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441A -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441A
KR19990039441A KR1019970059547A KR19970059547A KR19990039441A KR 19990039441 A KR19990039441 A KR 19990039441A KR 1019970059547 A KR1019970059547 A KR 1019970059547A KR 19970059547 A KR19970059547 A KR 19970059547A KR 19990039441 A KR19990039441 A KR 19990039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transmission
data
unit
transmis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5958B1 (ko
Inventor
김근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9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958B1/ko
Publication of KR19990039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37Ring fault isolation or re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04L45/123Evaluation of link metr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2Alternate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8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route faul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전송장치의 경로절체 수행장치 및 방법.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전송장치의 주 전송경로를 최단거리로 설정하여 양방향으로 전송을 수행하며, 절체요소 발생시 하드웨어적으로 절체를 수행하고 절체결과를 관리자에게 알리는 장치 및 방법.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링형 구조를 가지며 각 노드에 전송장치로 구성된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방법에 있어서, 전송장치의 경로 검색을 위해 왼쪽 경로와 과 오른쪽경로로 경로검색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과, 경로검색 데이터 출력후 경로확인 데이터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검사된 경로확인 데이터를 비교하여 최단경로를 주 경로로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방법.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광 전송장치등의 링형 구조를 가지는 전송장치.

Description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전송장치의 경로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송장치의 양방향의 경로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링(Ring)구조를 가지는 경로설정 장비는 주 경로와 보조 경로를 가지며 상기 주 경로를 통해 데이터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상기 주 경로의 절체 요소가 발생될 경우에만 보조 경로를 통해 절체가 이루어진다. 또한 주 경로의 절체요소가 해소되면 다시 경로를 주 경로로 변환하게 된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링 구조를 가지는 전송장치의 연결도이다. 상기 실선으로 연결된 경로 11, 12, 13, …, 18은 주 경로를 도시하였으며, 점선으로 표시된 21, 22, 23, …28은 보조 경로를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각 노드의 1, 2, 3, …, 8은 각각의 전송장치이다. 상기 전송장치 1이 상기 전송장치 3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주 경로인 상기 전송로 11, 12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전송장치 1이 상기 전송장치 7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상기 주 전송로가 정상상태이면 데이터의 전송로는 11, 12, 13, 14, 15, 16을 통해 상기 전송장치 7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송장치의 데이터 전송시 전송효율이 떨어지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주 경로의 이상 발생시 상기 전송장치는 보조 경로 28, 27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나 상기 주 경로의 절체 요소가 해소되면 다시 주 경로로 절체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절체 요소 발생시 상기 전송장치의 절체요소 발생시 상기 절체요소 발생 데이터를 상기 전송장치의 유지보수부로 전송하고, 절체 수행 제어가 상기 유지보수부의 소프트웨어(Software)에 의해 수행되므로 절체수행 소요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한 노드의 이상 발생시 모든 전송로를 수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송장치의 절체요소를 해결하는 양방향 전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송수신부와 제2송수신부로 전송로가 이중화 링크로 연결되어 링형 망을 구성하며, 상기 제1, 제2송수신부의 전송경로를 절체하며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설정된 경로로 연결하기 위한 경로설정부를 구비하는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오른쪽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장애등급을 검사하여 비교부로 송신하는 상기 제1송수신부와, 상기 링크의 왼쪽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장애등급을 검사하여 비교부로 송신하는 상기 제2송수신부와, 상기 제1송수신부와 상기 제2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장애등급을 비교하는 상기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의 장애등급 비교결과 데이터에 따라 장애등급이 낮은 방향으로 절체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로 결정부로 구성되는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송장치의 최단 전송로를 주 전송로를 설정하여 양방향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링형 구조를 가지며 각 노드에 전송장치로 구성된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장치의 경로 검색을 위해 왼쪽 경로와 과 오른쪽경로로 경로검색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경로검색 데이터 출력후 경로확인 데이터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된 경로확인 데이터를 비교하여 최단경로를 주 경로로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방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링 구조를 가지는 전송장치의 연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경로 설정시 전송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양방향 전송로를 갖는 링형 전송장치의 연결 구성도이다. 