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0360U - Car Steering Handle - Google Patents

Car Steering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0360U
KR19990040360U KR2019980006996U KR19980006996U KR19990040360U KR 19990040360 U KR19990040360 U KR 19990040360U KR 2019980006996 U KR2019980006996 U KR 2019980006996U KR 19980006996 U KR19980006996 U KR 19980006996U KR 19990040360 U KR19990040360 U KR 199900403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steering wheel
steering
driver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99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영수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80006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0360U/en
Publication of KR199900403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360U/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조향 핸들에 관한 것으로, 조향 핸들의 림을 스포크를 통해 허브와 연결되는 고정림과, 허브와 연결되지 않고 고정림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림으로 분리 형성하며, 고정림의 양단에는 고정구를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하고, 가동림의 양단에는 고정구가 록킹되는 고정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wheel for automobiles, wherein the rim of the steering wheel is separated into a fixed rim connected to the hub through the spokes and a movable rim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rim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hu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fixture is installed to be pulled out, and both ends of the movable rim are formed with a fixing groove for locking the fixtur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운전자의 승하차시 고정구를 고정홈에서 빼내어 록킹을 해제한 후 가동림을 회동시키게 되면 운전자가 승하차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iver's getting on and off the vehicle is removed from the fixing groove to release the locking and then rotate the movable rim to secure a free space for the driver to get on and off.

이에 의하여, 조향 핸들의 조작력과 무관한 조향 핸들의 가동림을 단순하고 저렴한 부품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운전자가 편리하게 승하차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movable rim of the steering wheel, which is not related to the steering force of the steering wheel, is rotatably coupled by using simple and inexpensive parts,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get on and off, thereby reducing costs and improving productivity. have.

Description

자동차용 조향 핸들Car Steering Hand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조향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향 핸들의 일부분을 접을수 있도록 하여 체격이 큰 운전자가 승하차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조향 핸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wheel for automobi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ring wheel for automobiles to be able to fold a portion of the steering handle to secure a free space for the driver with a large physiqu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 장치는 조작 기구, 기어 장치, 링크 기구로 이루어진다.Generally, the steering apparatus of a motor vehicle consists of an operation mechanism, a gear apparatus, and a link mechanism.

조작 기구는 조향 핸들, 조향 칼럼 및 조향 축과 충돌시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보호 장치로 구성되며, 기어 장치는 조향 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조작력을 크게 함과 동시에 조향 핸들의 운동방향을 바꾸어 링크 기구에 전달하고, 링크 기구는 기어 장치의 작동을 앞바퀴에 전달하고, 좌우 바퀴의 관계위치를 바르게 지지하는 부분이다.The operating mechanism consists of a steering wheel, steering column and a protective device for the driver's safety in the event of a collision with the steering shaft.The gear unit reduces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shaft to increase the operating force and at the same time chang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teering wheel to the link mechanism. The link mechanism is a part that transmits the operation of the gear device to the front wheel and correctly supports the relation position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기어 장치는 조향 축의 하단에 고정되는 피니언과, 피니언과 맞물린 피니언이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게 된다.The gear arrangement is such that the pinion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shaft and the pinion engaged with the pinion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into linear motion.

한편, 조향 핸들은 그 기능상 차내 공간을 점유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체격이 큰 운전자의 승하차시 운전자의 신체 일부분이 조향 핸들에 걸리게 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steering wheel occupies a space in the vehicle for its function, which causes the driver's body part to be caught by the steering wheel when getting on and off the driver's large body, which makes the driver feel very uncomfortable.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운전자의 승하차시 조향 컬럼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운전자가 편리하게 승하차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steering column when getting on and off the driver, it is possible to secure a free space for the driver to easily get on and off.

