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090B1 -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090B1
KR100521090B1 KR10-1999-0007217A KR19990007217A KR100521090B1 KR 100521090 B1 KR100521090 B1 KR 100521090B1 KR 19990007217 A KR19990007217 A KR 19990007217A KR 100521090 B1 KR100521090 B1 KR 100521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drain
drainage
washing machin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9545A (ko
Inventor
김진두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07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090B1/ko
Publication of KR20000059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조에 채워진 물을 강제 배수시키는 배수펌프가 수조의 하부에 장착되는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는 수조의 하부에 배수펌프가 결합되는 펌프결합부가 형성되고, 펌프결합부의 내부에는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실이 형성되며, 필터실을 경유하는 세탁수의 거름효과가 높아지도록 수조의 배수공과 배수펌프의 펌프유입구가 상호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게 하였다. 따라서, 배수펌프의 결합시에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수단과 배수펌프가 일체를 이루게 되고, 배수펌프가 수조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게 됨으로써, 배수장치의 구성이 크게 단순화되어, 배수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비용의 절감 및 배수장치의 설치가 용이해지게 된다.

Description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Drainage apparatus of drum typ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조에 채워진 물을 강제 배수시키는 배수펌프가 수조의 하부에 장착되는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회전조가 회전될 때, 그 내부에 채워진 세탁물이 낙차에 의해 떨어지면서 세탁이 수행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드럼세탁기는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세탁수가 채워지는 수조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조는 수조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게 된다. 또한, 드럼세탁기는 세탁행정 및 탈수행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회의 급수와 배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드럼세탁기의 내부에는 수조에 채워진 세탁수를 외부로 강제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개평 9-276583호에는 이러한 배수장치가 구비된 드럼세탁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의 내측에 방진기구(2)에 의해 걸려 있는 수조(3)가 구비되어 있고, 수조(3)의 내부에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조(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조(3)의 하부에는 수조(3)에 채워진 세탁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관(5)이 연결되는데, 이 배수관(5)의 중도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배수필터(6)가 설치되고, 배수필터(6)의 하류측에 강제 배수를 위한 배수펌프(7)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배수필터(6)와 배수펌프(7)는 외부케이스(1)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고, 이들을 연결시키는 배수관(5)은 수조(3)와 배수필터(6)를 연결하는 배수관(5a), 배수필터(6)와 배수펌프(7)를 연결하는 배수관(5b), 배수펌프(7)로부터 외부케이스(1)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5c)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드럼세탁기는 배수펌프(7)가 가동되면, 배수관(5)을 따라 배출되는 세탁수가 배수필터(6)를 거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후, 배수펌프(7)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는 배수필터(6)와 배수펌프(7)가 별도로 구성됨에 따라 배수장치를 구성하는 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이들을 각각 외부케이스(1)의 바닥면에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공수의 과다로 배수장치의 설치가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배수장치는 배수필터(6)와 배수펌프(7)가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고, 이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배수관(5a,5b,5c)이 다수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관의 연결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이들 배수관(5a,5b,5c)으로 인해 드럼세탁기의 하측 내부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펌프가 수조의 하측에 결합되고,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수단이 배수펌프와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배수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비용절감 및 배수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배수관의 구성을 단순하게 할 수 있는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 주위에는 내부에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실이 형성되도록 소정길이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부에 개방부가 구비된 펌프결합부가 형성된 수조;와, 상기 수조의 물을 상기 배수공을 통해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해 일면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외주부에 펌프토출구가 형성된 펌프케이싱과, 상기 펌프케이싱의 개방부를 막아주며 일측에 펌프유입구가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펌프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배수펌프;를 가지며, 상기 펌프유입구에는 상기 필터실 쪽으로 연장된 유입관이 마련되며 상기 펌프유입구와 상기 배수공은 상호 편심되도록 상기 펌프결합부의 개방부와 상기 커버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커버부의 내면에는 상기 펌프유입구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임펠러의 중앙부로 안내하는 안내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펌프결합부와 상기 펌프케이싱의 개방부에는 상호 대응되어 결합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는 기밀구조를 이루는 실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0)의 내부에 세탁수가 채워는 원통상의 수조(11)가 구비되고, 수조(11)의 내부에는 역시 원통상으로 마련되며 벽면에 다수의 탈수공(12a)이 형성된 회전조(12)가 설치된다.