또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전송장비간의 거리인 각 노드간 거리는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송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본다. 경로 결정부 111은 상기 전송장치의 최단 경로의 검색을 제어하며, 상기 검색된 최단 경로를 주 경로로 설정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경로 설정부 112는 상기 경로 결정부 111의 제어에 의해 최단 경로 검색을 위한 경로검색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며, 상기 경로 결정부 111에 의해 주 경로 설정시 종속 신호부 117로부터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설정된 주 경로로 스위칭 한다. 유지보수부 113은 상기 전송장치의 전반적인 동작프로그램등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전송장치의 장애 발생시 상기 경로 결정부 111로부터 수신된 절체 결과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1 송/수신부 114 및 제2 송/수신부 115는 인접 전송장치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중계 및 송수신을 담당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 전송로의 장애 발생여부를 검사하며, 장애가 발생된 경우 장애의 등급을 비교부 116으로 출력한다. 비교부 116은 상기 제1 및 제2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장애등급 데이터를 비교하여 장애등급 비교결과 데이터를 상기 경로 결정부 111로 출력한다. 종속 신호부 117은 국설 교환기 또는 사설 교환기 및 다수의 전화가입자등에 접속되며 송신할 데이터를 광신호로 변환 및 상기 수신된 광신호를 전기직인 신호로 변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경로 설정시 전송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유지보수부 113은 200단계에서 상기 전송장치의 각부에 전송시 필요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제어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각부는 수신된 제어데이터를 로드한다. 상기 경로 결정부 111은 202단계에서 상기 경로 설정부 112로 경로검색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경로 설정부 112는 상기 경로검색 제어신호 수신시 상기 제1 송/수신부 114 및 제2 송/수신부 115로 경로검색을 위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제1 송/수신부 114 및 제2 송/수신부 115는 상기 수신된 경로 설정데이터를 상기 제1송/수신부 114 및 제2 송/수신부 115로 송출한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1노드에 위치한 전송장치의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상기 전송장치 1은 먼저 상기 전송장치 2의 최단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송수신부 114 및 상기 제2 송/수신부 115를 통해 상기 전송장치 2로 경로검색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제2 송/수신부 115의 송신로는 28, 27,26, …, 22를 통해 상기 경로검색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1 송/수신부 114는 11을 통해 상기 경로검색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전송장치 2는 상기 전송장치 1로부터 경로검색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경로검색 데이터가 송신된 경로를 통해 경로확인 데이터를 상기 전송장치 1로 송신한다.
상기 전송장치 1은 상기 제1 송/수신부 114 및 제2 송/수신부 115를 통해 경로확인 데이터 수신시 상기 수신된 경로확인 데이터를 상기 비교부 116으로 송신한다. 상기 비교부 116은 상기 수신된 경로확인 데이터의 전송시각을 비교하여 상기 경로 결정부 111로 출력한다. 상기 경로 결정부 111은 204단계에서 상기 비교부 116으로부터 상기 수신된 경로검색 비교 데이터에 따라 주 경로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전송장치 1의 상기 경로 결정부 111은 2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링형을 이룬 모든 전송장치의 주 경로가 설정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경로 결정부 111은 상기 검사결과 모든 주 경로가 설정되었을 경우 208단계로 진행하며 모든 주 경로가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 다음 노드에 위치한 전송장치의 주 경로 설정을 위해 202단계로 진행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순차적으로 각 전송장치의 주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경로의 설정은 유지보수부 113이 상기 200단계에서 제어데이터를 각부로 로드시킬 때 상기 전송장치의 관리자가 미리 설정된 주 경로 데이터를 상기 경로결정부 111로 입력하여 주 경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206단계에서 모든 주 경로가 설정되어 208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경로 설정부 112, 상기 제1 송/수신부 114 및 상기 제2 송/수신부 115는 상기 설정된 주 경로에 따라 양방향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 송/수신부 114 및 상기 제2 송/수신부 115는 210단계에서 데이터 송/수신시 송수신 장애가 발생하는가를 검사하여 송수신 장애가 검사될 경우 상기 발생된 송수신 장애등급 데이터를 상기 비교부 116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송수신 장애 데이터로는 크게 경보급 장애와 성능급 장애로 구분된다. 상기 경보급 장애로는 신호손실, 경보 신호, 신호 구분자 손실등이 있고, 성능급 장애로는 과도에라(error), 성능저하등이 있다. 상기 각 장애에는 각각 등급별로 나뉘어 있으며, 상기 성능급 장애보다 상기 경보급 장애가 높은 등급에 위치한다. 또한 이러한 상기 송수신 장애의 발생은 하나의 송/수신부에서 발생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송수신부 모두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비교부 116은 송수신 장애 데이터 수신시 상기 수신된 장애등급 데이터를 비교하여 장애등급 비교결과 데이터를 상기 경로 결정부 111로 송신한다.