그 방법의 일 예로는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차체에는 내부에 조향 칼럼(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고정브래킷(2)이 고정 설치되며, 고정브래킷(2)의 내부에는 피니언(31)이 고정되어 있는 샤프트(3)가 내장되고, 샤프트(3)의 단부에는 다이얼 형상을 갖는 회전 손잡이(32)가 고정되어 고정브래킷(2)의 외부로 노출되고, 조향 칼럼(1)에는 회전 손잡이(32)의 회전에 의한 피니언(31)의 회전운동을 상하 원호 운동으로 전환시켜 조향 핸들(4)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일정한 길이의 래크(11)가 부착되며, 조향 칼럼(1)에는 고정브래킷(2)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브래킷(12)이 설치된다.As an example of the method,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fixing bracket 2 in which the steering column 1 is slidably disposed therein is fixedly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and the pinion is installed in the fixing bracket 2. A shaft 3 to which the 31 is fixed is embedded, and a rotary knob 32 having a dial shape is fixed to an end of the shaft 3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bracket 2, and the steering column 1 The rack 11 is attached to the fixed length of the pinion 31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knob 32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teering wheel (4) by conver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inion (31) up and down, the steering column (1) It is provided with a sliding bracket 12 which slid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2).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조향 핸들의 틸팅 구조에 의하면, 회전 손잡이(32)를 회전시키면 피니언(31)이 회전하게 되며, 이 회전력에 의해 래크(11)는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이로써, 조향 칼럼(1)이 슬라이딩 브래킷(12)과 일체로 승하강 하면서 원호 운동을 하게 되어 조향 핸들(4)의 각도가 변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tilting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steering whee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tary knob 32 is rotated, the pinion 31 is rotated, and the rack 11 is linearly reciprocated by this rotational force, and thus, the steering column ( 1) is to be moved up and down integrally with the sliding bracket 12 to the circular motion is to change the angle of the steering wheel (4).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조향 장치에 있어서, 조향 축(미도시)이 내장된 조향 칼럼(1)을 회전시켜 운전자의 승하차시 조향 핸들(4)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승하차를 도울수는 있지만, 이를 위해 소요되는 부품의 종류가 많으며, 아울러, 각 부품이 고가를 이루기 때문에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eering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getting on and off by rotating a steering column 1 having a steering shaft (not shown) to secure a space so that interference with the steering handle 4 does not occur when the driver gets on and off. It can help, but there are many types of parts required for this, and also, because each part is expensiv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st increases.

그리고, 조향 칼럼(1)의 틸트를 위해 많은 부품이 사용되어 각 부품의 결속력 및 연결 관계에 있어서 오동작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틸트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생산성 및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a large number of parts are used for tilting the steering column 1, a malfunction may occur in the binding force 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each part. As a result, the tilting operation may not be performed accurately, resulting in a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There was this.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순하고 저렴한 부품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승하차시 운전자와 조향 핸들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조향 핸들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 steering wheel for automobiles that can reduce costs by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the driver and the steering wheel when the driver gets on and off using simple and inexpensive parts. The purpose i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향 핸들의 접힘을 위해 적은 수의 부품을 사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productivity by using a small number of parts for folding the steering wheel and to prevent malfunctions a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향 장치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향 장치의 틸팅 구조를 보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ilting structure of th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적용된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 3의 A부 확대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ion A of Figure 3 showing a fixing member applied to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5 and 6 illustrate the operating stat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운전을 위한 조향 핸들의 조작시를 보인 측면도이며,5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for driving,

도 6은 운전자의 승하차를 위해 가동림을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rim is rotated for getting on and off the driver.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 : 조향 핸들 51 : 허브5: steering wheel 51: hub

52 : 림 53 : 스포크52: rim 53: spoke

54 : 고정림 54a,55a : 힌지보스54: fixed forest 54a, 55a: hinge boss

55 : 가동림 55b : 고정홈55: movable rim 55b: fixed groove

56 : 힌지 57 : 고정구56: hinge 57: fixture

57a : 체결홈 58 : 노브57a: fastening groove 58: knob

58a : 돌기58a: turning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향 축과 연결 고정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림과, 상기 허브와 림을 연결시키는 스포크로 이루어진 조향 핸들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n the steering handle consisting of a hub that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steering shaft, a rim dispos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ub, and spokes connecting the hub and the rim,

상기 림을 상기 허브와 연결되는 고정림과, 상기 허브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고정림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림으로 분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i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parated into a fixed rim connected to the hub and a movable rim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rim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hub.

상기 상기 가동림의 양단 내부에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림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홈에 록킹되는 고정구가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에는 노브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xing grooves are formed in both ends of the movable rim, respectively, and fasteners locked to the fixing grooves are provided to be pulled out to both ends of the fixing rim, and a knob is coupled to the fixing too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 핸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steering wheel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적용된 고정부재를 보이기 위한 도 1의 A 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와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향 핸들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 도 5는 조향 핸들의 조작시를 보인 것이며, 도 6은 운전자의 승하차시 조향 핸들의 일부분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of Figure 1 for showing a fixing member applied to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eering wheel, Figure 5 shows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Figure 6 shows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steering wheel rotates when the driver gets on and off.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조향 핸들(5)은, 조향 컬럼(1)에 내장된 조향축(미도시)과 연결 고정되는 허브(hub)(51)와, 허브(51)의 외주 방향에 배치되는 원형의 림(rim)(52)과, 허브(51)와 림(52)을 연결시키는 스포크(spoke)(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조향 핸들(5)의 림(52)을 스포크(53)를 통해 허브(51)와 연결되는 고정림(54)과, 허브(51)가 연결되지 않으며 고정림(5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림(55)으로 분리 형성한다.As shown therein, the inventive steering handle 5 is connected to a hub 51 connected to and fixed to a steering shaft (not shown) built in the steering column 1, an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ub 51. A circular rim 52 disposed therein and a spoke 53 connecting the hub 51 and the rim 52 to the spokes, and the rims 52 of the steering wheel 5 are spoked. The fixed rim 54 is connected to the hub 51 through the 53 and the hub 51 is not connected to the movable rim 55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rim 54.