이때, 수조(11)와 회전조(12)는 사용자가 외부케이스(10)의 전방에서 세탁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외부케이스(10)의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이 개구부에는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외부케이스(10)의 전면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18)가 설치된다.
또한, 수조(11)는 도면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측 상부에 다수의 현가스프링이 구비되어 외부케이스(10)의 내부에 걸린 상태로 지지되고, 수조(11)의 하부에는 세탁시에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지지하는 완충수단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회전조(12)의 후면 중심부에는 회전조(12)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회전축(13)이 마련되고, 이 회전축(13)은 수조(11)의 후면 중심부를 관통하여 수조(11)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수조(11)의 외측으로 연장된 회전축(13)에는 회전조(12)를 회전시키기 위한 풀리(14)가 설치되며, 이 풀리(14)는 수조(11)의 하부에 설치된 구동모터(15)와 벨트(16)를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조(12)가 회전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수조(11)의 상부에는 수조(11)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가 마련되고, 수조(11)의 하부에는 수조(11)에 채워진 세탁수를 배수시키는 배수장치가 마련된다.
급수장치는 외부의 급수원과 수조(11)를 연결하는 급수관(21)과, 급수관(21)을 통해 수조(11)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단속하도록 급수관(21)의 중도에 설치되는 급수밸브(22)로 구성된다. 또한, 급수장치의 급수관(21) 중도에는 급수되는 세탁수에 세제가 용해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세제용해장치(23)가 연결되는데, 이 세제용해장치(23)는 사용자가 세제의 투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기능조작판(24)이 마련된 외부케이스(10)의 전면부 내측 상부에 설치된다.
한편, 수조(11)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수장치(30)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요소로, 세탁수를 강제 배수시키는 배수펌프(40)가 수조(11)의 하부에 장착되고, 수조(11)와 배수펌프(40)가 연결되는 부분에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수단이 마련되는 구성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배수장치(30)는 수조(11)의 하면에 수조(11)와 일체로 형성되는 펌프결합부(31)와, 펌프결합부(31)에 장착되는 배수펌프(40)와, 배수펌프의 토출관에 결합되는 배수관(50)으로 구성된다.
펌프결합부(31)는 수조(11)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하단부 내측으로 배수펌프(40)의 일부가 진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개방부(32)가 형성된다. 그리고, 펌프결합부(31)의 하단부에는 배수펌프(4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플랜지부(33)가 형성된다.
또한, 펌프결합부(31)가 형성된 수조(11)의 하부에는 수조(11) 내부의 세탁수가 펌프결합부(11)의 내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펌프결합부(31)의 내부공간과 수조(11)의 내부공간이 연통되는 배수공(34)이 형성된다. 이때, 배수공(34)은 펌프결합부(31)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배수펌프(40)는 내부에 고속으로 회전되는 임펠러(43)가 설치된 펌프케이싱(42)과, 이 펌프케이싱(42)의 일측에 결합되어 펌프케이싱(42) 내부의 임펠러(43)를 회전시키는 모터(41)로 구성된다.
펌프케이싱(42)은 내부가 비어있고 일단부가 개방된 원통상으로 마련되며, 개방된 상부에는 이를 막아주는 커버부(44)가 구비된다. 즉, 커버부(44)가 개방부를 막아줌으로써 내부에 밀폐된 펌프실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이 펌프케이싱(42)의 내부에는 원심력에 의해 회전중심 방향으로 유체가 유입되어 외주방향으로 토출되는 임펠러(43)가 설치되게 된다. 이때, 개방부가 형성된 펌프케이싱(42)의 테두리에는 상기 펌프결합부(31)의 플랜지부(33)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플랜지부(42a)가 형성되고, 이들의 결합부에는 밀폐구조를 이루는 실링부재(36)가 설치된다.
또한, 커버부(44)는 펌프케이싱(42)의 개방부를 막아줄 뿐만 아니라, 배수펌프(40)가 펌프결합부(31)에 결합될 때 펌프결합부(31)의 개방부(32)를 막아주게 된다. 이때, 커버부(44)는 펌프결합부(31)의 내경과 일치되는 크기로 마련되는 원판형상의 원판부(44a), 이 원판부(44a)의 테두리부에 형성되어 펌프결합부(31)의 내면에 지지되는 원통부(44b), 그리고 원통부(44b)가 펌프결합부(31)의 하단에 걸리도록 원통부(44b)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걸림턱(44c)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커버부(44)의 원판부(44a)에는 펌프결합부(31)의 내부와 펌프케이싱(42)가 연통되는 펌프유입구(45)가 형성되는데, 이 펌프유입구(45)는 커버부(44)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11)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공(34) 반대방향으로 편심된 위치가 되게 된다. 즉, 펌프유입구(45)의 중심은 배수공(34)의 중심으로부터 소정거리 "L"만큼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또한, 펌프유입구(45)에는 펌프케이싱(42)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이물질을 걸러 줄 수 있도록 펌프결합부(31)의 내부로 소정길이 연장된 유입관(45a)이 마련된다.