상기 경로 결정부 111은 214단계에서 상기 비교부 116으로부터 수신된 장애등급 비교결과 데이터에 따라 경로의 절체가 필요한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절체의 필요여부 검사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주 경로가 상기 제1 송/수신부 114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송/수신부 114로부터 수신된 장애 데이터가 경보급 장애인 신호 구분자의 손실이고, 제2 송/수신부 115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성능급 장애인 성능저하인 경우 절체가 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1 송/수신부 114로부터 수신된 장애등급 데이터와 상기 제2 송/수신부 115로부터 수신된 장애등급 데이터의 장애등급이 동일하거나 상기 제2 송/수신부 115로부터 수신된 장애등급 데이터의 장애등급이 높은 경우 절체를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경로 결정부 111은 상기 검사결과 절체가 필요한 경우 절체 제어 데이터를 상기 경로 설정부 112로 송출하고 216단계로 진행하며, 절체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2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경로 설정부 112는 216단계에서 상기 경로 결정부 111로부터 절체 제어 데이터 수신시 주 경로의 절체를 수행하고, 상기 절체수행이 종료되면 상기 경로 결정부 111로 절체 종료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경로 결정부 111은 상기 절체 종료 데이터를 수신하면 21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유지보수부 113으로 절체결과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전송장치의 주 전송로를 최단 경로로 설정하여 양방향으로 전송함으로써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절체 요소 발생시 회선의 절체를 먼저 해결함으로써 절체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한 노드의 이상으로 인한 링형망 전체의 시스템이 절체되지 않고 상기 일부의 전송로만을 절체함으로써 망의 사용 효율도 높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6)

  1. 제1송수신부와 제2송수신부로 전송로가 이중화 링크로 연결되어 링형 망을 구성하며, 상기 제1, 제2송수신부의 전송경로를 절체하며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설정된 경로로 연결하기 위한 경로설정부를 구비하는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오른쪽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장애등급을 검사하여 비교부로 송신하는 상기 제1송수신부와,
    상기 링크의 왼쪽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장애등급을 검사하여 비교부로 송신하는 상기 제2송수신부와,
    상기 제1송수신부와 상기 제2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장애등급을 비교하는 상기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의 장애등급 비교결과 데이터에 따라 장애등급이 낮은 방향으로 절체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로 결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결정부가,
    상기 절체 제어 데이터를 출력후 상기 전송장치의 유지보수부로 절체결과 데이터를 더 송출하는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장치.