가동림(55)은 운전자측에 위치되어 운전자의 승하차시 간섭될 수 있는 부분이다.The movable rim 55 is located at the driver's side and may interfere with the driver's getting on and off.

고정림(54)과 가동림(55)의 양측에는 힌지 보스(54a)(55a)가 각각 구비되며, 각 힌지 보스(54a)(55a)에는 힌지(56)가 각각 끼워져 가동림(55)의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Hinge bosses 54a and 55a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fixed rim 54 and the movable rim 55, respectively, and hinges 56 are fitted to each of the hinge bosses 54a and 55a, respectively. It will guide the rotation.

가동림(55)의 양단 내부에는 고정홈(55b)이 형성되며, 고정림(54)의 양 단부에는 고정홈(55b)에 록킹되는 고정구(57)가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Fixing grooves 55b are formed in both ends of the movable rim 55, and fasteners 57 locked to the fixing grooves 55b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rim 54 so as to be pulled out.

고정림(54)의 양측에는 노브 안내공(54b)이 천공되며, 노브 안내공(54b)에는 노브(58)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내부의 고정구(57)와 결합되어 고정구(57)의 록킹 또는 해제를 동작시키게 된다. 그 방법으로 고정구(57)에는 체결홈(57a)이 형성되며, 노브(58)에는 체결홈(57a)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기(58a)가 구비된다.The knob guide hole 54b is drilled at both sides of the fixed rim 54, and the knob 58 is slidably installed in the knob guide hole 54b to be engaged with the internal fixture 57 to lock the fixture 57. Or release the lock. In this manner, the fastening groove 57a is formed in the fastener 57, and the knob 58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58a fit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57a.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시 또는 상시에는 고정림(54)과 가동림(55)이 고정구(57)에 의해 록킹되어 일체화되어 있으며, 조향 핸들(5)의 조작시 가동림(55)은 고정림(54)과 함께 회전하면서 조작력을 조향 축에 전달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fixed rim 54 and the movable rim 55 are integrated by being locked by the fastener 57 when the vehicle is running or at all times, and the movable rim 55 when the steering wheel 5 is operated. Rotates with the fixed rim 54 to transmit the operating force to the steering shaft.

한편, 체격이 큰 운전자의 승하차시 조향 핸들(5)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가동림(55)을 회전시켜 고정림(54)과 겹치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승하차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확보한다.On the other hand, by moving the movable rim 55 to overlap the fixed rim 54 so that interference with the steering handle 5 does not occur during the getting on and off the driver having a large physique to secure a free space for the driver to get on and off.

그 방법은 노브(58)를 상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노브(58)는 노브 안내공(57b)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고정구(57)는 노브(58)와 일체로 슬라이딩되면서 체결홈(55b)으로부터 빠지게 되고, 이렇게 되면, 가동림(55)의 록킹이 해제된다. 이어서, 가동림(55)을 B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동림(55)은 힌지(56)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도 6과 같이 고정림(54)과 겹치게 된다.The method is that when the knob 58 is moved upward, the knob 58 slides along the knob guide hole 57b, and the fastener 57 slides integrally with the knob 58 while being removed from the fastening groove 55b. In this case, the locking of the movable rim 55 is released. Subsequently, when the movable rim 55 is rotated in the B direction, the movable rim 55 rotates about the hinge 56 and overlaps the fixed rim 54 as shown in FIG. 6.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승하차시 조향 핸들(5)과 간섭되지 않도록 한 후 승하차하며, 승하차가 완료되면 가동림(55)을 C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5와 같이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고, 이어서, 노브(58)를 하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고정구(57)가 고정림(54)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가동림(55)의 고정홈(55b)에 각각 끼워지게 된다.When getting on and off using the method described above, getting on and off the steering handle 5, when the getting on and off is completed, the movable rim 55 is rotated in the C direction to return to the initial state as shown in FIG. Sliding downwards 58, the fixture 57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fixed rim 54 is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s 55b of the movable rim 55, respectively.

