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912A - 놀이겸용 학습 카드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 Google Patents

놀이겸용 학습 카드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912A
KR19990039912A KR1019970060156A KR19970060156A KR19990039912A KR 19990039912 A KR19990039912 A KR 19990039912A KR 1019970060156 A KR1019970060156 A KR 1019970060156A KR 19970060156 A KR19970060156 A KR 19970060156A KR 19990039912 A KR19990039912 A KR 19990039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language
word
learning
sent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4458B1 (ko
Inventor
정복식
Original Assignee
정복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복식 filed Critical 정복식
Priority to KR1019970060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458B1/ko
Publication of KR19990039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4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영어 단어를 효과적으로 암기할 수 있도록 해주고 나아가서는 외국어의 작문연습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가족끼리의 놀이용카드로 이용할 수 있는 놀이겸용 학습 카드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놀이겸용 학습 카드는 제 1언어의 단어 또는 문장이 표시되어 있는 제 1카드, 제 2언어의 문자 또는 단어가 각각 서로 분리 표시되어 있고 소정 순서대로 배열하면 상가 제 1카드에 표시되어 었는 제 1언어의 단어 또는 문장의 뜻을 제 2언어의 단어 또는 문장으로 나타내는 다수의 제 2카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외국어의 단어암기, 상대적으로 간단한 작문연습, 상대적으로 어려운 작문연습을 단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외국어 학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놀이겸용 학습 카드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본 발명은 놀이겸용 학습 카드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국어 학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해주고 경우에 따라서는 친구 또는 가족들끼리 모여 앉아서 외국어 단어만들기, 외국어 문장만들기 등의 건전한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놀이겸용 학습 카드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국어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그 학습방법이 효과적이지 못할 경우 10년 이상을 배우고도 작문이나 회화를 하지 못하여 다시 회화학원에 다니거나 외국연수를 가는 등 많은 시간과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외국어 학습을 위한 여러 형태의 학습구 또는 교습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관련된 사항은 실용신안 공개 96-6038호,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5-59482호, 소64-3870호, 소63-157782호, 소63-101971호, 소61-140377호, 일본 등록실용신안 제3021657호 등(이하, " 선출원고안 " 이라 함)에 자세히 게재되어 있다.
위 선출원고안들 중 실용신안 공개 96 - 6038호 고안은 단어의 암기사항을 쉽게 확인해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그 학습효과에 있어서는 미지수이며 단지 편리한 암기장의 역할밖에 하지 못한다.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5-59482호 고안은 단지 외국어 문자를 초보자라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되어있지만 외국어 학습에 큰 도움을 주지는 못한다. 일본 등록실용신안 제 3021657호의 고안은 영어발음연습을 위한 것으로 발음연습에는 도움이 되지만 외국어 학습 전반에 걸쳐서 효과적이지는 못하다. 일본 공개실용신안 소64-3870호의 고안은 문자판의 구성에 관한 것이며, 소61-140377호 고안은 대량으로 만들어 보관하기 어려워 현실적으로 처음 외국어를 배우는 어린이용으로만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외 일본 공개실용신안 소63-101971호 고안은 일어학습을 목적으로 고안한 것으로 다소 편리한 면은 있지만 활용할 수 있는 단어 수에 제한이 따라 중학생 이상의 학생에게 활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국단어를 효과적으로 암기할 수 있도록 해주고 나아가서 외국어 작문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가족끼리의 놀이용 카드로도 이용할 수 있는 놀이겸용 학습 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국어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학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겸용 학습 카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 놀이겸용 학습 카드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겸용 학습 카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 제 1카드의 배면도,
