에 의해 "The Art of Aromatherapy"라는 제목의 영문으로 번역되어 영국에서 크게 발달하게 되었으며 유럽, 일본에서는 향기요법(AROMATHERAPY)이 이미 자리잡고 있다.
정유는 다양한 종류의 나무, 풀, 꽃, 뿌리 등에서 추출하고 인체에 사용 가능한 정유는 70여종이 있으며 개별적으로 쓰일 수도 있고 목적에 따라 2∼3종류를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인이 자신의 증상에 맞는 여러 종류의 정유를 구입하여 사용하기엔 불편함이 있다.
도 1은 스티커형태의 붙이는 향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단면도
도 3은 스티커형태의 붙이는 향수의 사시도
본 고안은 종래 향수의 직접 분무 방식에서 탈피하여 스티커 형태의 매개체를 사용함으로서 원하는 향기를 수시로 교환 가능하도록 하고, 자신의 증상에 맞는 스티커형태의 향수를 붙임으로 손쉽게 향기요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작 방법은 각 목적에 맞는 다양한 액체 향수(향료, 정유)를 작고 얇은 스티커형태의 물질과 배합하고 향수물질 및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색상과 모양으로 제작한다.
사용 및 보관이 간편하도록 비닐수지를 이용하여 박판 형태로 진공 포장하고, 포장 상태에서 장기간(6개월 이상) 보존이 가능하도록 하며, 낱개로 개봉 및 사용이 가능하다.
개봉 후 향의 지속시간은 5∼6시간 정도로 사용목적에 따라 손쉬운 방법으로 다양한 자신의 향기연출 및 향기용법을 실시할 수 있다.
포장구조는 도 2에 표시한 것과 같이 얇은 비닐수지ⓒ 위에 스티커ⓑ를 얹고 그 위에 다시 얇은 비닐수지ⓐ를 덮는다. 비닐수지ⓐ 표면에는 절취부를 두어 낱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사용방법은 덮혀 있는 비닐수지ⓐ의 제거 후 향수물질이 배합된 스티커 ⓑ를 취하여 향이 발산하기 쉬운 위치에 붙이면 된다.
본 스티커형태의 향수는 미용목적과 별도로 향기요법을 목적으로도 제작하여 각각 기능에 맞게 이름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미용목적의 경우 "아침을 여는 향기 오드구찌", "격조 있는 향기 쉐비뇽"등 향의 특징 및 향수의 이름을 담고, 향기요업이 목적인 경우 "머리를 맑게 해주는 향기",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향기" 등 향기요법의 효과를 표시하여 줌으로서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소비계층의 성향에 따라 스티커의 색상 및 모양을 달리한다.
개성을 표출하고자 하는 청소년층을 위해 외부로 노출되게 붙이는 다양한 형상과 색상, 캐릭터가 도안된 스티커 향수와 노출을 꺼리는 대학생, 직장인을 위해서는 단순한 형상과 색상의 비 노출 형태의 스티커 향수로 제작한다.
본 고안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 외출 중 자신의 향기에 선택 및 교환이 가능하고, 기존 향수의 분무용기가 필요치 않아 생산원가가 절감되며 이에 따른 가격 경쟁력 확보로 주 소비계층이 청소년층으로 확대되어 보다 넓은 판매시장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단순 미용목적 외에 향기용법을 이용하는 기능성 향수로 공부, 업무, 가사일 등 각종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에게 질병의 예방 및 기분전환에 손쉽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종래 향수는 유리용기에 담겨있어 휴대 시 주의가 요구되며 향기의 농도를 조절하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본 고안은 여러 종류의 향수를 핸드백, 휴대용 다이어리, 지갑 등에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몇 개의 스티커 향수를 붙이느냐에 따라 향기의 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또한 특징이다.

Claims (2)

  1. 향수물질(향료)이 배합된 스티커를 매개체로 하여 신체, 의복, 소품 등에 붙이는 스티커 형태의 향수
  2. 향기요법(AROMATHERAPY)의 이용 목적으로 정유(ESSENTIAL OIL)가 배합된 스티커를 매개체로 신체, 의복, 소품 등에 붙이는 스티커 형태의 향수
KR2019990012662U 1999-06-30 1999-06-30 스티커형태의붙이는향수 KR199900405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662U KR19990040587U (ko) 1999-06-30 1999-06-30 스티커형태의붙이는향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662U KR19990040587U (ko) 1999-06-30 1999-06-30 스티커형태의붙이는향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587U true KR19990040587U (ko) 1999-12-06

Family

ID=54757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662U KR19990040587U (ko) 1999-06-30 1999-06-30 스티커형태의붙이는향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058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270A (ko) * 2002-06-04 2002-07-12 신승엽 발향봉지
WO2010021469A2 (ko) * 2008-08-22 2010-02-25 Ahn Byung Eui 터뜨려서 사용하는 휴대용 향수캡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270A (ko) * 2002-06-04 2002-07-12 신승엽 발향봉지
WO2010021469A2 (ko) * 2008-08-22 2010-02-25 Ahn Byung Eui 터뜨려서 사용하는 휴대용 향수캡슐
WO2010021469A3 (ko) * 2008-08-22 2010-07-08 Ahn Byung Eui 터뜨려서 사용하는 휴대용 향수캡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udhri et al. History of cosmetics
US5297732A (en) Fragrance-emitting container
CN104203210A (zh) 合欢提取物与对应局部合成物的新型化妆品应用
CA2068607A1 (en) Deodorant/antiperspirant products with fragrance and encapsulated odour counteractant
DE59705307D1 (de) Kosmetisches reinigungs- und pflegepräparat enthaltend extrakte von pflanzen und algen
US20030077238A1 (en) Cosmetic kit and method
KR19990040587U (ko) 스티커형태의붙이는향수
Dodt The Essential Oils Book: Creating Personal Blends for Mind & Body
Worwood et al. Essential aromatherapy: A pocket guide to essential oils and aromatherapy
CN203436594U (zh) 一种香薰瓶
ES2354098B1 (es) Preparado líquido de afeitado.
Kumar et al. Dermatological formulations
Begum et al. Unani cosmeceutical formulation (Advia-E-Muzayyana): An Overview
KR0144371B1 (ko) 펄광택의 유동성 구슬을 함유한 향 지속형 화장류 및 그 제조방법
ES2253205T3 (es) Metodo para fabricar un producto cosmetico que comprende cremor tartaro y bicarbonato sodico.
JPH0482821A (ja) 歯の美容剤
KR20010107196A (ko) 스티커 향수
JP3170540U (ja) セダン草含有する化粧料
JP3024392U (ja) ゲットウ組成物を備えた雑貨物
KR200300508Y1 (ko) 조밀목부를 갖는 방향용기
KR960008091B1 (ko) 연수처리제
Neibecker et al. Cosmetics as Essential Everyday Companions–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Relevance of Cosmetic Products for People
Sung-wook et al. Chemical Compositional Analysis of North Korean Cosmetics
CN2454379Y (zh) 新型香皂
CN2224531Y (zh) 多功能梳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