이처럼 배수공(34)과 펌프유입구(45)가 상호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고, 펌프유입구(45)에 유입관(45a)이 형성된 것은 펌프결합부(31)의 내부공간이 필터실(35)을 이루어 세탁수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실이나 머리카락 같은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이물질은 필터실(35)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유입관(45a)에 걸려 걸러지게 된다.
또한, 커버부(44)의 내측에는 일측에 치우쳐 형성된 펌프유입구(45)를 통해 펌프케이싱(42)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임펠러(43)의 중앙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세탁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안내판(46)이 마련된다. 이 안내판(46)은 유체의 흐름이 중앙으로 유입되어 외주방향으로 분출되는 임펠러(43)의 특성을 고려한 것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 펌프유입구(45)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임펠러(43)의 중앙부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펌프의 효율을 높여주게 된다.
그리고, 펌프케이싱(42)의 외주면에는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가 배출되는 펌프토출구(47)가 형성되고, 이 펌프토출구(47)에는 배수관(50)이 연결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연장되는 토출관(47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수장치를 수조(11)의 하부에 장착할 때에는 펌프결합부(31)의 하부에 배수펌프(40)의 커버부(44)를 먼저 장착시킨다. 이때, 수조(11)에 형성된 배수공(34)과 커버부(44)에 형성된 펌프유입구(45)는 상호 엇갈리도록 반대쪽에 위치되게 한다. 다음으로 펌프케이싱(42)의 플랜지부(42a)와 펌프결합부(31)의 플랜지부(33) 사이에 실링부재(36)를 끼운 후, 고정용볼트(37)를 통해 두 플랜지부(33,42a)를 상호 결합시키면 배수펌프(40)가 수조(11)의 하부에 견고히 결합된다. 그리고, 배수펌프의 펌프토출구(47)에 배수관(50)을 끼우면 모든 조립이 완료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수조(11)의 하부에 마련된 구동모터(15)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번갈아 회전되면, 이 회전력은 벨트(16)를 통해 회전조(12)로 전달되어 회전조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회전조(12)의 내부에 있는 세탁물은 뒹굴거나 낙하가 되면서 세탁이 수행되게 된다.
세탁행정이 종료되면 헹굼행정과 탈수행정이 수행되는데, 헹굼행정은 수회의 급수와 배수과정을 통해 세탁물에 남아있는 세제 성분을 제거해 주게 되고, 탈수행정은 회전조(12)의 고속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에 함유된 물기를 탈수시키게 된다. 그리고, 헹굼행정과 탈수행정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배수되는 세탁수는 수조(11)의 하부에 마련된 배수장치(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배수펌프(40)의 임펠러(43)가 회전되면, 수조(11)의 세탁수는 배수공(34)을 통해 펌프결합부(31) 내측의 필터실(35)로 유입되고, 필터실(35)로 유입된 세탁수는 필터실(35)을 경유한 후 펌프유입구(45)를 통해 펌프케이싱(42)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펌프케이싱(42)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는 임펠러(43)의 회전에 의해 펌프케이싱(42)의 외주부에 형성된 펌프토출구(47)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때, 세탁수는 배수공(34)과 펌프유입구(45)가 상호 엇갈린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필터실(35)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는데, 특히 머리카락이나 실 등의 이물질은 유입관(45a)의 외면에 걸려 걸러지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수단과 배수펌프가 일체를 이루게 됨에 따라, 종래 배수펌프와 배수필터가 별도로 구성되었던 것에 비하여 그 구성이 크게 단순화되고, 이를 통해 배수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될 뿐만 아니라, 조립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수펌프가 수조의 하부에 직결됨에 따라 종래 다수개로 구성되었던 배수관이 하나의 배수관으로 크게 간소화됨으로써, 배수관의 설치가 용이하고 드럼세탁기의 하측 내부구조가 단순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조에 형성된 배수공과 배수펌프의 펌프유입구가 상호 편심을 이루도록 구성됨에 따라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이물질에 의한 임펠러의 구속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드럼세탁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세로방향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개략적인 내부구성을 보인 세로방향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장치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외부케이스, 11: 수조,
12: 회전조, 30: 배수장치,
31: 펌프결합부, 33: 펌프결합부의 플랜지부,
34: 배수공, 35: 필터실,
36: 실링부재, 37: 고정용볼트,
40: 배수펌프, 41: 모터,
42: 펌프케이싱, 42a: 펌프케이싱의 플랜지부,
43: 임펠러, 44: 커버부,
45: 펌프유입구, 45a: 유입관,
46: 안내판, 47: 펌프토출구,
47a: 토출관, 50: 배수관.