도 5와 도 6은 제 2카드의 다른 예를 보어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놀이겸용 학습 카드 110 : 제 1카드
112 : 제 1언어의 단어 114 : 발음기호
116 : 돌출부 117 : 일부문자
120 : 제 2카드 122 : 제 2언어의 문자
124 : 제 2언어의 단어
본 발명의 목적은 놀이겸용 학습 카드에 있어서, 제 1언어의 단어 또는 문장이 표시되어 있는 제 1카드, 제 2언어의 문자 또는 단어가 각각 서로 분리 표시되어 있고 소정 순서대로 배열하면 상기 제 1카드에 표시되어 있는 제 1언어의 단어또는 문장의 뜻을 제 2언어의 단어 또는 문장으로 나타내는 다수의 제 2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겸용 학습 카드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겸용 학습 카드를 준비하는 단계, 학생의 수준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하고 그 단계에 맞는 제 1언어의 단어가 표시된 제 1카드와 제 2언어의 문자가 표시된 다수의 제 2카드를 선택하여 단어를 암기하는 단계, 1개 이상의 제 2언어의 단어가 표시된 다수의 제 2카드를 선택하여 간단한 작문연습을 수행하는 단계 및 1개 이상의 제 2언어의 단어가 표시된 다수의 제 2카드를 선택하여 상대적으로 복잡한 작문연습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방법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겸용 학습 카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겸용 학습 카드(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놀이겸용 학습 카드(100)는 제 1카드(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카드(110)에는 제 1언어로 단어(112)가 표시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어(112) 대신에 문장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놀이겸용 학습 카드(100)는 다수의 제 2카드(120)를 구비하고 있다. 제 2카드(120)에는 제 2언어의 서로 다른 문자(122)가 각각 분리되어 표시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문자(122) 대신 1개 이상의 단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2카드(120)는 소정 순서대로 배열하면 제 1카드(110)에 표시되어 있는 제 1언어의 단어(112) 또는 문장의 뜻을 제 2언어의 단어(124) 또는 문장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학습자가 여러 개의 제 1카드(110) 중 하나를 션택하면 거기에는 제 1언어의 단어(112)가 표시되어 있다. 학습자는 제 1카드(110)에 표시되어 있는 단어(112)의 뜻을 파악하고 제 1언어의 단어(112)에 대응되는 제 2언어의 단어(124)를 생각한다. 그런 다음 제 2언어의 단어(124)를 구성하기 위한 제 2카드(120)를 여러 개 선택하여 순서대로 배열한다. 이에 따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언어 의 단어(124)가 표시된다. 제 2언어 단어(124)의 스펠링을 정확히 모르는 경우에 사전을 찾아보고 확인한 후 그에 맞게 제 2카드(120)를 선택하여 순서대로 배열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한번 암기한 단어는 쉽게 잊어버리기 않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족끼리 또는 여러 명의 친구끼리 모여 앉아 동일한 제 1카드(110)를 보여주고 누가 빨리 제 2언어의 단어(124)를 구성하는가의 놀이를 할수도 있다.
물론, 여기서 제 1카드(110)에 제 1언어의 단어(112) 대신에 문장을 표시하고 제 2카드(120)에는 제 2언어의 단어를 표시하여 작문연습 또는 작문놀이를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놀이겸용 학습 카드는 비교적 수준이 높은 학생들에게 효과적이다.
도 2는 도 1 놀이겸용 학습 카드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는 제 1카드(1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 1카드(110)에는 제 1언어의 단어(112)가 표시되어 있고, 그 옆쪽으로 발음기호(114)가 표기되어 있다. 나머가 제카드(120)의 구성과 학습방법, 놀이방법을 도 1의 놀이겸용 학습카드와 동일하다.
도 2의 놀이겸용 학습 카드(100)는 상대적으로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언어 학습 또는 놀이에 사용하면 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겸용 학습 카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4는 도 3 제 1카드의 배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카드(110)는 전체적으로 ㄴ자 모양을 하고 있다. 이 제 1카드(110)의 하단부 일측에는 제 1언어의 단어(112)가 표시되어 있고, 그 옆쪽으로 제 2언어의 대응되는 단어(124)의 발음기호(114)가 표시되어 있다. 이 제 1카드(110)의 좌측상단부근에는 돌출부(116)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116)에는 제 2언어의 단어(124)의 일부 문자(117)가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 1카드(110)의 배면에는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제 1언어의 단어(112)에 대응되는 제2언어의 단어(124) 즉, 정답이 표시되어 있다.
제 2카드(120)의 구성은 앞에서와 동일하다.