따라서, 종래에는 운전자의 승하차의 편의를 위해 조향 칼럼을 틸트시키는 방식으로, 이 때, 사용되는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각 부품의 연결관계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정밀도의 작업이 수행됨과 아울러, 각 부품이 고가를 상당하는데 반해, 본 고안은 승하차시 간섭될 수 있는 조향 핸들의 일부분을 접히게하여 운전자의 승하차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조향 핸들(5)의 가동림(55)은 조작력과 무관하기 때문에 단순하고 저렴한 힌지(56)를 이용하여도 접히게 결합할 수 있다.Therefore, conventionally, the steering column is tilted for convenience of getting on and off the driver. At this time, since the number of parts used is high, a high precision work is performed so that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each part can be made accurately, and each part is While the cost is considerabl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ld a portion of the steering handle that can interfere when getting on and off to facilitate the driver's getting on and off, the movable rim 55 of the steering handle (5) is irrelevant to the operation force Because of this simple and inexpensive hinge 56 can be combined to be fold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 핸들에 의하면, 저렴하고 단순한 부품을 이용하여 조향 핸들의 일부분을 접히게 함으로써 운전자의 승하차가 편리해지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eering wheel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lding a portion of the steering handle using a cheap and simple parts, the driver's getting on and off is convenient, there is a remarkable effect that can reduce the cost.

아울러, 조향 핸들을 분리하며, 이 분리된 부분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작업은 정밀을 요구하는 작업이 아니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ering handle is separated, and the work of rotatably coupling the separated parts is not a work requiring precision,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Claims (2)

조향 축과 연결 고정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림과, 상기 허브와 림을 연결시키는 스포크로 이루어진 조향 핸들에 있어서,In the steering handle consisting of a hub that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steering shaft, a rim dispos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ub, and spokes connecting the hub and the rim, 상기 림을 상기 허브와 연결되는 고정림과, 상기 고정림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림으로 분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향 핸들.The steering wheel of claim 1, wherein the rim is separated into a fixed rim connected to the hub and a movable rim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ri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림의 양단 내부에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림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홈에 록킹되는 고정구가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에는 노브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향 핸들.According to claim 1, wherein both ends of the movable rim is formed with fixing grooves, respectively, both ends of the fixing rim is provided with a fastener locked to the fixing groove is removably installed to the outside, the fastener is coupled to the knob A steering wheel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by the above.
KR2019980006996U 1998-04-30 1998-04-30 Car Steering Handle KR1999004036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996U KR19990040360U (en) 1998-04-30 1998-04-30 Car Steering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996U KR19990040360U (en) 1998-04-30 1998-04-30 Car Steering Han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360U true KR19990040360U (en) 1999-11-25

Family

ID=6951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996U KR19990040360U (en) 1998-04-30 1998-04-30 Car Steering H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0360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2893B2 (en) Car steering wheel
US4086825A (en) Steering column assemblies
EP2695793B1 (en) Steering device
EP1647457B1 (en) Steering lock apparatus
EP0864481B1 (en) Shock absorbing steering device
US4538478A (en) Tiltable steering shaft assembly for automotive vehicles
US11230315B2 (en) Foldable steering wheel
US11613297B2 (en) Telescopic unlocking mechanism
EP2328793A1 (en) Steering-force transmitting apparatus for vehicle
JP2006502911A (en) Drive transmission system having a device for selecting an automatic manual transmission of an automobile or an operation mode range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JPH0536730Y2 (en)
US4538477A (en) Tiltable steering shaft assembly for automotive vehicles
KR19990040360U (en) Car Steering Handle
JPH0425897B2 (en)
JP2007308135A (en) Tilt-type steering apparatus with radial fixed gear
KR20230153551A (en) Foldable steering wheel
JP4480034B2 (en) Tilt and telescope steering device
JPH08150944A (en) Installing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JP2010105521A (en) Vehicular steering device
JPH08175328A (en) Steering lock device
JP3836916B2 (en) Automobile speed change device
US20220402426A1 (en) Turn signal auto cancel mechanism having axially-operable toggle
JP3836917B2 (en) Automobile speed change device
KR100423036B1 (en) Sub-Handle Structure of Steering Handle Wheel for Vehicles
JP2572098Y2 (en) Power unit for electrically adjustable steering colum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