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247U - 세탁기의 배수펌프 필터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배수펌프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247U
KR19990039247U KR2019980005393U KR19980005393U KR19990039247U KR 19990039247 U KR19990039247 U KR 19990039247U KR 2019980005393 U KR2019980005393 U KR 2019980005393U KR 19980005393 U KR19980005393 U KR 19980005393U KR 19990039247 U KR19990039247 U KR 199900392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ump
chamber
washing
fil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89779Y1 (ko
Inventor
장봉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5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77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2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2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7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7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의 배수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펌프의 펌프본체에 결합되는 필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배수펌프는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실과 임펠러가 설치되는 펌프실이 형성된 펌프본체와, 상기 펌프본체의 내부에 결합되어 세탁수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실과 상기 펌프실을 구획하며 그 중심부에 세탁수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거름판과, 상기 필터실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막아주는 마개부와, 상기 거름판을 지지해 주도록 일단부가 상기 마개부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거름판과 결합되는 지지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필터가 상기 펌브본체에서 분리될 때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상기 지지부와 상기 거름판은 상호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의 배수펌프 필터
본 고안은 세탁기의 배수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펌프의 펌프본체에 결합되는 필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기계적인 힘으로 세탁행정, 행굼행정, 탈수행정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 세탁조에 세탁수와 세탁물을 함께 투입한 후 이들을 교반시킴으로써 세탁물과 세탁수 및 세탁조의 마찰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세탁기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케이스의 상부에 콘트롤부가 마련되어 있고, 본체케이스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채워지는 수조가 설치된다. 수조의 내부에는 세탁조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조의 중앙에는 세탁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가 마련된다. 그리고, 수조와 세탁조의 저부에는 정·역회전되는 모터를 구비한 구동부가 마련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펄세이터와 세탁조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이 구동부는 세탁 행정시에 펄세이터를 정·역회전시켜 세탁행정을 수행하게 되고, 세탁행정이 끝난 후에는 세탁조를 고속 회전시켜 탈수행정을 수행한다.
한편 이러한 세탁기의 수조의 하측에는 수조와 연결되어 세탁행정 및 탈수행정후의 세탁수를 외부로 강제 배수시키는 배수펌프가 설치되는데, 이 배수펌프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상으로 마련되어, 그 내부 공간이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실과, 임펠러가 설치되는 펌프실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실에는 수조의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펌프실의 외주부에는 임펠러의 구동에 의해 필터실 쪽의 세탁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수구가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펌프본체 내부에는 필터실과 펌프실을 구획하면서 필터실의 개구부를 막아주는 필터가 설치된다. 이 필터는 필터실과 펌프실을 구획하며 그 중심부에 유로가 형성된 거름판과, 필터실의 개구부 막아주는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와 상기 거름판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일체로 구성된다. 이는 마개부를 풀었을 때 거름판이 함께 빠져 나오도록 하여 필터실에 침전되는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세탁기의 배수펌프는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필터실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해 주게 되는데, 이 때 필터의 마개부를 풀게 되면, 이와 연결된 연결부 및 거름판이 함께 빠져 나오면서 필터실에 쌓인 이물질이 제거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세탁기의 배수펌프는 필터실에 쌓인 이물질 중에 핀이나 이쑤시게 처럼 길이가 긴 이물질이 끼여 있을 경우, 펌프본체에서 필터를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핀이나 이쑤시게 같은 이물질은 길이가 길기 때문에 필터실에 형성된 유입구 등에 걸려 있는 경우가 발생되어 필터를 분리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펌프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필터실에 쌓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세탁기의 배수펌프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펌프가 설치된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펌프의 펌프본체 및 필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펌프본체와 필터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본체케이스, 31: 수조, 32: 세탁조,
33: 펄세이터, 36: 배수밸브, 37: 배출관,
38: 배수관, 40: 구동부, 41: 모터,
42: 클러치, 50: 배수펌프, 51: 펌프모터,
52: 임펠러, 60: 펌프본체, 60a: 유입구,
60c: 배수구, 61: 턱부, 62: 필터실,
63: 펌프실, 70: 필터, 71: 거름판,
71a: 결합홈, 72: 마개부, 73: 지지부,
73b: 결합돌기, 74: 유로, 75: 거름턱.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조에 담긴 세탁수를 강제 배수시키도록 상기 수조의 세탁수가 유입되어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실과 임펠러가 설치되는 펌프실이 형성된 펌프본체와, 상기 펌프본체의 내부에 결합되어 세탁수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배수펌프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실과 상기 펌프실을 구획하며 그 중심부에 세탁수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거름판과, 상기 필터실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막아주는 마개부와, 상기 거름판을 지지해 주도록 일단부가 상기 마개부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거름판과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거름판은 상호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펌프가 채용된 세탁기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스(30)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채워질 수 있도록 상측면이 개구된 원통상의 수조(31)가 설치된다. 수조(31)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되며, 벽면에 다수의 탈수공이 천공된 마련된 세탁조(32)가 설치된다. 그리고 세탁조(32)의 저부에는 정·역회전하여 세탁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33)가 마련된다.