즉, 학습자 또는 놀이자가 하나의 제 1카드(110)를 선택하면 거기에는 제 1언어의 단어(112)와 이에 대응되는 제 2언어 단어의 발음기호(114) 및 제 2언어의 단어(124)를 구성하는 일부 문자(117)가 각각 표시되어 있다. 학습자는 제 1카드(110)의 전면에 표시된 제 1언어의 단어(112)와 발음기호(114)와 일부 문자(117)를 토대로 제 2언어의 단어(124)를 추정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 2카드(120)를 각각 선택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서대로 배열한다. 그런 다음 제 1카드(l10)를 뒤집어 정답을 확인하면 된다. 이 경우 역시 제 1카드(110)에는 제 1언어의 단어(112) 대신 문장을, 제 2카드(120)에는 제 2언어의 문자(122) 대신 단어를 각각 표기하여 작문연습 또는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놀이겸용 학습 카드(100)는 비교적 수준이 상대적으로 더 떨어지는 학생들의 학습용으로 사용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도 5와 도 6은 제 2카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6에는 다수의 제 2카드(12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 2카드(120)들에는 제 2언어로 1개이상의 단어(124)들이 각각 표기되어 있다. 이러한 제 2카드(120)들은 작문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힌 것으로, 도 5의 제 2카드(120)는 상대적으로 쉬운 작문연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고, 도 6의 제 2카드(120)는 상대적으로 어려운 작문연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5의 제 2카드(120)를 이용해 " I am a seventh grade of middle school."이라는 제 2언어의 문장과 "We will go on a picnic the day after tomorrow."라는 제 2언어의 문장을 만들도록 하면 작문연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개인 또는 여러 명이 즐겁게 작문놀이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의 제 2카드를 이용해 충분히 학습 후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2카드(120)를 이용해 보다 수준이 향상된 작문연습을 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도6의 제 2카드(120)를 배열하여 '' I got up very early this morning. '' 라는 제 2언어의 문장과 '' I cleaned up floor and yard(garden) for about one hour. '' 라는 제 2언어의 문장과 " There was deep foggy around my house. " 라는 제 2언어의 문장과 '' My wife and a son and a daughter didn't get up early this morning because of fog. "라는 문장을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 작성해보면 효과적인 작문연습 또는 놀이가 된다.
즉,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제 2언어의 단어암기를, 도 5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비교적 간단하고 쉬운 작문연습을, 도 6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비교적 복잡하고 어려운 작문연습을 단계별로 실시하면 효과적으로 외국어학습을 쉽게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족들끼리, 친구들끼리의 놀이에도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제 1카드와 제 2카드를 여러 색의 색종이를 이용하여 만들고 이를 배열할 수 있는 넓은 면적의 색종이 받침대를 이용하면 시각효과로 인한 학습효과를 한층 더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놀이겸용 학습 카드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을 발명한 발명자는 교사로서 학생들이 10년 이상 영어를 배우고도 영어 회화 학원에 다니거나 외국 연수를 갔다와야 작문, 회화가 가능한 점을 인식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외국어롤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놀이겸용 학습 카드이며 1단계로 단어암기, 2단계로 간단한 문장만들기, 3단계로 편지 쓰기, 생활일기 쓰기 등 비교적 복잡한 문장만들기 등의 학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더불어 우리 나라에서 가족이나 친구들끼리 할만한 놀이문화가 거의 없는 관계로 성행하고 있는 화투놀이에 대체하여 가족끼리 즐길 수 있는 놀이에 활용할 수도 있도록 하였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놀이겸용 학습 카드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을 이용하면 외국어의 단어암기, 상대적으로 간단한 작문연습, 상대적으로 어려운 작문연습을 단계적으로 쉽게 수행할 수 있어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외국어 학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족끼리 또는 친구들끼리 화목하게 단어암기놀이, 외국어 작문놀이를 할 수도 있다.

Claims (6)

  1. 놀이겸용 학습 카드에 있어서, 제 1언어의 단어 또는 문장이 표시되어 있는 제 1카드, 및 제 2언어의 문자 또는 단어가 각각 서로 분리 도시되어 있고 소정 순서대로 배열하면 상기 제 1카드에 표시되어 있는 제 1언어의 단어 또는 문장의 뜻을 제 2 언어의 단어 또는 문장으로 나타내는 다수의 제 2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겸용 학습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카드에는 상기 제 1언어의 단어 또는 문장에 대응하는 제 2언어의 발음기호가 표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겸용 학습카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카드의 배면에는 상기 제 1언어의 단어 또는 문장에 대응되는 제 2언어의 단어 또는 문장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겸용 학습 카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카드와 제 2카드는 색종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카드에는 상기 제 1언어의 단어 또는 문장에 대응되는 제 2언어의 단어 또 문장의 일부가 더 표시되이 있으며 이를 배열할 수 있는 넓은 면적의 색종이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겸용 학습 카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카드에는 상기 제 1언어의 단어 또 문장에 대응되는 제 2언어의 단어 또는 문장의 일부가 더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겸용 학습 카드.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놀이겸용 학습 카드를 준비하는 단계, 학생의 수준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하고 그 단계에 맞는 제 1언어의 단어가 표시된 제 1카드와 제 2언어의 문자가 표시된 다수의 제 2카드를 선택하여 단어를 암기하는 단계, 1개 이상의 제 2언어의 단어가 표시된 다수의 제 2카드를 선택하여 간단한 작문연습을 수행하는 단계, 및 1개 이상의 제 2언어의 단어가 표시된 다수의 제 2카드를 선택하여 상대적으로 복잡한 작문연습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방법.