  3. 링형 구조를 가지며 각 노드에 전송장치로 구성된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장치의 경로 검색을 위해 왼쪽 경로와 과 오른쪽경로로 경로검색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경로검색 데이터 출력후 경로확인 데이터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된 경로확인 데이터를 비교하여 최단경로를 주 경로로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확인 데이터에 따라 주 경로를 설정한 후 다음 노드의 전송장치의 주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방법
  5. 양방향 전송장치의 전송경로 절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장치의 제1송수신부와 제2송수신부의 데이터 송수신시 발생되는 장애를 장애등급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된 장애등급을 비교하는 비교과정과,
    상기 비교과정후 장애등급이 낮은 방향으로 전송로의 절체를 수행하는 절체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방법.
  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과정후 상기 수행된 절체결과를 상기 전송장치의 유지보수부로 절체결과 데이터를 송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방법.
KR1019970059547A 1997-11-12 1997-11-12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장치 및 방법 KR100285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547A KR100285958B1 (ko) 1997-11-12 1997-11-12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547A KR100285958B1 (ko) 1997-11-12 1997-11-12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441A true KR19990039441A (ko) 1999-06-05
KR100285958B1 KR100285958B1 (ko) 2001-04-16

Family

ID=3751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547A KR100285958B1 (ko) 1997-11-12 1997-11-12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9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219B1 (ko) * 2001-12-27 2004-09-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송 경로 이중화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57229B1 (ko) * 2001-12-31 2004-11-16 (주)캐너즈 듀얼 전송로를 기반으로 백업 및 로드 밸런싱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0469717B1 (ko) * 2002-04-30 200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전 변환형 광회선 분배 시스템
KR100471928B1 (ko) * 2002-11-18 2005-03-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중 링형 네트워크의 링 선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383B1 (ko) * 1993-05-26 1995-10-17 대우통신주식회사 장애정도에 따라 비상정상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중화제어방법 및 이중화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219B1 (ko) * 2001-12-27 2004-09-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송 경로 이중화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57229B1 (ko) * 2001-12-31 2004-11-16 (주)캐너즈 듀얼 전송로를 기반으로 백업 및 로드 밸런싱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0469717B1 (ko) * 2002-04-30 200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전 변환형 광회선 분배 시스템
KR100471928B1 (ko) * 2002-11-18 2005-03-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중 링형 네트워크의 링 선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5958B1 (ko) 200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0151B1 (en) Local network with redundancy properties having a redundancy manager
JPH10233735A (ja) 障害復旧制御方法
EP2312792A1 (en) Protection protocol device for network node and method for processing protection switching thereof
KR100233261B1 (ko) 대국장애표시신호를 이용한 1+1 양방향 선로절체 제어방법
US6993684B2 (en) Ring control node
KR100285958B1 (ko) 전송장치의 양방향 경로설정 장치 및 방법
JP3854372B2 (ja) 光クロスコネクト装置
US6999410B2 (en) Apparatus for the transmission and/or reception of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is apparatus
US958503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data plane redundancy
KR100342758B1 (ko) 광가입자 선로 자동 절체 장치
JP2837202B2 (ja) 広帯域電気通信交換局にオプチカルラインを接続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3461954B2 (ja) データ伝送装置
KR20030051913A (ko) 전송장비의 경보신호 처리 방법
KR100333954B1 (ko) 단일코어를 이용한 광통신망 이중화와 고장감시방법 및 그장치
JP2867865B2 (ja) 予備回線切替制御方式
KR19980075969A (ko) 아이피시(ipc)경로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이중화 장치
JPH07336296A (ja) 光伝送方式
KR10022553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디바이스 이중화 장치
KR100630066B1 (ko) 전송 시스템에서 선로감시를 통한 메시지 전달 방법
KR100575957B1 (ko) 전송장치에서 서비스 유지장치 및 방법_
KR19990050419A (ko) 장애 허용망 구조에서의 장애 처리 방법
JP3761331B2 (ja) 2重系構成局間のデータ伝送方法
KR19990061879A (ko) 사설 교환유닛간 접속 링크 절체방법
JPS61131644A (ja) インタ−フエイスバスのノ−ド
JPH02250538A (ja) 多重伝送網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