수조(31)의 하측에는 세탁조(32)와 펄세이터(33)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40)가 마련된다. 이 구동부(41)는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41)와, 모터(41)의 회전력에 의해 펄세이터(33)와 세탁조(32)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클러치(42)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모터(41)와 클러치(42)사이에는 동력전달을 매개하는 벨트(43)가 설치된다.
본체케이스(30)의 상부에는 본체케이스(30)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34)가 설치되고, 이 상부커버(34)의 내부에는 본체케이스(30)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 뚜껑(35)이 설치된다.
한편, 수조(31)의 하부에는 수조(31)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밸브(36)가 설치되고, 본체케이스(30)의 내측 하부에는 배수밸브(36)를 통해 배출되는 세탁수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50)가 설치된다. 이 배수펌프(50)는 배수밸브(36)와 외부로 배수하는 배출관(37)사이에 설치되어, 배수밸브(36)와 연결된 배수관(38)을 통해 배출된 세탁수를 외부와 연결된 배출관(37)으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배수펌프(50)는 펌프본체(60)와, 임펠러(52)를 구동시키는 펌프모터(51)가 결합된 구성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배수펌프(50)의 펌프본체(6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상의 플라스틱 사출물로 그 내주면에는 링형상의 턱부(61)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좌·우 공간을 구분하게 된다. 여기에서 도면상의 좌측공간은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실(62)을 이루고, 우측공간은 배수펌프(50)의 임펠러(52)가 설치되는 펌프실(63)을 이루게 된다. 이 때 펌프실(63)의 우측 개구부는 펌프모터(51)가 설치됨으로써 폐쇄되게 된다.
필터실(62)에는 수조(31)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밸브(36)와 연결된 배수관(38)과 연통되어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60a)가 형성된다. 또한, 필터실(62)의 상부에는 세탁수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 배출구(60b)가 형성된다. 그리고, 펌프실(63)의 외주부에는 임펠러(52)의 구동에 의해 필터실(62) 쪽의 세탁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관(37)과 연결되는 배수구(60c)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펌프본체(60) 내부에는 필터실(62)과 펌프실(63)을 구획하면서 필터실(62)의 좌측 개구부를 막아주는 필터(70)가 설치된다. 이 필터(70)는 필터실(62)과 펌프실(63)을 구획하는 원판상의 거름판(71)과, 필터실(62)의 좌측 단부를 막아주도록 개구부에 나사결합 되는 마개부(72)와, 상기 마개부(72)와 상기 거름판(71)사이에 마련되어 거름판(71)을 지지해 주는 지지부(73)로 구성된다.
이 때, 마개부(72)와 지지부(73)는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지지부(73)의 단부와 거름판(71)은 상호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지지부(73)의 단부에는 결합돌기(73b)가 형성되고, 거름판(71)에는 결합돌기(73b)가 끼워지는 결합홈(71a)이 형성됨으로써, 필터실(62)에 이물질이 쌓여 필터(70)를 분리하게 될 때, 이들이 상호 분리되어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거름판(71)에는 필터실(62)로 유입된 세탁수가 임펠러(52)의 구동에 의해 펌프실(63)로 흘러가도록 중심부에 유로(74)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유로(74)에는 소정의 길이 만큼 필터실(62) 쪽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상의 거름턱(75)이 형성된다. 즉, 이 거름턱(75)으로 인해 유로는 필터실(62) 쪽의 입구부(74a)와 펌프실(63) 쪽의 출구부(74b)까지 소정의 길이를 가진 관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필터(70)를 펌프본체(60)에 결합시키게 되면, 지지부(73)의 결합돌기(73b)와 거름판(71)의 결합홈(71a)이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부(73)가 거름판(71)을 밀어주게 되어, 거름판(71)의 외주연이 펌프본체(60)의 내주면에 형성된 턱부(61)에 밀착 지지되게 된다. 여기에서 거름판(71)의 전면에는 턱부(61)와 거름판(71)의 외주부가 밀폐구조를 이루도록 패킹(77)이 설치된다.
또한, 마개부(72)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73)는 마개부(72)의 회동시 회동이 방지되게 되어, 필터(70)를 결합시키거나 뺄 때, 거름판(71)의 회동이 제한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위하여 지지부(73)의 외면에는 지지부(73)의 회동을 방지하는 돌기(73a)가 형성되고, 필터실(62)의 내면에는 이 돌기(73a)를 안내하는 직선상의 안내홈(60d)이 형성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세탁기를 가동시키게 되면, 세탁기는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행정은 프로그램화되어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세탁행정은 세탁조(32) 내에 세탁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수조(31)와 세탁조 (32)내에 세탁수가 채워지고 구동부(40)의 동력을 전달받아 펄세이터(33)가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한다. 이 때 세제가 투입된 세탁수는 모든 세탁물이 잠길 수 있도록 소정높이의 수위선까지 채워지고, 세탁물은 펄세이터(33)의 정·역 회전운동에 의해 세탁물과 함께 휘저어져서 세탁이 진행되게 된다.