KR1019970060156A 1997-11-14 1997-11-14 놀이겸용 학습 카드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KR100224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156A KR100224458B1 (ko) 1997-11-14 1997-11-14 놀이겸용 학습 카드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156A KR100224458B1 (ko) 1997-11-14 1997-11-14 놀이겸용 학습 카드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912A true KR19990039912A (ko) 1999-06-05
KR100224458B1 KR100224458B1 (ko) 1999-10-15

Family

ID=19524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156A KR100224458B1 (ko) 1997-11-14 1997-11-14 놀이겸용 학습 카드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44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070B1 (ko) * 2002-08-31 2005-03-10 박승국 시각적 유도장치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및 교습 시스템
WO2011102583A1 (ko) * 2010-02-17 2011-08-25 Sohn Gilyeon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 및 그 학습장치
KR200495324Y1 (ko) * 2021-10-19 2022-04-28 조상은 숫자 학습용 교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557B1 (ko) * 2002-12-09 2005-01-31 이엘씨코리아(주) 문장잇기 영어학습교구
KR101160963B1 (ko) * 2010-04-02 2012-07-02 주식회사 한마루테크 기능성 게임형 언어 학습 방법 및 장치
KR101170957B1 (ko) 2012-02-10 2012-08-03 (주)에스디이아이티연구소 영어문장 호환 3원리 학습카드 및 이를 이용한 영어문장 호환 3원리 학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070B1 (ko) * 2002-08-31 2005-03-10 박승국 시각적 유도장치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및 교습 시스템
WO2011102583A1 (ko) * 2010-02-17 2011-08-25 Sohn Gilyeon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 및 그 학습장치
KR200495324Y1 (ko) * 2021-10-19 2022-04-28 조상은 숫자 학습용 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4458B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i A study of the TPR method in the teaching of English to primary school students
US20070172798A1 (en) Learning kits and method for tutoring and teaching learners
Nasrawi et al. The effect of using jolly phonics on Jordanian first grade pupils’ reading
Littlejohn et al. Cambridge English for Schools 2 Teacher's Book
KR100224458B1 (ko) 놀이겸용 학습 카드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Pourdana et al. Test-taking strategies and performance on reading comprehension tests by Iranian EFL learners
Panteeva Adapting stories for teaching English to young learners: A Brain-friendly learning perspective
Sevik How Do Games Affect the Writing Skills of Young EFL Learners?.
PUTRI Teaching reading through narrative text using picture series at the second year students of SMP N 1 Seputih Raman
Towell Fun with vocabulary
Sheikhmambetov et al. GAME SIMULATION IN ACTIVITY LOCAL TEACHER OF THE UNIVERSITY
Anran et al. Teach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at universities in Russia and China
Şevik et al. Spelling Games and the Orthographic Abilities of Young EFL Learners
Alwanto THE USE OF LOCAL FABLE-BASED ENGLISH BOOK FOR TEACHING READING/WRITING SKILLS IN ELEMENTARY SCHOOL (A CLASSROOM ACTION RESEARCH)
Baca et al. Language transfer project of the Los Angeles Unified School district
Cotter Advantages of using interactive English teaching methods in Japanese mainstream English classrooms
Jingga Teaching English Language in Early Childhood
Suyarova USING GAMES TO INCREASE STUDENTS'ATTENTION DURING THE LESSON
Shuy Whatever Happened to the Way Kids Talk?.
Samadovna et al. Physiological features of learning english at preschool age
Anorboyeva et al. MODERN APPROACHES AND INNOVATIONS IN TEACHING ENGLISH IN PRIMARY SCHOOLS
Kalam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FOREIGN LANGUAGES TO PRIMARY SCHOOL PUPILS
Widiawati et al. Letter Gloves Media with Storytelling: Effect on Letter Recognition in Children in Kindergarten Pekanbaru
Eshboeva PROBLEMS OF TEACHING YOUNG LEARNERS AND PRESCHOOLERS
Liu Studying New Textbook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Chinese Teachers in Schools for the Deaf: Taking the First-grade Chinese Textbook of the PEP Version as an Exam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