Claims (5)

  1.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 주위에는 내부에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실이 형성되도록 소정길이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부에 개방부가 구비된 펌프 결합부가 형성된 수조;와, 상기 수조의 물을 상기 배수공을 통해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해 일면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외주부에 펌프토출구가 형성된 펌프케이싱과, 상기 펌프케이싱의 개방부를 막아주며 일측에 펌프유입구가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펌프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배수펌프;를 가지며,
    상기 펌프유입구에는 상기 필터실 쪽으로 연장된 유입관이 마련되며 상기 펌프유입구와 상기 배수공은 상호 편심되도록 상기 펌프결합부의 개방부와 상기 커버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내면에는 상기 펌프유입구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임펠러의 중앙부로 안내하는 안내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결합부와 상기 펌프케이싱의 개방부에는 상호 대응되어 결합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는 기밀구조를 이루는 실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
  4. 삭제
  5. 삭제
KR10-1999-0007217A 1999-03-05 1999-03-05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 KR100521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217A KR100521090B1 (ko) 1999-03-05 1999-03-05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217A KR100521090B1 (ko) 1999-03-05 1999-03-05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545A KR20000059545A (ko) 2000-10-05
KR100521090B1 true KR100521090B1 (ko) 2005-10-14

Family

ID=1957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217A KR100521090B1 (ko) 1999-03-05 1999-03-05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0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613B1 (ko) * 2006-03-06 2013-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KR101588137B1 (ko) * 2014-10-24 2016-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수 펌프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WO2017131392A1 (ko) * 2016-01-27 201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한 세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2897A (zh) * 2019-10-22 2019-12-20 格力电器(成都)有限公司 一种排水装置的装配结构和洗衣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613B1 (ko) * 2006-03-06 2013-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KR101588137B1 (ko) * 2014-10-24 2016-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수 펌프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WO2016064206A1 (en) * 2014-10-24 2016-04-28 Lg Electronics Inc. Drain pump and clothes dryer having a drain pump
US10280553B2 (en) 2014-10-24 2019-05-07 Lg Electronics Inc. Drain pump and clothes dryer having a drain pump
WO2017131392A1 (ko) * 2016-01-27 201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한 세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545A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286B1 (ko) 세탁기
US20060000240A1 (en) Washing machine
CN108796973B (zh) 一种洗衣机
US7243512B2 (en) Filter assembly of washing machine
KR101054408B1 (ko) 세탁기
KR100785555B1 (ko) 드럼식 세탁기
JP2000033196A (ja) 上方への噴出水流を形成する洗濯機用パルセータ組立体
JP2007014678A5 (ko)
US10954624B2 (en) Washing machine
KR100521090B1 (ko) 드럼세탁기의 배수장치
KR101225167B1 (ko) 배수케이싱을 구비하는 세탁기
KR100432227B1 (ko) 배수펌프를 구비한 세탁기
KR20060041104A (ko) 세탁기
KR100271168B1 (ko) 드럼세탁기 배수펌프의 공기배출관
KR100465697B1 (ko) 세탁기의 배수펌프 이물질 거름 구조
WO2017140258A1 (zh) 清洗机
KR20070059438A (ko) 세탁기의 펌프 유닛
US20040108260A1 (en) Filter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KR200189779Y1 (ko) 세탁기의 배수펌프 필터
KR100262987B1 (ko) 세탁기의 배수펌프 필터
KR102442970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0139252Y1 (ko) 세탁기용 배수필터
CN114575114A (zh) 一种筒体组件及衣物处理设备
KR101217119B1 (ko) 드럼 세탁기
CN116897229A (zh) 离心分离机和具备离心分离机的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