그리고 헹굼행정은 세제의 투입을 제외하고는 세탁행정과 동일한 동작으로 진행되고, 탈수행정은 수조(31)내의 물이 배수관(38)을 통해 배수된 상태에서 세탁조(32)를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에 남아 있는 수분을 탈수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세탁기는 상기 행굼행정과 탈수행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조(31)에 담긴 세탁수를 배수시키게 된다. 이 때 수조(31)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밸브(36)가 열리고, 세탁수는 배수관(38)을 따라 배수펌프(50)의 펌프본체(60)에 형성된 유입구(60a)를 통해 필터실(62)로 유입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펌프본체(60)의 펌프실(62)에 설치된 임펠러(52)가 구동되면, 세탁수는 필터실(62)을 경유하여 거름판(71)에 형성된 유로(74)를 통해 펌프실(63)로 유입되고, 펌프실(63)로 유입된 세탁수는 펌프실(63)의 외주부에 형성된 배수구(60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필터실(62)로 유입된 세탁수는 필터실(62)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침전되거나 유로(74)를 형성하는 거름턱(75)에 대부분 걸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실(62)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해 주게 되는데, 이 때 필터의 마개부(72)를 풀게 되면, 마개부(72)와 결합된 지지부(73)는 마개부(72)와 함께 빠져 나오게 되지만, 지지부(73)의 결합돌기(73b)와 거름판(71)의 결합홈(71a)은 상호 분리되게 되어 거름판(71)이 펌프본체(60)의 내부에 남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배수펌프의 필터(70)는 필터실(62)에 쌓인 이물질 중에 핀이나 이쑤시게 처럼 길이가 긴 이물질이 끼인다 하더라도 마개부(72)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마개부(72)가 분리시킨 후에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거름판(71)을 빼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배수펌프 필터는 마개부와 거름판이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어 필터실의 내부에 길이가 긴 이물질이 끼인다 하더라도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수조에 담긴 세탁수를 강제 배수시키도록 상기 수조의 세탁수가 유입되어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실과 임펠러가 설치되는 펌프실이 형성된 펌프본체와, 상기 펌프본체의 내부에 결합되어 세탁수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배수펌프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실과 상기 펌프실을 구획하며 그 중심부에 세탁수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거름판과, 상기 필터실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막아주는 마개부와, 상기 거름판을 지지해 주도록 일단부가 상기 마개부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거름판과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거름판은 상호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배수펌프 필터.
KR2019980005393U 1998-04-07 1998-04-07 세탁기의 배수펌프 필터 KR2001897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393U KR200189779Y1 (ko) 1998-04-07 1998-04-07 세탁기의 배수펌프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393U KR200189779Y1 (ko) 1998-04-07 1998-04-07 세탁기의 배수펌프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247U true KR19990039247U (ko) 1999-11-05
KR200189779Y1 KR200189779Y1 (ko) 2000-08-01

Family

ID=19533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393U KR200189779Y1 (ko) 1998-04-07 1998-04-07 세탁기의 배수펌프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7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227B1 (ko) * 2002-05-20 200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펌프를 구비한 세탁기
KR100776594B1 (ko) * 2006-07-05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펌프를 구비한 세탁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227B1 (ko) * 2002-05-20 200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펌프를 구비한 세탁기
KR100776594B1 (ko) * 2006-07-05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펌프를 구비한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779Y1 (ko)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3415B1 (ko) 세탁기용 이물걸름장치의 역류차단구조
KR101332286B1 (ko) 세탁기
WO2002004734A1 (en) Improvements in washing machines
KR100785555B1 (ko) 드럼식 세탁기
JPH08155190A (ja) 洗濯機
KR200189779Y1 (ko) 세탁기의 배수펌프 필터
KR100223413B1 (ko) 세탁기용 이물걸름장치의 커버 결합구조
KR100263564B1 (ko) 세탁기의 이물 걸름장치
KR100262987B1 (ko) 세탁기의 배수펌프 필터
KR100432227B1 (ko) 배수펌프를 구비한 세탁기
CN108221260B (zh) 洗衣机
KR100521090B1 (ko)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
KR100223416B1 (ko) 세탁기용 이물걸름장치의 필터 오픈구조
JP7407413B2 (ja) 洗濯機
KR100220744B1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KR100223414B1 (ko) 세탁기용 이물걸름장치의 록킹구조
KR100261475B1 (ko) 펌프 케이스의 필터 결합구조
KR100218970B1 (ko) 세탁기
KR20170105331A (ko) 세탁기
KR100565537B1 (ko) 순환분사식 세탁기
KR0138144Y1 (ko) 휠터 소제기능을 갖는 세탁기
KR19990042122A (ko) 세탁기의 배수펌프 필터
KR200299954Y1 (ko) 세탁기용 세탁조
KR100267930B1 (ko) 세탁기
KR100223417B1 (ko) 세탁기의 이물질 걸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